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절화 장미‘All For Love’에 대해 과산화초산 (peracetic acid, PAA)의 보존용액 적용 가능성과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보존용액 처리는 Distilled water(DW), PAA 50, 100, 200μL·L-1, FloraLife 1%로 하였 다. 절화수명은 대조구 DW(5.27일)에 비해 PAA(5.87~6.20 일)와 FloraLife(5.87일) 처리구에서 절화수명 연장효과가 있었 다. 모든 처리구에서 80% 이상 꽃목 굽음(Bent neck)과 20% 이상 꽃잎 청변화(Blueing) 현상이 나타났다. 화색 변화율과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화폭변화율의 경 우, DW(135%)보다 PAA 50μL·L-1(155%), 100μL·L-1(154%), 200μL·L-1(161%) 처리구에서 높은 개화율을 보였다. 상대생체 중은 DW와 FloraLife 처리구에서는 2일, PAA 처리구에서는 3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수분균형은 DW에서 가장 빠르게 (-)의 값을 나타냈고, PAA 50μL·L-1 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수분 균형이 유지되었다. PAA와 FloraLife 처리구에서 보존용액과 줄기 절단면 모두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AA 50μL·L-1 처리는 DW에 비해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fermented rice bran extract with enhanced ferulic acid γ-oryzanol contents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The ferulic acid content in the freeze-dried extract of rice bran treated with plantase PT enzyme, increased by 4.1-fol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sampl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by 1.5-fold and 1.2-fold, respectively. The γ-oryzanol content of the dried powder prepared by inoculating Apergillus oryzae BOT1869 onto steamed rice bran for solid-state fermentation followed by extraction with 80% ethanol, increased 2.3-fold compared to that in an 80% ethanol extract powder of raw materials.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1.5-fold. When the ferulic acid content-enhanced extract and the γ-oryzanol content-enhanced extract of rice bran were mixed and subjected to liquid fermentation with Lactiplantibacillus pentosus BOT406 and then freeze-dried, the ferulic acid content of the extract powder increased about 3.0 times compared to that of original extract powder. In addition, its γ-oryzanol content increased about 1.5 tim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4 times,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1.6 times.
풀빅산(FA)은 Fe(III)을 킬레이트화하여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Fe(II)로 전환함으로써 대형 해조류의 성장을 촉진하고 손 상된 해중림의 복원을 돕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풀빅산의 공급에 따른해중림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FA 보충제는 철(Fe) 부족 해역 내 인공 어초에 설치되었으며, 해조류 군집 및 해양 환경조사는 사계절을 대표하는 학술 잠수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 구 결과, 풀빅산 공급으로 인해 가용 철(Fe) 농도가 증가하면서 해조류의 광합성과 영양소 흡수가 촉진되어 성장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총 생물량은 전체 해조류 총 생물량과 비우점종에 비해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철 보충제가 특정 우점종의 양적 증가에 기여하며, FA 보충제가 설치된 어초에서 해조류 군집의 양적 및 구조적 변화를 유발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풀빅산을 해중림 복원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해조류 생태계 관리 및 보존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곤충 Laccifer lacca의 분비물인 stick lac에서 얻어지는 락색소는 물에 용해되는 붉은색 식용 색소로, 식품에 붉 은 색을 더하는 착색제이다. 주요 성분은 안트라퀴논계 기 반의 laccaic acid로 A, B, C, D, E로 구성된다. 본 연구 의 목적은 HPLC-DAD를 활용하여 laccaic acid를 정량적 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검증하는 것과 섭취 노출량 을 산출하는 것이다. 제안된 분석법은 특이성, 선형성, LOD, LOQ, 정확성, 정확도 등 다양한 검증 항목에서 평 가되었으며, 매트릭스 효과 또한 충분히 고려되었다. 모든 매트릭스에서 검량선은 높은 선형성 (R20.999)을 보였고, 락색소의 MDL과 MQL은 각각 1.93 mg/kg와 5.86 mg/ kg로 확인되었다. 일내 및 일간 회수율 시험에서 정확도 는 91.5-100.9% 사이였고, 정밀도는 0.8-2.6%RSD로 AOAC 기준을 충족하였다. 한국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식 품들을 수집하여 락색소를 모니터링하여 식품 유형별 락 색소 섭취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락색소 섭취 수준의 범 위는 국민전체, 섭취자 각각 0.0000-0.0027 mg/kg·bw/day 와 0.0000 -0.0306 mg/kg·bw/day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다 양한 식품 유형에 적용 가능하여 락색소 추출물의 효과적 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섭취량 평가를 통해 락색 소의 안전성 평가에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most effective and proactive method for correcting excessive pronation, which contributes to the lowering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is to enhance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s simultaneously.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 exercises on medial longitudinal arch height,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nd lactate levels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lexible flatfoot.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y. Methods: Twenty-two students with flexible flat foo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ecruited by N University in Korea.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Intrinsic foot muscle strengthening group (IFG; n=11) that went through Intrinsic foo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xtrinsic foot muscle strengthening group (EFG; n=11) that went through extrinsic foo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SPS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edial arch height and first metatarsal bone pressure, while EFG also had increased pressure at the second to fourth metatarsal bon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actate levels. Conclusi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can be suggested as effect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medial longitudinal arch height and plantar pressure.
이 연구는 라텍스 콘크리트(LMC)의 대체재로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을 활용한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압축 강도 및 미 세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LMC는 공극 구조 개선으로 내구성과 강도가 향상되지만, 높은 원자재 비용이 단점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 해 라텍스 대신 알긴산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제작하고,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및 압축 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령 4시간 및 1일 후의 압축 강도와 10000배율 SEM 분석을 진행하였다. 알긴산 0.05% 혼입 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0.2% 혼 입 시 강도가 감소하였다. SEM 분석에서는 LMC가 균일한 표면과 미세한 입자 분포를 보인 반면, 알긴산 혼합 콘크리트는 섬유 및 막대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알긴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증가하여 강도발현이 저하되었다. 재령이 증가하면서 C-S-H 구조가 조 밀해지고 결합력이 향상되어 강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등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료전지 핵심 소재인 고분자 전해질막은 높은 내화학성과 수소이온전도성을 갖는 과불소계 술폰산 이오노머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오노머조차도 연료전지 구동 중 발생하는 라디칼 공격으로 인해 화학적 분해가 발생하여 장 기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라디칼 스캐빈저로 도입이 간편한 이온형 산화방지제를 적용하고 있으나, 연료전지 구동 중 전극 간 전위차에 의해 세륨 이온이 이동(cerium ion migration)하는 현상으로 스캐빈저 효과가 감 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막 내에서 세륨 이온의 이동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도입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PEG 도입이 강화막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