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루쉰의 「묘비문(墓碣文)」에 대한 기존 연구가 간과했던 측면의 하나는 산문시가 지닌 문학적, 미학적 특성에 대해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루쉰의 사상은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개념이 아니라 예술적이고 시적인 형상으로 표현될 수 밖에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시화된 철학”이라는 용어로 루쉰의 사상을 개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런 시화된 철학은 동서양의 철학사 상사에서 일반적 경향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꾸준하게 있어 온 것이 사실이 다. 시화된 철학이라는 말은 시와 사상, 형상과 개념의 고도의 융합을 가리키는 것이 다. 시로 표현될 수밖에 없는 사상, 사상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시, 이런 특이한 시와 사상은 그 예술적, 미학적 특징에 대한 텍스트 분석이 그대로 사상적, 철학적 의미에 대한 해석과 직결되는 놀라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예술과 사상의 긴밀한 결합에 주목함으로써 「묘비문」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 거나 해석하기 어려웠던 문제들에 대해 하나의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 볼 것이다. 따라서 「묘비문」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사상적 해석을 고도로 융합시키는 것이 이 글의 과제이다.
        5,700원
        2.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itaph is a kind of significant unearthed literature. It provides great values for historical culture and language research.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epitaphs is the premise and basis of using these literatures to engage in scientific research foundation. In recent years, scholars have made good research achievements by using epitaph materials and solved many difficult problems.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haracters system and the need for more classical literature and history knowledge for the interpretation of epitaphs, some interpretation of characters and research of allusions still need to be broken through and improved.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research of stone inscriptions, the published rubbings and inscriptions a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s misreading which caused by unknown allusions, and explain several allusion words.
        5,5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her time as Emperor of the Tang Dynasty, Wu Ze Tian created a number of new characters. Later generations called them “Wu Queen New Characters”, and some also called “Ze Tian Characters” and “Ze Tian Xin Characters.” Since the Tang Dynasty, although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e writing methods, word counts, and circulation areas of new characters,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especially about the number of new characters and that of glyphs, which makes future studies much more difficult and impossible to restore the original appearance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timing of the promulgation of each new word is hardly recorded in the classics, and it is difficult to know the actual use of the word and the circulation situation. Therefore, this article uses Collection of Epitaph of Tang Dynasty, Sequel Collection of the Epitaph of Tang Dynasty, Collection of Epitaph of Tang Dynasty and Research, and Beijing Library Collection of Stone Carving of Each Chinese Generation etc. to set the age of the research material from “Zai Chu” first year (A.D.689) to the end of “Chang An” fourth year (A.D.704), 16 years in total, 422 piece of epitaphs.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grave owner’s burial time, sorting out Queen Wu’s implementation process for new words, actual use of new words, word count, and word font, and staging and spread area. By means of this, the article makes the appearance of Queen Wu’s new words possible, even further presented in front of everyone, and finally making a new investigation for the Queen Wu’s new words.
        6,400원
        4.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Qin period in China, the monosyllable expression of death had been a stable word system. Until the mid-ancient period, the related words presented bisyllablization, and the range of the pragmatics was also enlarged. The epitaph corpora in the Sui and Tang dynasty is abundant and believable. The words reflect six ways of burial: generally buried words, words buried to the ancestral grave, temporarily buried words, reinter words, and multi-burial words. Among them, there are three words which were needed to be distinguished in the reinter words. ‘Gai Zang’ meaning the burial site has to be changed for objective reasons. ‘Gai Bin’ must be done so as well because of the canonization. Meanings of ‘Gai Bian’ range simply from the morgue to the cemetery. In addition, three of multi-burial ones, ‘He Bian’ and ‘Tong Xue’ mean buried with one’s husband or wife, but ‘He Zang’ can be used to point to bury to the ancestral grave. To sum up, investigating words related to the burial and its ways, compared with the word examples in the handed-down documents, help us observe the disyllabic development of medieval words, explain the relevant funeral vicissitudes issues, supplement Chinese dictionary, and add missing senses from early examples.
