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71

        548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 (GRE), 염소산나트륨 (SC) 그리고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과 염소산나트륨 합제(GS)의 B. abortus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GRE, SC 그리고 GS를 B. abortus에 처리하여 배양한 후, B. abortus의 생존수를 확인하였으며, 마우스 탐식세포 내 감염된 B. abortus의 증식 억제효과를 경시별 (2, 24, 48시간)로 조사하였다. GRE, SC 그리고 GS는 각각 400 μg/mL 이하, 15 mM 그리고 0.6GS (GS 1, GRE 1,000 μg/mL + SC 30 mM)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B. abortus의 생존율은 용량-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GRE (400 μg/mL), SC (15 mM) 그리고 0.5GS (GRE 500 μg/mL + SC 15 mM)를 처리한 세포에서 배양 48시간 후에, B. abortus의 증식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GRE, p < 0.01; SC and 0.5GS, p < 0.001), 특히, GS를 처리한 경우, B. abortus의 세포내 증식이 GRE와 SC의 상승작용에 의한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GS는 B. abortus에 대한 항균물질로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식육과 우유 위생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48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 aeruginosa와 E. hirae을 대상으로 orthophenylphenol 20%를 함유한 훈증소독제, Fumagari OPP®의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비 시험에서, P. aeruginosa와 E. hirae의 현탁액 균수는 각각 2.8 × 108 와 3.6 × 108CFU/mL이었으며, 모든 훈증소독제에 노출시킨 담체의 균수는 모두 평판배지법과 여과법으로 배양한 시험균주 현탁액의 균수의 50%보다 많았다. 또한, 대조 담체로부터 회복된 P. aeruginosa와 E. hirae 균수는 각각 2.9 × 106와 2.7 × 106CFU/mL이었다. 훈증소독제의 살균효과 시험에서는, 훈증소독제를 처리한 담체의 P. aeruginosa 와 E. hirae의 감소 균수는 각각 6.46와 5.19 logCFU/mL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훈증소독제, Fumagari OPP®는 P. aeruginosa와 E. hirae에 대해 효과적인 살균력 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식품재료 및 주방용품의 소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48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3+ 및 Se을 첨가하여 수경 재배한 치커리 3종의 에탄 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액만으로 재배한 치커리보다 양액에 Se이나 Cr3+을 첨가한 치커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FRAP 환원능이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증가하였다. 특히 Se을 첨가한 치커리보다 Cr3+을 첨가한 치커리에서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r3+ 을 첨가한 CLER 및 CLE의 경우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커리 추출물의 수경재배 과정에서 양액에 Cr3+, Se의 첨가는 치커리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548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retail meat in Korea. A total of 157 samples of beef, pork, and chick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E. coli, Salmonella, Campylobacter. Resistances to tetracycline were declined in accord with reduced usage of tetracycline in live stock production. E. coli stains from chicken meat had higher multi-drug resistance ratio than strains from other meat. One extended spectrum beta lactamase (ESBL) producing E. coli and two ESBL producing Salmonella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ESBL producing Salmonella strains were confirmed to carry CTX-M-1 type genes.
