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conducts a multidimensional quantitative data analysis of writing scores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word frequency, stroke number,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corpus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of primary Chinese learners from non-Chinese culture circles, and then analyze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rules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reflected in the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psychology. Data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roke number effect” and “component number effect” when learners write Chinese characters, and the influence of the stroke number and component number on writing depends o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whole book frequency, and the dividing line is about 200.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rule, frequency, stroke number and component number affect the whole process of perception, memory and extrac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with different frequencies when writing. Learners use compressed and holistic recognition for high-frequency words (frequency>200), while partial and feature recognition for medium and low-frequency words (frequency≤200), and the basic units of feature recognition are strokes and components.The score of wrongly used characters i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requency, strokes and components, and the cognitive rules reflected by wrongly used characters need further study.
이 글은 고대 동아시아 한자의 위상과 역할, 현대 초등학교 한자교육과 교재의 현황, 한자교육이 뇌에 미치는 영향, 인성 정화, 외국어교육의 보조와 국민생활의 편의라는 관점을 종합 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한국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확립함에 있 다. 본문의 제1장은 고대 동아시아 문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제2장은 현재 한국의 한자 교육 문제를 요약하고, 제 3장은 현재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제 4장은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진술하였 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초등교육의 실제 상황에 기초하고 있 으며, 문헌의 정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 한자 교 육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교수효과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및 교수효능감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 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 경력)에 따라 저학년, 교직 경력 20년 이상의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장의 직접적인 수업지도성인 수업개선과 수업평가를 잘 할수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문화일수록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장의 수업 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문화 역시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를 통해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의 교수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제고하고 유익한 학교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중국의 유망한 성장산업으로 들 수 있는 것이 화장품산업이다. 중국 화장품산업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를 요약 하면,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중국 화장품산업의 진출전략 또는 수출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국내 연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는 중국화장품 산업의 전망을 분석하고, 경영전략의 차원에서 미래 성장전략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두 번째 연구흐름과 관련이 있다. 즉, 중국 화장품 산업에 속하는 주요 기업의 전략유형을 인지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집단 분류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중국의 화장품 기업을 대상으로 분류한 전략집단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전략집단이 본 연구를 통해서도 분류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만약 기존 연구와 본 연구가 독립적으로 분류한 전략집단의 유형이 동 일하게 나온다면, 두 연구의 타당성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전략집단 소속의 일관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는 전 략집단 분류의 동일성이 달성될 경우, 각 전략집단에 소속되는 기업들도 일관되게 분류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두 가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화장품 산업에 속하는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고 경영층 인지적 특성을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략집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기존 연구 (량최정․방호열, 2019)와 비교함으로써 전략집단 분류의 동일성(첫 번째 연구목적)과 전략집단 소속의 일관성 (두 번째 연구목적)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중국 화장품 기업의 전략유형에 있어서, 기존 연구와 본 연구가 분류한 유형이 유사하 게 나타났으며, 전략집단의 소속도 일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략집단 분류의 동일성과 전 략집단 소속의 일관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의 화장품 산업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 는데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전략집단과 관련한 개념과 이론이 중국과 같은 신흥국 시장에도 적용가능하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홍콩은 중국으로의 귀환 이후 시행된 兩文三語정책 아래 소수 민족의 중국어 교육은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다. 비중국어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욱 효과적인 중국어 학습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게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홍콩대학은 홍콩교육국의 연구 과제를 수주한 이후, 학교에서의 방과 후 중국어 학습을 지원하게 되었다. 중학교에서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최근 일년 동안은 소학교까지 확대하였다. 