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산권의 국제적 보호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를 중심으로 논의가 되어 왔다. WIPO 주관하에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각종 조약들이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WTO는 우루과이 라운드를 통하여 WTO 부속서의 하나로 ‘무역관련 지적재산권 협정(TRIPs)’을 채택하였다. TRIPs 협정은 지적재산권의 효과적이고 적절한 보호를 촉진하며, 지적재산권의 집행을 위한 조치가 국제무역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지적재산권을 집행하는 조치와 절차를 각 회원국이 확보할 것을 그 전문에서 규정하고 있다. TRIPs 협정과 함께 WIPO 저작권조약(WCT), WIPO 실연 음반협약(WPPT) 등의 저작권관련 국제조약이 성립되어 지적재산권에 관한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저작물의 국제적 유통이 일반화되고 자유무역협정에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비중이 커짐에 따라, 대륙과 영미 저작권법이 하나의 체계로 수렵되어 가고 있으며 이는 저작권의 제한과 예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TRIPs 협정의 내용 중 하나인 베른협약은 1886년 이래 특정한 경우에 저작권이 제한될 수 있음을 규정하여 특정 상황에서 회원국들에게 저작권에 대한 제한을 허용하게 되었다. 베른협약에서는 브뤼셀 개정과 스톡홀름 개정을 통해 이른바 사소한 예외의 법리(minor exception doctrine)와 3단계 테스트 (three-step test)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대륙법의 영향을 받은 저작권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미 FTA 협정 이후 저작권법 제도의 개선을 요구받아 법개정을 하였다. 이에 3단계 테스트의 구체적인 범위에 대한 해석 문제는 반드시 검토해야 할 사항이 되었다. 따라서 WTO의 실제 분쟁사례 연구는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국제협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물론, 개별적 관련 사례의 연구 분석을 통하여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관련 분쟁에 충분히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하에서는 저작권제한 및 예외의 기본원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3단계 테스트의 내용에 대해 미국 –저작권법 제110조 5항 사건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자. 그리고 우리 개정 저작권법의 내용 중 저작권제한 법리로서의 3단계 테스트와 공정이용의 수용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고추 12품종의 종자 처리시 적정 SMP carrier 선발을 하고자 하였다. SMP carrier 중 탄산칼슘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발아율을 보이거나,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실용성이 낮은 carrier로 판단되었다. Micro-cel E는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50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왕 품종의 경우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차후 대량의 종자처리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규조토의 처리는 수분의 배율을 1.5배 처리한 조양과 향촌품종이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으나,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50과 MDG가 단축되었다. 왕 품종의 경우 규조토로 1.0, 1.5배 처리는 T50이 0.99일과 0.89일로, Micro-cel E의 5.0, 7.0배의 1.59, 0.94일 보다 0.60일, 0.05일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고추 품종에 적용 가능한 carrier는 Micro -cel E와 대등한 성능을 갖는 규조토로 판단되며, 수분배율은 1.0배 처리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Fe based (FeCSiBPCrMoAl) amorphous powder, which is a composition of iron blast cast slag, were produced by a gas atomization process, and sequently mixed with ductile Cu powder by a mechanical ball milling process. The Fe-based amorphous powders and the Fe-Cu composite powders were compacted by a spark plasma sintering (SPS) process. Densification of the Fe amorphous-Cu composited powders by spark plasma sintering of was occurred through a plastic deformation of the each amorphous powder and Cu phase. The SPS samples milled by AGO-2 under 500 rpm had the best homogeneity of Cu phase and showed the smallest Cu pool size. Micro-Vickers hardness of the as-SPSed specimens was changed with the milling processes.
The larvicidal activity of materials from Ostericum koreanum (Apiaceae) root against late 3rd or early 4th instar larvae of Aedes aegypti and Culex pipiens pallens was examined using standard WHO techniqu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emephos.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of O. koreanum root were characterized as four coumarines; isoimperatorin (I), osthol (II), oxypeucedanin (III) and imperatorin (IV) by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EI-MS, LC-MS, 1H NMR and 13C NMR spectroscopy. On the basis of 24-hr LC50 values, osthol among these four coumarines was the most toxic against Ae. aegypti (1.97 ppm) and Cx. pipiens pallens (1.87 ppm) larvae, but its activity was less than temephos (0.0047 and 0.013 ppm, respectively). LC50 values of isoimperatorin, oxypeucedanin and imperatorin derived from O. koreanum root against Ae. aegypti larvae were 2.46, 6.92 and 2.17 ppm, and against Cx. pipiens pallens larvae, were 1.99, 5.04 and 3.68 ppm.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materials and coumarines from O. koreanum root have potential to be used for mosquito control.