        5,700원
        5.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l elements evolution of Chinese was very intensive from Han to Tang dynasty. The interruptive interrelationship about the shapes, sounds and semantics of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s could be reconnected through the social material object. Stone inscriptions about ancient China are valuable material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culture. Basing on a large amount of stone inscriptions from Han to Tang dynasty, this paper straightened out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Qu” (去) as preposition in ancient China. We discussed Writing style reflected in epitaphs and the avoidance of word‟s repetition in stone inscription.
        4,500원
        6.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ilological Studies of Epitaph in Sui Dynasty (《隋代墓誌銘彙考》) is the latest achievement of the current literature research of the Sui Dynasty epitaph, which is very importan for the study of politics, history, culture and language etc. But the book also has some little mistakes, especially on the words and punctuation of sentences. Basing on checking the original rubbings, this paper revised 20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rules of Chinese characters, the words matching, Context meaning and Chinese characters rhyme etc.
        5,500원
        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대(唐代) 신라인(新羅人) 김일성(金日晟)의 묘지(墓志)는 최근 중국 서안(西安) 응탑구(雁塔區) 삼교촌(三爻村)에서 출토되어 2010년에 대 당서시박물관(大唐西市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묘지 내용을 보면, 김 일성은 신라왕의 종형(從兄)으로 어린 나이에 당나라에 귀의하여 벼슬이 종삼품 광록경(光祿卿)에 이르고 대력(大歷) 9년(774)에 장안(長安)에서 생을 마감했는데, 그의 생애가 전설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신라인의 묘지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 묘지는 당과 신라의 관 계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본고에서는 김일성 묘지와 관련된 제반 문제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전래문헌과 출토자료의 기록에서 신라왕실 자제 중에 ‘김일○ (金日○)’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당대 제왕이 하사한 이름이 자주 발견되는데, 여러 변방의 수장으로 당나라에 귀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김일성(金日晟)’은 ‘김일제(金日磾)’와 비슷하기 때문에 김일성은 당나라에 귀의한 후 개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묘지에 기록된 김일성의 생존연대를 추정해 보면, 김일성은 효 성왕(孝成王) 혹은 경덕왕(景德王)의 종형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혜공 왕(惠恭王)의 종형일 가능성에 대해서도 배제할 수 없다. 신라 왕실의 자 제 중에 당나라에 들어가 숙위(宿衛) 학습하는 연령을 근거하면 김일성 은 성덕왕(聖德王)이 당나라로 조공을 보내어 숙위로 머물게 되었다. 개원(開元) 8년(730)에 성덕왕의 조카인 김지만(金志滿)이 당나라에 들어 와 숙위가 되어 오랫동안 당나라 조정에 있었는데, 그 행적이 김일성과 여러 방면에서 중복된다. 셋째, 김일성은 당나라에 들어와 은청광록대부(銀青光祿大夫)와 광록 경(光祿卿)을 제수 받았다. 현재 전래문헌의 기록에 당나라에 들어가 숙 위가 된 신라 왕실 자제에게 하사한 벼슬의 현황을 보면, 김일성이 제수 받은 광록시경(光祿寺卿)의 직책밖에 보이지 않는다. 구시(九寺)의 여러 경(卿)은 예악제향(禮樂祭享)과 민족외교(民族外交) 등의 업무를 담당하 였는데, 신라 왕실 자제들이 숙위관례(宿衛觀禮)에서 배운 것과 일치한다. 넷째, 김일성이 당나라에 들어간 후에 벼슬이 광록시경(光祿寺卿)에 이르렀고 장씨(張氏)와 혼인하였다. 오랫동안 장안(長安)에 거주하는 사 이에 안록산(安祿山)의 난이 발생하였는데, 그가 오랫동안 장안에 체류하 고 높은 관직에까지 승진한 것은 이 난과 깊은 관련이 있다. 김일성의 묘 지는 문장이 간략하고 크기도 비교적 작아 그 직책의 등급과 부합되지 않는데, 이는 장씨의 무덤을 이장하고 부부 합장묘지를 다시 썼기 때문이다. 다섯째, 김일성은 장안 영수(永壽)의 필원(畢原)에 장사 지냈는데, 영 수향(永壽鄉)의 처음 설치는 수대(隋代) 대흥현(大興縣)까지 거슬러 올 라갈 수 있다. 당나라에 들어와 영수향은 장안현에 관할되어 범위가 북 쪽으로 장안성 교외까지 이르고 동쪽은 천문가(天門街)를 경계로 하고 남쪽은 위곡(韋曲)까지 이르고 서쪽으로는 강촌(姜村) 일대까지 관할에 들어갔다.
