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절화 장미‘All For Love’에 대해 과산화초산 (peracetic acid, PAA)의 보존용액 적용 가능성과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보존용액 처리는 Distilled water(DW), PAA 50, 100, 200μL·L-1, FloraLife 1%로 하였 다. 절화수명은 대조구 DW(5.27일)에 비해 PAA(5.87~6.20 일)와 FloraLife(5.87일) 처리구에서 절화수명 연장효과가 있었 다. 모든 처리구에서 80% 이상 꽃목 굽음(Bent neck)과 20% 이상 꽃잎 청변화(Blueing) 현상이 나타났다. 화색 변화율과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화폭변화율의 경 우, DW(135%)보다 PAA 50μL·L-1(155%), 100μL·L-1(154%), 200μL·L-1(161%) 처리구에서 높은 개화율을 보였다. 상대생체 중은 DW와 FloraLife 처리구에서는 2일, PAA 처리구에서는 3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수분균형은 DW에서 가장 빠르게 (-)의 값을 나타냈고, PAA 50μL·L-1 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수분 균형이 유지되었다. PAA와 FloraLife 처리구에서 보존용액과 줄기 절단면 모두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AA 50μL·L-1 처리는 DW에 비해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fermented rice bran extract with enhanced ferulic acid γ-oryzanol contents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The ferulic acid content in the freeze-dried extract of rice bran treated with plantase PT enzyme, increased by 4.1-fol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sampl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by 1.5-fold and 1.2-fold, respectively. The γ-oryzanol content of the dried powder prepared by inoculating Apergillus oryzae BOT1869 onto steamed rice bran for solid-state fermentation followed by extraction with 80% ethanol, increased 2.3-fold compared to that in an 80% ethanol extract powder of raw materials.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1.5-fold. When the ferulic acid content-enhanced extract and the γ-oryzanol content-enhanced extract of rice bran were mixed and subjected to liquid fermentation with Lactiplantibacillus pentosus BOT406 and then freeze-dried, the ferulic acid content of the extract powder increased about 3.0 times compared to that of original extract powder. In addition, its γ-oryzanol content increased about 1.5 tim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4 times,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6 times.
풀빅산(FA)은 Fe(III)을 킬레이트화하여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Fe(II)로 전환함으로써 대형 해조류의 성장을 촉진하고 손 상된 해중림의 복원을 돕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풀빅산의 공급에 따른해중림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FA 보충제는 철(Fe) 부족 해역 내 인공 어초에 설치되었으며, 해조류 군집 및 해양 환경조사는 사계절을 대표하는 학술 잠수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 구 결과, 풀빅산 공급으로 인해 가용 철(Fe) 농도가 증가하면서 해조류의 광합성과 영양소 흡수가 촉진되어 성장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총 생물량은 전체 해조류 총 생물량과 비우점종에 비해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철 보충제가 특정 우점종의 양적 증가에 기여하며, FA 보충제가 설치된 어초에서 해조류 군집의 양적 및 구조적 변화를 유발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풀빅산을 해중림 복원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해조류 생태계 관리 및 보존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곤충 Laccifer lacca의 분비물인 stick lac에서 얻어지는 락색소는 물에 용해되는 붉은색 식용 색소로, 식품에 붉 은 색을 더하는 착색제이다. 주요 성분은 안트라퀴논계 기 반의 laccaic acid로 A, B, C, D, E로 구성된다. 본 연구 의 목적은 HPLC-DAD를 활용하여 laccaic acid를 정량적 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검증하는 것과 섭취 노출량 을 산출하는 것이다. 제안된 분석법은 특이성, 선형성, LOD, LOQ, 정확성, 정확도 등 다양한 검증 항목에서 평 가되었으며, 매트릭스 효과 또한 충분히 고려되었다. 모든 매트릭스에서 검량선은 높은 선형성 (R20.999)을 보였고, 락색소의 MDL과 MQL은 각각 1.93 mg/kg와 5.86 mg/ kg로 확인되었다. 일내 및 일간 회수율 시험에서 정확도 는 91.5-100.9% 사이였고, 정밀도는 0.8-2.6%RSD로 AOAC 기준을 충족하였다. 한국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식 품들을 수집하여 락색소를 모니터링하여 식품 유형별 락 색소 섭취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락색소 섭취 수준의 범 위는 국민전체, 섭취자 각각 0.0000-0.0027 mg/kg·bw/day 와 0.0000 -0.0306 mg/kg·bw/day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다 양한 식품 유형에 적용 가능하여 락색소 추출물의 효과적 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섭취량 평가를 통해 락색 소의 안전성 평가에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주름개선에 효능이 우수한 활성성분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난용성 성분 중 하나인 ursolic acid (UA)의 용해를 쉽게 하고, 나노캡슐을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고 경표피 흡수를 빠르 게 하는 것이다. UA의 나노 캡슐(nano-UA60)을 위한 최적조건은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 틴 (HyL), 0.5 wt%의 불포화레시틴 (UsL), 0.5 wt%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리소레시틴 (HyLL), 0.1 wt%의 피토스핑고신 (PhyS), 0.05 wt%의 세라아미드 엔피, 0.1 wt%의 콜레스테롤, 5.0 wt%의 BG, 5.0 wt%의 PG, 5.0 wt%의 DPG, 0.03 wt%의 수소첨가콜라겐 (HyC), 10.0 wt%의 에탄올, 72.22 wt%의 정제수에 1.0 wt%의 UA 혼합했을 때, 가장 파인한 나노캡슐을 얻을 수 있었다. Nano-UA60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 microfluidizer의 최적조건은 시료의 통과온도 60℃, microfluidizer의 통과횟수 3 회, 반응 쳄버 통과압력 10,000 psi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Nano-UA60의 입자크기는 60.2±3.7 nm이었 다. Microfluidizer에 3회 통과 시의 zeta potential이 -24.48±3.27 mV로 베지클이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ano-UA60의 pH범위는 pH 6부터 9에서 가장 안정하였으나, 그밖에 산성과 알칼리성 상태에서는 불안정하였다. 24시간 경과 시 Nano-UA60의 경표피의 침투량은 26.80 mg/cm2 침투되었으며, 피부두께를 0.7 mm로 가정하면 838.31μg/㎠가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였다. 1μM에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볼 때, 약 838.31 배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Nano-UA60의 안정성은 실온에서는 99.0%, 냉온에서는 102.1%, 가속조건에서는 97.8%, 가혹 조건에서는 97.8%가 검출되어, 비교군인 O/W 에멀젼의 57.9% 보다 안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