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 괴근의 표피에 선모양으로 돌출되어 나타나는 피맥의 발생동향을 조사하고, 경감하기 위한 시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고구마 피맥은 표피가 줄무늬로 돌출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증상으로서 피맥발생은 표피층에 전분이 집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조기재배보다 보통기재배에서 발생이 많았다. 2. 고구마 품종에 따른 피맥발생은 건풍미, 연황미, 건미 등 7품종이 3%이하로 적었고, 헬씨미, 보라미는 30%이상 발생하였다. 만중은 피맥발생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고구마 피맥은 생육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삽식 후 120일경에 가장 높았다. 4. 고구마 삽식 후 90일의 적심비율에 따른 피맥발생율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엽면적지수 4에서 피맥발생율이 가장 적었으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고, 경엽절제비율이 높을수록 수량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어리종 잎담배 질소화합물 저감 및 이용성 향상을 위해 순지르기 시기(발뢰기, 개화시, 개화기 순지르기)와 수확시기 (미숙엽, 적숙엽, 과숙엽 수확)에 따른 건조엽의 질소화합물, 총 TSNA 함량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순지르기가 발뢰기와 개화시 순지르기에 비해 전질소, 단백태 질소 등 모든 질소화합물과 총 TSNA 함량이 낮았다. 니코틴 함량은 순지르기 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에텔 추출물은 증가하였다. 2. 건조엽의 색상 중 명도는 개화기 순지르기가 가장 높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순지르기 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외관품질은 순지르기 처리 간 큰 차이가 없었다. 3.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질소화합물인 전질소, 단백태 질소, 질산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가 감소하였고, 니코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총 TSNA 함량도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에텔추출물은 증가하였다. 4. 전조엽의 색상 종 명도와 황색도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가격은 미숙엽 수확에 비해 적숙엽과 과숙엽 수확이 높았다. 5. 버어리종 잎담배 질소화합물 및 TSNA 함량 저감를 위해서는 개화기 순지르기 후 과숙엽 수확이 수량은 감소하나, 화학성분 개선 및 품질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적심이 감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적심 처리시기에 따라 6월 30일(JUN), 7월 30일(JUL), 8월 30일(AUG), 무적심(대조구) 등 4처리를 하였으며, 적심량은 줄기 길이의 20%를 제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초장과 분지수는 적심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우수하였으며, 경엽중은 적심시기가 빠를수록 무거웠다. (2) 초장과 줄기 직경은 적심 시기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지표면의 포복경 생장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본 실험에서 적심이 뿌리 생장을 유도하고, 조기 적심이 뿌리 생육을 촉진하였다. (5) 근중은 대조구 2년생 238 kg/10a에 비해 JUN 처리구와 JUL 처리구에서 각각 11~30% 증가하였으며, 3년생은 대조구 432 kg/10a에 비해 6~11% 증가하였다.
        5.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topping method on the yield and major agronomic traits of two varieties, Sunwol and Youngjun of Alisma plantago,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region. Plant height, yield of fresh root, yield of dry root and weights of total roots were the highest in the variety of Sunwol, and at the plots with topping of four times cutting in flowering in main culm (Treatment No.1). Considering from our results, optimum topping method is most likly be topping of four times cutting in flowering in main culm in the Sunwol variety.
