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수수[Sorghum bicolor (L)]는 당류가 풍부한 사탕수수, 사탕무와 같은 주요 바이오연료 작물 중의 하나이다. 단수수 착즙액은 단수수 줄기를 압착하여 추출하며 주요 성분는 glucose와 fructose 그리고 sucrose로 구성되어 있다. 에탄올은 효모발효공정을 통하여 단수수 착즙액으로부터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단수수 착즙액은 당류 뿐만 아니라 질소나 인산과 같은 다양한 무기영양원도 함유하고 있어 종균 배지로 활용성이 높다. 상업적인 에탄올 생산 공정에서 종균배양은 중요한 발효공정 중의 하나이며 공정비용 절감 을 위해 최적화된 배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질계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종균의 배지로서 단수수 착즙액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단수수착즙액의 발효기질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YPD 및 억새 당화 액을 비교하여 실험하였으며, YPD배지 중 yeast extract 와 peptone은 각각 5 g/L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기질들은 당 농도가 2%, 5%, 10%가 함유되도록 제조하여 발효를 통한 균체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YPD와 단수수착즙액을 배지로 사용하였을 때 발효 24시간 후에 최대 2.5 x 108 CFU/mL 이상의 균 체농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단수수착즙액은 12시간 발효 후에 1.0 x 108 CFU/mL 균체를 생산하여 섬유질계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종균 배지로서 YPD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ivated mushroom species. Mushroom growers inoculate compost beds with spawn, which is the vegetative mycelium and serves as the inoculum or seed for cultivating mushrooms. Various cereal grains, such as wheat, millet, barley, sorghum, brown rice, rye, and oat can be used in the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In this study rice seed bag spawn was compared with wheat grain bottle spawn in the spawn production. Wh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wo cereal grains were compared the 1000-kernel weight were 32.0g in wheat grain and 24.9g in rice seed. Number of kernels per milliliter were greater in rice seed compared with wheat grain with 24.5. Wheat grain showed 41.0% of total carbon level and 2.49% of total nitrogen level resulting 16.6 C/N ratio. Nitrogen content of rice seed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wheat with 0.96 resulting 39.5 C/N. It was possible to produce 50kg of rice seed spawn in 22×49cm polypropylene filter bag with only 1~2 shakings compared to 0.45kg of wheat grain spawn in 1,000mL Ringer bottle with 4~5 shaking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rice seed bag spawn would be appropriate substitute for wheat grain spawn in button mushroom.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한 톨 페스큐 신품종 푸르미의 종자증식 기술개발과 종자생산성 및 채종짚의 사료가치 평가를 통해 종자생산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별 종자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차이는 약 2∼3일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종자수량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9월 17일 파종이 692본/m2로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종 종자의 천립중도 2g 내외로 발아율도 80~83%로 처리구간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종 종자수량의 수량성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경우 1,711kg/ha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생산된 종자의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초 수량과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파종시 각각 63,556kg/ha, 16,926kg/ha로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10일 간격씩 늦어질수록 건물수량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채종짚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000원
        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낙엽수림 지역에 혼재하고 있는 제비꽃 속 중 고깔제비꽃, 왜제비꽃, 남산제비꽃의 생육기간 중 개화 시기와 생식 방법에 따른 종자의 생산량 등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종 모두 수관이 폐쇄되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 개화 시기에 미세한 차이를 두고 개방화를 생성하였고, 폐쇄화는 수관이 폐쇄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었다. 삭과 한 개당 종자 수는 고깔제비꽃<남산제비꽃남산제비꽃>왜제비꽃 순서로 종간과 생식 방법에 따라 유의적으로
        4,000원
        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thods to reduce seeding expenses, thereby increasing farm inco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ain shelter controlled cultivation and adapted seeding times on the stable seed produc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Methods and Results: Seed germination was conducted under 10 condition compose to control, water washing, cold storage at 4℃ for 15 days, seed sterilization with a benomyl pesticides, hormone treated seed by submerging in 100 ppm GA3 with the cold storage at 20℃ and 25℃, darkness in a covered petridish and illuminated with a 1,500 Lux lamp. There were three cultivation type, open cultivation with non-woven fabric mulching, cultivation with a vinyl covering and rain sheltered in a plastic greenhouse. Sowing dates were April 27, May 18, June 7 and June 28, 2013. Plants were spaced 10 ㎝ apart in rows 30 ㎝ apart. Mixed oil cake fertilizer, N-P2O5-K2O (12-10-10) was applied at 600 ㎏• 10 a−1. Conclusions: Optimum germination occured in darkness at 25℃ and cold storage after submerging in GA3. The highest seed yields (4.5 ㎏• 10 a−1) occurred in the plastic greenhouse for the April 25 sowing. The highest root yield (17%) was found on April 1, under greenhouse conditions.