본 연구는 「閱讀促進學習」(R2L)이라는 교수법 이 비중국어권 소학교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연구대상들의 작문 문제가 어디에 근거하였는지를 측정하였고, 「閱讀促進 學習」(R2L)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설계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20개의 소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 년간에 걸친 교육에서의 예측과 한자, 어휘, 구절과 전체 문장을 점층적으로 확대 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신장시킨 후,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이 학습법 시행 이전과 이후를 검토하여, 「閱讀促進學習(R2L)이 어떻게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연구 이후, 홍콩에 거주하는 비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그들 이 홍콩 사회에 더욱 융화되어, 구직을 하는데 조금 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 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 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 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한자 능력 발전과 학습 흥미와 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자능력에 대한 시험은학교와 가정, 사회의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이 특정한 시험 시간에 사용하는 심리적 어휘를 측정하였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일하지 않는 교육 언어 형식은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의 발전 전체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로지 동일하지 않은 교육 언어를 사용한 반에서도 반별로 학생들의 한자능력의 발전에서도 각기 다른 표현 이 보였다. 방문면담의 결과를 취합하고 새로 적용한 후 시행한 2차 측정에서 이 미 이 결과를 알고 있는 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 언어로 한자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교육 목표, 교육 전략, 교육 시간의 설정과 배분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학 생들 또한 한자습득 능력의 발전과 어문 교육의 흥미도에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를 기초로 삼아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본 연구의 성과가 언어 교육의 정책 결정자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되어 향후 중문과 교육의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고는 저학년 학생들이 쉽게 글자를 틀리게 서사하고, 쉽게 잘못 인식하는 태도에 중점을 두고 서술되었다. 선행 연구의 기초 위에서 字理교수법과 部件교수법을 상호 비교하여 보았다. 모 소학교 2학년의 두 개반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字理교수법이 部件교수법보다 학생들의 한자 학습에 더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한자의 조자 방법을 분류하고, 字理교수 학습법을 제안하였다.
홍콩 교육당국은 90년대부터 적극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학습을 추진 하였다. 그러나 전자학습이 소학교 학생들의 연필을 잡고 한자를 쓰는데 있어 어 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있다. 전자교재를 교육의 보조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은 이미 20년을 넘도록 추진되고 있으나, 오직 학자들만 이 가끔씩 이 변화가 가져오는 이익과 손해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소학교에 있는 네 개 반의 5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녹화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한자쓰기를 상하구조, 좌우구조, 전포위구조, 반포위구조 등으로 분류하고, 계량화하였다. 이 때 비교실험군(전자학습반)과 통 제군(전통학습반)으로 나누고 학생들의 한자 쓰기 필순의 습관과 틀리게 쓰는 상황이 각기 다르게 나타는 상황과 한자 쓰기 퀴즈와 면담의 내용 까지도 실험 내용 에 포함시켰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한자쓰기와 필 순에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험조의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암묵적 쓰기에 있어서 대조군의 낮은 수준의 학생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전자학습이 학생들의 한자 쓰기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합리적인 한자교육의 운용과 평가, 학교 공부를 통해 이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음을 알았다. 반대로 얘기하자면 보조적인 교수 학습 전 략이 부족하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한자를 학습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에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교사는 전자학습의 보조적인 전략을 운영할 때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스웨덴 룬드대학은 중국어 교육의 주요 기지이며, 중문과 전공의 초급 단계 학 생들은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10년이 넘게 『初級漢語』라는 자신들이 편찬한 교 재를 사용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스웨덴어와 중국어를 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갑급 단어와 비교해 본 결 과, 약 41%의 갑급 단어가 『初級漢語』에 보이지 않는다. 『初級漢語』의 단어가 이렇게 된 이유는 한자의 출현 순서에 따라 본문의 내용을 따라갈 뿐,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단어 등급과 한자 등급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 도 전문적인 한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한자의 규칙을 학습하 는데 매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 는데 일정 정도의 어려움이 있다. 본고는 비한자문화권 초급 단계 학생들에게 어휘와 한자를 교육하는 방법을 제 시함으로써, 향후 비한자문화권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어휘와 한자 교육에 대해 토의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Neither Chinese character (Hanzi) learning nor classicalChinese literature instruction should be done in isolation. This paperexplores the way to integrate Hanzi learning, classical Chineseliterature and comprehensive reading in primary schools. It firstdiscusses the hypothetical mental process of children’s readingcompetence development. Guided by this hypothesis, children couldeasily learn Chinese characters in their reading practice, higher gradeprimary school students could learn to fluently read simple classicalChinese articles with proper pause, and they do not need to spend extratime on Chinese learning. In this paper, all of the practices are guidedby the principles of teaching target category in the curriculum designtheories accepted worldwide, such as how we teach students learn tocorrectly write the commonly used Hanzi required by course standards, howwe teach students to write Hanzi in a standard way so that theirhandwriting looks good, how we teach students to learn Pinyin, and howstudents could improve both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comparativeclassical Chinese literature reading exercises, etc..
