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developed conductive inks composed of carbon black (CB) and silver nanowires (Ag NWs) for cost-effective screen-printing on fabrics. The Ag NW density within the CB matrix was precisely controlled, achieving tunable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minimal Ag NW usage. The resulting inks were successfully patterned into shapes such as square grids and circles on textile surfaces, demonstrating excellent conductivity and fidelity. Adding 19.9 wt% Ag NWs reduced sheet resistance by ~92% compared to CB-only inks,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and potential of this hybrid approach for cost-effective, high-performance textile-based electronics. The one-dimensional morphology of Ag NWs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conductive percolation networks, creating efficient electron pathways within the CB matrix even at low loadings. This work advances the field of CB-based conductive inks and provides a scalable and practical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patterned electronic textiles.
본 연구는 파크골프 용품을 구매하는 뉴실버세대들의 구매결정요인과 구매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세종, 충북에 거주하는 파크골프 용품 소비자 2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크골 프 용품 구매결정요인 중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구매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파크골프 용품 구 매결정요인 중 품질과 브랜드파워가 재구매에 영향을 미쳤고, 가격과 품질, 브랜드파워가 구전의도에 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매만족은 구매 후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파크골프 용품의 경우 하 나의 채를 이용하여 경기가 진행되므로 채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신중히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마케팅 주 체인 뉴실버세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용품을 생산한다면 구매한 용품에 대해 만족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재구매 및 구전을 하는 행동의도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층의 사회성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55세 이상 실버층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26.0을 이용하 여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t-test, 분산분석(One-way-ANOVA)과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 층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월평균 용돈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버 층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외모 관리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월평균 용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 째, 실버층의 사회성이 외모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 별, 연령, 사회성이 외모 관리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버층을 대상으로 사회적 성향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유형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에 적합한 외모 관 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뷰티 산업의 실버층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군산과 고성(경남)의 벼(Oryza sativa)와 무안과 화순의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로부터 2012년 9월과 2013년 3월 사이에 Chilo속(풀 명나방과)에 속한 월동유충들을 각각 채집하였다. 시토크롬 c 산화효소 1 유전자의 부분염기서열과 성충 생식기 형태에 근거하여 벼에서 채집된 유충 은 이화명나방[C. suppressalis (Walker, 1863)]으로, 물억새의 유충은 나도이화명나방[C. niponella (Thunberg, 1788) (synonym, C. hyrax Błeszyński, 1965)]으로 동정되었다. 다른 여러 지역에서 이화명나방 성페로몬트랩에 포획된 성충 중 종 동정에 적용된 개체들은 모두 대상종인 이화명나방으 로 동정되었다. 두 종은 말령태로 월동하였다. 월동유충들을 채집한 후 수원지방의 야외조건에 두었을 때, 5~6월에 용화하였고, 14~88%의 유충 생존 율을 보였다. 3월 중 고성(경남)에서 채집된 이화명나방 유충과 1월 말에 화순에서 채집된 나도이화명나방 유충들은 채집 당시 휴면이 종료되어 발육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종이 분리되지 않은 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실내집단의 갓부화 유충을 수원 야외에서 사육하였을 때, 6월 하순 부터 9월 사이에 발육을 시작하는 유충들이 월동유충이 생성되는 휴면에 유도되었다.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사육을 시작한 집단들로부터는 비월동태와 월동태 유충들이 같이 발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electrodeposited (ED) silver nanowires (AgNWs) networks as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TCEs) considering Cu(In,Ga)Se2 (CIGS) thin-film solar cells.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uniformly deposits silver onto a network of spin-coated AgNWs, resulting in the enlargement of individual nanowire diameters and the formation of stronger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AgNWs. This structural enhancement significantly improves bot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ED AgNW networks, making them more efficient and robust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solar cells. The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the ED AgNW networks, encompassing total and specular transmittance, transmission haze values, and sheet resistance, with varying durations of silver electrodeposition. Additio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density (J)-voltage (V) characteristics of CIGS thin-film solar cells employing the ED AgNW TCEs, revealing how electrodeposition duration impacts overall device performance. Thes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optimizing TCEs in not only thin-film solar cells but also in other optoelectronic devices,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improved long-term stability across various applications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Building step-scheme (S-scheme) heterojunctions has recently emerged as a highly effective approach for developing