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구호활동에 대한 재난피해자들의 인식과 정신건강 (PTSD, 우울증, 불안장애) 간의 관계와 이들 관계에 대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다층모형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재난 트라우마로 인한 효과를 보정 한 후에도 구호활동에 대한 재난피해자들의 인식, 특히 금전적 지원이나 도움 분배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불만, 갈등, 공정성 문제들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구호활동의 적절성, 공정성, 효과성에 대한 재난피 해자들의 주관적 평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조 절효과를 검증 결과, 정신건강에 대한 구호서비스 만족과 지원과정에 대 한 불만의 영향이 지각된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들 결과는 재난피해자들이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과 대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따라 심리적 안정과 회복이 촉진되거나 방해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호 단체와 정책 입안자가 재난피 해자의 사회적 상황에 맞는 지원 메커니즘을 맞춤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만학도의 학습참여동기,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생성형 AI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자 는 서울 소재의 B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학도로, 기간은 2024년 6월 5일 부터 6월 20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설문지 191부를 SPS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만학도의 생성형 AI에 대 한 사전경험을 살펴보고 학습참여동기,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학습참여동기와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이 생성형 AI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 참여자인 만학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빈도분석에서 조사대상자의 84.75%가 60대 이상의 고령학습자였고 참여자가 스스로 생각하는 생성 형 AI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낮음에서 보통까지의 이해도가 전체 86.2% 를 차지하였다. 또한 생성형 AI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사용 의지는 있으나 접근방법이나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만학도의 학 습참여동기 중 활동지향적 동기가 생성형 AI의 교육적 인식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쳐, 인공지능 에 대한 다양하고 충분한 수행 경험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 고, 후속연구에서는 고령 만학도 특성에 기반한 다양한 AI 수업 적용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6,100원
        4.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 of corporate managers on social value creation and explore how different types of cross-company collaboration can create new social value.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practitioners working on social value,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ex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Results: A total of 11 topics emerged from the analysis, which revealed that to create social value, organizations need to build strong relationships with local communities, enhance job competencies, develop effective collaboration strategies, set clear goals, and continuously monitor perform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a systematic approach to creating social value is effective and can lea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Future research should compl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th various case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and derive specific and practical strategies.
        4,200원
        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복지학에서의 융합교육의 전망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심층면접과 문헌연구를 통해 Q표본 38개를 선정 하고. 사회복지학 전공교수, 현장전문가, 융합연구경험이 있는 전문가 등 23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하였다. QUANL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 석하여 3개 요인으이 추출되었고, 전체 변량의 49.24%를 설명한다. 3개 요인은 융합교육이 추구하는 인재상, 교육에서의 강조점, 시기성을 핵심 요인으로 하여 총 6개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해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 재상(요인1)에 따라 디지로그형과 학습자주도형, 교육에서의 초점(요인2) 에 따라 핵심역량강조형과 교육방안강조형, 시기성(요인3)에 따라 융합교 육보류형과 융합교육현재실행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여 사회복지학에서의 ICT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유형을 밝혔으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함의를 제시하였다.
        7,700원
        7.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의 대학 연구자들이 무엇을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중시하고 있고, 또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상이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분석 결과, 학문적으로 우수한 연구 결과 창출을 가장 중요한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으로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사회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연구 수행, 산업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연구 수행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윤리를 준수한 연구활동이나 연구실 구성원(학문후속세대)에 대한 후원과 돌봄을 선택한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즉, 과 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학술적, 정책적 담론과 달리, 연구자들은 전체 사회에 대한 책임 보다 과학 내부에 대한 책임을 자신들의 사회적 책임으로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각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기초연구비중은 학문적으로 우수한 연구 결과 창출 대비 산업적 연구, 연구윤리준수, 사회문제해결에 기여를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으로 인식할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연구윤리준수와 사회문제해결에의 기여의 경우, 기초연구비중의 영향은 기초연구자들의 내재적 연구동기를 통제했을 때 통계적 유의미성이 사라졌으나, 산업적 연구의 경우 내재적 연구동기를 통제해도 기초연구비중의 영 향은 유의미하게 남았다.
        8,600원
        8.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ocial constructionist theory of art states that the value of art and luxury brand design is constructed by social interactions. It distinguishes between an independent "reality" and a socially constructed "reality," in which meanings can differ. However, research on luxury fashion brands mainly focuses on consumers' reality and rarely examines the topic through a social constructionist lens. This paper looks at the impact of worldwide luxury fashion "designers’ reality" on "consumers’ reality” when evaluating the brand. Three studies investigated how consumers and designers perceive premium and luxury brand design.
