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그러한 장애 요인을 해소 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 하고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수업을 계획하였다. 이 수업은 개별 한자의 모양·음· 뜻과 필순에 대한 지식 암기가 아니라, 한자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겪은 학습 장애 요인을 조사하였다. 응답 내용은 ‘집중’, ‘기술’, ‘학습’, ‘소통’, ‘피로’, ‘흥미’, ‘기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 장애 요인에 대한 개선 방안은 수업의 내적 요인과 수업의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수업의 내적 요인으로는 ‘학습, 흥미’의 문제, 수업의 외적 요인은 ‘집중, 기술, 소통, 피로’의 문제이다. 학습 부담이나 학습 부진에 관한 문제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실시, 학습량 적정화 등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흥미는 대면 수업에서 친구들 과 함께 수업 듣는 분위기 조성 등으로 개선 방안을 찾는다. 집중은 활동 중심의 실시간 원격수업, 기술은 학습 플랫폼 오류에 대비한 대체 수단 마련, 소통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피드백 강화, 피로는 일과 시간의 변경 등을 통해 개선 방안을 찾는다. 이러한 응답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는 활동 중심 한문 수업, 수업 시간 동안 해결 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량의 과제 제시를 통해 학습 부담 감소, 교사와 소통할 수 있는 채널 확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요소를 가미한 수업 방안을 강구하였다. 기술적인 문제나 피로는 개별 교과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수업 구성의 고려 사항에서 제외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학년 초에 실시한 수업이기 때문에 한자 영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은 ‘학습지 제공 → 신습 한자 선택 → 인터넷 사전 검색 → 필순에 따라 한자 쓰기 → 한자를 선택한 이유 쓰기’ 순서로 진행하였다. 처음 한자를 써보는 학생들이 다수였지만, 대부분 정해진 시간 안에 한자의 모양을 정확하게 작성하 였다. 일부 학생은 정해진 수업 시간 동안 학습지를 완성하지 못하였다. 원격수업에서 수업 환경은 교실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학교 수업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수업 방법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학생을 직접 對面하지 않는 원격 수업 방식이 수업에 수동적으로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질의응답이나 토론 활동과 같은 학생 중심 수업을 운영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학교에 오기 전에 교사가 직접 제작해서 올린 온라인 콘텐츠를 미리 보고 관련 과제를 자기주도적으로 수행한 후, 학교에서 와서는 교사와 함께 질의응답이나 토론 등과 같은 활동을 수행하는 블렌디드 러닝을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다룰 원격수업은 E-learning과 교실 수업을 결합한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발전된 형태인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기반의 수업 방식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 기반의 중학교 한문 원격수업을 통한 학생 중심 수업을 시도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2020년 1학기에 원격수업을 운영하면서 교육은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새삼 느꼈다. 2020년 11월 현재 대한민국의 교사들은 담당 과목에 상관없이, 원격수업의 범위 내에서 어떻게 학생 참여를 끌어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이 연구가 코로나19라는 위기에 대처하면서 학생 중심 수업을 꾸리고자하는 한문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본고는 2009 개정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자원학습 실태를 분석한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2009 개정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자원 학습 제시 실태 및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살핀 후, 향후 교과서 집필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제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자원학습은 자원 학습의 효율성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단순히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를 담고 있기 위해, 교과서의 시각적 효과를 살리기 위해, 혹은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교과서에 실기 위한 목적으로 ‘자원 한자’ 라는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자원 풀이 내용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기준 없이 교과서 집필자들의 자의적, 임의적 의견으로 자원 한자를 선정하거나 편의적이고 개성적인 설명에 의한 시중의 참고도서를 그대로 교과서에 반영한 경우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원을 활용한 한자학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다. 한문이라 는 과목은 국가가 제시한 교육과정 내에 존재하는 과목이다. 그렇기에 ‘공교육’ 이라는 측면에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교육 내용은 균질성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자들은 최근 의 자원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학리적 검토 위에 과학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자원 한자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이 글의 연구 과제는 ‘漢字의 形・音・義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이다. 入門期 한자 학습자가 특정 한자를 처음 접할 때, 그 한자의 모양, 소리, 음 곧, 漢字의 形・音・義를 어떻게, 어떤 경로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이다. 이 글에서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로 명명한다. 이 글의 연구 과제인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 내용을 설정했다. 