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10

        64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cipex II has been widely used for root canal irrigation in endodontic treatment. It is a product of calcium oxide-based water soluble paste containing fine granular resin materials1). It was known that these granular materials were hardly dissolved in tissue and subsequently elicited foreign body granuloma by recruiting macrophages. Sometimes serious complications involving regional osteomyelitis and maxillary sinusitis were followed in long time after the endodontic treatment using Calcipex II materials2,3). And then the removed surgical specimen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to detect whether there exists Calcipex II material-related foreign body reaction or not. As the fine granular materials are too small in size, about 1 μm in diameter, and slightly translucen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fine granular materials scattered throughout the granulomatous lesion even in the high magnification view. Here, we firstly found that the fine granular materials of Calcipex II showed bright birefringence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and that the Calcipex II granules dispersed in chronic granulomatous lesion could be easily detected by their bright birefringenc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case of peri-implantitis involved with Calcipex II granule-related periapical granuloma, exhibiting numerous bright birefringence spots in the polarizing microscope observation.
        4,000원
        64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ed on manganese (Mn(II)) removal by potassium permanganate (KMnO4) in surface water. The effects of bicarbonate on Mn(II) indicated that bicarbonate could remove Mn(II), but it was not effectively. When 0.5 mg/L of Mn(II) was dissolved in tap water, the addition of KMnO4 as much as KMnO4 to Mn(II) ratio is 0.67 satisfied the drinking water regulation for Mn (i.e. 0.05 mg/L), and the main mechanism was oxid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me Mn(II) concentration was dissolved in surface water, the addition of KMnO4, which was the molar ratio of KMnO4/Mn(II) ranged 0.67 to 0.84 was needed for the regulation satisfaction, and the dominant mechanisms were both oxidation and adsorption. Unlike Mn(II) in tap water, the increasing the reaction time increased Mn(II) removal when KMnO4 was overdosed. Finally,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removals of 0.5 - 2.0 mg/L Mn(II) in surface water were both KMnO4 to Mn(II) ratio is 0.67 - 0.84 and the reaction time of 15 min. Thi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KMnO4 was the one of convenient and effective methods to remove Mn(II).
        4,000원
        645.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외식 산업 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은 치열한 경 쟁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시장에 대한 환경 분석 및 고객의 요구 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인적 상호작용 이 많은 외식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편식 으로 다양한 소비자들이게 소비되고 있는 만두 전문점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유무형 상품 속성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조 사하고,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실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 3일부터 2013년 7월 2일까 지 30일간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 였고 총 540부 중 500부(92.6%)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 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형적 상품인 메뉴는 감각적 요인, 건강 요인, 위생 요인, 외적 요인 4가지로 요인이 추출되었고. 무 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속성은 응대 요인, 촉진 요인, 포장 요인, 시각적 요인, 공간적 요인 5가지로 요인이 추출되었다. 메뉴 및 서비스의 속성의 요인분석 결과 모두 선행 연구와 유사하였고 메뉴와 서비스 속성은 메뉴의 종류 및 운영형태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상품 속성으로 요 인화 됨을 알 수 있었다. 유무형 상품의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대 응표본 t-검정으로 살펴본 결과 메뉴의 중요도 평균은 5.21, 성취도 평균은 4.89이며, 21가지 품질 항목 중 5개를 제외한 항목에서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1)가 있 었다. 