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정서인식이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정적 피드 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그릿(Grit)이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비관리자급 구성원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유효 응답 15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인식은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경로에서 그릿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 하였고, 간접효과에 대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는 조직 내 정서적 자원과 개인 특성이 상호작용하여 피드백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전략을 향상시키는 코칭 개입, 그리고 그 릿을 강화하는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이 구성원의 피드백 수용성 제고에 효과적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 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퇴사(quiet quitting)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직무 만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여 조 직 내 구성원들의 심리적 퇴사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인적자원 개 발 방안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업에 종사하 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 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코칭 행동과 심리적 퇴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코칭 행동이 구성원 의 심리적 퇴사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상사의 코칭 행동은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직 무만족은 상사의 코칭 행동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사실이 확인되었 다. 따라서 조직은 상사의 코칭 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적관리 차원의 투자와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조 직 내에서 상사의 코칭 행동이 구성원의 심리적 퇴사를 낮추는 데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퇴사를 낮추고, 직무만 족을 이끄는 방안 마련에 토대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airline safety reporting system affects the go-around that may occur when flight crew members operate an aircraft. In addition, we sought to determine how the captain's awareness of command responsibility intervenes and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reporting and go-ar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official safety reporting subfactors, Response & Feedbac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o-around(ΔR2 = .009, p < .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safety reporting and go-ar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and responsibility(β = .595, p < .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sponse & Feedback and Command & Respon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a simple slope test, and as a resul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Command & Responsibility was low.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group project but also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individual members fairly.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group members can be assessed by pair-wise comparison method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group members can be biased in a way that is advantageous to evaluator oneself during the pair-wise comparison proces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tribution weight vectors obtained when including evaluator and excluding oneself in the pair-wise comparison. To do this, the experimental data was obtained by making pair-wise comparison in two ways for 15 5-person groups that perform term projects in university classes and 15 pairs of weight vectors for contribution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nonparametric test for these 15 pairs of weights vectors are given.
최근 정보화와 세계화의 급진전으로 기술적 역량이 강조되며 경쟁이 격화되고, 조직 구성원들의 감성 은 메말라 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감성역량을 배양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감성리더십과 조직감성, 조직 구성 원의 몰입적 태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본연구에서 감성리더십은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관계관리 능력으로, 조직감성은 개인, 집단, 집단 간 수준으로, 몰입적 태도는 조직몰입, 팀몰입, 직무몰입, 경력몰입으로 나눠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총 65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배 포한 설문지 중에서 435부를 회수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한 도구는 Golman(2012, 2022), Hamme(2003), Stubbs(2015), Aleson & Baysinger(1984), Fottler et al.(2011)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도구를 수정·보완하 여 본연구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Win과 AMOS 29.0. 버전을 이용해 실시했다. 요인분석으로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Cronbach's alpha로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t-test, ANOVA, 카이제곱 검정, F검증으로 군 집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성리더십과 조직감성은 조직 구성원의 몰입적 태도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이되었고, 조직감성은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통해 몰입적 태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구성원과 다인 가구구성원 간에 주거환경 만족도 차이를 규명하고, 반려동물이 1인 가구구성원의 주거환경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 서울서베이 가구주조사’ 원시 데이터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환경 만족도는 1인 가구구성원 보 다 다인 가구구성원이 더 높았다. 둘째, 1인 가구구성원의 경우 반려동물을 소유할수록 주거환경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1인 가구구성원의 경우 반려동물(개, 고양이 제외) 수가 증가할수록 주거환경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1인 가구구성원의 주거환경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 소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various fields. This phenomenon calls for human resources to b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of AI and data.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opened up introductory courses in AI to high school students since the second half of 2021. It will also include AI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spite these efforts to enhance students’ digital literacy through the innov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opportunities for taking advantage of AI and data education should be reached for more diverse learners. At the same time, the courses need to be designed with not only theoretical but practical contents and activities based on learner need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cience Data Education Center at the Kore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has been providing AI and data education programs either online or face-to-face for university members, such as undergraduates, graduates, researchers, and professors. In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cases of educational programs on AI and data operated by the Science Data Education Center, especially regarding those for the university components. Pertinent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operating the programs will be discussed.