첫째,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漢字의 形・音・義 파악하기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자의 짜임, 부수, 자전 등이 주목된다. 둘째,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漢字의 形・音・義 파악 하기 관련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단원 구성, 한자의 짜임, 부수 등을 강조했다. 셋째, 漢字의 形・音・義를 파악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과정 내용 및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漢字 形・音・義 파악학기 교수・학습 방법을 학습 요소, 기법, 그리고 자료 층위에서 試論하고자 한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이 글의 검토 대상은 ‘한자․한문교육 현장실천 교수-학습 방법’이다. 그간의 연구현황 및 성과를 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과제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지『한자한문교육』과 한국한문교육학회지『한문교육연구』이다.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한문교육학회 창립 30주년기념 학술대회(2011)와 한국한문교육연구총서『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론』(2012)에서 그간의 연구실적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현황과 성과는 ‘한자’, ‘어휘’, ‘한시’,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일반자료’로 모아서 정리 하였다. 또한 ‘매체 활용교육’ 관련 자료도 별도로 언급하였다. 이상을 검토해 본 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과제가 확인되었다.첫째, 한시․산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과가 부족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학회차원에서 기획주제로 다루어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모형’이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화’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져서 연구성과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하겠다. 현장교사들에게 있어 교육과정은 직접적인 수업안내 지침이기 때문이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연구보다 현장실천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전공교사들의 학회 참여 유도가 필요하리라 본다. 교사 개인이 지닌 우수 지도방안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홍콩 교육당국은 90년대부터 적극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학습을 추진 하였다. 그러나 전자학습이 소학교 학생들의 연필을 잡고 한자를 쓰는데 있어 어 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있다. 전자교재를 교육의 보조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은 이미 20년을 넘도록 추진되고 있으나, 오직 학자들만 이 가끔씩 이 변화가 가져오는 이익과 손해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소학교에 있는 네 개 반의 5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녹화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한자쓰기를 상하구조, 좌우구조, 전포위구조, 반포위구조 등으로 분류하고, 계량화하였다. 이 때 비교실험군(전자학습반)과 통 제군(전통학습반)으로 나누고 학생들의 한자 쓰기 필순의 습관과 틀리게 쓰는 상황이 각기 다르게 나타는 상황과 한자 쓰기 퀴즈와 면담의 내용 까지도 실험 내용 에 포함시켰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한자쓰기와 필 순에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험조의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암묵적 쓰기에 있어서 대조군의 낮은 수준의 학생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전자학습이 학생들의 한자 쓰기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합리적인 한자교육의 운용과 평가, 학교 공부를 통해 이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음을 알았다. 반대로 얘기하자면 보조적인 교수 학습 전 략이 부족하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들은 한자를 학습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학습에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교사는 전자학습의 보조적인 전략을 운영할 때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In teaching a Putonghua lesson of the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programme in Australia, I used the activity of folding an "Origami boat" that initiated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origami. Similarly, in teaching Chinese to ethnic minorities in Hong Kong, origami is also the most popular activity. It is definitely a learning catalyt and stimulant. There was a student who described writing Chinese characters is as difficult as "alien culture", but in marking students’ work, it was found that many students can write Chinese characters correctly and neatly. Thus is there any relevancy between origami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re square and the majority of origami projects uses square papers. The origami steps follow the basic form, with basic folds and symbols, according to a certain logical sequence to fold and combine. It will use the quadrilateral, triangle, rhombus, trapezoid, polygon, and other forms. Are there any similarities in the radicals, components and strok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is what we need scholars to explore in depth.