무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중요도 평균은 5.22, 성취도 평균은 4.77로 30개 항목 중 1개 항목을 제외하고 중요도, 성취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유무형 상품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메뉴의 감 각적 요인, 위생 요인은 (1) 사분면(유지)에 포함되었고, 건 강 요인은 (3) 사분면(저순위), 외적 요인은 (2) 사분면(과잉), (3) 사분면(저순위)에 위치해 있었다. 메뉴 속성별 중요도-성 취도 차이 정도를 살펴본 결과 현재 I.사분면(유지)에 위치해 있는 많은 속성들의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현재 메뉴의 속성이 (1) 사분면 (유지)에 속했다 할지라도 단순 유지가 아닌 개선이 함께 진 행되어야 하겠다. 무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경우 응대 요인과 시각적 요인은 대부분 (1) 사분면(유지)에 포함되었으며, 촉 진요인은 모두 (2) 사분면(저순위), 포장요인과 공간적 요인 은 다양하게 배치되었다. 다만 종업원들의 친절도, 매장 내 섭취, 대기 장소 품질 항목은 (4) 사분면(집중)에 위치한 만 큼 신속한 문제 해결이 추진되어야 하겠다. 메뉴의 IPA 분석 결과와 같이 서비스도 현재 (1) 사분면(유지)에 위치된 많은 속성들이 중요도, 성취도간의 차이 크므로 현재 수준의 유지 가 아닌 개선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들이 인지하는 유무형 외식 상품의 속 성을 IPA로 분석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상품 속성과 과잉으로 투자되는 속성을 시각 적으로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히 IPA 좌표에 나타난 속성만을 분석하지 않고 속성별 중요도 성취도 간의 차이 정도를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 기에 한정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유무형 상 품을 동시에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후 외식업에서 실질적인 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외식 만두 전문점 이용 고객들을 대상 으로 한정적인 연구를 수행되었기에 동일한 아이템을 주력 상품으로 판매한다 하더라도 업체별 운영방식이 상이하고, 주요 고객 및 입지가 상이하여 고객들의 요구는 다를 수 있 다는 점이 연구 결과에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 다 양한 타입별(프랜차이즈, 일반매장 등) 추가 조사가 필요하 며,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를 현장에 적용한다면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과 매출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
        4,300원
        646.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서해대교, 인천대교와 같은 장대교량은 대부분 빈번하게 태풍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해안에 위치하였으며, 교량의 길이가 긴 만큼 풍하중에 의한 영향이 다른 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내풍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확한 설계풍속을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 인자로 중심기압깊이, 태풍이동속도, 태풍이동방향, 최단접근거리를 결정하였으며,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들의 확률 분포를 추정하고, 바람장 모형과 중심기압상승 모형을 적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체적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의 재현기간 풍속이 크게 나오며 고위도로 갈수록 작아지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특징이 나타난 가장 큰 원인은 고위도 분석지점 표본 태풍의 중심기압이 저위도 분석지점 표본 태풍의 중심기압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리나라에 해상에서 육지로 이동하면서 쇠퇴기를 겪어 점차 약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로교 설계기준 100년 재현기간 풍속(10분 평균, 지상 10m, 지표조도 II)과 비교한 결과, 태풍시뮬레이션의 결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을 볼 때 도로교 설계기준의 기본 풍속이 높게 산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기상자료 분석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기본풍속 조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7.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al fruit blotch(BFB) of cucurbits caused by Acidovorax citrulli(Acc) continues to diminish fruit yiel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whether two genetically distinct populations of Acc are present in watermelon-growing field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polymerase chain reaction(ERIC-PCR) profiling and substrate-utilization profi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RIC-PCR, group I and II strains showed clearly differentiated PCR-based fingerprinting profiles. Differences between group I and II strains included amplification of unique, group-specific DNA fragments such as the 1.3-, 0.28-, and 0.25-kb fragments in ERIC-PCR. Acc stains belonging to group I did not use L-leucine, whereas group II strains did use the substrate. Our results support the genetic differentiation of Acc strains into two groups and demonstrate that Acc strains from both groups are previously existed in watermelon-growing fields in Korea. Information about the genetic diversity of Acc under the present study will help scientists and managers form strategies to control BFB.
