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특한 경관특성과 높은 보존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사구와 관련된 곤충 다양성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주로 관찰되는 사구와 방풍림(해송)에서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류 군집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4년 6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방풍림 5개 지점과 사구 3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2,335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은 15속 30종으로 동정되었다. 사구에서는 24종이 채집되었는데, 둥근칠납작먼지벌레(158개체)와 등빨간먼지벌레(153개체)가 우점하였다. 반 면, 방품림에서는 14종이 채집되었고, 둥근칠납작먼지벌레(1,630개체), 윤납작먼지벌레(130개체) 및 붉은칠납작먼지벌 레(42개체)가 우점하였다. 방풍림과 사구의 지표성 딱정벌레류 종 구성의 유사도는 27.4%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발견되는 사구 지형이 방풍림과 비교해서 다른 곤충 군집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향후 곤충 보전을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4,000원
        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공원에서는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절에 따른 야생동 물 로드킬을 저감시키기 위한 자료 확보를 위해 전국 17개 국립공원(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계룡산, 경주, 내장산, 가야산, 주왕산, 태안해안, 치악산, 월출산, 변산반도, 무등산) 내 관통도로와 12개 생 태통로(한계령, 진고개, 월정사, 죽령, 지릅재, 밤치재, 버리 미기재, 신풍령, 시암재, 정령치 1, 정령치 2, 민목재)를 대상 으로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소백산국립공원 죽 령생태통로는 2003년에 준공된 터널형 구조의 생태통로이 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 위치해 있다. 왕복 2차선 도로 하부에 설치하였으며 2006년부터 지속적으로 야생동물(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생태통로 총 길이는 21m, 너비는 7.6m이며, 입 구 크기는 가로 7.65m, 세로 4.5m이다. 죽령 생태통로 내부 에는 야생동물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샌드트 랩(족적판)과 무인센서카메라가 있으며 야생동물의 이용률 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형동물이동로(인공 구조물)와 은신 처(돌무더기, 볏짚), 미네럴블럭을 설치·관리 하고 있다. 그 중 소형동물(다람쥐, 청설모, 하늘다람쥐, 조류 등)의 이용 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년 12월에 추가로 설치한 소형 동물이동로는 죽령생태통로 내부 양쪽 벽면에 목재로 제작 하였으며 높이는 약 1.3m 폭은 약 15cm이다.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설치한 소형동물이동로 가 소형동물 이용률 증진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죽령생태통로 내 소형 동물이동로 설치전·후의 소형포유류(다람쥐, 청설모, 하늘 다람쥐) 이용률을 확인해 본 결과 설치 전인 2013년 2종 14회, 2014년은 2종 17회이었으며 설치시기인 2015년에는 2종 20회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치 이후인 2016년에는 3종 107회, 2017년 6월까지 3종 1,129회 소형포유류가 이용하 였다. 특히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인 하늘다람쥐의 경우는 소형동물이동로 설치 이후인 2016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 였다. 또한 조류의 이용률을 확인해 본 결과 설치 전인 2013 년 3종 25회, 2014년은 5종 17회이었으며 설치시기인 2015 년에는 5종 10회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치 이후인 2016년에 는 11종 53회, 2017년 6월까지 12종 53회 이용하였다. 특히 굴뚝새, 동고비, 되지빠귀, 쇠유리새, 쇠딱따구리, 오색딱따 구리, 직박구리 등 7종은 소형동물이동로 설치 이후인 2016 년부터 출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형 포유류와 조류는 소형동물로이동로 설치전보다 설치이후 에 종수 및 이용횟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소형동물이동 로는 소형포유류와 조류의 이용률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식 및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의 종류 및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지역은 지리산국립공원이며 2014년 5-6월 중, 성삼재 휴게소와 노고단 대피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된 502명과 전남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된 173명의 표본으로부터 모의조작 사진(곰과 고라니)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으로 국립공원 내 서식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에 따른 장소 속성에 대한 지각(혼잡성, 자연성, 안전성) 및 휴양경험의 종류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반달곰의 존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지리산국립공원이 '야생' 또는 ‘자연경험’에 더 가까운 휴양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장소속성에 대한 지각과 응답자가 느끼는 휴양경험의 종류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 또는 고라니 노출 그룹이 컨트롤 그룹에 비해 ‘야생’에 더 가까운 휴양경험을 느꼈다.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의 존재는 응답자의 휴양경험의 질에 긍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응답자가 느끼는 휴양경험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국립공원 야생동물의 관리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4,2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compared the consistency of the Environment Stress(ES) model and the Potential Risk Assessment Model (PARK model,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a Korean mariner risk perception) for the Busan adjacent waterway. Evaluation of accuracy and comparison of these two models have been made by Vessel Traffic Service (VTS) officers in the Busan VTS Centre. The assessment results of Busan waterway show that the PARK model is more consistent than the ES model as follows. (1) The difference between assessment results applying ES model and PARK model with risk degree of VTSOs were 34% and 5% respectively in six typical traffic situations. (2) The assessment using PARK model is more suitable and identical with the VTSOs opinion in his or her duty time.