2010년 11월부터 유럽 4개국 5개 고등교육기관 10여명의 중국어교육관련 연구 자들은 매우 중요한 새로운 임무를 부여 받았다. 유럽언어공동기준(CEFR: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을 기초로 한 유럽중 국어공동기준이었다. 중국어는 자모문자가 아니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 는 말하기와 쓰기로 분류하여 설계가 고려되었고, 각 등급에 따라 대응되는 “언어 능력표현”에 말하기-듣기 활동 관련 동사 어휘표와 읽기-쓰기 활동과 관련된 한 자표를 제작하였다. 更科学地把口语和文字区分开来, 以便更有效地发展学习者的语言能力。 본 문에서는 중국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분리하여 강조함으로써 중국 어 교사가 더욱 체계적이며, 더욱 과학적으로 말하기와 문자를 분리하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론을 체계화하였으며, 이로써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구성하였다.
전통적인 유아 한자교육은 많이 베껴 쓰는 방식, 곧 한자를 개별적으로 학습하 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방법 아래서 유아들은 한자와 단 어를 기억하기 매우 어려워 매우 쉽게 학습의 곤란함을 느낌으로써 계속하여 학 습에 대한 흥미를 잃어왔다. 본 연구는 종합 고효율 한자교육방법을 이용하여 한 자를 학습하게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한자와 단어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학습하 게 하는 방법은 유아들에게 한 조로 묶여진 한자와 단어를 계통적으로 기억하게 함으로써, 뇌 속에서 한자와 단어를 네트워크로 구성함으로써 유아들의 머리 속에 풍부한 어휘저장고를 형성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은 4-6세의 홍콩의 취학전 유아(78인)로, 두 개의 연령별로 조를 나누 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실험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로 나누어 각기 성적을 측정 하여 새로운 교육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두 개 연령으로 이루어진 각 조들의 유아 한자학습능력과 연상자 능력이 모두 현저한 증가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동시에 수업 현장 분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유 아들의 학습 성과에 대해 연구하고, 유아들의 한자와 단어를 네트워크화 시키는 작품을 분석하여 두 조의 유아들이 한자와 단어를 연결하는 능력을 이해해 보려 하였다. 실험 결과 두 조의 유아들 모두 한자 학습에 매우 깊은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 중에 주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할 뿐 아니라, 그들 모두 매우 빠른 시간 안에 한자의 형음의를 익혀,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한자를 학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또한 유아들은 연령에 따라 한자와 단어를 결합하는 능력 이 더욱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number of non-Chinese speaking (NCS) students in Hong Kong is increasing year by year. Their needs for education are increasing too. The educators and their NCS parents very concern how well these NCS students can adopt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Hong Kong, and have better academic performance, especially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Researchers believe that if the NCS students can learn Chinese language as earliest as possible, like in kindergarten stage, they can catch up with the local Chinese language curriculum requirement and standard much easier. Researchers worked with three kindergartens, and designed school-based Chinese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for these NCS young students. The curriculum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NCS you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strengthen their Chinese character learning ability and also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fter one-year teaching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se NCS young students’ was very impressive. They have great improvement in the learning of the sound, shape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is presentation will report the research findings.
Traditionally Chinese educators have held the view that the repeated writing of characters and the detailed memorisation of the shape and strokes of each character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children to learn Chinese. The danger is that there is often insufficient emphasis on using the characters in a meaningful context, with many students forgett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and losing interest in learning. The study looked at the effect on learning of encountering Chinese characters within semantic networks that emphasise the meaning of the words and the acquisition of a Chinese lexicon of clusters of related words. 181 students aged 3-6 years in Kindergarten 1,2 and 3 took part in the study, evidence about the impact of the new approach and lesson activities on learning being gather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Quantitative analyses involved comparing pre-and post test scores using dependent t-testing to examine prior and after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The qualitative evidence was assembled from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hrough the systematic observation of lessons. Students in all three age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mental lexicon of groups of associated words. Qualitative analyses indicated that all of the students had improved their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had become more active learners. They were more efficient language learners and knew much more about the semantics, phonology and graphics of Chinese characters.