        4,000원
        648.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반하[大半夏: Pinellia tripartita(Blume) Schott]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중국, 일본,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꽃과 전초가 아름다워 최근 원예용으로도 많이 이용 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대량번식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된 대 반하 기내 식물의 토양조성별 괴경 생육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기내 증식된 대반하 괴경의 크기에 따 라 직경이 1cm 이상인 경우 TypeⅠ, 1cm 이하를 TypeⅡ로 나누어 6종의 조합상토에 파종하여 괴경의 비대와 생육을 조사하였다. 괴경의 비대와 전초의 생육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장, 잎 수, 마른 잎 수, 괴경 수, 괴경 크기, 생체중 및 건물중을 8주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 Type I와 II 모두 코이어 68.0%, 피트모스 14.7%, 펄라이트 3.0%, 버미큘라이트 7.0% 및 제오라이트 7.0%로 구성된 조합상토 B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특히 TypeⅠ은 조합상토 B에서 괴경 크기와 생체중이 각각 45%와 101%를 보였으며, 이는 생육이 가장 좋지 못했던 처리구인 조합상토 E(코이어 14.3%, 피트모스 14.3%, 펄라이트 42.9%, 버미큘라이트 14.3% 및 제오라이트 14.3%)와 약 2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종자번식이 어려운 대반하의 기내 대량증식을 통한 육묘에 있어 안정적인 토양 순화와 대규모 배양묘 생산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64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대형 개발 사업에 노출되어 있는 수도권 서부의 습지 주변 6개 비오톱에 서식하는 육상곤충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5년 까지 총 11년간 장기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시흥시 및 화성시 일대였으며, 습지 주변 비오톱 6곳을 지정하여 조사지역으로 선택하였다. 조사시기는 4, 6, 8, 10의 2개월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였으며, 매회 스위핑법(sweeping)을 활용한 주간조사를 하였고, 6월 조사에서는 1개 지점에서 유아등과 스크린을 이용한 야간채집을 함께 수행하였다. 2005년 총 10목 76과 255종 출현을 시작으로, 2006년 10목 83과 273종, 2007년 13목 86과 282종, 2008년 13목 110과 354종, 2009년 12목 107과 338종, 2010년 10목 97과 295종, 2011년 12목 106과 337종, 2012년 11목 75과 220종, 2013년 9목 85과 232종, 2014년 조사결과 총 10목 101과 314종, 2015년 조사결과 총 11목 99과 361종이 출현하였다. 2005년부터 연도별 출현종수를 비교하면 2005년 10목 76과 255종으로 시작해서, 2008년 13목 110과 354종으로 최대종수를 기록하였고, 이후 감소추세가 이어져 왔으나, 14년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기후변화 및 생물군집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65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d-spotted Apollo Butterfly (Parnassius bremeri ) is member of Snow Apollo Butterfly in Genus Parnassius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the most endangered insect around the world and recorded i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Animals and Appendix II in CITES. The lack of distributional information of Parnassius bremeri is one of the main problems when trying to assess the threats to and planning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is endangered species. The pheromone method made it easier to detect local populations of the species, not to disturb the habitat and can be used by providing a useful tool for conservation research. Sampling by breeding captivity in 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HECRI) was used. Each of 3 individuals male, mated and unmated female, end of the abdomen tissue and abdominal tissue containing the sphragis were cut. The pheromone was extracted as method presented by Hernández-Roldán et al. (2014). Among pheromone fatty alcohol to the (Z, Z, Z) -9,12,15-octadecatrien-1-ol and Eicosane classified as hydrocarbon of unmated female was detected higher rate than mated female. Two pheromone can be helpful to attract males in potential population.
        65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남생이(Mauremys reecesii)는 파충강(Reptilia) 거북목 (Testudines) 남생이과(Geoemydidae)에 속하며, 오염되지 않은 일부 하천, 강이나 호수 등 유속이 느린 담수에 서식한 다.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도서지방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며, 국외에는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경제개발 위주의 사회변화에 따른 극심한 환경오염, 인간에 의한 생태계 파괴, 남획,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소실 등의 이유로 남생이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천연기념 물 제 453호와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 어 보호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의 적색목록에 등재되었고, CITE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의 부속서 III에 포함되어 국제거래를 규제하고 있지만, 아직도 불법적으로 거래가 많 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남생이의 분포현황 및 서식처 복원 등 남생이의 증식・복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 들이 진행되었고, 교잡종, 종 식별, 계통진화학적 기원 등 분 자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에 서식 하는 남생이 집단과 중국 남생이 집단과의 분자유전학적 연 관성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예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남생이 미토콘드리아 DNA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b(CYTB) 유전자를 이용하여 한국 남생이 집단 과 중국 남생이 집단의 mtDNA 다형성과 계통구조를 비교 하고, 동아시아 집단들과의 계통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남생이의 꼬리, 등갑, 혈액 등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였고, CYTB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남 생이 집단의 계통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 해외에 서 보고된 남생이의 CYTB 서열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한국 남생이 집단(n=47)의 haplotype을 분석한 결과, 총 6가지 haplotype (Kor01-Kor06)으로 구분되었고, 대부분 Kor01 (n=19)과 Kor03 (n=23) haplotype에 포함되었다. 