Ecological changes, both man-made and natural, have changed the landscape of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the end of Japanese occupation at the end of World War II (1939-1945).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orested hillsides were cleared and wood products shipped to Japan, leaving the hills and mountains largely covered by grasses and other shrub vegetation. Following WWII, the country of Kore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s, with North Korea under communist powers, while South Korea was established as a democratic government. In South Korea poverty was rampant and local populations scavenged for wood for cooking and heating during the cold winters. Just as economic conditions were increasing, South Korea was attached by North Korea, beginning a long drawn-out conflict from 1950 to the summer of 1953, whereby an armistice was signed and an often uneasy pe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tinues today. Again, the Republic of Korea emerged from a War as an impoverished country with treeless country sides, hills, and mountains. In the 1960’s, president Chung-Hee Park established a tree planting policy to reestablish long-ago lavish forested mountains and hillsides that make up more than 70% of the South Korean landscape. Today, mountains and hillsides are generally not used for agriculture and are completely forested, with planted groves and volunteer trees ranging in age from 10-50 years. These forested areas have led to increased protection for large and small mammals and birds, increasing the potential for zoonotic pathogens that there ectoparasites harbor to be transmitted to man during work and leisure activities. While forested areas provided an expanded habitat for some animals, agriculture expanded and modernized, resulting in short-cut grasses on banks separating much of the rice paddies, orchards, ditches, and dry-land farming that increased competition for small mammal habitat. As a result of increased surveillance of small and large animals and their ectoparasites, the increased prevalence of known pathogens and identification of new pathogens, especially those harbored by ticks, has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tick-borne encephalitis, several species of spotted fever group Rickettsia, and a host of other zoonotic diseases in wild animals, their ectoparasites, and man. As tick-borne diseases are not reportable diseases in Korea, the extent and impact on civilian and military populations is unknown as diagnoses are often likely sought for the wrong pathogen. While agriculture modernized, military training sites largely consist of unmanaged lands with tall grasses that are conducive to large and small mammal populations, which are host to a number of zoonotic diseases, e.g., hantaviruses, scrub typhus, murine typhus, leptospirosis, tick-borne encephalitis, spotted fever group rickettsial pathogens, Lyme disease, bartonellosis, etc. that impact on military populations training in those areas. The impact of training sites habitat modification has not been assessed, but for many sites is impractical. To reduce health risks of vectorborne diseases, the US Army has established better housing (tents to barracks with screened windows and air conditioning) at some field training sites, reducing the potential for the transmission of mosquito-borne pathogens (malaria an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The increased use of permethrin-treated all climate uniforms (ACUs) and repellents, also reduce the potential for transmission of mosquito-, tick-, mite-, and flea-borne pathogens. However, training conditions at some field training sites remain largely unchanged, with personnel working and sleeping in tents that abut to forested areas where animals and their ectoparasites are present. While some training and maneuver sites are well planned for weapons qualifications of wheeled and tracked vehicles, others sites are in areas of unmanaged lands which are rodent infested. Increased surveillance by the 65th Medical Brigade not only provides a baseline and relative distribution for vector-borne diseases in Korea, but also provides disease trends and risk assessments that are necessary for protecting US military personnel training in Korea.
Kinetic studies on the ligand substitution reactions of cyanocomplexes were performed in several micellar solutions. It showed the observed rate constants was found to be independent of the entering ligand concentration at high concentration of cyanopyridine and pyrazinecarboxylate. We could see also that in nonionic and anionic micellar solutions no influence of changes in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observed rate constants was found. Taking into account the hydrophilic nature of the cobalt complex, the cobalt complex molecule was expected to be located in the aqueous phase of the micellar systems, where the reaction would take place. In cationic micellar solutions, a small increase in the observed rate constant was found when the cationic surfactant concentration increased. After reaching a maximum, the rate constant decreased on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subsequently it reached a plateau, where the observed rate constant was independent of changes in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전남서부해역을 대상으로 수질환경 및 영양염류를 분석하여 양식어장의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겨울철과 여름철은 봄철과 가을철에 비하여 수온차가 최고 5℃ 이상을 나타냄과 아울러 염분도 봄철과 여름철에 목포해역에 표층수가 최저 9 psu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양염류의 경우 대부분의 해역에 COD 2 mg/L 이하를 보여 수질등급 II수준을 유지하여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보이고 있고, T-N과 T-P모두 연중 고른 공간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SS의 경우 연중 매우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Chl. a의 공간적 분포도 연중 목포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들은 고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정정별에서도 목포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들은 표층과 저층 모두 큰 차이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 Redfield ratio도 대부분의 해역에서 16 이하를 보여 기초생물생산에 필요한 질산질소가 제한인자로 작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Chl. a는 영양염류 뿐만 아니라 COD와 양의 상관관계이며, 특히 COD와는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관계는 겨울, 봄, 여름철에 잘 나타나고 있다. 유연관계를 보면 목포 7번 정점은 다른 해역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인 위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거리도 2이상을 보여 상당히 다른 수질환경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진도, 완도, 해남해역은 다른 해역과 달리 상호 매우 근접한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남서부해역은 영산강 하구둑의 영향을 받는 목포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들은 비교적 안정된 수질과 영양염류를 보여 양식어장의 환경으로 적합한 환경을 보이고 있다.