Since November 2010, a team of a dozen researchers from fiveuniversities and institutes of four European countries has been workingon challenging project: how to adapt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Reference for Languages (in us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 for the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of European languages around Europe)to the Chinese language, a very distant language for European learners,with the peculiarity of its non-alphabetic writing system. In the end,the approach adopted by the team was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oraland written activities at each level of the framework. For the oralactivities the team has provided lists of words, and for the writtenactivities lists of characters. We focus on one point: we hope thisdissociation between oral and written in the Chinese framework willencourage more and more teachers to separate oral and written in teachingand 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in the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so as to allow the learners of Chinese to develop each language competencemore efficiently.
한자는 중국어 학습의 기초이며, 동시에 외국인이 중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크 게 느끼는 어려움이기도 하다. 만약 문자라는 측면에서 말한다면 한자는 표의와 표음이 혼합되어있어, 순수한 표의문자라고 말하기 어렵다. 실질적으로 세계의 어 떤 문자도 순수한 표의문자로 존재하지 않는다. 한자는 중국어의 어소를 표기하고 있으나, 매 한자마다 번체와 간체의 자형이 존재하며, 심지어 역대의 이체자와 필 기체 등이 존재하고 있다. 자음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하나의 음절을 나타내지 만, 哩나 吋의 경우처럼 쌍음절인 경우도 있고, 異讀字나 破音字등과 중국 대륙 과 대만이의 표준 등이 같지 않은 문제들도 가지고 있다. 역사적 원인으로 보자면, 하나의 한자는 통상적으로 많은 서로 다른 자의를 표기함에도 어떤 것들은 서로 상관되기도 하고, 상관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한자를 습득한다는 것은 실제 중국인이라 하더라도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의 어문교육 중 한자는 유아 교육의 기본 영역이다. 중국어의 사전류들은 전통적으로 글자를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단어가 결합되는 형태로 표 제자 아래에 단어들이 표기되어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 속에서 중국어의 이 러한 한자 단위 위주의 기초 교육법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소개하는 点画流形와 汉字1000는 한자학습과 한자의 자원을 통해 구성된 시스템, 자형의 변화 애니메이션 등은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조자 원리와 자형의 변화를 더욱 바르고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문에서는 이러한 기초적 논의 후에 어떻게 기존에 이미 구축해 놓은 한자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 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 방법의 길을 제시하여 한자 학습 효과를 증대화시킬 수 있는가 등을 논의하였다.
한자는 의심할 여지없이 중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매혹적인 부분 중 하나이며, 동시에 중국어를 학습하려는 사용자(일본이나 한국인을 제외하고)에게 가장 머리 아픈 부분이기도 하여, 어떤 학습자는 심지어 중국어의 한자 쓰기나 읽기를 무시 하고, 오로지 말하기와 듣기에만 집중하고자 한다. 더 심각한 것은 그것이 또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중국어 학습을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대부분의 교재들에서 학습자의 특성이 무시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 어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는 진일보하고 있지만, 규칙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면적인 한자교육의 방법은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다. 본문의 목적은 한자의 구성(結構)을 분석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규칙성과 전면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함 께 가지는 한자교육 교수 학습 방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왜 우리는 한자의 구조(結構)를 파악해야 하는 것일까? 심리학자이가 인지기억 력 전문가인 케네스 박사(Kenneth L. Higbee Ph.D)는 학습자가 어떤 하나의 자 료를 기억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그 자료가 학습자에게 어떤 의의 를 가지는가라고 주장하였다. 때문에, 학습자가 개별적인 한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바로 학습자가 새로운 한자를 학습할 때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많은 중국어 교사들이 자형을 분석할 때 “너무 어렵다”고 느끼며 중문과 교수들만이 가능하다고 여기는 것에는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중국어 모 국어 사용자들은 자형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학습을 하여 본 경험이 없으며, 이로 인해 자형을 분석하는 습관이 없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허신의 『설문해자』를 근거로 육서에 의해 설명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는 육서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이 매우 불분명한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계에서 는 여전히 ‘전주’에 대해 많은 이설들이 있는데 裘錫圭는 《文字學概要》에서 이들을 9개의 대표적인 학설로 정리한 바 있다. 이외에도 육서의 유형 분류 사이 에도 중첩되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만 존재하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詹鄞鑫는 《漢字略說》에서 「意符兼表讀音」의 회의자와 「聲符具有表意功能」형성 자를 말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각각의 세분화된 연구는 문자학 연구자에게는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언어 학습자에게 이러한 사실들은 오히려 부담만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육서법은 한 자교육에 있어 적절하지 않다. 