중국 남 생이 집단(n=40)도 6가지 haplotype (Chi01- Chi06)으로 나 뉘며, 30개체의 CYTB 서열이 Chi01에서 발견되었다. 한국 과 중국의 남생이들을 모두 함께 분석한 결과에서 CYTB 유전자 서열(n=87)은 7가지 haplotype (KChi01-KChi07) 으로 구분되었고, KChi01 (n=53)과 KChi03 (n=23)에서 많 은 개체들이 포함되었다. 동아시아 남생이의 CYTB 유전자 서열(n=226) 전체는 총 6가지 hapotype (Hap01-Hap06)으 로 구분되었다. 한국, 중국, 일본의 남생이 집단에서는 각각 4개의 haplotype이 있었으며, 대만 집단에서는 3개의 haplotype이 확인되었다. 중국 남생이 집단은 Hap01, Hap02, Hap04, Hap05에 포함되었고, Hap01이 85.0% (n=34)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한국 남생이 집단은 Hap01, Hap03, Hap04, Hap05에 포함되었고, Hap03에서 51.0% (n=24)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CYTB 서열들 간의 유전적 거리지수는 0.0009-0.0212 사이 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에서 발견 된 6가지 haplotype 중에서 한국 남생이의 CYTB 서열만으 로 구성된 haplotype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한국의 남생 이가 다수 포함된 Hap03에서 중국 남생이의 CYTB 서열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점은 한국 집단과 중국 집단이 지리적 으로 격리되어 진화한 결과로 추정되며, 현생 남생이에 대 한 한국 고유 집단과 중국 고유 집단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에서 발견 된 mtDNA CYTB 서열의 haplotype들과 근연종의 CYTB 서열의 NJ tree 분지 양상에서,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6개 의 haplotype들은 Hap04와 Hap05를 포함하는 하나의 cluster(A1)와 Hap01, Hap02, Hap03, Hap06을 포함하는 또 다른 cluster (A2)로 구분되었다. A2 cluster는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대부분의 서열(n=215)을 포함하여 95.1%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haplotype의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국가별 남생이들이 서로 혼재 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각 국가별로 다수의 서열을 포함하 는 haplotype은 서로 구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남생이 집단의 6개의 haplotype들은 계통수 상에서 모두 단계통적 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하나의 선조집단에서 진화 한 집단들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이동과 지리적인 격리 이 후 지역 내 진화과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현재 한국의 남생이 집단은 우리나라 고유집단으로 추정되 는 것과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이 공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의 mtDNA CYTB 유전자 서열을 토대로 유전적 다양성 및 계 통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아시아 남생이 집단은 진화과 정을 통해 유전적으로 모계가 다양한 개체가 서식하고 있다 고 판단된다. 비록 분석에 이용한 서열이 일부 지역에 편중 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유전자 서열과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유연관계는 향후 남생이의 보존 및 유전적 특성을 이용한 모계 분석 등에 유용한 정보 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된다. 다양한 서식지에서 수집된 충 분한 수의 남생이를 대상으로 mtDNA의 다른 유전자 서열 이나 핵 DNA marker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 진다면,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 남생이의 모계 유전 및 계통 유연관계를 보다 명확히 해석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652.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SCC is currently the most common malignancy of the head and neck, affecting tens of thousands of patients per year worldwide. Natural flavonoids from plants are potential sources for novel anti-cancer drugs. Icariin is the active ingredient of flavonol glycoside, which is derived from the medical plant Herba Epimedii. A metabolite of icariin, icariside II exhibits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ons, including anti-rheumatic, anti-depressant, cardiovascular protective, and immunomodulatory functions. However, the exact mechanism causing the apoptosis-inducing effect of icariside II in OSCC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anti-cancer effect of icariside II in OSCC cell lines by measuring its effect on cell viability, cell proliferation, and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 (MMP). Icariside II treatment of OSCC cells result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Hoechst staining indicated apoptosis in icariside II-treated HSC cells. Icariside II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HSC cells, with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present parameters in HSC-4 cells. The results clearly suggested that icariside II induced apoptosis via activation of intrinsic pathways and caspase cascades in HSC-4 cell lines. The collectiv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cariside II is a potential treatment for OSCC; in addition, the data coul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novel anti-cancer strategy.
