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matic question-answering is a classical problem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hich aims at designing systems that can automatically answer a question, in the same way as human does. The need to query information content available in various formats includ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us, Question Answering Systems (QAS) are essential to satisfy this need. QAS aim at satisfying users who are looking to answer a specific question in natural language.Moreover, it is a representative of open domain QA systems, where the answer selection process leans on syntactic and semantic similarities between the question and the answering text snippets. Such approach is specifically oriented to languages with fine grained syntactic and morphologic features that help to guide the correct QA match. Furthermore, word and sentence embedding have become an essential part of any Deep-Learning-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s as they encode words and sentences in fixed-length dense vectors to drastically improve the processing of textual data. The paper will concentrate on incorporating the sentence embedding with its various techniques like Infersent, ElMo and BERT in the construction of Question Answering systems, and also it can be used in game play.
        4,3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red with modern Chinese, the inquiry sentences of the unearthed Warring States document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oral communication at that time, and their expression methods were quite distinctive. Through exhaustive corpus investigation and systematic description, four types of inquiry sentences in the excavated Warring States literature, such as specific finger questions, right and wrong questions, positive and negative questions, and choice questions, are discussed, and the special questions used in them are discussed, and the grammar of the special question sentences used in them is explained and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form of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excavated documents mainly include two types: Chujian quotation style corpus and Qinjian Zhongluling corpus. Finally, the differen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relationships of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Chujian and Qinjian corpuses were answered.
        6,400원
        3.
        202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which grammar features need high priority of pedagogical intervention to develop implicit knowledge, unlike grammatical features in need of explanation of explicit rules. Two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29 Korean college students: a sentence completion test in English and a meta-linguistic knowledge test (requiring students to both correct the underlined error and explain the grammatical rule) in Korean.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 Wilcoxon signed rank test, this study find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st achievements for tense, time prepositions (for and since), subjunctive moods, dative alternations, quantitative adjectives (many and much), gerunds, and third-person singular -s in the simple present tense. Based on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poses which specific grammar features need intensive pedagogical intervention for production skills, including sentence writing and speaking. Several practical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EFL instructors and researchers to make more effective use of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as well as formative testing.
        5,200원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Chinese international trade correspondence belongs to the teaching field of "Special purpose language". It takes various communicative contexts as the premise, and the communicative context is based on the communicative process under the specific working environment of language users. Therefore, it needs appropriate communicative functions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function, the use of specific sentence types obviously contains some co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frequency sentence types in international trade letters have a certain tendency. This paper takes the Chinese E-mail actually generated by the Korean staff of a Korean trading company in their trade with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investigates and analyzes its sentence function, and provides empirical data for business Chinese teaching. Compared with the teaching of traditional lingua franca, according to the various social attributes of Korean Chinese international trade exchanges, it is not only the cognitive background of learners and staff, but also the communicative context required by professional work. The core content of teaching should give priority to the specific sentence patterns of communicative function words closely related to work in the actual corpus, and apply them in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To enable learners to acquire the required language communicative competence as soon as possible, it does not emphasize the comprehensive mastery of learning, but can save time and selectively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6,600원
        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구문문법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존재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VP+NP’, <장소 대상>, ‘어떤 장 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다. 그리고 한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에 NP가 V어/아 있다’, <장소 대상>, ‘어떤 장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는 동태존재문을 존재문으로 인정한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동태존 재문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한‧중 존재문의 구성요소인 장소어, 술어, 존재대상에서의 차이로 이어진다. 구문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는 원리 중 하나인 ‘다의성 연결’은, 중국어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이 동일한 구문이라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더불어 전통적으로 논쟁이 되어 온 “台上唱着大戏”와 같은 문장도 동일하게 존재구문의 범주로 편입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한국어 존재문은 중국어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지 못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중국어 존재문과 한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의 크기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중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이 크고, 한국어 존재문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것은 구문의 실현양상이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5,200원
