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2

        122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친화적 도덕교사를 양성해야 할 필요성은 다른 교과와 공유하는 지점과 함께 실천적 목표를 강조할 수 밖에 없는 도덕과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특수한 요청이 덧붙여진다. 이러한 필요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먼저 교실친화적 도덕교사상을 제시해 보고자 했는데, 그것은 도덕 수업을 목표에 맞게 이끌어갈 수 있는 교사임에 동시에 진여의 차원을 끊임없이 지향할 수 있는 다르마의 추구자이다. 이러한 도덕교사는 능력 요소로 도덕 교과의 본질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과 수업을 관장할 수 교과교육적 지식과 기능 등을 포함하는 수업 능력 요소를 중심에 두고 자기개발 능력 등을 함께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실친화적 도?Z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과교육학을 중심에 두고 교과내용학을 통합할 수 있는 윤리교육과 교수진 및 교육과정 구성, 운영이 선행되어야 하고 도덕 수업을 제대로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실천적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런 후에는 이러한 도덕 수업 능력과 생활지도 능력을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양성 과정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임용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
        122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실친화적 교사의 능력 요소에 기반하여 교육내용을 추출하였고, 다시 교육내용에 기반하여 교육방법을 탐색하였다.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은 교육시기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품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윤리, 철학, 다문화 이해, 조직론, 교사론 등과 같은 교육내용이 가르쳐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학교 및 사회 봉사, 동아리 활동, 사도교육 등과 같은 체험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업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각 교과의 내용학과 일반 교육과정, 교과별 교육과정, 교수 이론 등이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능력이 길러지기 위해서는 상담이론, 생활지도, 특수교육,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인간관계 등이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자기개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정보에 대한 바른 이해, 지식 공유 및 경영, 장학, 컨설팅, 실행 연구 등이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방법은 기본적으로 교육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글에서는 강의, 토의 , 모의학습, 체험학습, 멘토링, 교육실습 등의 대표적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아이디어는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엄밀한 타당화 과정을 거치거나 관계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 것은 아니다. 향후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 연구에서 꼭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각 학교급별, 교과별 새로운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개발할 시에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2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22종을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직업선택과 주거생활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미래의 기술 대단원에 나오는 식물은 채소류와 화훼류뿐이었다. 채소류는 27종에서 166회 출현하였으며, 화훼류는 42종에서 68회 출현하였다. 채소류는 토마토, 무, 배추가, 화훼류는 국화, 튤립, 선인장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있는 직업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에는 33개의 직종이 소개되어 있으나 산업과 진로 대단원에서는 6개의 직종만 소개되어 있었다. 기술․가정 교과서에는 표준직업 분류에 따라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33개의 직종은 물론이고 12개의 새로운 직종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족생활과 주거 대단원에서는 식물에 의한 실내환경의 개선 효과를 소개하고, 중학생들이 식물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즉 원예식물 특히 화훼류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기술·가정교과의 교육목표와 결부시켜 첨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내의 환경개선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유망 직종 가운데 하나인 화훼장식 분야에 대해서도 직업 선택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122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건강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출현빈도는 교과서에 따라 달랐다. 채소류는 56종에서 2,121회 출현하였으며, 과일류는 19종에서 322회 출현하여 원예식물은 총 75종에서 2,443회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높은 5대 채소류를 보면 제7학년에서는 시금치, 콩, 파, 감자, 무였으나, 제9학년은 무, 감자, 배추, 오이, 당근으로 학년에 따라 출현 종의 차이가 컸다. 이에 비해, 과일류의 경우, 제7학년에는 사과, 귤, 호두, 포도, 잣이었으나 제9학년에서는 호두가 감으로 잣이 바나나로만 바뀌었다. 해조 및 버섯류는 10종에서 235회 출현하였으나 화훼류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제7학년에서는 영양소별로 관련이 깊은 식물과 꽃을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들의 출현빈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제9학년에서는 특정 성분을 하루에 얼마만큼 섭취해야 된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과일은 좋은 에너지원이라고 강조되었으면 한다.
        122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2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건설기술의 특징과 체제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건설기술교육과정 변천을 교육목표와 교육 내용, 시기별 교육목표와 내용의 관련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한 중학교 건설기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기술의 내용은 3차, 6차 교육과정에만 포함되어 있다. 둘째, 교육내용은 기능 부분은 강조되고 있으나 지식과 태도 부분이 미흡하였다. 셋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6차 교육과정에서는 일치한 반면, 3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목표 없이 교육내용만 존재했다. 고등학교 건설기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기술의 내용은 3차부터 7차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둘째, 교육내용은 지식, 기능부분이 강조되며 태도 부분이 미흡하였다. 셋째, 교육목표와 내용이 4, 5, 6차 교육과정에서는 일치한 반면, 3차와 7차 교육과정 에서는 교육목표 없이 내용만 존재했다.