목적: 수평 및 수직 프리즘을 가입하여 프리즘 적응이 일어나는 동안 입체시력의 변화를 조사하고 프리즘으로 유발된 편위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양안단일시를 하는 25.3±3.2세의 성인 42명(남자 23명,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16△ BO, 8△ BI, 우안기준 3△ BU 및 3△ BD을 가입하여 프리즘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리즘 가입 전과 가입 직후, 3분, 6분, 12분, 20분 및 30분 후에 Three-needle Test(TN), Stereo Reindeer Test의 Numbered circles(RNC), The Borish Vectographic Nearpoint Card II의 Stereopsis Tartets Cluster(BSC) 및 random dot Cell(BSRC)을 이용한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평 및 수직 프리즘으로 편위가 유발되었을 때 모든 항목의 입체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프리즘 가입으로 저하된 입체시력은 30분의 적응시간 동안 프리즘 가입 전에 측정된 원래의 입체시력(baseline)을 향해 점차 회복되는 지수감소곡선의 회귀식을 보였다. 프리즘 가입 양이나 기저방향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프리즘 가입 후 약 6분까지 많은 회복이 있었고 그 이후에는 약한 회복을 보였다. 프리즘 적응 동안 프리즘으로 유발된 편위로 인한 사위도 변화와 입체시력의 변화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입체시력을 측정하여 프리즘의 적응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선형 및 지수감소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수평 및 수직 프리즘 가입으로 편위가 유발되었을 때 입체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었으나 적응에 의해 원래의 입체시력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므로 입체시력을 측정하여 프리즘 적응의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follicular fluid and gonadotropin (FSH+HCG+rhEGF) on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immature oocyte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collected following fo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cycles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oocytes collection, oocytes were classified into MII, MI and GV in accordance with their appearance (MII: Fully mature oocyte at metaphase II of meiosis; MI: Nearly mature oocytes at metaphase I of meiosis; GV: Immature oocytes at prophase I of meiosis). Afte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using gonadotropin(FSH)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n 70 ICSI cycles, 158 MI to MII matured oocytes were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h after in vitro culture and 553 MII oocytes were ICSI after denudation. The aspirated MI and GV oocytes were cultured in culture medium containing 10% (v/v) serum protein substitute (SPS), 10% (v/v)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10% (v/v) serum protein substitute (SPS)+1 IU/ml FSH+10 IU/ml HCG+10 ng/ml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The maturation rate of immature oocytes was similar among the three group. When maturation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10% SPS, 10% hFF or gonadotropins, the fertilization rate of in vitro matured oocytes was higher in 10% SPS (80.0%),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78.2%; hFF, 76.9%; gonadotropin, p>0.05). The development rate of human embryos developed to cel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um containing SPS, hFF and gonadotropins (65.6%, 65.9% and 66.7%). The results of these study suggest that human follicular fluid and gonadotropins supplemented in the culture medium was not effected on the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immature oocyt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rcine epididymal fluid (pEF) on in vitro-maturation and subsequent fertilization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Porcine cumulus-oocytes complexes retrieved from antral follicles were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TCM)-199 supplemented with pEF of different concentrations. At 48 h after culture, development of oocytes to germinal vesicle (GV) breakdown, metaphase I, anaphase-telophase I, and metaphase II were examined.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oocytes developed to MII stage was observed in oocytes cultured in pEF-containing TCM-199 than in oocytes cultured in pEF-free TCM-199 (46.2% vs 16.7%), which was a dose-dependent manner. Subsequently, the proportion of monospermic fer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oocytes cultured in the TCM supplemented with pEF than those cultured in pEF-free TCM-199 (51.0% vs 24.1%). In the second series of experiment, the percentage of MII oocytes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fter exposure of oocytes to pEF during the first 22 h period of culture than after exposure of oocytes to pEF during the next 24 h of cultur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ntage of monospermy was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EF contains at least enhancing component(s) for nuclear maturation.