In this study, we randomly select two urban primary schoolsin Beijing, Zhejiang, Jiangxi and Shanxi, and two classes of students fromeach of the 1-6th grade from each school. We test the students ’recogniz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y on their major languagetextbooks and extra reading materials and also give them relatedquestionnaires, aiming to search the impact of network towards Chineseprimary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Chinese characters.
한자를 안다는 것은 읽기와 쓰기가 기초가 된다. 때문에 한자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중요한 임무이다. 한자는 중국어를 기록하는 문자이며, 매 글자는 자음을 가지고 있어 읽기가 되며, 현대 중국어의 언어 특질인 단음절로 되어 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據形標音』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 한자는 또한『以形示義』의 특질을 가지고 있다. 곧, 한자의 형음의는 단음절을 그 속에 감추어서 『據形標音』과 『以形示義』의 특징들이 서로 결합되어 한자를 음과 의로 구성된 의음문자 (意音文字)로 만들기 때문에 형과 음, 의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질 수 없다. 때문에 교육적 관점에서 본다면 한자에 포함된 형음의 세 요소는 한자교육의 목적이며, 1개의 한자를 학습한 이후에 새로운 한자의 형음의가 대뇌 속에서 서로 긴밀한 연결 고리를 가진 것으로 구조화되어야 한다. 자형을 보면 자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자음과 자의를 알면 자형을 쓸 수 있어야 하며, 형음의를 완전히 습 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이론 가설은 70년대 스웨덴 쿠텐버그 대학에서 제기한 현상지도작성법(Phenomenography)을 이용한다. 이 이론은 인류가 현상과 사물의 접촉의 대 한 경험과 이해를 묘사하고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이 학설은 최근 관찰변이 (Variation)로 발전하였으며, 학습과 관계되는 관련 특징들을 분별하고 판단하려 는 쪽으로 확대되고 있다. (Marton & Booth, 1997) 이 학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한 학교의 소학교 2학년 학생들을 2개의 교 실로 나누고, 구분된 두 학급에 같은 내용을 교수하였다. 이 두 반의 학습 능력은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이 두 반의 교수자는 다른 사람이었다. 연구의 초점은 교수자가 그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을 실천하는 과정과 학생들이 도달하는 최종의 학습 목표의 성취 기준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관계였다. 우리는 처음에 두 교사를 나누어 서로 다른 공간에서 교수를 하게 하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 교사들 이 동일하지 않은 교수법을 사용할 때의 학습 성취기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싱가폴은 사회 언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의 대규모 중 국어 교육상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적게 가르치고 많은 것을 학습하자”에서 “즐 겁게 학습하고 실제 생활에 잘 적용하자”라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필자가 생각 하기에 이는 교수 전략상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나, 싱가폴에서의 중국어 한 자 교육의 핵심 문제인 “무엇을 학습하는가”(자종의 문제), “얼마나 학습하는가” (자량의 문제), “어떻게 학습하는가”(자서의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본문은 2007년 싱가폴에서 출판된 『小學華文』12권의 교재 중 핵심 단원 부분과 방과 후 독서 수업교재로 사용되는 『記憶像一個箱子』, 보충 교재인 『新朋友』, 『新天地』, 『新列車』등의 대표적 독해 읽기 자료, 중국어 신문인 『聯合早報』중의 국제, 국내, 교육 기사를 중심으로 한자의 빈도수를 조사하고, 이러한 네 종의 자료를 이용하여 코퍼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이를 자종, 자량, 자서, 누적률, 누적빈도율 등의 방법으로 각 읽기 독해 자료의 통계를 작성하고,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 다. 이를 토대로 현재의 싱가폴 소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서 학습하는 한자 가 현재 싱가폴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사용현상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어떻게 하면 싱가폴에서 사용되는 초등학교용 한자 학습 교재가 더욱 특색화, 과학화, 합리화, 시스템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 면서, 『어린이용 고빈도 한자표(兒童高頻字表)』를 제시하여 이를 교재에 실제 사용 할 것과, 다시 이를 학습의 순서에 따라 『어린이 상용한자표(兒童常用字表)』를 제작하여 이를 “滾動式” 한자교육법과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욱 흥미롭게 한자를 학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이것이 싱가폴 교육부가 큰 목소리로 주장하고있는 “즐거운 학습”이라는 교육이념과 “실제 생활에 잘 사용하 자”라는 교학법 주장에 부응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one of the stage results of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China’s Primary School Chinese Teach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 key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in 2009, included in the National Education Science "Eleventh