때문에 한자교육에 있어 이루어지는 자형의 구조 분석은 논리성과 일치성을 가져야 하며, 이는 또한 간단하고 간결하며 동시에 한 자의 본질과 부합되어야 한다. 본문에서는 한자의 구조를 3종류 (즉, 표의자, 표음 자와 기호자)와 4종의 부건을 기능헤 따라(표음, 형으로써의 표의, 의로써의 표의 와 형으로써의 교체)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형 구조 분석은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학습자가 더 많이 개별 한자의 의부와 성부의 기능과 같은 자형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한자의 계통성에 대한 이해를 진작하고, 이를 통해 신습한자 의 자음과 자의를 추측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배양시킴으로써 한자에 대한 기억 능력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writing system is certainly one of the most fascinating aspects of the Chinese language,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one of the most frustrating aspects for learners (with the exception of learners from Japan and Korea), causing many students to focus solely on the speaking aspect of Chinese. Even worse, the writing system is virtually ignored by most learning materials and teachers and is one of the main reasons learners abandon their study of the language altogether. In recent years, Chinese character pedagogy has made some strides, but a holistic and systematic pedagogical method has yet to appea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basis for such a method, that is to provide a learning-centered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s that can act as the basis for a holistic and systematic pedagogical method.Is there really a need for yet another conceptual framework for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psychologist and memory expert, Dr. Kenneth L. Higbe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memorization is that the learner understands that which is to be memorized. Therefore, increasing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 Chinese character to be learned is tantamount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learning. Analyzing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has long been seen by most teachers as "too difficult." The main two reasons for this are: 1. the average Chinese native speaker did not learn characters by way of analysis and thereby is not in the habit of analyzing them; and 2. using the Six Principles Theory (六書 LiùShū), the traditional framework presented by XǔShèn (許慎) in the Shuōwén Jiězì (說文解字), to analyze characters is indeed quite difficult due to overlapping categories which are not clearly defined. For example, even in the academic world, explanations of what the Derivative Cognate (轉注 Zhuǎnzhù) category is exactly vary greatly between scholars. As Mr. Qiú Xíguì (裘錫圭) points out in his book Chinese Writing (文字學概要 Wénzìxué Gàiyào), there are at least nine different theories as to what this category i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some categories are quite subtle, Mr. Zhān Yínxīn (詹鄞鑫), in his book A Few Words about Chinese Characters (漢字略說), points out the difference between an associative compound (會意字) for which one of the meaning components also expresses sound and a phono-semantic compound (形聲字) whose sound component also expresses a meaning. While this type of difference may be very important to a researcher, to a second language learner, it is a huge burden. As such, it is obvious that the tradit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characters is not suitable for language pedagogy. A conceptual framework which is suitable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must be logically consistent, simple, concise and b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characters themselves. The framework presented here has three types of characters (meaning characters, sound-meaning characters and symbols) and four types of character components (sound components, components which express meaning by their form, components which express meaning by their meaning and components which act as a substitute for an earlier form). This conceptual framework is not only easy to grasp, but it also helps the learner to truly understand the form of each character, in other words, to understand how meaning components (or form components) and sound components work. At the same time, the framework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the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s a whole, fosters learners' ability to guess at the sound and meaning of characters they have not yet learned and increases their ability to recall characters they have already learned by triggering their memory with sound and meaning c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