        4,000원
        65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조달에 있어 하도급에 관한 부당·위법한 행태들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EU의 정부조달법제 속에서 하도급 공정화에 관한 규정과 그 제도적 의의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 우리 법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언에서는 우리 나라 정부조달에 관한 의의와 그에 비례하여 자주 발생하는 하도급 불공 정의 실태를 살피고, 연구의 기본 방향을 개관하였다. Chapter II에서는 EU 정부조달법상 기본원리와 전체 EU 차원의 체계를 살피고, EU 정부 조달규정과 WTO 하의 GPA와의 관계를 개관하였다. Chapter III에서는 EU 정부조달법의 세 기둥이 되는 2004/18/EG, 2004/17/EG 그리고 이 들의 권리구제에 관한 지침(2007/66/EG)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Chapter IV에서는 이들 세 개의 지침상 하도급으로 인한 위법·부당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제도적 내용들을 분석하고, 마지막 Chapter에서 는 각 Chapter의 핵심을 요약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주요 내용 은 Chapter IV에서 제시되었는데, 첫째 EU법에서는 공적인 손(공공발주 자)이 낙찰자와 하도급자 간의 사법적 하도급 법률관계에 개입하여 양자 간의 불공정 관계를 예방 내지 시정한다는 점이다. 둘째, 낙찰자가 하도 급을 할 의도가 있는 경우, 공공발주자와 체결하는 계약서에 하도급의 비율을 명기하고, 그 이외 부분에 대해서는 낙찰자가 직접시공하는 방식 을 취한다는 것이다.
        654.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성 췌장염은 중증도가 높은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2012년 개정된 아틀란타 분류법에 의하면 경증, 중등증, 중증 급성 췌장염으로 분류되며, 중증 급성 췌장염의 임상경과는 초기 및 후기로 구분될 수 있다. 췌장염 으로 인한 사망은 대부분 입원 후 7-14일 이내에 발생하며 급격하게 장기부전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특히 입원시 높은 APACHE II 점수를 가지는 중증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초기 에 48시간 이상 장기부전이 지속되는 경우 사망률이 더 높다. 따라서 중증 급성 췌장염으로 진행하거나 위험도가 높은 환자를 선별하는 것은 치료에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점수 체계를 이용한 예측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장단점 을 내포하고 있다.
        4,000원
        65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energetics has been defined as the biology of energy transformations and energy exchanges within and between living organisms and their environment; this field now includes the concept of bioenergetic medicine, e.g., therapeutic approaches involving biophotons. QELBY® powder is a patented quantum energy-radiating material (patent No. 10-1172018), to be precise, a biologically active silicon dioxide-containing mineral powder that radiates reductive energy in infrared wavelength. In this study, we examined possible biological effects of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on various mammalian cell lines derived from macrophagic (MØ) and nonmacrophagic cells, including Raw 264.7 (mouse-derived MØ cell line), HD11 (chicken-derived MØ cell line), and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 line). Our comparison among the cells with and without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showed that this indirect contact significantly (i) increased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up to 1.36-fold) regardless of the cell type (p < 0.05), (ii) decreased the intracellular concentration of ATP in HeLa cells but not in the MØ-derived cells (p < 0.05), and (iii) protected DNA from damage during oxidative stress according to a standard comet assay (single-cell alkaline gel electrophore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mply that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can make cells more metabolically active by increasing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by alleviating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4,000원
        65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is responsible for fibrin-specific plasminogen activation and plays a key role in fibrinolysis thereby aiding breakdown of blood clots in the vasculature.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develop a system for production of recombinant st-PA and t- PAHis6 proteins in transgenic rice seeds, a DNA fragment encoding t-PA gene was selected and cloned to a plant binary vector (pMJ21) harboring a rice GluB1 promoter, an N-terminal signal peptide of the rice glutelin B1 protein and a Pin II terminator. The constructed plasmid was transformed into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pSB1) to facilitate introduction into rice callus. The insertion of the st-PA and t-PAHis6 genes into the genome of transgenic rice seeds and their transcripts were confirmed using PCR, and Southern blot as well as RT-PCR, respectively. The highest level of recombinant st-PA expression as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found to be 2,916 ng/total soluble protein (mg) in transgenic rice seeds. The amount of recombinant proteins expressed in transgenic plants was estimated to range from 634 ~ 2,916 ng/TSP mg (st-PA) and 925 ~ 2,640 ng/TSP mg(t- PAHis6), respectively. Immuno-blot analysis of transgenic rice seeds revealed single bands of approximately 68-kDa representing recombinant st-PA and t-PAHis6 protei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expression and in vivo activity of recombinant st-PA and t-PAHis6 in transgenic rice seeds. This study is a promising endeavor for production of recombinant pharmaceutical proteins using rice seed system.