        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wo plant populations (28 and 14 plants per m2 ) and two toppings in conventional plant population (28 plants per m2 ) on soybean (Glycine max L. cv. Pungsannamulkong) cultivated in the paddy field. The two topping time were taken at 6th to 7th and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s in the conventional plant population. Experimental design for growth data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and samples were taken at R1 (July 31), R3 (August 19), R5 (September 2) and R7 (September 23) growth stages. The branch number of soybean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low plant population (14 plants per m2 ) and with the topping at the 6th to 7th leaf stage, in the conventional plant population (28 plants per m2 ), and with topping at the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in descending order. The highest average branch length of soybean was observed in the low population and the longest branch length was observed from the soybean with topping at the 6th to 7th leaf stage. The leaf number per plant was decreased in order of in the low population, with the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with the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The leaf area was high in the low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and with the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in soybean. The dry weight of leaves and branches was high in the low population and with the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The leaf number per plant was high in the low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The grain yield per 10a was high with the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7.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황금재배시(黃芩栽培時) 적심시기(摘芯時期)와 질소, 가리의 추비방법에 의한 증수효과(增收效果)를 구명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재식거리(裁植距離)를 4×10cm로 4~5립(粒)을 4월 1일에 점파하였고 적심시기(摘芯時期)는 무적심구(無摘芯區)와 7월상순 1회 적심(摘芯), 7월상순과 8월중순에 2회 적심(摘恣)한 3처리에 대해 기비(基肥) : 추비(追肥) 비율(比率)을 70% : 30%, 60% : 20+20%, 50% : 20+20+20%으로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화학성을 보면 시험후 토양이 시험전 토양에 비해 유기물(有機物), 유효린산(有效燐酸), 가리, 칼슘, 마그네슘, C. E. C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적심시기(摘芯時期) 및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의 생육은 7월상순과 8월중순에 적심직후(摘芯直後) 2회 추비(追肥) 시용구가 무적심(無摘芯)의 7월상순 1회 추비(追肥) 시용구에 비하여 경장(莖長)들은 짧았으나 분지수(分枝數,) 경태(莖太등) 지상부와 주근장(主根長),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 등 지하부 생장량이 증대되었다. 3. 건근수량(乾根收量)은 무적심(無摘芯) (158kg/10a)에 비해 2회 적심구(摘芯區)가 15% , 1회 적심구(摘芯區)가 10% 증수(增收)되었으며 질소, 가리 비료의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에는 2회 추비(追肥) 시용구가 1회 추비(追肥) 시용구 (150kg/10a)에 비해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 향상으로 29% 증수(增收)를 보였다. 4. 2회 적심(摘芯) 처리에서 건근수량(乾根收量)은 경장(莖長)과 주당(株當) 생경엽중(生莖葉重), 지상부 생육간(生育間)에 질(負)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고 주당(株當) 분지수(分枝數) 및 주근량(主根長)및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과는 밀접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2회 추비(追肥) 시용재배에서도 경장(莖長), 주당분지수(株當分枝數) 및 주근량(主根長), 주근경(主根徑)등 지상, 지하부 생육과 건근수량간(乾根收量間)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8.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柴胡) 재래종(在來種)의 화경예취(花莖刈取)가 생육(生育), 건근수량(乾根收量) 및 saikosaponin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지상(地上) 50cm 부위 예취시(刈取時)의 생육(生育)은 무예취구(無刈取區)와 비슷하면서 도복(倒伏)이 경감(輕減)되었으며, 근태(根太)가 굵고 건물비율(乾物比率)이 증가(增加)하여 10a당(當) 건근수량(乾根收量)은 무예취(無刈取)보다 19% 증가(增加)하였다. 2. 예취(刈取)에 따른 지상부(地上部)의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는 감소(減少)하고 분얼수(分?數)는 차(差)가 없었으며 도복(倒伏)이 경감(輕減)되었다. 예취시(刈取時)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은 7월(月) 16일(日) 예취(刈取)한 것은 근태(根太)와 지근수(枝根數)를 제외(除外)한 모든 형질(形質)이 증가(增加)하였으며, 6월(月) 16일(日)과 7월(月) 16일(日), 2회(回) 예취시(刈取時) 건근수량(乾根收量)은 167kg/10a로서 무처리(無處理)보다 56% 증가(增加)하였다. 3. 예취시기별(刈取時期別) Saikosaponin 함량(含量)은 2회(回) 예취(刈取)가 0. 727%로 가장 높았고, 7월(月) 16일(日) 1회(回) 예취(刈取) > 무예취(無刈取) > 6월(月) 16일(日) 1회(回) 예취(刈取) 의 순(順)이었다.