        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사마천이 「淮陰侯列傳」에서 전형화한 韓信이라는 역사적 인물의 심리 변화 양상을 고찰하되 그 핵심은 문학적 서사구조에서 찾았다. 특히 「淮陰侯列傳」의 서사별 문장과 문체의 특성을 ‘전술-전략의 서사’, ‘수사적 특징과 문학적 변론’, ‘韓信의 심리 변화의 서사구조’라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사마천이 다각도로 재구성한 문학적 서사구조 및 생동하는 묘사와 대화문, 比喩와 引喩 등 다양한 수사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사마천이 ‘韓信-漢王’, ‘韓信-蒯通’의 대화 장면을 통해 해학적 요소와 문학적 서정을 가미하고 韓信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독특한 서술 시각을 드러냈다는 점에도 유의하여 분석하였다. 필자는 司馬遷이 ‘韓信-漢王’의 권력적 역학관계의 묘사에 드러낸 미묘한 감정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사마천이 이러한 장치를 ‘漢王-蕭何’의 관계 에도 설정하고 있음을 고찰함으로써 「淮陰侯列傳」이 명편으로 각인된 이유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마천의 서술방식은 蒯通이 韓信을 설득하는 대목에서 절정을 이루는데, 다양한 수사법 등 문학적 장치를 동원한 사마천의 문학적 필치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사마천이 韓信의 업적에 중점을 두면서도 특히 모반 등의 대사를 중심축에 두고 등장인물 간의 심리적 갈등이 증폭되는 지점에서 사마천의 필력이 돋보 인다는 점도 밝혀냈다. 요컨대, 본고를 통해 「淮陰侯列傳」에서 보여준 사마천의 서술방식은 문체의 내적 형식인 서정성 그리고 풍자와 유머 등과 객관성이 기본 골격을 이루되 韓信이라는 인물에게는 결여된 ‘謙讓’과 과도한 욕망이 모든 일을 그르치고 있음을 다양한 시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6,400원
        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nstruction and causative words,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s for the diversity of causative words in the construction of causative words. This paper refers to Goldberg’s construction diagram and summarizes the interaction schema between the causative construction argument and the actor role of causative words. In this paper, relevant examples are used to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constructional elements of causative words and the roles of participants in causative words. On the basis of the fusion principl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ausative construction chooses and limits the actor role of causative words. This paper also makes a detailed summary of the fusion law between the causative constructors and the participants of causative words.
        4,600원
        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7권의 한·중 현대소설 텍스트의 차등 비교문에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정도부사 표현에 있어서의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인지 언어학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원형이론에서 Langacker의 연결망 모형을 바탕으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도부사의 의미 연결망 모형 그리고 수평 차원에서의 원형이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차등 비교문 안의 한국어 정도부사 사용에는 정도상의 표현 되는 크기에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부사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차등 비교문 안의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을 살펴보면서 정도부사 간의 양(量)의 격차 즉, 거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거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비문이 되어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뿐 아니라 두 대상 간의 비교 정도치를 극대화 하거나 반대로 극소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이 차등 비교문 안에서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선 반드시 양(量)의 격차를 고려해야 하며, 그중 본고의 연구를 통해 ‘중량(中量) 부사’ > ‘소량(小量) 부사’ 그리고 양(量)의 격차가 ‘0’ 일 때의 동일 선상에서 연이은 정도부사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9.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ntence-writing task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sentence-writing task can be explained based on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Laufer & Hulstijn, 2001); yet, there has been no consistency i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is hypothesi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he sentence-writing task on vocabulary learning were re-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gap-filling task.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have been no studies addressing the effects of autobiographical elaboration (relating the meaning of a certain word to one’s own experience) on memory, the effects of the autobiographical sentence-writing task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imaginary sentence-writing task. Forty high proficiency and 40 low proficiency learner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of the sentence-writing or the gap-filling task.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entence-writing task is mor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gap-filling task, regardless of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ffects of the autobiographical sentence-writing task and the imaginary sentence-writing task. Based on the result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chapter.
        5,700원
        1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what kinds of non-linguistic parameters correlate with the variations of the sentence-ending styles used in television news. Specifically, we focus on shifting between Hapsyo-style and Haeyo-style, two dominant kinds uttered in the register, and the variations in Haeyo,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a news corpus. It turned out that whereas the two styles are both used, Haeyo is used much less than Hapsyo in the news. In the use of Haeyo as opposed to Hapsyo, the three different parameters such as the gender of the speaker, the role of the speaker, and the type of the news item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That is, the values of women, anchors, and the type of news items for specific hearers, have positive correlation to the use of Haeyo, contrary to the values of men, reporters, and the type of news items for abstract hearers. The parameter which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the use of Haeyo turned out to be the types of news items, followed by the role of speaker, and the gender of the speaker are shown to be the weakest one. Regarding the variations among the different forms belonging to Haeyo, we examined the diversity of the endings used,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roportion of the endings originated from clause-linkers, and it turned out that the role of speaker and the type of news items are significant parameters, among which the former is relatively more relevant.