Five-Year Plan"( Project approval No. DHA090170). The research mainly includes data statistics and analysis of a literacy diagnostic test survey for primary school entrance students so that it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nd different editions of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of Chinese literacy, such as editions from People's Education Press, Jiangsu Education Press,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Southwest Normal University Press, Jingshan Press, and for exploring different versions of words, quantities, orders, and ways of verifying the new idea of literacy education “Harmony and Order” that best fi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regions.
Singapore changing social language environment has brought about two major reforms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namely “teach less and learn more”and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The objective is to motivate pupils to learn more and encourage the capable pupils to help the weaker pupils in the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reform is just a breakthrough in teaching strategies, but the core problem is not resolved. The primary school Chines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has not been resolved which include 3 basic aspects like word types, word content and word order. In this thesis, the author focuses on word frequency survey taken from the following: (1) 12 core units in the primary school Chinese text books from the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 Reading books which are widely used by Singapore primary school “Memory is like abox”. (3)The front page of the auxiliary publications including "New Friends", “New World ", "New Train ”. (4) The front page of the Singapore Chinese newspaper "Lianhe Zaobao" which includes international, domestic and educa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word species, the amount of words, word order and coverage of the four databases, statistics are compiled, analyzed and researched. It’s noted that the current Chinese languag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primary schools is not so adequate. The literacy teaching materials in Singapore can be made more adequate by making them more featured, more scientific , reasonable and systematic. The author proposes the creation of two unique charts relevant to the Singapore children. Firstly "children’s high-frequency words” chart to be used for literacy teaching materials and secondly“ children’s common usage words” chart to integrate with literacy teaching using' rolling strategy' and put it into the lesson plan design process, so that learning is made more interesting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ion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
A major task for the teacher is to engage students in three kinds of learning: learning of language, learning through language, and learning about language (Halliday, 1979). Therefore, in order to help students learn and use language effectively, teachers themselves need explicit knowledge of language, and need to be aware of what students are trying to achieve and learn. There have been many classroom research investigations into this issue with respect to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L1) in facilitating learning (Osman and Hannafin 1994; Johnson 1997). Classroom-oriented research has led to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great complexity of both the language used and the learning process. Classroom language can b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and no longer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enetrable