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3

        100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TCC l1454의 유산균 배양액을 3.96 log units, 4.10 log units 및 4.23log units의 농도로 처리한 돼지고기 등심은 4℃ 저장 9일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억제와 저장 안정성 증진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 처리구는 4℃ 저장 3일 동안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 가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으로 처리한 돼지고기 등심의 외관과 냄새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4℃ 저장 9일 동안 신선한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보다 낮게 좋은 것으로 등급되었다.
        4,000원
        1002.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ological quality of beef carcass and distributions of pathogens in beef processing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hygienic quality of fresh beef. Total bacterial contamination of carcass surface in slaughtering process and cutting board in cut-meat process showed 10^5-10^6CFU/㎠ and l0^5CFU/㎠ in summer, respectively. The viable bacterial count of cotton glove was similar to that of cutting board during and entire period of year. Microbial contamination of carcass surface, cutting board, cotton glove and deboned meat showed the highest in summer and the lowest in winter during the year. Escherichia coli O157,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ornithinolytica,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Tatumella. ptyseos, Serratia odorifera, Aeromonas sobria, Enterobacter cloacae and Flavimonas oryzihabitans were isolated from carcass surface during slaughter treatments. S. aureus, Listeria grayi and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from cutting board and L. grayi, Erwinia spp. Salmonella spp. and S. aureus were isolated from cotton glove in cut-meat process environments. Citrobacter freundii,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were isolated from deboned meat.
        4,000원
        100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금속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물리적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있다. 이중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미생물들의 자연 생체기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생체축적 (biosorption & bioaccumulation), 산화환원반응 (oxidation & reduction), 메칠화 및 탈메칠화반응 (methylation & demethylation), 금속 유기물질 복합반응 (metal-organic complexation)과 비용해성 복합
        4,000원
        1004.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f refi-igerated chicken (average weight of 500g) legs treated with acetic acid (AA), lactic acid (LA), or citric acid (CA) during between June and August, 1998 were assessed. Chicken legs were immersed in solutions containing 1 % individual acids for 10 min. Chicken legs treated with AA for 10 min during storage of 16 days at 4℃ had a significantly (P$lt;0.05) lower levels of aerobic plate counts (APC) and gram-negative bacterial counts (APC) compared to those of LA or CA. AA had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LA or CA. Microbiological shelf-life of refrigerated chicken legs treated with AA increased eightadditional days compared to the controls. Sensory scores of chicken legs treated with acidulant were in the $quot;liked less$quot; to typical category during storage of 12 days at 4℃.
        4,000원
        1006.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수중의 미생물을 식종원으로 하는 TOC-HANDAI법과 OECD 생분해법을 활용하여 자연수 환경내에서 환경호르몬물질인 비스페놀 A와 노닐페놀의 생분해성을 비교평가하였다. TOC-HANDAI법에 의한 BPA분해는 73-78% 이었고 OECD법은 이보다 다소 높은 77-81%를 나타내었다. 두 방법을 통한 BPA의 분해양상은 대체로 2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즉 초기 1주일 이내에는 분해반응속도(k1)가 0.24-0.34day-1
        4,200원
        1007.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주스 농축품의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45 Bx 혼탁과 72 Bx 청징 사과주스 농축품을4℃, -3℃ 및 -l5℃에서 16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pH와 산도, 색, alcohol soluble color 및 비타민C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들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혼탁사과 주스 농축품을 4℃에서 저장한 경우에만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호기성 일반세균 및 효모류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3℃와 -l5℃에서 저장한 경우와 청징 농축품의 모든 저장온도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적정산도 역시 4℃에 저장한 혼탁사과주스 농축품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pH의 경우에는 3.6∼3.8로 큰 변화가 없었다. 색의 경우 혼탁과 청징 농축품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지거나 저장온도가 높을 경우에 a값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ASC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감소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ASC간에는 0.957∼0.967 의 높은 상관계수값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함량도 역시 -0.864∼0.93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100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ious consequences can arise from lack of hygiene in mass catering. Microbiological testing is of value in determining hazards for developing a HACCP plan, and in demonstrating to food handlers the reality of the microbial risk. This studies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overall hygiene of cooking utensils and equipments, employees, and environment in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Generally, hygienic conditions of cutting board and sanitized dish cloth were better than those of other cooking utensils such as knife, sieve, and peeler. It was found that the cross-contamination of knife might be caused by the use of contaminated sanitizing solution.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considerable variation (10¹-10^5 CFU) of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for employee's hands.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were influenced from establishment, employee, and the period of analysis. The number of Coliform group for employee's hands was in the range of 10²-10⁴ CFU only at the first analysis. Total aerial bacteria in working area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was below 7 CFU/Plate and aerial Staphylococcus sp. was not detected at all except one spot.