superior photocatalysts for water purification. Herein, a C3N5/ Ag3PO4 (CA) S-scheme heterojunction was prepared by in situ growth of Ag3PO4 nanoparticles on 2D C3N5 nanosheets. Notably, under visible-light irridiation, CA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in the photodegradation of LEVO, which is about 28.38, 2.41, and 2.14 times higher than the rates for C3N5, Ag3PO4, and the mixture, respectively. Based on the radical scavenging experiments, the mechanism for enhanced photocatalytic performance has been analyzed, is attributed to improved interfacial charge separation, the elevated redox potential of photon-generated electrons and holes, and the increased generation of active species resulting from the S-scheme transfer of photoinduced carriers. Additionally, CA demonstrates greater stability than either C3N5 or Ag3PO4 alone in the photo-oxidation of LEVO and the photodegradation of RhB. In essence, this study not only deepens our comprehension of the photocatalytic mechanism of CA, but also pioneers a novel concept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ective and stable S-type heterojunction photocatalysts.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가족 부양에 대한 의식의 변화, 독립적·경제력을 갖춘 시니어가 증가하면 서 실버타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도 실버타운 공급을 늘리기 위한 활성화 정책들 을 발표하였고, 보험업계와 금융업계, 건설업계 등 다양한 주체들이 실버타운 사업에 뛰어들면서 향후 실버타운의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버타운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내실 있는 민간부분의 산업이 형성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보다 안정적으로 시니어 하우징을 공급하고 있는 일본의 선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만의 한국형 실버타운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실버타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현 상황에서 일본 의 시니어 하우징의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의 실버타운의 발전방향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실버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파크골프가 지닌 재미요인이 심리적 행복감 및 행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2023년 9월 16일부터 12월 10일까지 충청권에 거주하는 뉴실버세대 총 255명을 분석하였다. 첫째, 재미요인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크골프 참 여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파크골프 참여자들은 재미 요소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을 느끼고, 차후 행동에도 관계가 있음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전과 다른 뉴실버인들의 행동을 범위를 파악하고,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 되는 시점임을 인지하여 생활체육으로서 활성화가 될 수 있는 방안제시 역시 강구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노인요양시설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 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충청, 강원을 비롯한 전국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 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42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 탕으로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타 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코칭 역량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과 사회적지지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단일요 인인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 해서는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를 요양보호사가 받아들이고 분별하여 판 단할 수 있도록 원장과의 수평적인 입장에서의 인간적, 업무적 관계 형성 등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인정받는 직접적인 방법들의 실천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분위기 및 환경을 조성하여 요양보호사가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 및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work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novel waste-derived carbon dots (CDs) conjugated with silver (Ag) nanohybrid system-bas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sensor for the detection of melamine. CDs and Ag nanoparticles served as energy donors and energy acceptors, respectively. CDs were synthesized from orange peel waste through a combined hydrothermal and ultra-sonication route. The synthesized CDs had hydroxyl, amino, and carboxyl groups on their surface, explaining that waste-derived CDs can act as reducing and stabilizing agents and showed strong absorption and fluorescence emission at 305 and 460 nm, respectively. The bandgap, linear refractive index, conduction band, and valance band potential of CDs were observed to be 2.86, 1.849, 1.14, and 4.002 eV,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luorescence properties at different pH (acid and alkaline) and ionic concentrations. Given their fluorescent nature, the synthesized CDs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melamine. The fluorescence of CDs was found to be quenched by Ag+ due to the FRET energy transfer between CDs to Ag. Notably, the zeta potential of Ag@CDs was changed from − 28.7 mV to − 30.6 mV after the incorporation of Ag+. Ag@CDs showed excellent selectivity and sensitivity toward the sensing of melamine in the aqueous solutions with the limit of detection ~ 0.85 μM. Increasing the melamine level also raises the FL intensity of Ag@CDs. The substrate was effectively used in the detection of melamine in milk as a real application and the recovery percentage was found to be 98.03%. Moreover, other adulterants such as urea and formaldehyde can be detected selectively by Ag@CDs. Overall, the synthesized Ag@CDs can be used as an efficient material for sensing applications involving such food adulterants.