콘크리트 구조의 인장 보강재로 주로 사용되는 철근은 높은 인장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변형 특성에 도 불구하고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식이 발 생하지 않는 다양한 재료 중 FRP(Fiber Reinforced Polymer)를 철근과 유사한 형태의 Rod로 제작하 여 철근을 대체하는 보강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탄 소 및 유리섬유를 일방향으로 성형하고 Rod 표면을 굴곡 처리한 CFRP 및 GFRP 보강근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구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FRP Rod를 보강근으 로 하는 콘크리트 부재의 부착특성과 균열폭, 처짐과 같은 사용성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장강 화효과를 포함한 균열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의 피복두께와 FRP 보강근 지름의 비를 1.0에 서 3.5 까지 0.5배씩 증가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길이 1,000mm의 인장부재를 제작하여 만능재료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한 직접인장실험을 수행한 후, 피복두께와 FRP 보강근의 지름 비에 따른 균열거동(Cracking Behavior) 및 인장강화효과(Tension Stiffening Effect)를 분석하고 현행 설계기준의 규정과 비교하였다.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균열에 대해서 횡방향균열(Transverse Crack)과 쪼갬균열(Splitting Crack)로 각각 구분하고, DAQ(Data Acquisi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 크리트 인장부재에 매입된 CFRP 및 GFRP 보강근의 변형량 및 작용하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로 부터 하중-변형률 관계로 대표되는 인장강화효과를 분석하였다. 균열거동 및 인장강화효과를 분석한 결과, CFRP 또는 GFRP Rod를 보강근으로 하는 콘크리트 인장부재는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의 부 착강도를 감소시키는 쪼갬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복두께를 보강근 지름의 2.5배 이상 확보하였을 때, 각 보강근별로 극한강도 fu의 60-70%에 해당하는 하중이 작용하는 단계에서 인장강화효과는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근을 보강근으로 하는 현행 설계기준의 규정으로 예측한 결과보다 우수한 인장강화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CFRP 그리드의 정착길이에 따른 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을 평가한 실험적 연구를 보고한다. 실험을 위해 폭 250 mm, 높이 125 mm, 길이 2000 mm의 실험체가 제작되었다. 실험변수로 CFRP 그리드의 정착길이(1000 mm, 800 mm, 700 mm, 600 mm, 500 mm, 400 mm, 300 mm, 200 mm)가 고려되었다. 실험체 제작 후 3점 휨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모든 실 험체의 강성은 정착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균열하중은 모든 실험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정착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최대하중, 최대하중 시의 처짐 및 변형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부재 길이에 80% 이상 이 정착된 경우 부재 길이와 동일한 정착길이를 가진 콘크리트 보의 약 90% 이상의 구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제안된 수치해석 모델은 CFRP 그리드의 정착길이가 감소됨에 따른 극한하중의 저하를 유사하게 예측하였으며, 극한하중 의 오차는 평균 13.1%로 CFRP 그리드의 정착길이에 따른 콘크리트 보의 휨성능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 리더십이 MZ세대 구성원의 경력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조직 내에서 구성 원들의 경력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인적자원 개발방안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300명 이상의 기업에 종사하는 MZ세대 구성 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상사의 코칭 리더십은 MZ세대 구성원의 경력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에도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 적 임파워먼트는 MZ세대 구성원의 경력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코칭 리더십과 MZ세대 구성원의 경력 만족 간의 관계에 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직 은 상사의 코칭 리더십을 향상하기 위한 투자와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MZ세대 구성원들의 내적동기를 유발하여 조직 내에서 주도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구성원의 자기 경력 만족을 위 한 노력이 조직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코칭 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를 검토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서비스 기업의 개인적·조직적 주요 변인을 검증하여 교육적 조직으로서의 교육서비스 기업의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의 토대가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교육서비스 기업 임직원을 연구대상으로 설 정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SPSS 26.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의 학습조직화 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서비스 기업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의 학습조직화에 정(+) 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육서비스 기업 경영자의 교육리더십과 조직의 학습조직화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리더십, 학습조직화, 자기효능감 등 교 육서비스 기업의 개인 및 조직 변인 관계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미래사회의 변화는 교육의 진보적 변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미래학교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시 도교육청에서는 미래학교와 . ·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중이다. A교 육청에서도 미래학교와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고, 비전, 목표, 핵심요소, 추진전략 등을 명시하고 있 으나, 목표와 비전을 실천하기 위한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 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A교육청이 미래학교를 운영하는 데 갖추어야 할 요소 등에 대하여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주요 특징과 미래학교 지향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2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교육청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등 학교 공 간 관련 사업을 수행 중인 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직원 총 1,71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 문내용은 미래학교 목표와 연계하여 추구해야 하는 가치(다양성, 창의융합, 시민성)에 대한 중점 방 안과 미래학교가 앞으로 추구해야 하는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이다. 문항 분석은 학교급과 학교 구성 원별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 측면에서는 학교 구성원 모두 선호하는 방안이 달 랐는데, 학생들은 진로 관련 활동 지원, 학부모는 맞춤형 개별학습 활성화 교직원은 학생 수요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창의융합 측면에서 학교 구성원은 대체 로 실생활 문제 해결 중심의 프로젝트 수업 활성화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시민성 측면에 서는 학생은 학교 밖 자원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실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반면 학부모와 교 직원은 민주시민교육, 환경생태교육을 통한 공동체 가치 함양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미래 학교가 추구할 방향은 학생 중심의 개별화, 다양화된 교육과정 구축이 학교 구성원에게 공통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학교 정책 추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리더-멤버 간의 교환관계(TMX)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 자 2023년 4월 1일~7월 12일까지 커플자료 82팀(164명 : 리더 82명, 멤버 82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효과는 리더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리더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고, 상대방 효과는 멤버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리더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상대방효과는 리더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멤버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과는 멤 버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멤버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호적 관계가 의존적 관계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교환관계(TMX)에 대한 시스템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Customer engagement has been a focus of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Most of the prior research on customer engagement typically focused on engagement and loyalty in loyalty program context, while the impact of rewarded customer engagement on program members has largely been missed out. Additionally, no prior study yet has focu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rewarded customer engagement, while exploring and comparing its significance on various digital platforms, such as loyalty programs and Metaverse. Thus,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rewarded customer engagement while investigating its impact on loyalty program members, and whether it induces and/or encourages their engagement in brand’s Metaverse platform(s).
In the recent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industries aim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roducts and services by introduc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 this situation, organizational culture is changing a lot due to the influx of the MZ generation with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the decreased face-to-face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However,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s still essential to maximize performance, and the margins created by simplifying work processes and automating processes must be used for creating work performance. This requires cooperation and commitment through the job immersion of members who have an active attitud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which are creative work performance conditions, affect job immersion using raw data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significantly effected the members' job immersion. in order to achieve productivity and value improvement in companies,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workers' job immersion by building an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earch for ways to increase workers’ job commit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