        5,400원
        8.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해석이 난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명칭과 위치 및 성격 등을 둘러싸고 여러 이설이 존재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척주동해비를 재앙을 막는 부적(符籍)처럼 간주하기도 하고 혹자는 축문(祝文)으로 보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비문(碑文)에 기술된 여러 해외의 이국 풍속에 대해 하 나하나 고증을 하면서 아울러 동해송의 문체를 분석해서 그 내용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척주동해비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허목은 동해바다를 신비화하거나 주술적인 기원을 하려 고 한 것이 아니다. 그는 ‘동해송’(東海頌)이란 제목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동해바다의 아름다움과 덕을 찬탄하고자 한 시문을 써서 비석으로 세운 것이 동해척주비이다. 이 동해송은 조선시대 학자들 사이에서 존 경감을 가지고 읽혀지고 연구되었던 명문장으로 간주되었다. 여기에 더해 그의 독특한 서체(書體)와 이국적인 내용으로 인해서 척주동해비 가 재앙을 막아주는 신비한 힘을 가진 글로 신비화되었다고 본다. 허목(許穆, 1595∼1682)이 지은 척주동해비는 예로부터 난해하기로 유명해서 그 내용에 대해
        9,200원
        9.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朝鮮中期文人金昌協(1651~1708)批判了明代文人王世貞(1526~1590), 因为他认为王世貞的散文作品和文章論在字句上有擬古嫌疑, 对碑誌的文體理解不足,篇章構成放漫,題材選擇不適切。可是金昌協文章論的核心體裁和法度相當部分都是王世貞的影響下形成的。那么金昌協为什么批判了王世貞?本稿区分文學批評史內的要因和社會政治狀況以及思想史的背景等文學批評史外的要因来考察了这一点。漢字文化圈在文學史共有很多典範和傳統,其里面包含着各地域各民族的情況和變容創造。虽然现在西歐文化的影響很大,但是漢字文化圈的文化連帶和疏通可能性包含着未來的指向性。我希望在同和異、共和別的情况下继续生産发展的論議。
        10.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alling images from the past is one of Yeats's favorite poetic activities, especially in his old age. Many of his later poems are created on the basis of this technique, providing considerable information on his contemporary characters, events and other factors. In a sense, this kind of versification appears to mythify prominent historic figures in turbulent modern Irish history. In the poem "Municipal Gallery Revisited", Yeats sees his poetic personae as 'permanent or impermanent images', but ironically, they will be remembered permanently because of this work. They will also illuminate individual and national history dealt with in the poetic stanzas. Yeats's creative strategy is to enumerate a series of intense scenes that are worth remembering. To grasp a specific image in a particular moment is intended to reveal an absolute feature of a given character or a historical as well as cultural event. Through their own images, these people depicted in the poem are turned into symbolic characters. Greatness is impressed with a single scene and genuine perpetuity is uncovered with an instant reflection. In other words, a briefly described image is not just a section randomly isolated from a particular person's life. Rather, the image implicitly sums up and typically project an individual's complex personality in the poem, and in turn, on the reader's mind. The poet-narrator walks through the gallery, appreciating the portraits and other paintings on display and opens up his own creative world. Political characters in the beginning, then Hugh Lane and other Gregory people as a cultural stepping stone and finally the portraits of John Synge and Lady Gregory appear in sequence through the poetic work. Such a climactic approach stresses what the poet has in his own mind. Artistic ideals and literary colleagues who shared them with the poet are remembered and in the end, he himself go beyond the grave and sees his own self as an image already dead in an elegiac imagination. What he wants to record in a literary epitaph is gradually expressed along the long gallery of the museum. Eventually, the scenes composing this verse create a visionary gallery to light up the poet's real self.