Tritium is radioactive isotope, emitting beta ray, released as tritiated water from nuclear power plants. Due to the danger of radioactive isotope, the appropriate separation of tritium is essentially carried out for environment and safety. Further, it is also promising material for energy production and research. The tritiated water can be treated by diverse techniques such as water distillation, cryogenic distillation, Girdler-sulfide process, and catalytic exchange. After treatment, it is more desirable to convert as gas phase for storage, comparing to liquid phase. However, achieving complete separation of hydrogen gases with very simila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s significantly challenging.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ials with effective separation properties in gas separation. In this presentation, we present hydrogen isotope separation in the gas phase using modified mesoporous silica. Mesoporous silica is a form of silica that is characterized by its mesoporous structure possessing pores that range from 2 to 50 nm in diameter. This material can be functionalized to selectively capture and separate molecules having specific size and affinity. Here, the silver and copper incorporated mesoporous silica was synthesized to tailor a chemical affinity quantum sieving effect, thereby providing separation efficiency in D2/H2. The adsorption quantities of H2 and D2 were determined by sorption study, and the textural properties of each mesoporous silica were analyzed using N2 physisorption. The selectivity (D2/H2) in diverse feed composition (1:1, 1:9, and 1:99 of D2/H2) was estimated by applying ideal adsorbed solution theory to predict the loading of the gas mixture on bare, Ag- and Cu-mesoporous silica based on their sorption study. Further, the performance of each mesoporous silica was evaluated in the breakthrough adsorption under 1:1 mixture of D2 and H2 at 77 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actors that explain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mobile payment users in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CPM) theor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ive constructs of HBM influence mobile payment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privacy risk and perceived security. It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privacy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ivacy risk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informa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curity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study aims to explore older consumers’ insights by applying the netnography approach. The posts by corporate in their online community on Facebook were content analysed. Results reveal insight behaviours and classify corporate-generated content typologies, reflecting the motivation stages of older consumers to engage with the online community.
Many countries have used nuclear power to generate electricity. Uranium-235, which is used as fuel in nuclear power plants, produces many fission products. Among them, iodine-129 is problematic due to its long half-life (1.57×107 years) and high diffusivity in the environment. If it i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without any treatment, it could have a major impact on humans and ecosystems. Therefore, it must be treated into a stable form through capture and solidification. Iodine can be captured in the form of AgI through silver-loaded zeolite filters in off-gas treatment processes. However, AgI could be decomposed in the reducing atmosphere of groundwater, so it must be converted into a stable form. In this study, Al2O3, Bi2O3, PbO, V2O5, MoO3, or WO3 were added to the iodine solidification matrix, AgI-Ag2O-TeO2 glass. The glass precursors were mixed to the appropriate composition and placed in an alumina crucible. After heat treatment at 800°C for 1 hour, the melt was quenched in a carbon crucible. The leaching behavior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glass samples were evaluated. The PCT-A test for leaching evaluation showed that the normalized releases of all elements were below 2 g/m2, which satisfied the U.S. glass wasteform leaching regulations. Diff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hermal properties of all glass samples. The addition of MoO3 or WO3 to the AgI-Ag2O-TeO2 glass increas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while maintaining the glass stability. The similar relative electro-static filed values of MoO3, and WO3 which are approxibately three times that of the glass network former TeO2, could provide sufficient force to the TeO2 interacting with the non-bridging oxygen forming Te-O-M (M=V, Mo, W) links. The high electrostatic forces of Mo and W increased the glass network cohension and prevented the crystallization of the glass.
실버 페이스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처리로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 소자 응용분야에서 유용한 전극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 페이스트 전극에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하여 전극 표면을 처리 했다. 이 플라즈마 제트는 11.5 kHz 작동 주파수에서 5.5 ~ 6.5 kV의 고전압을 사용하여 아르곤 분 위기에서 생성되었다. 플라즈마 제트는 대기압에서 수행함으로써 인쇄 공정에 더 유용할 수 있다. 플라즈 마 처리시간, 인가된 전압, 가스유량에 따라 전극의 표면은 빠르게 친수성화 되었으며 접촉각의 변화가 관 찰되었다. 또한, 대면적 샘플에서 플라즈마 처리 후 접촉각의 편차가 없었는데, 이는 기판의 크기에 관계없 이 균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면적 전자소자의 제조 및 향후 응 용 분야에서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 파우더의 입자 크기, 즉 평균 입자 크기가 2㎛과 7㎛, 이렇게 2가지 실버 페이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 발된 실버 페이스트에 대해서 점도 및 점탄성, 경화후에 잔류용제 유무 확인을 위한 TGA측정, Strain에 따른 저항 변화 및 전극 표면 구조 변화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하면 Strain에 따른 저항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버 파우더의 입 자를 2㎛정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않고 UV경화가 가능한 나노 실버 페이스트를 개발하였다. 무용제(solvent-free) 타입으로 개발한 나노 실버 페이스트의 점도 및 점탄성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크린인쇄로 패턴을 인쇄한 후에 UV 경화로 전극도막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전극도막의 전도성, 연필경도, 접착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전극 도막 을 광 소결하여 전도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극도막의 경화특성은 TGA 및 FT-IR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 과를 정리하면 UV경화만 시켰을 경우에는 전도성, 접착력, 경화특성에 대해서는 Paste(3)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 나 광소결 후에는 Paste(1)이 가장 우수한 전도성을 얻을수있었다. 그 이유는 10nm 실버 파우더를 사용한 것이 소 결 특성이 가장 우수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