        7,800원
        1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ae Ho. 2016. “The Use of Korean Sentence-Final Endings by the Students of Chosun Hakkyo, Korean School in Japa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317~34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findings which were found throughout a series of investigations performed to clarify what kind of Korean sentence-final endings the students of Korean School in Japan who are the descents of Korean immigrants use. Since the observed endings of the 1st investigation,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2nd investigation, Speech Task, the author interviewed the students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2 investigation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interviews were generally consistent. There is, however, the possibility of students choosing and using different endings in different situation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education in school and so on. Th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Korean sentence-final endings by the students is not simple.
        6,600원
        1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문법 분석에 있어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장 큰 單位는 문장이다. 그러나 문장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다르고, 그에 따른 문장의 경계도 달라 좀 더 명확한 서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문장은 완정한 의미를 표현하는 독립할 수 있는 언어 단위로, 주어[문두의 NP]가 관할하는 구절까지를 경계로 한다.”라는 정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정의도 문두의 NP가 관할하는 범위가 段落으로까지 길어지는 언어 현상에 대해서는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문법 분석의 단위를 문장으로 국한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본고에서는 문장으로 조합된, 문장보다 더 큰 단위의 조직인, 단락을 상정하고 단락을 관할하는 ‘주제’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문법 분석 단위를 단락으로 확장했을 때의 효용성을 단어의 문법 성질 파악, 문헌 독해, 한문 교과서 글감 제시 범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5,800원
        1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에게 한문구조를 교수 할 경우의 한 가지 학습방법으로서 전통시대의 초학교재를 활용하여 2자, 3자, 4자, 5자, 7자의 한문문장을 축자식으로 해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문장구조의 필수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학습에 중점을 두고, 부속성분인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는 문장의 확장정도로 제시하면서 문장의 기본구조를 학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아시아 세계의 전통 초학교재란 단순히 과거에 사용된 교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이란 과거를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면서 미래의 비전을 창조하기 위하여 재서술 되는 것이다. 현재의 곤란에 위기의식을 느낄 때, 인간은 과거를 돌이켜보고, 그 반사경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현재의 한문학습에서 느끼는 곤란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하였던 교재들을 돌이켜 보는 것이다. 이런 위기의식과 위기 극복의 노력이 겹겹이 쌓여 갈 때, 한문학습의 새로운 역사가 전개될 것이다. 이 경우 한문학습의 역사는 결국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전통’에 근거하여 미래를 창조해가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문학습의 전통 안에서 사용되었던 초학교재는 교육의 근원적 자료로, 그 내용과 형식은 오늘날에 가져와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문학습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서, ‘전통교재’의 재해석, ‘전통교재’의 재평가, 혹은 ‘전통교재’의 한계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7,800원
        1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y us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conversation analysis, this study combines a grounded study of interactional linguistics focusing on L2 speakers' interactional competence in the use of Korean sentence-ending suffix -ketu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amined the use of -ketun in L1 Korean speakers’ conversation, this study analyzes data taken from different level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 interactions, with close attention to the learner's usage of the target suffix in formulating a dispreferred response.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the L2 advanced students' use of -ketun is much closer to that for L1 speakers in constituting a dispreferred response while claiming epistemic primacy. On the other hand, extremely low frequency in the use of -ketun is a distinctive linguistic-pragmatic features that characterizes use of -ketun by L2 speakers at lower levels of competence. The advanced students' diversification may be an indicator of their more adaptive, context-sensitive conduct, suggesting an increased interactional competence. Close scrutiny of the use of -ketun in this study aids to reveal whether and to what extent its interactional use by L2 speakers of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pproaches that of L1 speakers.
        8,700원
        1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국은 이미 1991년에 형사사법법을 통하여 알콜중독범 치료 프로그램을 민간에 위탁한 것을 시작으로 2003년의 형사사법법의 개정 및 2007년의 범죄인관리법, 2009년의 검시관 및 사법법등을 통하여 사회내처우의 강화 및 그 민영화 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왔다. 나아가 모든 사회내처우 프로그램을 2015년부터 민간에 개방한다는 방침으로 형사사법의 민영화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영국의 사회내처우 정책은 신자유주의적 경향으로 작은 정부와 공공행정의 민영화, 그리고 회복적 사법의 이념의 실현 등이 그 배경이다. 특히 최근 영국은 사회봉사의 작업 대상 선정에 지역사회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회내처우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징역집행정지 등을 도입하는 등 사회내처우를 확대함으로써 구금처우의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재범률을 낮추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아직까지는 보호관찰소가 주도적으로 사회내처우를 집행하고 있고, 사회내처우 대상자의 재범률 분석 등도 정교하지 못하여 구금처우와 비교할 때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영국의 사회내처우 정책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국의 관련 정책의 진단 및 그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내처우 및 구금형의 처우방식 및 적용대상을 재조정하는 등의 형사사법정책의 변화를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범죄자처우와 교정비용의 절감,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등 사회내처우가 가지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사회내처우의 민영화를 체계적으로 준비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봉사는 자신의 범죄에 대한 참회, 성행교정, 지역사회에의 봉사, 그리고 구성원으로서의 지역사회에서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기회부여 등의 목적을 살릴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들로 직접 봉사작업 신청을 받도록 하고, 봉사활동 동안 특별한 표식을 갖추도록 하여 범죄자가 지역사회에 대한 배상적 노동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토록 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내처우는 기본적으로 피해자에 대한 배상명령이 이행되는 것을 전제로 선고되어야 하며, 보호관찰 기간동안에도 그 이행여부를 지속적으로 감독함으로써 회복적 사법이념이 구현되도록 하여야 한다.