        4,000원
        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dictive capacity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n the industrial park was estimated by the traditional method and on-the-spot survey such as certification of wastewater report and the invoices of water supply and ground water supply. The ratios of a converted wastewater to supplied industrial water between traditional method and on-the-spot survey in the estimation methods were different. By using traditional method, the business type of clothes, accessary and fur production had 77.18 % of waste ratio of wastewater and 10.72 m3/day·1000 m2 unit mass of wastewater as the highest among 9 business types. With the respect to the on-the-spot survey, food manufacturing business type had 75 % of waste ratio of wastewater and 8.35 m3/day·1000 m2 unit mass of wastewater as the highest values. The amount of wastewater from on-the-spot survey method was 541 m3/day less than one from traditional method.
        4,000원
        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두정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식재유형별 수목의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연간 토양호흡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두정공원에서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각 식재림을 분석하였다.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은 수목의 흉고직경을 이용한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Li-64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에서의 탄소저장량은 각각 17.36, 88.63, 115.38, 49.88 ton C ㏊⁻¹ 였고,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1.04, 2.12, 6.47, 3.67 ton C ㏊⁻¹ yr⁻¹로 산정되었다. 개체목당 평균 연간 탄소흡수량은 소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에서 각각 1.81, 17.86, 9.14 ㎏ C·tree yr⁻¹로 상수리나무가 가장 높았다. 평균 토양호흡량은 각 식재유형별로 2.20, 1.90, 2.47, 2.51 μ㏖ CO2 m⁻² s⁻¹로 측정되었고 연간 토양호흡량은 각각 6.66, 5.33, 7.20, 7.25 ton C ㏊⁻¹ yr⁻¹로 추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식재유형 중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이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이 가장 많아 공원의 탄소흡수원 역할에 크게 기여했고, 소나무식재림은 가장 적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 수목의 식재와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imulation approach which compares lighting quality of each luminaire type for small urban park users' safety. For improving illumination quality, lighting intensity distribution of a luminair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set the luminaire to a proper position. To achieve the best plan for illumination, it is most important to communicate the plan with designers of park and professional engineers in depth and the communication continues from the beginning of the plan.
        4,0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와 베이징시의 두 도시의 공원 관리체계의 현황, 유형, 관리조직, 이용객, 예산, 문화활동 분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양국 비교분석 하였다.두 도시의 공원 관리체계의 기본기능과 내용은 대체적으로 동일하나, 그러나 구체적인 방면에서 차이가 많다. 공원녹지통계, 오락공원시설, 이용객 및 구성원의 신분 통계, 수입관리방식, 관리조직과 기능, 이용객을 끌어들이는 방식 및 관련있는 법규의 내용등 방면에서 나타난다.공원관리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주요원인은 국가의 문화, 행정체제가 다른데 있으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두도시 모두 많은 방면에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시설의 재정비, 공원문화의 혁신 등을 통하여 이용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두 도시의 도시녹화, 공원시설, 이용객 활동, 구성원과 원림수입/지출방면의 통계자료로 두 도시의 특징과 차이를 보이고,도시공원의 문화활동, 입장료 판매방식, 수입/지출관리 방식을 비교하여 최종에 두 도시의 공원관리방식에 관련 있는 법규내용의차이가 나타났다..공원관리사업에서도 공통적으로 공원조성, 수목 및 화훼, 시설물 보수 및 정비, 환경위생, 공원 서비스, 유람 서비스등서비스가 포함되기 때문에 관리내용이 비교적 업무량도 많으나. 