        4,000원
        548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genic amine은 주로 단백질이 풍부한 전통장류 중 된 장과 간장에서 높게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식중독 사고를 보면 biogenic amine중 tyramine, histamine과 putrescine에 의한 보고가 있다. 전통장류의 biogenic amine 에 대한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장류 제조에 적합한 발효미생물 중에서 biogenic amine 비생성 및 분해하는 미생물을 선발하여 종균으로 적용한다면 biogenic amine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발효능력과 함께 유해균에 대해 강한 길항 능력을 지니며, biogenic amine 을 생산하지 않지만 높은 분해능력을 보이는 균주를 선발하여 장류제조 종균으로의 이용가능성을 실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선발된 장류발효균주를 종균으로 이용하여 메주 제조 및 청국장 제조 등에 이용한다면 biogenic amine과 Bacillus cereus를 안전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전통장류의 HACCP적용을 위한 HAZARD를 관리하는 우수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에는 단일 균종만 종균으로 사용할 경우 전통장류의 우수한 풍미를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균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혼합발효를 통해 제조한다면 풍미가 좋을 뿐만 아니라, 위생문제를 해결한 우수한 장류를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48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FCV 현탁액에 물리, 화학적 위생처리 후 복합효소처리라는 전처리과정을 적용한 뒤 real-time RTPCR법을 이용하여 살균효능을 분석하였다. RT-PCR 이전에 37oC에서 30분 동안 PK와 RNase A를 처리함으로써 UV, 열, 염소, 에탄올, 과초산계열 제품에 의해 불활성화 된 바이러스들은 음성 결과를 나타내었고, real-time RTPCR법을 통해 살균 효능을 정량분석한 결과, 복합효소처리를 했을 경우 무처리구보다 더 높은 살균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Nuanualsuwan S. 등11,18,29)의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PK와 RNase A로 전처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물리, 화학적 위생처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RT-PCR 법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Real-time PCR법 에 대한 검출 감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CV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 RT-PCR과 real-time RT-PCR 두 방법 중에서도 real-time RT-PCR법이 가장 신속하면서도 민감도 높은 결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유전자 분석 이전에 복합효소처리는 물리, 화학적 위생처리에 의해 불활성화 된 바이러스의 RNA가 transcription 또는 증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real-time RT-PCR법과 결합 됨으로써 노로바이러스를 비롯한 식중독 바이러스를 검출 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식품현 장에서 전기영동 과정없이 신속하게 살아있는 바이러스만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함으로써 식품안전에도 기여할 것으 로 사료된다.
        4,000원
        548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제조에 사용되는 formaldehyde와 phenol의 경우 식품에 이행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멜라민수지 조리기구 222 건에 대하여 formaldehyde와 phenol의 식품유사용매로의 이행량을 조사하였다. 멜라민수지 조리기구는 컵(14), 공기(75), 접시(85), 숟가락(10), 젓가락(4), 식판(8), 주걱(4), 뒤지게(9) 및 국자(12)등을 수거하였다. 식품유사용매로는 물, 4% 초산, 20% 에탄올, n-헵탄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멜라민수지 기구 및 용기·포장 중 formaldehyde와 phenol의 용출기준은 각각 4 mg/L, 5 mg/L 이며, 수거된 222건 멜라 민수지 조리기구 모두 기준·규격에 적합하였다. 멜라민 수지 조리기구 중 formaldehyde와 phenol의 이행량은 각각 N.D~2,949 μg/L, N.D~78 μg/L이었다. 위 분석결과는 멜라민수지 기구 및 용기·포장의 안전관리의 과학적 근거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48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중에 유통 중인 샐러드와 김밥을 각각 100종 수거하 여 B. cereus 함량을 정량분석하였다. 샐러드는 불검출이 54종이었으며 10 CFU/g 이하가 8종, 100 CFU/g 이하가 25 종, 1,000 CFU/g 이하가 11종이었으며 1,000 CFU/g 이상인 것이 2종이었다. 샐러드의 대한 모니터링 결과 평균은 1.18 log CFU/g 이었으며 표준편차는 0.71 log CFU/g이었다. 김밥에서는 100개의 검체중 20개의 검체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으며 평균은 1.01 log CFU/g 이었으며 표준편차는 0.71 log CFU/g이었다.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통계적 검체채취 방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검체채취 방법은 국제미생물위원회에서 제공하는 검체채취프로그램인 NEW sampleplan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검체갯수를 고정한 후 미생물 기준인 m과 M, 그리고 허용한계값인 c 값을 변화 하면서 산출되는 합격률이 0.95에 가장 근사한 값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샐러드, 김밥에서의 가장 적합한 검체채취 기준은 3분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n = 5, c = 0, m = 1,000, M = 10,000과 n = 5, c = 2, m = 100, M = 1,000의 기준이 설정되었다. 