미국에서 다수의 저작권자들이 냅스터와 그록스터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간접침해 법리에 의하여 승소한 이후, 이 정도로 만족하지 못한 저작권자들은 저작권의 직접 침해자 및 2차적 침해자들을 돕거나 이들에 대해 경영적, 재무적, 기술적 조력을 제공한 회사의 임원, 이사, 주주 또는 기타 투자자들과 같은 2차적 또는 3차적 당사자들을 상대로 위 저작권 침해에 대한 손해의 배상을 구하며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위와 같이 저작권 침해의 간접적인 당사자들에 대한 책임의 범위를 확장하려고 하는 저작권자들의 시도는 그다지 성공적인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 글은 (i) (a) 법인의 지적재산권 침해행위나 지적재산권 관련 법령의 위반행위 및 (b) 법인의 지적재산권 관련 문제의 관리해태에 관한 이사의 책임 및 (ii) 위와 같은 법인의 지적재산권 침해행위에 관한 투자자의 책임에 관해 검토한다. 법인의 이사들이 저작권법과 같은 지적재산권 관련 법령상 권리자에 대해 부담하는 책임과 관련하여, 이사는 법인의 침해행위에 관여하게 되는 행위의 유형 및 담당하는 역할에 따라, 미국의 경우에는 기여침해, 대위침해 또는 유인침해 이론에 따라 법인의 침해행위에 대해 책임을 부담하게 될 수 있고, 한국의 경우에는 직접침해자로서 또는 교사 또는 방조에 의한 간접침해자로서 책임을 부담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사가 한국 상법상 회사에 대해 부담하게 되는 책임과 관련하여, 이사는 법령위반행위를 하거나 임무를 해태하고 이로 인해 회사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 회사가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위 법령위반행위에서의‘법령’의 범위에 관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대법원에서는 위 ‘법령’에 회사가 영업활동을 함에 있어서 준수하여야 할 제규정이 포함되고, 이사가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위와 같은 법령에 위반한 행위를 한 때에는 그 행위 자체가 회사에 대하여 채무불이행에 해당하고 이에 대해 원칙적으로 경영판단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한바 있다. 따라서 만일 그 회사의 사업이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것이거나 지적재산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 그 회사의 사업이 지적재산권 관련 법령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 그 회사의 이사는 회사가 이로 인해 입은 손해에 대해 배상책임을 부담하게 될 수도 있다. 회사의 이사는 회사에 대해 선관주의의무를 부담하며 이에 따라 회사의 사무, 유형자산 및 지적재산권을 포함한 무형자산에 대해 이와 관련한 적극적, 소극적 행위로 인해 발생할 결과를 고려하여 성실하고 적정하게 관리해야 할 의무를 부담하고, 회사의 지적재산권에 관한 관리를 해태하거나 방기하는 경우 이로 인해 회사가 입은 손해에 대해 배상책임을 부담할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회사의 침해행위에 대해 회사의 투자자들에 대해서까지 책임을 추궁하려는 몇몇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법원은 회사에 대한 투자와 회사의 이사회의 이사선임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단지 투자자와 회사가 사업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고 투자자는 회사의 사업에 대한 경제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만을 나타낼 뿐이라고 하면서 위와 같은 청구를 기각하였다. 투자자들의 회사의 침해행위에 대한 배상책임에 관한 주장이 보다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그들이 회사의 침해행위 사실이 입증된 후에도 적극적으로 회사의 침해행위를 장려하였다거나, 회사의 침해행위와 투자자들의 투자수익과의 사이에 직접적인 견련관계가 있다는 사실 등을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미국에서의 법원 판례와 논의들은 한국법 아래에서 회사의 지적재산권 침해에 대한 투자자들의 책임부담여부를 검토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고내구성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을 위하여 도출된 배합 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콘크리트 특성, 강도발현 특성, 염소이온의 투수특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의 역학적 내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시된 배합의 목표스럼프와 공기량은 적절한 혼화제의 사용으로 확보가 가능하나, 혼화제의 적정사용량은 충분한 현장배합실험을 통하여 구하여야 할 것이다. 단위시멘트량을 증가한 경우 일반적으로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재령 28일 이후의 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휨강도는 그 특성상 단위시멘트량을 증가하더라도 뚜렷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염소이온 침투저항성도 단위시멘트량보다는 재령에 따른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동결-융해 저항성은 각 실험변수에 대한 시험체를 공기량이 3% 이하 및 이상인 경우에 대하여 그리고 동결시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와 현장의 열악한 환경을 모사하기 위하여 4%의 NaCl 용액을 사용한 경우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공기량에 상관없이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동결-융해반복회수가 300회까지 상대동탄성계수나 표면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4% NaCl 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위시멘트량이 현재의 한국도로공사의 표준배합인 경우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단위시멘트량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고내구성의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을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을 현재의 수준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험결과로부터 이러한 요구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을 400kg/m3 이상으로 할 것을 권장한다.