그러나 베이징시의 경우 공원 구성원들은 반드시 계획대로고효율적으로 공원관리를 진행하여 공원관리의 목적에 도달해야 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그러나 비교할 수 있는 자료는 문화와 행정체계가 다르고 연구 자료도부족하기 때문에 내용도 한계가 있다고 보며, 중국의녹지 정책, 넓게는 중국의 환경개선 및 보호 정책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므로 정책과 실상을 알아보는 것이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장산국립공원 백양사지구와 남창지구의 탐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산쓰레기 관련 행태와 의식을 비교하였다. 미리 설정한 3개 연구가설에 의해 행락위주의 이용자와 등반위주의 이용자 그룹 간에 이용목적 등 행태의 차이와 ‘자연공원내 쓰레기통 철거’에 대한 호응도 그리고 ‘산쓰레기 처리 등 산행윤리 의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백양사지구의 이용자특성상 연령과 거주지 및 재탐방율 등의 차별성이 드러났으며 탐방 주목적 역시 ‘자연경관감상’(백양사지구)과 ‘등산’(남창지구)으로 차별화된 결과를 보였다. 남창지구에서는 백양사지구와 달리 요구 탐방정보는 ‘쓰레기 처리정보’의필요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등반 위주의 탐방이 이루어지는 남창지구는 도시락 지참율이 높고, 행락 위주의 백양사지구탐방객 보다 긍정적 측면에서 산쓰레기 처리에 능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내 쓰레기통 철거’에 대한 인식도 분석결과 백양사지구 탐방객은 남창지구탐방객에 비해 부정적이었으나 인지도나 만족도 그리고 불만족 이유에 대해서는 2개지구 탐방객의 의식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 산쓰레기 관련 쓰레기통 철거에 대한 인식은 산행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보인다. 이와 함께 ‘자연공원내 쓰레기통 철거 시책’ 관련 인지도는 50% 수준을 밑돌아 “쓰레기통 철거에 따른 지속적인홍보”가 요구된다.한편 백양사지구 탐방객에 비해 남창지구 탐방객의 산행윤리는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행락위주의탐방객과 등반위주의 탐방객 차이에 따른 의식의 차이로 확인되었으며 남창지구의 등반위주 탐방객은 산행 중 발생한 ‘쓰레기처리’를 중요한 산행윤리(에티켓)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행락위주의 탐방객과는 다른 차원의 산행 윤리의식을 보였다.
        4,000원
        1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문화권 간에 경관이 지닌 전형성과 그 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여기에 지역간 혹은 문화간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비교해 보는데 있다. 영국과 한국의 전형적 자연경관을 선별하기 위하여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과 한국의 지리산 국립공원의 사진이 이용되었다. 이에 대한 자연경관 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 및 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에 대한 사진설문 조사가 실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두 집단 모두 연령과 방문횟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 응답자의 경우 지리산 국립공원 응답자에 비하여 방문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성과 선호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지리산 자연경관의 전형성이 높은 경우에 이에 대한 시각적 선호성도 높게 나타났으나, 반면에 케이른고럼스 경관의 전형성이 높은 경우에는 시각적 선호성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즉, 자연경관의 전형성과 시각적 선호성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성립하지만, 문화집단간 그 정도의 방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4,200원
        1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한국과 일본의 공원관리 현황과 구조특성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관련문헌조사와 함께 관련기관 담당자와의 전화인터뷰 및 방문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일본의 공원지정기준은 최소의 공원면적을 수치로 정하고 있고 관리인원이 한국보다 적으면서 넓은 면적을 관리하고 있다. 양국의 공원관리기관은 중앙과 위탁기관으로 구분되었다. 중앙기관은 한국이 환경부내 자연자원과 6명이 담당하고 일본은 3개과(국립공원과, 자연환경정비과, 총무과) 53명이 담당하고 있다. 총무과는 국토를 11개 블록으로 구분해 11개 자연보호사무소와 12개지소, 67개의 자연보호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위탁기관의 경우 일본의 자연공원재단은 본부와 20개지부에 54명의 직원이 현장관리업무를 하고 있으나 한국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본부와 25개사무소에 748명의 직원이 중앙기관의 업무와 현장관리업무를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국립공원관리의 효율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공원지정기준에 수치화를 도입하고 둘째, 용도지구를 재검토하며 셋째, 국립공원관리사무소를 현지사무소.권역사무소로 구분해서 업무분담 및 인원 재배치하고 넷째, 환경부의 공원관리 부서를 확대하고 다섯째,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에 대한 신분을 국가공무원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높다.