특히 후자에 서술된 기준은 현재 뉴질랜드에서 즉석섭취식품에서의 B. cereus에 대한 규격으로 사용하고 있어 국제적인 경향에도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48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외국의식중독균별저감화사례를조사, 비교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식중독균 저감화 매뉴얼을 작성하며 저감화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 자료 확보를 목적 으로 수행하였다. 선진 외국(미국, 덴마크, 일본)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의 현황 및 사례조사에는 인터넷 자료, 관련 기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미국의 신선농산물에서 미생 물학적 위험요소 저감화(FDA), 미국 분쇄쇠고기에서 E. coli O157:H7의 저감화(USDA), 덴마크의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저감화, 일본의 어패류에서 장염비 브리오 저감화 프로그램을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국가의 저감 프로그램의 배경, 전략, 효과를 조사하고 장단점 분석을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제외 국 정책 사례 연구와 국제기구 CODEX의 위해관리 체계 를 결합하고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식중독 저감화 관리 매뉴얼로 저감 프로그램에 관한 일반 모델을 다음 순서로 제시하였다: 1) 위해관리 초기판단, 2) 식중독 저감화 프 로그램 계획, 3) 대안 확인 및 선택, 4) 대안 실행(이해당 사자별 역할 설정 및 대안 방법 적용), 5) 감시 활동, 6) 중간 재검토, 7) 목적 달성 때까지 대안 실행 지속적 실시 (만일 대안이 효과가 없으면 대안을 대체하거나 수정하여 식중독 저감화 목표 달성 시까지 실시), 8) 최종 평가에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필요시 비용 편익 분석 실시.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관한 시사점 및 식품안전의 이해당사자별 역할별로 도출된 식 중독 저감화 정책 모델 및 매뉴얼은 미생물학적 위해관리를 수행하는데 향후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549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 텃밭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대부분은 식탁에 바로 오르는 채소류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나 아직 이에 대한 자료가 없다. 본 연구는 도시 텃밭에서 재배되는 채소류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 보하기 위하여, 2012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서울시내 11 곳의 도시텃밭에서 채취한 9종 채소류(배추, 상추, 무잎, 시금치, 겨자잎, 쑥갓, 파, 양배추와 치커리) 530 표본을 대상으로 총호기성균(일반세균), 대장균/대장균군,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H7 오염 수준을 정량적으로 혹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사한 농산물에 존재하는 총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의 평균 수는 각각 6.3 log CFU/g (범위, 3.8-8.1 log CFU/g) 및 4.3 log CFU/g (범위, 2.1-6.4 log CFU/g) 이었다.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67%에서 발견되었다. 치커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총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되었고, 부추에서 가장 적은 수의 대장균군 오염을 보였다. 대장균은 전체 채소류의 2.3%에서 발견되었으나, 농산물별로는 상추, 무잎, 갓과 치커리에서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조사한 농 산물에서 식중독 유발 세균인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서울시내 도시텃밭에서 재배되는 채소류에서 식중독 유발 세균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재배 과정중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4,000원
        549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of Cheonggukjang for soybean cultivars during fermentation. Cheonggukjang of 14 cultivars that were inoculated with Bacillus subtilis 15893 was produced, and, then, it was measured for hardness, proximate composition, amino nitrogen, enzyme activity, and total aerobic bacteria counts. In a raw bean, the highest hardness value was 16,975 g from Sunyu. In a steaming bean, Jangwon had the highest hardness value and the lowest aerobic bacteria counts of forty-eight hours fermented Cheonggukjang. Saedanbaek, whose protein contents was highest in raw bean, was also highest in Cheonggukjang.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twenty-four hours fermented Cheonggukjang was highest in Saeol and Sunyu while forty-eight hours fermented Cheonggukjang was highest in Singi, Daol, and Milyang 231. In the protease activity, Saedanbaek had the highest and total aerobic bacteria count that were either increased or held as time went on ; twenty-four hours fermented Cheonggukjang was highest in Milyang 231 and Keunol while forty-eight hours fermented Cheonggukjang was highest in Chunsang.