        5,700원
        1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俛宇 郭鍾錫이 지은 「南冥墓誌銘」은, 南冥을 두고 지은 傳記文字 가 운데서 가장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서술이라 할 수 있다. 남명 전기문자 의 최후결정판이라 해도 좋을 정도로 남명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빠짐 없이 수록해 놓았다. 묘지명으로서는 매우 긴 작품으로 일반적인 묘지명의 틀과 다른 점이 많다. 면우는 이 묘지명을 지으면서 자료를 최대한 널리 수집하여 신중에 신중을 기하였고, 다 완성된 뒤에도 당시 慶尙道 지역에서 문장으로 손꼽히는 제자 深齋 曺兢燮과 晦峯 河謙鎭에게 문제점을 지적하여 같 이 수정하고 보완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원래의 請文者 弦齋 曺庸相을 통하여 深齋가 사소한 문제로 지나치게 장기간 문제를 지적하고 나오자, 마침내 자기가 지은 「南冥墓誌銘」은 폐기하라고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그 9년 뒤인 1926년에 간행된 俛宇集 속에 실린 俛宇의 시문 가운 데 南冥을 낮게 평가했다는 혐의를 받을 글이 발견되어, 남명 후손들은 출판하여 보내 온 俛宇集을 거절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俛宇 측과 관계가 멀어져 「남명묘지명」은 실제로 남명 묘소에 묻히지 못 했다. 「南冥墓誌銘」에서 俛宇는, 南冥의 偉大性을 부각시키고, 敬義가 南冥思想의 핵심임을 밝히고, 南冥의 治學方法을 체계화하고, 南冥의 憂國憐民사상을 부각시키고, 南冥의 學德의 특징을 宋朝 諸賢에 비교하 였고, 南冥의 雅號의 의미를 밝히고, 文廟從祀 疏請 등 남명 推崇事業을 소개하는 등, 내용이 가장 다양하면서 풍부하다. 단언컨대, 「南冥墓誌銘」은 남명에 관한 傳記文字 가운데서 가장 종 합적이고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남명이 직접 지은 詩文에는, 남명의 언행과 생활상을 이해할 자료가 거의 없는데, 제자나 친구 後學들이 지은 이런 다양한 종류의 傳記文字 가 존재함으로 해서 남명을 연구하는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높은 것이다.
        1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南冥 曺植(1501-1572)의 4종 神道碑文 중 尤庵 宋時烈(1607-1689)의 「南冥曺先生神道碑銘」을 총체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한 명의 인물을 대상으로 당대 최고 문사들이 각각 신도비문을 남기고 그 작품들이 모두 현전하는 경우는 남명신도비문이 유일하다. 송시열이 찬술한 남명신도비문은 남명 조식 사후 100여 년 만에 찬술된 것으로 이전 정인홍ᆞ조경ᆞ허목 보다 학문적 연원이나 사승 관계가 멀다 할 수 있고, 오히려 사후 정치적 상황을 염두에 둔다면 조식과 송시열은 가장 대치적 관계에서 지어진 작품이다. 그러나 송시열은 정치적ᆞ학문적 입장을 뒤로하고 조식의 不朽한 功業과 序其爲人의 독특한 찬술자세로 남명신도비문을 찬술하였다. 송시열의 남명신도비문은 가장 비지문 창작이 왕성했던 60세 전후에 찬술된 작품이며 영남유림과 조식의 자손들 부탁으로 찬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10년 전에 지어진 초고본을 다시 찾아 주변 지인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퇴고를 거듭 하며 남명신도비문에 많은 공력을 기울였다. 송시열은 조식의 공로에 대해 세 가지(①貴義賤利, ②可尙恬退’, ③可羞貪冒)로 요약했고 그의 성품에 대해서는 일화를 통해 간략하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도록 기술하였다. 조식의 출처관에 대해서는 이황의 말을 인용하며 미화로 여겨질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지 않았다. 나아가 조식을 성리학자로 최고의 위상이라 할 수 있는 육군자의 반열과 병렬시킨 것은 송시열 이외에 어떤 사람도 하지 못한 일이며 당시 노론 영수로 후대까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송시열에게 이루어졌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였다. 송시열은 이황을 포함한 육군자는 조식의 위상과 차이가 없다 생각하였고 바로 이점으로 자신이 조식을 백세의 스승, 영원한 스승으로 삼았던 것이다. 당시까지 조식을 당파적 영수로 여겨왔다면, 송시열은 당파적, 정치적 외형에서 탈피하여 한 시대의 영원한 師表로 승화시켰다. 바로 이점이 기존 3종의 남명신도비문과의 변별점이며 송시열의 남명신도비문이 지닌 위상이라 할 수 있다.