        6,400원
        17.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지식 영역’ ‘문장’ 부분을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살펴본 것이다. 교육과정 ‘문장’ 영역은 중학교 한문에 ‘문장의 기본 구조.’ ‘문장의 종류’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고, 고등학교 한문Ⅰ 에는 ‘문장의 구조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하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법.’의 3가지 성취기준이 있으며, 한문Ⅱ에 ‘문장 성분의 생략.’과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다. 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하여 중학교 한문에서는 ‘문장의 기본 구조’와 관련하여 2개의 성취기준, ‘문장의 종류’와 관련하여 1개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3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고, 고등학교 한문Ⅰ에서는 ’문장의 구조‘와 관련하 여 2가지, ‘문장 성분의 도치’와 관련하여 1가지, ‘문장의 수사’와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4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문Ⅱ에서는 ‘문장 성분의 생략’과 관련하여 4가지,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과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5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조사할 수 있다’ ‘말할 수 있다’ ‘설명할 수 있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성취수준의 단계를 설정하고, 각 성취 기준에 대하여 예시문항을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문항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8,400원
        18.
        2011.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online sentence production, working on the theory that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a language customize the speakers’ usual manner of sentence construction and utterance. It is reasoned that a contrast between English and Korean syntax has a direct bearing on that process: The sentential subject is licensed by a tensed verb in English, while it is by an overt morpheme in Korean. This gives rise to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speakers’ speech patterns: English speakers’ message formation and linguistic encoding center on a verb, while Korean speakers elect or utter a subject first and then draw a predicate. An experiment is conducted on the hypotheses that (a) English L1 speakers are disposed to make sentences based on verbal information, so they would choose a subject that is conceptually more intimate with a given verb; (b) In contrast, Korean L1 speakers’ sentence construction is topic-oriented, so they would first consider the contextual properties of each referent such as shared familiarity and previous topicality; (c) Korean speakers’ L1 patterns would be persistent in their L2 English processing. The results and some implications for English teaching are discussed.
        6,300원
        19.
        201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bi-fold. First it was to examine how the semantic prosody of eight lexical items that had a specific semantic prosody were presented and explained in the six English-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In addition, it was to investigate how those lexical items were used in university students’ sentence writings in relation to semantic proso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mantic prosodies of the lexical items were not adequately presented in the dictionaries in general and a number of inappropriate uses of lexical items in relation to semantic prosody were identified in the students’ sentence writings. It was suggested that EFL dictionary publishers should explicitly address the issue of semantic prosody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emantic preference and collocational behavior of a lexical item and they should be more cautious when presenting Korean translations/equivalents in the dictionaries. Along the same lin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EFL/ESL teachers should (a) recognize the value of semantic prosody in L2 communication; (b) avoid the vocabulary teaching practice of explaining the meaning of words by simply providing near synonyms; and (c) make the students more aware of the difference in semantic prosody between English lexical item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equivalents.
        5,500원
        20.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특성을 밝히 기 위해 중국의 한 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한자문화권의 생성과 변화를 서술하면서, 그 안에 중심하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한자문화권이라는 명칭의 문제와 더불어 근대 이후 생성된 한자문화 권을 신한자문화권, “Han-character Culture sphere”라는 용어를 새롭게 제안하 였다. 또한, 현재의 입장에서 한자와 한문교육의 의미를 각 국가만의 특수한 개별 교과라는 차원을 넘어 세계 한자문화권의 보편적이면서 기본적인 교양 교육으로 성장하기 위해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9가지를 제안하였다. 그 제안의 내용은 대부분 지금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한문교육이 보편 교양 과목으로 인식이 전환 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의 선정과 조직 뿐 아니라 관련 연구자들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중요성 인식을 통한 공동 연구와 교재 이용, 개발에 관한 것들이다.
        9,8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