        4,000원
        549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foods have the strengths to addresssome of the health problems of modern man. To assess the properties of Korean noodles, daily value %, DVS, DDS and energy density were compared between many kinds of noodles from around the world. Using a variety of reference materials, a nutritional database of noodles was built for this study. For carbohydrate, lipid, vitamin A, vitamin K, vitamin C, niacin, zinc, and copper, the daily values % of western nood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lso, the serving size of Korean noodles was significantly small. Comparing the average energy density of the noodles, they showed 1.87±0.93 kcal/g (Korean noodles), 2.42±1.08 kcal/g (western noodles) and 1.84±0.84 kcal/g (other noodles). The dietary fiber,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 of the nood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Neither DVS nor D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orean noodles, the GMDFV pattern showed a diverse choice of food groups. Korean noodles show a lower energy density, and the small serving size to have favorable for the prevention of obesity. Thus, Korean noodles are an excellent choice in terms of diversity and energy density.
        4,000원
        549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nicotine 분해에 효과에 대하여 해양식물 유래의 후코이단을 이용하여 시험관에서 직접 혼합법 및 세포주 시험에서 nicotine의 cotinine으로의 전환능을 측정하였다. 직접 혼합법 시험결과, 후코이단 1 μg/mL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nicotine의 cotinine으로의 전환 정도가 대조군 대비 증가하여 시험 종료 시점에서 15배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세포주을 이용한 nicotine의 분해능 시험 결과, 시험 종료 시점에서 대조군 대비 6배의 cotinine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녹차 추출물 대비 nicotine 분해능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후코이단의 항산화능은 녹차 추출물과 대비하여 낮았으며, 항산화 주요 기능을 갖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역시 낮았다. 본 시험 결과가 나타내는 바는 후코이단의 nicotine의 cotinine으로의 전환능에 대한 입증을 하였으며 이는 금연 보조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 사료된다.
        4,000원
        549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3, o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factors of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Virginia, USA(89 male and female adults of 20 years of age or above). For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obesity, a survey was used and the subjects provided with their heights and weights. The researcher used this data to calculated their BMI and distinguished the degrees of obesity. For the BMI, the obesity diagnosis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was used for Koreans, and the WHO's obesity diagnosis on adults were employed for Americans. First, regarding the Korean participants, the level of obesity appeared in the order of normal (79.6%), overweight (14.3%), and underweight (6.1%). Also, the level of perceptions of their health conditions appeared in the order of average (51.7%) and good (34.7%). No one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in poor condition. Meanwhile, for the American participants, the order was as follows: overweight at about 45%, normal weight at about 35%, obesity at about 12.5%, and underweight at about 7.5%.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health during ordinary times, about 55% of the Americ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in good health. Therefore, the Americans were found to perceive their health to be in relatively better condition than the Koreans residing in the USA. Also, concerning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while eating food at ordinary times, the American participants were discovered to be more interested (about 62.5%) than the Korean participants. The research on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was conducted 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an item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feeling.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salty taste, both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the USA responded as moderate. However, a higher proportion of Americans than Koreans responded to favor salty taste. Concerning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Koreans responded with various reasons whereas Americans mostly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eat salty food frequently. For any changes i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eating salty food, both Korean and American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amount of their daily intake of salt is appropriate and that they consider taste as most important in selecting a snack. Based on the abov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a need for actual improvement in the diet with regard to salty food along with diverse policies for promoting life with a low salt diet in future.
        4,000원
        549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and olive oil in the preparation of sausag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estimating the response surface, which demonstrated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Alaska Pollack and olive oil. The physical,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est materials were measured.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the following properties: dough sweetness (p<0.05); sausage L (p<0.05), a (p<0.001), and b (p<0.01); hardness (p<0.01), chewiness (p<0.05), and gumminess (p<0.01). Also, the sensory measurem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lor (p<0.05), flavor (p<0.01), taste (p<0.001), tenderness (p<0.05), chewiness (p<0.01), mositness (p<0.05), and overall quality (p<0.01).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Alaska Pollack 35.74 g and olive oil 7 g.