        9.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닥풀의 재래종(칠리종)을 계통분리하여 얻은 34계통중 초형이 다른 대표적인 단경, 중경 및 장경의 3개계통에 대하여 적심방법에 따른 식물체 각 부위의 생육 및 수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심처리(개화직전)때의 초형별 생육특성은 경장은 단경계통 24cm, 중경 37cm, 장경계통이 80cm로서 그 차이가 컸으며 개화기는 단경계통의 8월3일에 비하여 경장이 길수록 2∼3일 늦었고 꽃봉우리수도 단경계통의 5개에 비하여 중경 19, 장경 24개로 경장이 길수록 많았으며 분지수는 4∼5개, 주경절수는 10개 내외로 큰 차이가 없었다. 2. 닥풀의 주 이용부위인 생근수량은 초형별로는 장경일수록 많으며 기타 경중 및 삭중과 각 부위의 건물수량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3. 적심방법에 따른 생근수량은 어느 초형에서나 주경과 분지를 함께 적심한 구에서 가장 증수되었으며 화뢰적제구에서도 많은 증수를 보았으나 주경적심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전체평균에서는 무처리구의 459kg/10a(100)에 비하여 주경 및 분지를 함께 적심한 경우 102%, 화뢰적제에서도 66%의 증수를 보였다. 4. 생체의 구성비율은 같은 초형에서는 적심방법 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초형간에 있어서는 지상생육량이 적은 단경계통의 생근중비율(전중대)이 약 40%로 가장 높고 생육량이 많은 중경, 장경계통일수록 낮은 경향이었다. 5. 뿌리의 건조비율(건근중/생근중)은 단경계통 이 31.6%인데 비하여 중경 38.1%, 장경계통은 40.2%로서 생근수량이 많았던 장경계통일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10.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연초의 생육작황에 따라서 적심시기와 정도를 두어 처리하였을 때 잎담배의 품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책상조직 및 발달은 적심시기에 따라 발뢰기>개화시>개화만기> 만기 순으로 적심정도에 따라서는 치엽 4매> 치엽 2매> 화뢰 적심 순으로 발달되었다. 2.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적심할 때 끽미에 관련있는 전당/니코틴의 비는 9.0, 9.7로 가강 양호하였으며, 방향성 물질인 석유에텐추출물을 9.9%,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품질에 크게 영향하는 요인은 생태조직과 건조엽중 내용성분으로 생태조직의 구성형질들이 품질에 직접 영향하는 효과를 보면 책상조직 43.2%, 해면조직 26.5%, 조직비 17.7%, 엽후 6.7%, 세포간극율 3.1 %, 엽형지수 2.8% 순이며, 내용성분 형질은 니코틴 40.6%, 전당/니코틴 35.7%, 전당 10.0%, 전질소/니코틴 7.0% 전질소 4.6%, 석유 에텔추출물 2.1% 순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4. 양질엽 생산을 위해서는 수량이 10a당 250∼280kg 생산되는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에 치엽 2매 적심을, 200kg 내외 생산되는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붙여 적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11.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추 및 고추재배지에 NC2326 품종을 공시하여 적정시비양 및 적심정도를 구명코자 본 시험을 발행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및 고추재배지 토양은 휴경지에 비하여유기물, 전질소, 질소함양이 높게 나타났다. 2. 전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수량은 배추>고추 순이었고 증비할수록 증수효과가 컸으며 적심정도에 따라서는 꽃망울제법>치엽2매>치엽4매 적심구 순이었다. 3. 품질은 배추재배지에서 연초용 복합비료를 10a당 50kg, 고추재배지에서 75 시용할 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적심정도에서는 치엽2매 적심에서 가장 양호하였 다. 4. 수확건조엽중 Nicotine 및 전질소함양은 배추재배지>고추재배지 순이었으며 증비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였고 염소의 함양변화도 같은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고추재배지보다 배추재배지에서 낮았으며 증비할수록 감소하였다. 5. 연초재배는 배추재배지에서 연초용 복합비료를 10a당 50-75kg, 고추재배지에서는 75kg 절위가 좋고 토성 및 비첨도 등에 따라 적절히 가감 시용할 것이며 적심은 치엽 2매를 붙여서 하는 것이 양질엽 생산을 위하여 가장 이상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12.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적심의 시기와 정도를 달리하여 조기적심 체제확립과 그에 따른 품종의 반응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기의 전엽장 및 엽폭은 By 104, Nc 2326, Va 115순으로 컸고, 조기 천지할수록 길었으며, 주당엽면적 및 생엽중은 By 104, 조기 천지인 경우에 컸다. 2. 발뢰기 적심은 만기적심에 비하여 본 상엽의 엽장, 엽폭, 엽면적이 커서 증수되었다. 3. 엽면상대조도는 Va 115 품종에서 높았고 By 104는 낮았으며 만적일수록 수광상태가 좋았다. 4. 니코틴함량은 조기, 심지일수록 전질소는 조적일수록 전당함량은 Nc 2326, 만적일수록 높았다. 5. 수량은 By 104, 발뢰기 추엽1매 적심구에서 표준구(개화시, 추엽1매)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대금은 3개 품종 공히 발뢰기 추엽1매 적심구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