        4,000원
        1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environmental attitudes of interest groups, including visitors, local residents, Buddhist monks, and staff of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 Gayasan National Park. To achieve this purpose, five hypotheses were formulated and tested. While three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rejected, two were accepted. In every interest group, the environmental attitude level of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Local residents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attitude between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environmental attitude level between interest group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staff of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 followed by Buddhist monks, and a group of visitors and residents recorded the lowest. However, the average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 of every interest group scored above the mid-point of 3.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exists no difference between or conflicts among interest groups related to strengthen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Gayasan National Park.
        13.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environmental attitud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interest groups, including visitors, local residents, and local public servants (Cheongsong-gun), in Juwangsan National Park. A statistical analysis of 418 questionnaires conclud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 between the visitors, local residents, and local public servants. In the case of visito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 but the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 of local resi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 In general visitors, local residents, and local public servants all scored above the mid point on average,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attitude was observed between these group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mutual consensus can be derived from these interest groups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1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mpared Gwang-ju citizens’ image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MNP) between pre- and post-national establish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71 Gwang-ju citizens during October 2015 using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mages of MNP between pre- and post-national park establishment. Five image factors (i.e., ‘park managerial state’, ‘place of recreation and forest healing’, ‘historical and cultural place’, ‘touristic place’, ‘accessibility of place’) out of the six image factors extracted from 25 image items using factor analysis were positively changed. The image of ‘crowdedness of place’ factor, however, was negatively changed. Four variables such as ‘awareness of MNP establishment’, ‘park managerial state’ factor, ‘frequency of visits after MNP establishment’, and ‘gender’ influenced overall MNP imag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rom a managerial point of view.
        1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d difference between hiker and non-hiker's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Especially, it was analyzed after visitors, who were divided into local residents & tourists and first time visitors & repeat visitors. Out of 600 visitors, who were over 19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urvey, 587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onsequently,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Health·Culture, Ecology·Environment, and Connectedness. Hikers feel higher value on promotion of health, relaxation, environment than non-hikers. Among hikers, local residents feel higher value on ecology·environment and connectedness than tourists. Among non-hikers, however, they have no differenc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only repeat visitors and first time visitors. On this result, possibility of resident participation management on natural environment and trail was considered, and when the program, which is for rais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alue, would develop, increasing number of repeat visitor should be considered as a high priority.
        16.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s national park system resembles that of Japan in many ways. In this study, National park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are compared from a standpoint of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to be formed and in aspect of its conservation by the main revision of national park laws in perspective. In conclusion it was found out that Korea's toleration-based regulations on building park amenities have gradually neglected the park conservation effort, whereas Japan's authorization-oriented regulations have streng thened their emphasis on park conservation. From the comparison as above, the polices to be modified for Korean national park are proposed as follows: 1. National park system, which values diversity of species, is to be proposed. For this, the Article 8 which allows a development of National parks, Enforcement Ordinance Article 4, The Article 18 of Law, Enforcement Regulation Article 6 & 7 of National Park Law should be reviewed for deletion and revision. 2. On the basis of the laws, zoning system should be readjusted by discriminated conservation policy. Also, the readjustment of zoning system should be enforced after thorough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value of natural resources in the national park. 3. Korea should closely review the recently revised Japanese laws on the national parks and nature revitalization promotion for applying them to conservation policy of Korean national parks.
        17.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ources conservation system is comprehended, making Taean-haean National Park a research material by applying the fact of landowning, designating an LOP and Korea and Japan's Natural Park Act.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Most of land areas of the National Park are privately owned; Only a few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Reservation, a core reserved area on LOP, and a sandy beach, a sand dune, a sand spit, a tidal flat, a wetland, etc are distribu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rea so they were exposed to development; As seen in most of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s, 13 commercial beaches are established. The annual rush to the beaches appears in July and August; Sand dune areas that have to be managed in terms of conservation, are turned into beaches. Moreover,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are randomly developed. So they fail to function originally; The current Natural Park Act has no systematic devices for conserv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seashore or offsh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