The long-period stacking order (LPSO) structures and stacking faults (SFs) in rapidly solidified powder metallurgy (RS P/M) Mg97Zn1Y2 alloy were investigated by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observations. The 18R-type LPSO structure with a stacking sequence of ACBCBCBACACACBABAB and a period of 4.86 nm was observed in the as-extruded RS P/M Mg97Zn1Y2 alloy. After annealing at 773 K for 5 hr, the 18R-type LPSO structure was transformed to the 14H-type LPSO structure with a stacking sequence of ABABABACBCBCBC and a period of 3.64 nm. The 24R-type LPSO structure containing 24 atomic layers of ABABABABCACACACABCBCBCBC with period of 6.18 nm coexists with the 14H-type LPSO structure in the same grains. The LPSO structures contain intrinsic Type II SFs such as BCB/CABA and ABA/CBCB stacking sequences of a closely packed plane.
We conducted a series of in vitro experiments to evaluate the anticancer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hypericin and 532㎚ DPSS (diode pumped solid state laser). The cultured KB cells were treated with serial concentrations of hypericin ranging from 0.01㎍/㎖ to 5㎍/㎖ (two-fold dilution) with variable laser dosage (10J, 20J, 30J). The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MTT assay. The type of cell death was detected by fluorescent microscope using Hoechst 33342 / PI (propidium iodide) stain methods. In this study, IC50 value with hypericin-mediated PDT with 10J DPSS laser was 35 ng/ml. The maximum cytotoxicity with Photofrin II-based PDT was observed at high drug concentrations(> 90 ng/ml) independent with laser dose. And the in vitro PDT effects depended on the laser dose and drug concentrations were displayed by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cell death, namely apoptosis or necrosis.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hypericin based photodynamic therapy with DPSS laser was effective photodynamic therapy.
This article reports the spectral behavior of CH Cygni, using data obtained in October 2005 and June 2006. In these epochs, CH Cygni showed emission lines of H I, Fe II, [Fe II], [O III], [N II], [Ne III] and [S II]. Many of these lines were more enhanced since 2004. The underlying M-type spectrum was removed to get the intrinsic emission profile, and the resulting profiles were deconvoluted into several Gaussian components. Also, the radial velocities for all the lines that appeared in these spectra of CH Cygni were measured. The resultant lin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with those obtained in 2004; the findings are explained in terms of an accretion disk and jets.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주요 선진국들이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정보통신 환경을 구축한데 비해 상대적으로 뒤쳐진 모습을 보이던 일본에서는 수 년 내 세계 최첨단의 정보통신 국가로 변모하겠다는 계획으로 2001년 1월 ‘e-Japan 전략’을 결정하였다. 또한, 이후의 ‘e-Japan 중점 계획 2002,’ ‘e-Japan 전략 II,’ ‘e-Japan 중점 계획 2003’ 등을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면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 이용자의 수와 함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의 비율이 급증하였고, 자연적으로 사회전반의 정보통신 사회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었다.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와 더불어 정보통신 환경이 구축되기 이전에는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던 문제들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일본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전자정부의 실현이나 정보통신 사회로의 전환에서 기밀 정보의 부정취득, 정치적 또는 경제적 목적의 사이버 테러리즘, 바이러스나 웜 등의 악성코드에 의한 네트워크 마비, 특정 서버를 목표로 하는 과부하에 의한 업무 방해 등의 위협이 표면화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일본정부는 다양한 정보보안 정책을 제정하거나 시행해 나가고 있다.이 글에서는 이러한 일본정부의 노력과 민간의 자율규제에 관하여 연혁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