        4,000원
        100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통영 연안해역 10개 정점 표층수와 저층수에서 종속영양세균, 대장균군세균, 균류의 계절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미생물의 생균수는 평판계수법으로 측정되었고 종속 영양세균은 표층수에서 4월 3.1×102- 4.0×103cfu ml-1, 8월 2.7×103- 1.2×10-5 ml-1, 10월 1.3×
        4,000원
        101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수처리 중 생물학적 처리에 활용할 수 있는 질소분해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하고자 경기도내 하천 6지점에서 채취한 시료로부터 50개 균주를 선별하였다.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실험결과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색인을 통하여 Aeromonas hydrophila로 동정하였다. Aeromonas hydrophila(AH-1). (AH-3), (AH-4), (AH-6) 균이 질산화 능력이 우수하였다. 4개 균주 모두 amoxillin, ampicillin, cephalothin과 ticarcill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Aeromonas hydrophila의 질산화의 최적조건은 균 농도 1.0×l0exp(6) cells/ml, 배양온도 37℃로 나타났다.
        4,000원
        101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biquinone-10생성 광합성 세균을 선정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대구 근교의 강, 논, 호수 등의 수계혐기층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거나 유기 폐수 중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50점의 시료에서 130주의 광합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에서 ubiquinone-10의 생성이 가장 많은 균주번호 N-2를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한 결과 Rhodobacter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이 균주는 이와 동일한 균주이거나 유사한 근연의 균으로 판단하여 본 분리균주 N-2를 Rhodobacter sp. N-2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anaerobic light로 배양할 때가 aerobic dark일 때보다 훨신 생육이 양호하였다. 분리균 N-2의 growth factor는 biotin, thiamin, niacin중 하나이며, 3가지를 동시에 첨가하였을 때 완전한 생육을 나타낸다. 유황화합물 H_2S를 첨가하였을 때 매우 적은 농도에서 본 균주의 성장이 저해되었다.
        4,000원
        101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half-cooked noodle was studied. The noodle were treated with lactic acid(0.1%, w/w), heat(10 min in boiling water) or their combination after cooking for 3 min, and irradiated at 0, 5 and 10 kGy. The noodle were stored at 25℃ for 5 weeks and microbial population, Aw, pH, and texture profiles were examined. Fungi were completely eliminated by gamma-irradiation with 5 or 10 kGy does. Number of aerobic bacteria were also decreased by 2 and 4 log cycles with dose of 5 and 10 kGy, respectively. The D_(10) values of aerobic bacteria were 2.34-2.95 kGy. Growth of the aerobic bacteria that survived even at 10 kGy of irradiatio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during storage. Acidification of half-cooked noodle was suppressed by gamma irradiation but A_w were not affected. Stickiness was decreased at the beginning of storage by gamma irradiation but was restored after 3 wee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amma irradiation would be useful to improve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half-cooked noodle.
        4,000원
        1016.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to measure the degree of microbial contamination from raw meat, meat processing and milk processing lines. Samples collected from slaughter house, meat and milk processing plants were tested for estimation of bacterial number by using ATP bioluminescence and conventional method. The former result was transffered to R-mATP value(log RLU/㎖), and the latter transffered to CFU(log/㎖).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aerobic counts(CFU, log/㎖) and R-mATP(log RLU/㎖) value was 0.93(n=408). R-mATP of aerobic counts from beef, pork, chicken was 0.93(n=220), and that was 0.93(n=187) between meat processing and dairy processing plants. In addition,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aerobic counts and R-mATP was 0.87(n=252) under 1 × 10^5/㎖ of bacterial count and 0.74(n=152) over l0^5 respectively.