        9.
        202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반일제 이상 교육기관(일명 영어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사교육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 들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부모가 자녀 사교육과 관 련된 요인을 다면적으로 검토하고,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과열된 유아 사교육이 완화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사교육 수요동기는 자녀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자녀를 잘 키우고 자, 자녀가 좀 더 나은 졸업장을 획득하게 하고자, 남들이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자녀가 경쟁우위를 점하게 하고자 하는 순서로 분석되었다.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기대감이 높은 반면, 부담감과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주거환경 보다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 개수는 자녀를 적게 낳는 만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클수록,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많았다. 사교육비용은 자녀의 인적자본 을 축적하고 싶은 마음이 높을수록, 주거환경이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부모의 소득수준과 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자 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가 해외거주 경험이 없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수요동기 및 사교육 인식 과 사교육비용 간의 관계에서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 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700원
        10.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glish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on the perception and affective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the educational use of YouTube and KakaoTalk, popular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differs according to English improvement, affective factors, and English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 freshmen majoring in Medical Convergence, who were taking college English at C University located in Gangwon-do. An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a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ositively changed the perception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had on the overall improvement of English. Second, the affective domains such as self-confidence, attitudes, values, beliefs, and interests of the participants also changed positivel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has educational value regardless of English level.
        5,400원
        1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북아 문화권에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중심적자아·독립적자아)과 귀인양식(내적·외적)이 연고(緣故; 사적 관계망)현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는 문화에 따라 연고의 심리사회적 기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개방적 질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서울·경기·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직업을 갖고 있는 중국인과 한국인 184명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아개념(관계 중심적·독립적), 귀인양식(내적·외적), 공정성 인식(분배·절차·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관계중심적 자아개념과 외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은 독립적 자아개념과 내적귀인양식을 가진 개인들보다 연고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기능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관계 중심적 자아 개념을 가진 중국인들과 한국인들은 연고 집단으로부터 도구적·정보적 지지를 기대한 반면에 독립적 자아개념을 가진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정서적 지지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고 압력과 조직 내 개인의 무기력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귀인양식 훈련을 비롯한 조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5,100원
        12.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In the last decade, the concepts of responsible or sustainable luxury (Vigneron & Johnson 2004; Bendell & Kleanthous, 2007; Kapferer, 2010; Janssen, Vanhamme, Lindgreen & Lefebvre, 2014) and digital or online luxury (Kim & Ko, 2010; 2012; Okonkwo, 2005; 2009; 2010; Mosca, Civera & Casalegno, 2018) have started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as separate areas of study. Scholarship shows that communicating CSR is more and more of a strategic decision (Sen & Bhattacharya, 2001) that needs to balance promises and performances of social instances (de Ven, 2008; Pomering & Donilcar, 2009; Hur, Kim & Woo, 2014;) and to impact on the audience positively through content, placement and motives of CSR messages (Jahdi & Acikdilli, 2009; Du, Bhattacharya, & Sen, 2010). Furthermore, with the explosion of digital contents and use, communicating CSR is even more challenging and firms increase their exposure to judgments of their real conduct (Christodoulides, Jevons & Blackshaw, 2011). Luxury players make an interesting case of investigation for the digital CSR communication, as they are peculiar both in the use of the online and in the implementation and communication of CSR (Vigneron & Johnson 2004; Bendell & Kleanthous, 2007; Kapferer and Bastien, 2009; Janssen et al., 2014). Despite some exploratory researches underline that luxury consumers are not so likely to see consistency between luxury and CSR (Davies et al., 2012) and yet, the communication of those activities can turn their perception negatively (Torelli et al., 2012), latest findings from empirical studies on luxury consumers show a growing interest in the communication of sustainability on the online (Janssen et al., 2014). However, few studies consider how consumers react and modify their perception in regard to CSR messages spread online, within luxury markets. This research has twofold aims. Firstly, it investigates the state of the art of leading international luxury players‟ CSR digital commun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theoretical framework developed by the authors for qualitative analysis of digital CSR communication contents, placement and purpose. Secondly, it explores luxury consumers‟ perception over specific digital CSR communications in order to verify whether and if there is consistency between CSR digital communication and consumers‟ reactions within luxury markets as well as underline emerging peculiarities in the way CSR is – and is expected to be – communicated online by luxury players. Theoretical development Creating experiences on the online became the imperative for luxury players (Okonkwo, 2010). This need is strengthened by luxury consumers, who are more willing to take part in the process of sharing brands‟ values through the online platforms, in a challenging multi-channel logic (Rifkin, 2000; Mosca et al., 2013). Luxury players seem to strive more than others to modify and integrate their products offer and communication on the online, because they have to adapt to a “pop” culture without losing their unique character and exclusivity (Aiello & Donvito, 2005) that can be, as some scholars suggest, identified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of sustain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Janssen et al., 2014).