        1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神道碑銘은 일종의 墓道文字이다. 묘도문자는 한 인물의 學問, 言行, 德性, 業績, 家系 등을 기록하여 돌에 새겨 神道에 세우는 것인데, 남명의 경우처럼 우여곡절을 겪으며 5종이나 남아 전하는 경우는 사례가 없다. 이 5종의 묘도문자의 撰者는 모두 자신의 입장에 충실한 修辭를 보였다. 대곡 성운은 평생의 벗을 여읜 슬픔과 그리움을 담아 곡진한 修辭로 표현하려는 입장이었고, 내암 정인홍은 무한한 존경심으로 스승을 높이려는 의도였으며, 미수 허목은 퇴계의 남명 비판 이후 견지되어온 남인학파의 견해와 자신의 평소 견해에 입각하여 남명을 高士로 기리는 입장이었고, 우암 송시열은 상대 당파이기에 오히려 자유로운 존숭을 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 용주 조경은 미수와 동일한 입장과 견해에서 학자라기보다는 高士로 남명을 기리고 있으며, 사실의 기록과 闡揚의 수사 사이에서 사실의 기록에 치중하는 입장이었다. 龍洲는 南冥을 氣節이 높았던 高士로 평가했고, 그것을 修辭로써 잘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修辭는 直敍와 尊崇의 사이에서 긴장하며 행간에 드러나고 있었다. 또 용주는 남명의 출처에 대해서 때를 만나지 못한 不遇와 高潔自守의 경우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修辭의 방식이 남명을 존숭하고 그 행적의 사실을 드러낸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대곡이나 내암 혹은 우암이 찬한 신도비명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直敍와 簡略함에 더 치중했음을 보았다. 따라서 용주의 修辭는 尊崇 내지 闡揚의 修辭와 事實의 直敍 사이를 오가는 긴장 속에 만들어진 것이며, 용주의 修辭는 오히려 史論의 褒貶에 가깝고 묘도문자의 목적인 揚善隱惡에는 다소 부족한 감이 있었다.
        1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南冥 曺植의 神道碑로서 가정 먼저 세워진 것은 1617년 무렵, 그 문인 鄭仁弘이 찬술하고 정인홍의 문인 裵大維가 글씨를 쓴 것이다. 이 비석은 1623년 仁祖反正에 의해 정인홍이 賊臣으로 몰려 처형되고 난 뒤 사람들의 눈앞에서 없어지고 말았다. 겉으로는 적신으로 처형된 정인홍이 찬술한 글이기에 넘어진 것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퇴계를 은근히 비판한 글이기에 더욱 세워둘 수 없었던 것이다. 이 글이 찬술된 것은 1615년에 남명이 영의정에 증직되어 신도비를 세울 수 있었던 조건이 충족되었고, 정인홍이 남명의 문인 가운데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정인홍은, 퇴계가 그 문인들에게 편지나 대화를 통해 여러 차례 남명을 비판하였으므로 그것이 알려져 남명이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 글을 쓰기 이전까지 적어도 7편 정도의 글이 남아 전할 정도로 여러 차례 퇴계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였으며, 이 글은 그 결정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남명의 일생에 대해서는 대곡이 찬술한 묘갈명이 가장 극진하다고 생각하고, 이 신도비명에서는 오로지 남명의 학문 내용이 유가의 정통에 해당되며, 퇴계의 남명 비판은 잘못된 것이라는 논리로 일관하고 있다. 정인홍이 이러한 글을 쓸 수밖에 없었던 점은 「跋文解」에 보이는 바, 문인으로서 스승의 학문이 誣陷당한 데 대하여 坐視하는 것이 도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師生間의 義를 생각한 데서 나온 정당한 행동으로 스스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당대 최고의 인물이라 알려져 있던 퇴계에 대해 과감하게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실패하였지만, 이는 정인홍이 광해군 때 實職에서 行公해 본적이 없으면서도 遙執朝權하던 山林政丞이었다는 점과 인조반정이라는 당시의 정치적인 문제에 묘하게 맞물려 있었던 것이 첫째 원인이었고, 다음으로는 당대부터 퇴계가 가지고 있었던 막강한 영향력을 내암이 결국 당해내지 못했다는 것이 둘째 원인이라 할 것이다. 정인홍이 정치적으로 패퇴한 인조반정 이후 대부분의 남명 문인이나 정인홍의 문인 후손들이 차츰차츰 남인화하거나 서인화했지만,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일대에 현재에 이르기까지 400여 년에 걸쳐 남명 정신을 추존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은, 남명의 학문적 영향력이 결코 가볍지 않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정인홍의 남명 신도비명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한 ‘冥道日月’이라 표현한 기대가 앞날을 내다 본 표현이 아닌가 생각된다.