        3,000원
        101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석유화학 공업으로부터 생산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질들은 여러 가지 산업과정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자연계에 오염될 때에는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환경 오염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물질의 미생물 분해는 산화반응에 의한 benzene고리의 개환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이 개환 작용을 갖는 미생물의 분리와 함께 그 분해 기능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천 화학공업단지 폐수로부터 benzoate와 cate
        4,000원
        101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의 항균물질 분리에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오차와 손실이 많아 실용화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일반적인 분리법으로 유기용매분획법,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있으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시료에 따라 항균활성이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전편의 '부추의 미생물학적 항균활성 특성과 가공식품에의 응용'에 이어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정립하고 항균활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 분리를 위하여 ultrafiltration, liquid-liquid extraction, TLC, HPLC 순으로 정제하였다. Ultrafiltration 결과 항균물질은 분자량 5,000 dalton 이하의 저분자 물질이었고, TLC로 분리된 8개의 spot중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1개의 spot을 추출하여, HPLC로 유효 peak 2개를 얻었고 각 peak성분을 GC/MS로 확인한 결과 cis-propenyl methyl disulfide, 5-methyl methylthiosulphonate, dimethyl disulfide등의 황화합물로 구성된 복합물질로 확인되었다.
        4,000원
        1019.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골프장의 잔디 가해 해충과 천적에 관한 조사에서 잔디를 가해하는 해충은 6목 10과 28종이 확인되었고, 잔디흑응애(Eriophydae zoysiae)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도 피해를 주고 있었다. 풍뎅이 유충인 굼벵이는 전 조사 골프장의 모든 코스에서 피해를 조고 있었으며, 검거세미나방이나 거세미나방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그리고 푸충나방류(Crambus sp.)와 깍지벌레류, 각다귀(Tipula sp.)도 잔디에 피해를 주고 있었다. 반면, 일본왕개미(Camponitus japonicus), 곰개비(Formica japonica), 고동털개미(Lasins japonicus)는 직접적인 잔디 피해보다는 간접적인 피해가 많았다. 즉, 잔디나 골프장 군데군데에 집을 만들거나 골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었다. 잔디 해충의 천적으로는 곤충병원성 선충과 곤충변원성 곰팡이 및 유화병균등의 곤충 병원미생물과 파리매와 같은 포식성 천적류, 그리고 굼벵이벌 등과 같은 기생성 곤충류가 채집되었다. 병원성 선충으로는 Heterorhabditidae과의 Heterorhabditis sp.와 Steinernematidae과의 Steinernema glaseri와 S. longicaudum이 굼벵이와 잔다밭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골프장에서 발견된 Heterorhabditia sp,는 동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 유충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와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 골프장에서 발견되 Heterorhabditis sp.는 등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뎅이 유층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아 등얼룩풍뎅이(Exomala or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관찰된 파리매 3종 중 파리매(Promachus yesonic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굼벵이벌(Tiphia sp.)은 주둥무늬차색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의 유충에서 확인되었는데 발견된 개체수는 많지 않았다. 식무 기생선충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matrella),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에서 발견되었다.
        4,000원
        102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찹쌀가루액에 효소처리 및 미생물 접종을 시킴으로써 유과의 제조시 수침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유과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찹쌀 수침액에 분포된 미생물은 Bacills spp. 와 Lactobacillus spp.로 나타났다. 찹쌀수침액에 인위적으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였을 때 유과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30℃에서 18시간 이었다. 이때 찹쌀수침액의 pH는 배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 찹쌀 수칩액에서는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α-amylase 활성이 증가하여 효소 처리된 시료액의 효소 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과의 팽화도는 효소처리시킨 혼합 접종처리군을 제외한 모든 처리군에서 28일간 수침한 것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경도와 peak수는 모든 처리군에서 28일간 수침시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p<0.05). 미세구조에서 기공수는 효소처리시킨 단독 접종군이 다른 모든 처리군에 비해 더 많은 기공수를 지니고 있었고 기공의 둘레 및 면적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수침공정을 대폭 단축할 수 있었으며, 향후 미생물 접종을 고려한 효소처리 조건을 정밀 분석한다면 수침공정이 없어도 유과의 품질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