        4,000원
        549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곤약 가공을 위한 응고제와 침지액을 선정하고, 침지액 농도에 따른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응고제 종류에 따른 곤약의 응고시간별 물성 변화는 응고액의 종류에 관계없이 응고시간이 진행될수록 경도, 검성 및 씹힘성이 증가하였다. 응고제 종류에 따른 곤약의 무기질 함량은 응고제가 Ca(OH)2일 경우, NaOH를 이용한 곤약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Ca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응고제가 NaOH일 경우에는 Ca(OH)2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Na 함량을 나타내었다. Mg와 P의 경우에는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색, 향,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곤약의 제조과정 중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을 접종하여 Ca(OH)2 농도에 따른 항균 활성을 본 결과, 1.0×10-4 N 용액에 저장한 곤약이 가장 항균 활성이 적었으며, 1.0×10-2 N 농도가 가장 항균 활성이 높았다. 즉, 응고액의 농도에 비례하여 균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 공정 별 미생물 변화는 구약감자 분말을 입고하여 저장시켰을 때 미생물 수가 약간 증가하지만, 그 이후 공정부터는 미생물 수가 급격하게 감소되며, 성형 이후부터는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5497.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김치 제조 후 익힘 시간 및 김치 냉장고 저장 기간에 따른 김치의 위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저장 30일 김치 시료 기준으로 익힘 과정을 거치지 않은 S0h 시료에 비하여 46시간의 익힘 과정을 거친 S46h 시료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어서 S47h, S48h 시료의 효능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S0h 경우는 상대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이 가장 약하였다. 이는 적정 발효에 따른 발효 대사산물, 그리고 유산균 속 및 종 변화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며, 항암 효능 보유물질로 알려진 GABA의 농도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해 주고 있다. 김치는 다양한 재료 유래의 기능성 물질, 대사산물 및 유산균을 보유하고 있는 발효식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치제조 후 최적의 숙성 시간과 저장 기간을 선택하면 항암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해 주고 있다.
        4,000원
        549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by Phellinus linteus repeated thrice (3rd FGP)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 non-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NFGP), and onc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500 and 1,000 ppm.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rd FGP was similar to that of BHA at a dose of 1,000 ppm. Moreov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3rd FGP increased compared to NFGP and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31.25 ppm.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Ergothioneine content was increased more than 8 times in the 1st FGP, 3 times in the 3rd FGP, respectively than NFGP.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contents of G. elata Blume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number.
        4,000원
        549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red pepper extracts on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Korean red pepper extracts were added to chocolate at weight percentages of 0, 2, 4, and 6%. The sensory characteristics made with various Korean red pepper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s were measured as follows: color values (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phenol, total capsaicinoid, total carotenoid,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p<0.01) were shown in taste, sp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pepper extrac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aroma and bitterness for chocolate.
        4,000원
        550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X106N은 용안육, 맥문동, 단삼 및 천마 등의 4가지 식물로 구성된 추출물로서, 선행 연구에서 amyloid β peptide에 의한 생쥐의 기억력 저하 및 산화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HX106N이 비선택적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로 잘 알려진 스코폴라민(scopolamine)으로 유도한 콜린성 건망증(cholinergic amnesia)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ICR 생쥐에게 스코폴라민(1 mg/kg body weight, i.p.)을 주입하기 1시간 전에 HX106N(100 mg/kg body weight, p.o.)을 투여하였다. 30분 후 수행한 Y-미로 시험(Y-maze test) 및 수동 회피 시험(passive avoidance test)에서 HX106N는 스코폴라민에 의해 감소되는 자발적 변경 행동(spontaneous alternation) 및 지체시간(step-through latency)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여 건망증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X106N을 투약 1시간 후 생쥐의 해마와 대뇌피질 부위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활성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할 때 HX106N은 AD에서 관찰되는 콜린성신경전달 장애로 인한 기억력 저하 억제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