        15.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studies on Nammyeong Jo Sik's literary works have been focused mainly on the discussion about his poems and aesthetic sense on which his literature was based. Moreover, researches on his prose unlike that on poetry have made little progress, especially with no studies on epitaph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among his prose in classical Chinese. This thesis is to examine Nammyeong Jo Sik's style of writing and the underlying aesthetic sense, focusing on his epitaphs, which most researchers have had little interest in so far. When he wrote epitaph, Nammyeong Jo Sik put great emphasis on frank narration among other things, which is to describe the truth about the dead person in question. Besides, he stressed two points; first, to know the dead concerned very well and to frankly describe the fact about the dead person without flattering attitude, under any circumstances. We can prove that he applied these rules to the writing of epitaph. Above all, it is clear in the fact that among about 22 epitaphs, most of them were for his own father, relatives, close friends and relatives of his pupils whose family history and specific situations he himself knew very well. Secondly, as shown explicitly from the epitaph for his deceased father, he faithfully followed his own rule not to flatter a dead person by exaggerating or making an excuse. In addition to the rule of truth, he exalted epitaph to the high place of literary works not only by narrating the fact frankly, but also freely expressing his own feelings. At this point, it is worth mentioning the episode concerning the epitaph he wrote for the late father of Guam(龜巖) Yi Jeong(李楨), who was one of major scholars living in Yeongnam(嶺南) province and Nammyeong Jo Sik kept in contact with. As Guam Yi Jeong sent the epitaph to T'oegye(退溪) Yi Hwang(李滉), asking for correction, this led to an indirect argument between T'ogye Yi Hwang and Nammyeong Jo Sik. Exceptionally T'oegye Yi Hwang corrected a lot the epitaph written by Nammyeong Jo Sik, severely criticizing the form and content of the epitaph. Naturally, Nammyeong Jo Sik did not accept the criticism of T'oegye Yi Hwang, because they were much different in a philosophical inclination and view of study as well as literary taste and style. Consequently, they both showed great opposition to each other's style and aesthetic sense concerning the epitaph beyond compromise. Nammyeong Jo Sik thought that he was not so much literarily successful, but he himself was the successor of 'ancient prose'(古文) tradition, while he criticized T'oegye Yi Hwang's style naming it 'popular prose'(今文) despite his success in the world. On the other hand, T'oegye Yi Hwang criticized Nammyeong Jo Sik's epitaph for his consistently changing rule, mentioning that there are certain rules of epitaph narration, which are the fixed rule and changing rule. Form this controversy between the two persons concerning epitaph writing, we can understand to some extent the thought of men of noble family in the early Chosen dynasty period concerning epitaph as an important form of prose in classical 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