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allow a convergence between “responsible luxury” and “online luxury” by advancing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digital CSR communication within luxury markets, in terms of peculiarities, customers‟ perceptions and effectiveness. Research Design The study makes use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qualitative evaluation of web CSR communication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uthors, that is,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research, enriched to include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all digital CSR messages (including web and social media). Firstly, the study applies the framework to 100 International luxury brands (representative of the principal luxury fashion-related personal products categories) selected from luxury reports by Deloitte, Reputation Institute and Interbrand in order to qualitative evaluate contents, placement and purposes of digital CSR messages. The qualitative evaluation is developed by the author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KPIs reflecting the themes emerged in the framework, analysis of their frequency and Chi square test. Secondly, the study involves 400 luxury consumers within mature markets, who are tested around their perception of digital CSR communication of luxury players. The investigation over their reactions and perception of digital CSR messages i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several focus groups. Statistical regression model, t-stat and comparison among the responses provided by consumers through the survey are conducted to analyse responses and match the data. Results and Conclusion Results show the that majority of the investigated players are extensively considering CSR as a core digital strategy, pointing out the growing communication of luxury goods that increased sustain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out the whole supply chain. The investigation on customers‟ perception outlines some discrepancies between players‟ communication and customers‟ reactions, showing several cases of misjudgements. On the one hand, some players fails in achieving customers‟ expectations and the actual raking of their digital CSR communication does not match the level of given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some digital CSR communications succeeds in creating positive overreactions, despite having previously evaluated as the minimum requirement as for CSR implement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ly, some suggestions to managers are developed, not just around the three considered attributes of digital CSR communication (content, placement and purposes) but also around the context of buying behaviours linked to the core business and the brand values, which can be, somehow, strongly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it emerges that luxury digital CSR communication is expected to be an integrated strategy between online and offline channels, focused upon facts, numbers, performances and results of CSR that should show high coherency with the luxury core business.
        4,000원
        13.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private club members’ engagement of social media. Researchers selected private club members across the U.S. Participants (559 at a 20% response rat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club members’ perceptions of engaging with social media.
        14.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spite the positive outcomes of brand-consumer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an important question still remains: Are active brand-consumer interactions always beneficial to luxury fashion brands? This study argues that such interactions may undermine the core perceptions of the brands by making consumers feel too close to the brands. Drawing upon construal 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brand-consumer interactions on perceptions of luxury fashion brands (i.e., social perception, uniqueness perception, quality perception) in a social media context. Two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luxury brands, compared to mainstream brands, will be perceived as more psychologically distant and abstract. Study 1 used a 2 (brand category: luxury vs. mainstream) x 2 (brand replicates) mixed-model design in which the brand category was a between-subject factor and the brand replicates were a within-subject factor. Fifty-nine subjects recruited from Amazon MTurk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Study 1 revealed that luxury brands are inherently psychologically distant than mainstream brands. The purpose of Study 2 was to test the impact of brand-consumer interactions (i.e., high vs. low)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the three perceptions of luxury brands (i.e., social perception, uniqueness perception, quality perception) on social media. A single factor between-subjects design was used, and a total of 7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mazon MTurk. To manipulate the level of consumer-brand interaction (high vs. low), two versions of a luxury brand’s mock Facebook pages were created. For the high interaction condition, the brand responded to consumers’ posts in a friendly way and displayed the images of user photos. For the low interaction condition, the brand did not respond to consumers’ posts and displayed no images of users. As predi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dicated lower brand perceptions when the brand’s social media page displayed a high level of interactions than a low level of interactions. Moreover, formality, a measure of psychological dist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consumer interactions and all the three brand percep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active consumer-brand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do not necessarily benefit luxury fashion brands, rather they can damage consumer perceptions of the brand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that luxury fashion brands should maintain a sacred distance on social media; otherwise it will undermine important perceptions of the brands such as status signaling, exclusivity, and quality.