black box” (Long 1983 a, 1983 b). Transcripts, coded data and frequency counts can show how classroom interaction develops as it is a dynamic phenomenon (Allwright and Bailey 1991). Marton and Booth (1997, p.107) described learning as ‘a way of coming to experience the world in a certain way, and different ways of experiencing will lead to different learning outcomes’. Marton and Tsui (2004) linked classroom discourse to learning, coining the term “space of learning”: “The second premise is that language plays a central role in learning: that it does not merely convey meaning, it also creates meaning. An understanding of how the space of learning is linguistically constituted in the classroom is best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classroom discourse”. This research observed and collected data from two different primary four classes taught by two teachers of the same school on the same topic on Chinese words. Multiple data from multiple sourc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he difference usage of discourse in the classroom could bring about different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향후 초등학교 교육용 기본 어휘와 기초한자를 선정함에 있어 실제 선정의 단계에 진입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그 선정의 방 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를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실제 선정보다 더욱 중요 한 선정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그 논의를 토론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통해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설계의 방법을 도출해 냄으 로써, 이후 구체적인 선정 단계와 그 적용에 있어 예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초등한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국어교과를 비롯하여 타 언어 교과에서 어떻게 어 휘를 선정하고, 그 어휘를 교육에 활용하는가를 살펴보고, 초등 한자교과에서 어 떻게 기본 어휘와 기초 한자를 선정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한자가 가지는 중요성과 특수성을 밝히고, 그러한 특 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기 위해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와 그 단계를 어떻게 설 정할 것인가에 집중하였다. 기존의 어원별 분류와는 다르게 한자어를 투명도, 상용도, 영역의 확장 측면에 서 분류할 것과 아울러 선정의 실제 있어서 고려해야할 점, 즉, 파생어, 합성어, 접두어, 접미어 등을 어떻게 구분하여 기초자료로 삼을 것인가에 대해 밝혔다. 동시에 초등한자교육의 단계로 투명도가 높은 어휘에 대한 어휘중심의 교육, 한 자중심의 교육, 투명도가 낮은 어휘에 대한 복합교육으로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 논문은 2009년과 2010년 2년간 치러진 中等漢文科敎師任用試驗중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을 대상으로 삼아 출제의 근거가 되는 出題基準을 검토하고, 출제 기준에 맞게 출제되었는지 그 현황을 분석한 후, 提言한 것이다. 출제 기준은 출제자로 인한 편파성 시비와 영역별 비중의 차별을 드러낸 이전 임용시험의 잘못을 시정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전국에 있는 漢文敎育科의 敎育課程속에서 10개의 기본이수과목을 추려내고 과목마다 1∼3개의 평가 영역 을 두어 공부한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골고루 출제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출제 현황은 이수과목이나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보면, 대체로 공평하게 출제하 려고 한 점이 인정되나 2009년의 시험이 역대산문선독보다 한시선독에 관심이 두 어졌고, 2010년 시험에서 한시선독보다 역대산문선독이 선호되는 일면도 발견되 었다. 이 측면에서의 불균형 은 출제 상황의 제반 여건에서 빚어진 것으로서 차후 에 다시 바뀔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문항 출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地文의 장르에 대한 편중은 문제의 소지가 없지 않았다. 2009년의 경우에 산문 장르가 전체의 46∼47%, 2010년의 경우에도 산문 장르가 전체의 45∼46% 출제되어 특정 장르의 비중이 과도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산문이 한문학에서 차지하는 범위가 광대하고 출제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출제 문항의 地文이 특정한 장르로 편중되는 것이 정 당화될 수는 없다. 출제 기준에서 기본이수과목별 출제비율이 경서강독,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 모두 대등한 것처럼 1차 한문 선택형 시험 40문항(80 점)에서 장르별 출제비율도 특정한 장르에 편중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이 중등 한문과 교사가 되려는 수험생에게 중요한 만큼 원전 독해력과 그것을 교실 수업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춘 자를 교사로 선발 하는 시험이 되도록 난이도를 보다 높이고 출제범위에 얽매이지 말며 수험생이 접해보지 못한 지문이 많이 출제되게 해야 할 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