        4,000원
        65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1980s, the number of large space buildings in Korea has consistently been increasing due to large scale international competitions such as the Olympics and the World Cup, demand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tructural systems. Due to these reason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errorism risk factors of large space structure and skyscrapers in Kore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otal risk level of high-rise and large space structure was "medium level risk" and that the terrorism risk level for large space structure was as high as that for high-rise buildings. As it relates to the risk levels depending on scenarios, terrorism risks to large space structure were higher than high-rise buildings in the "internal explosion" and "internal intrusion" categorie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explosion-related scenarios except for CBR suggest that terrorism risks to large space structure were highest when it comes to Internal-Explosive followed by Internal-Intrusion and Explosive-Zone I; and the results showed a regular patter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terrorism risks were highest in Internal-Explosive followed by Explosive-Zone I and Explosive-Zone II; and the results showed an irregular pattern.
        4,000원
        658.
        201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inc Sulfide (ZnS) is one of the II-VI semiconducting materials, having novel fundamental properties and diverse areas of application such as light-emitting diodes (LEDs), electroluminescence, flat panel displays, infrared windows, catalyst, chemical sensors, biosensors, lasers and biodevices, etc. However, despite the remarkable versatility and prospective potential of Zn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to its applications has not been performed in much detail relative to research into other inorganic semiconductors. In this study, based on global patent information, we analyzed recent technical trends and the current status of R&D into ZnS applications. Furthermore, we provided new technical insight into ZnS applicable fields using in-depth analysis. Especially, this report suggests that ZnS, due to its infrared-transmitting optical property, is a promising material in astronomy and military fields for lenses of infrared systems. The patent information analysis in this report will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current positioning of technolog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D.
        4,000원
        65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rst of all, Fe or/and Mn immobilized granular activated carbons (Fe-GAC, Mn-GAC, (Fe, Mn)-GAC) were synthesized and tested to remove arsenate (As(V)). The results in batch test indicated that Fe-GAC removed As(V) effectively, even though the surface area of Fe-GAC was reduced largely. Moreover, adsorption isotherm test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data fit well with Langmuir model an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qmax) of Fe-GAC for As(V) was 3.49 mg g-1, which was higher than GAC (2.24 mg g-1). In column test, the simulated water, which consisted of As(V), Fe(III), Mn(II) and Ca(II) in tap water, was used. Fe-GAC column with 1 hr of pre-washing time treated As(V) effectively while GAC column removed Fe(III) better than Fe-GAC column. Moreover, the increasing pre-washing time from 1 to 9 hour in Fe-GAC column enhanced Fe(III) removal with little negative impact of As(V) removal. Mostly, the column filled with Fe-GAC and GAC (i.e. the mass ratio of Fe-GAC:GAC = 2:8) showed the higher treatability of both As(V) and Fe(III), even it operated with 1 hr pre-washing time.
        4,200원
        66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안동 사문암지대의 관속식물상, 현존식생 및 토양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4년 4월부터 10월까 지 총 7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88과 239속 311종 6아종 33변종 6품종 3교잡종으로 총 359분류 군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249분류군의 분포가 새로이 밝혀졌다. 안동 사문암지역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 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구성된다. 한반도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벌개미취 가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7분류군으로 준위협종(NT)에 채고추나물, 원지, 쑥방망이, 관심대상종(LC)에 낙지다리, 솜양지꽃, 창포, 미평가종(NE)으로 멱쇠채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Ⅳ등 급 2분류군, Ⅲ등급 5분류군, Ⅱ등급 4분류군, Ⅰ등급 7분류군 등 1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 9.5%, 도시화지수 10.6%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산림토양은 표층~20㎝에서 양토와 미사질양 토, 20㎝~40㎝에서 양토와 미사질점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내 중금속은 Ni과 C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