        11.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general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its relationship with seeding date for high quality soybean seed production. One hundred(100) domestic soybean varieties were used and seeding date were scheduled at April 30 and May 30.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YARI, NICE situated at Miryang from 2005 to 2006. Maturity Group(MG) was classified by Kweon et al's method (1974).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ays, seed weight and lodging in MG ,seed crack and growth days in Ⅳ~Ⅴ MG0~Ⅲ,seed crack and days to flowering in MGⅣ~Ⅴ and MGⅥ~Ⅶ, seed crack and lodging in MGⅣ~Ⅴ and MGⅥ~Ⅶ, seed crack and seed weight in MGⅣ~Ⅴ and MGⅥ~Ⅶ, purple seed and growth days in MGⅣ~Ⅴ , purple seed and seed weight in MGⅥ~Ⅶ, phomopsis and growth days in MGⅣ~Ⅴ and MGⅥ~Ⅶ, and phomopsis and purple seed in MGⅣ~Ⅴ and MGⅥ~Ⅶ. In contrast,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ed weight and lodging in MG0~Ⅲ. Correlating yield and major characters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ays in MG0~Ⅲ and MGⅣ~Ⅴ, whereas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tained on MGⅥ~Ⅶ seeded on April 30. Lodging, seed weight and seed crack were all negatively correlated with yield in MGⅣ~Ⅴ and MGⅥ~Ⅶ
        12.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수량을 획기적으로 증수하는데 F1의 잡종강세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조합능력이 높은 MS와 F1 을 선발하기 위하여 조합능력을 검정하고 Non-Isogenic maintainer를 활용한 우수MS의 3원교잡 F1 형질발현에 대해 검토했다.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들의 일반조합능력에서는 유달MS가 수량과 수량구성형질들이 특별히 우수하였으며 내한성도 강하였다. 2. 유달MS의 특수조합 능력에서는 143화분친과의 F1 중 10a당 수량이 450kg 이상되는 F1이 12조합이나 있었으며 그중에서 특히 수량이 높은 조합은 유달MS 목포 10호-F1 로서 103당 518kg의 종실을 생산하여 표준품종 유달보다 96% 이상 증수되었다. 3. 화분친으로 공시한 143품종 중에서 90품종이 임성회복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럽품종들은 공시품종중 78%, 한국품종에서는 58%의 품종들이 완전 임성회복 품종들이었다. 4. Non-Isogenic maintainer를 활용한 3원교잡 F1 의 형질발현에서는 숙기는 2원교잡 F1 보다 3~4일 이 빨랐으며 수량형질인 수장, 1 수래수, 유효분교수, 래장, 1,000 입중 등에서 2원교잡 F1보다 길고 많아서 다수성인 방향으로 Heterosis가 발현을 하였다. 5. 3원교잡 F1의 잡종강세에 의한 수량성을 같은 유달MS의 2원교잡 F1 의 수량성과 비교한 결과 3원교잡 F1 의 평균 103당 수량은 423kg으로서 평균 60%나 더 증수되어 우성유전자의 집적에 기인한 Heterosis 발현이 더 켰다. 6. 3원교잡 F1 의 대량종자생산은 MS와 Maintainer의 증식단계와 MS의 Maintainer의 교호재식과 화분친의 증식단계 그리고 Yudal MS Non-Isogenic maintainer (Isuzu)와 화분친(목포 10호)과의 교호재식 단계의 3단계가 필요하다. 소요면적은 60.1ha이며 여기서 채종된 3원교잡 F1 으로 6만ha를 재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