        1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research trend and public perception related with tap water to identify major factors affecting low consumption of tap water. 805 research articles were collected for text mining analysis and 1,000 on-lin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to find social variables influencing tap water intake. Based on the word network analysis, research topics were divided into 4 major categories, 1) drinking water quality, 2) water fluoridation, 3) residual chlorine, and 4) micro-organism management. Compared with these major research topics, scientific studies of drinking behavior, or social perception were rather limited. 22.4% of total respondents used tap water as drinking water source, and only 1% drank tap water without further treatments (i.e. boiling, filtering). Experience of quality control report (B=0.392, p=0.046) and level of policy trust (B=1.002, p<0.0001) were influential factors on tap water drinking behavior. Age (B=0.020, p=0.002) and gender (B= - 1.843, p<0.0001)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drinking the tap water by social members, the more scientific information of tap water quality and the water policy management should be clearly shared with social members.
        4,000원
        16.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increasing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companies are confronted with rising expectations from stakeholders, especially consumers. The paper investigates consumers’ reactions towards CSR strategies using a case-study and focus-groups. Results imply that digitally-based strategies at the core of newly found fashion companies are perceived generally positive, although with mixed impressions.
        4,000원
        1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1년 (2013.7~2014.6)의 기간 동안 네이버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문서들을 무료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TON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블로그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은 주로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과 관련된 음식점 후기 및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무첨가 제품에 대한 홍보 내용을 담은 글들로 파악되었으며, 기타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또는 식품첨가물 제거법에 대한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네이버 트렌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검색량 증가 구간에 발생한 언론보도 사건을 조사하였다. PC 검색량의 경우 총 5개 증가 구간 중 3개의 구간에서, 모바일 검색량의 총 9개 증가 구간 중 6개의 구간에서 시사 프로그램에서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간지나 TV 뉴스로 기사를 보도한 구간들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발표를 보도한 연합뉴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공감수 100개 이상인 댓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질 낮은 재료의 사용 지적,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 과다사용에 대한 우려, 정부 불신을 표현하는 댓글들이 파악되었다. 시판 제품들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전한 식품첨가물임에도 불구하고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들은 L-글루타민산나트륨 무첨가라는 표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가기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MSG 미사용을 원칙으로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러한 정책이 산업계와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관련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인식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과다 사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시사 프로그램에서 방송하거나 일간지 또는 TV 뉴스에서 기사를 보도할 경우 네이버 검색량이 증가하였으며, 검색량 증가구간은 PC 환경에서보다는 모바일 환경에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글루타민산나트륨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소비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방송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등 언론을 활용하고, PC보다는 모바일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한다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1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삭카린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1년(2013.7~2014.6)의 기간 동안 네이버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글들은 무료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TONK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블로그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은 주로 삭카린나트륨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에 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기타 높은 단맛과낮은 열량을 보이는 삭카린나트륨의 특성, 식품첨가물 제거법에 대한 내용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네이버 트렌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삭카린나트륨에 대한 검색량 증가 구간에 발생한 언론보도 사건을 조사하였다. PC 검색량의 경우 총 11개 증가 구간 중 6개의 구간에서, 모바일 검색량의 총 12개 증가 구간 중 8개의 구간에서 뉴스에서 삭카린나트륨 사용허용 품목 확대에 대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삭카린나트륨 사용 허용품목 확대 발표를 보도한 연합뉴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공감수 100개 이상인 댓글의 내용을 분석 결과 정부 불신을 비판하는 댓글들이 가장많았으며, 그 외 관련 제품의 가격 비판 댓글과 기업 불신을 드러내는 댓글들이 파악되었다. 시판 제품들의 표시사항 분석 결과, 삭카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들은 삭카린나트륨 무첨가라는 표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삭카린나트륨의 사용 확대에 관심이 있으며, 사용 확대 보도시에 검색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매체들은 삭카린나트륨 사용 확대에관하여 보도를 할 때에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하여 확대배경이나 적정 섭취량 등을 함께 알리는 것이 소비자의 올바른 인식에 도움을 줄 것이다.
        4,600원
        1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서 반응할 때, 광고 모델의 시선(응시 방향)은 가장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 중 하나이다. 광 고 모델의 시선은 소비자가 모델의 사회적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매력도, 신뢰성)와 광고나 브랜드를 어떻 게 평가하는지(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에 따르면, 오른손잡 이 소비자는 모델이 좌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 우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보다 모델의 사회적 특성과 광고, 브랜드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서 무명 여성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시선 조건(정 면, 좌측 그리고 우측 응시 조건)이 남성 실험 참가자의 광고 반응(모델 매력도 측면, 모델 신뢰도 측면 그리고 광 고 효과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 측을 응시할 때보다 모델이 광고 출연료를 받았으며 광고 브랜드 판매를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한다고 더 강 하게 느끼지만 동시에 모델이 광고에 출연한 이유가 스스로 광고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 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 보다 광고에 대해 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두 조건(정면 응시 조건과 우측 응시 조건) 사이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실험 참가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 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