        122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차기 중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에 관한 교사들의 교과서 선정경함과 새교과서 개발에 대한 요구내용을 조사․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차기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144명의 중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고, 응답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교과서를 선정할 때 대체로 교과서의 내적 체제 측면보다는 외적 체제 측면에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입장에서 개념 정리와 요약이 잘된 형태의 교과서를 원하고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중심 내용이 쉽게 파악될 수 있는 체계적인 구성을 원하고 있었다. 전체 쪽수와 판형에 대해서도 대체로 늘어날 것을 원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학습 분량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유지하지만 상세한 설명 등은 추가될 것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3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민 단체와 학계에서는 미디어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미디어 교육이 국가 경쟁력과 관계가 깊고, 그 사회의 문화와 맥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역기능 또한 만만치 않다. 특히 현재의 청소년들은 가장 많이 미디어를 접하고 있지만 미디어를 읽고, 쓰고, 비평할 수 있는 미디어의 주인으로써 능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교육이 제도권 교육속의 도입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학교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우리나라의 미디어 교육의 현황 및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성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현재 미술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디어관련 수업의 종류와 현황을 토대로 미술교육을 통한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123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의 미술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의 수업시수 단축, 제7차 교육과정의 고2, 3학년 선택교과로 전환, 규제와 간섭 중심의 미술교육정책과 행정, 다수의 사대 미술교육과의 일반미술과로 전환, 2003년 평가방식 전환정책 발표와 2007년 평가방식 전환과 평가기록 방법 변경의 훈령 개정고시 등 바쁜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안은 교과교육의 정당성을 강화하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21세기의 문화 중심시대에 부응하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의 방법론을 개발하여 새로운 변화에 대응해야 하며 기본 시수 확보를 위한 노력과 물리적 시설과 공간 확보가 따라야 한다. 학교현장의 역동적인 수업을 통한 미술교육의 진흥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이나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등 여러 문제도 원만하게 해결해야 한다. 교사 양성기관인 교․사대의 개혁과 변화도 수반되어야 하고 또한 미술교육학의 학문적 연구 성과도 현장교육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123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가 양성교육과 차이를 갖고 의미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자격연수 현황과 문제점을 알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7학년도까지 진행된 자격연수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006학년도 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면담과 인터넷 게시판 글을 정리하여 연구하였다. 중등학교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는 2004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 총 4회 진행되었다. 진행된 연수의 교육과정은 연수원의 상황에 따라 교양, 교과교육, 교과내용 등의 교육과정이 다르게 구성되었고,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연구자가 2006학년도 자격연수에 참여 면담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험을 갖춘 연수생들은 교사의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을 목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실제 연수의 만족 요인으로는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보다는 다른 교사와의 만남을 중요한 만족도의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자격연수에서 연수생들은 교과교육학에 대한 최신의 정보와 교수․학습 영역의 연수를 원하였고,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1순위로 환경교육철학 영역을 나타내 향후 자격연수에서 환경교육철학과 교수학습 영역을 중시하는 교육과정 운영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가 보다 의미있는 연수가 되기 위해 연수 수요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환경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연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123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현실주의 동화의 교육적 함의(含意)를 탐색하기 위하여 리얼리즘의 세계관에 기반을 둔 현실주의 동화의 리얼리즘 구현 양상을 밝히고, 예비 문학 교사들의 현실주의적 인식을 고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현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실제로 아동문학 교육 중에서도 가장 논의가 부족한 부분이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의 아동문학 교육임을 인식하고, 현재적 난점을 넘어 아동문학의 독자성과 개별성을 살릴 수 있는 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아동 서사문학 중에서도 비판적 리얼리즘에 입각한 현실주의 동화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갈등을 핍진하게 형상화함으로써 아동문학의 독자인 초등학교 아동들과 교육대학의 예비 문학 교사들에게 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할 수 있는 인식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전형과 형상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는 현실주의 동화의 미학적 세계관은 기존의 통념을 넘어 새롭게 재조명 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온전한 아동 서사문학의 지형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실제로 아동 서사문학과 교육은 판타지 동화와 전래동화 그리고 현실주의 동화가 서로 조밀하게 엮어 짜인 구조를 지향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주의 동화의 경우 현행 초등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정치성의 우위를 짐작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압력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기초적 토양 마련을 위해 보다 본원적인 문학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본의 지배와 목표 지향적 단순 논리로 인해 점차 획일화되고 있는 아동들의 현재적 삶 속에서 현실주의 동화가 지니는 가치들이 기존의 상투적이고 고형화 된 인식을 전복시키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의 정신을 길러주는 일에 일조할 수 있음에 천착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판적 사고를 추동하는 현실 인식의 힘을 길러주기 위한 현실주의 동화 교육은 아동문학 교육의 한 축으로 기능해야 하며, 이에 대한 정치하고 심도 있는 모색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123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시민교육의 정체성과 특성을 교과의 구조 또는 지식의 구조라는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도덕과 교육과 사회과교육은 지금까지 교과교육들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해 온 중핵 교과들로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의 민주시민교육은 사회과 민주시민교육과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영역에서의 중복성과 같은 정체성의 약화라는 문제에 시달려 왔다. 세계화와 다문화 심화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우리는 민족국가와 지구공동체의 복잡한 도덕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들은 도덕적인 민주시민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과의 민주시민교육은 앞으로 교과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시민들의 민주시민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 민주적 가치, 규범, 그리고 덕목의 교육, 민주적 공동체의 사회문제들을 도덕적으로 분석하는 능력, 도덕적 상상력을 발달시키는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은 민주시민성의 도덕성에 초점을 둠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1236.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Mokpo middle school. The study is accomplished by the survey which includes a total of 268 inquiry lists sampled from four groups of the middle school, one of which composing of two middle schools having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hereafter referred as 'the case group' and the other group of two middle schools without the curriculum, hereafter referred as the 'the control group'. From the results of the average scores o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ase group showed better knowled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case group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relatively high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attitude(p<0.05), and did not showed signifiant differences in the environmental practice.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the environmental knowledges w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problems (R2=0.130), economic statu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conservations in order. The factor most affecting to environmental attitude and practice were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parents.
        1237.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고, 우리는 그 전문성이 직전 교사양성과정을 통해서 일정하게 길러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 전문성이 발현되는 곳은 교실상황이고, 특히 교실상황 속에서 어떻게 교과를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과 지도의 전문성으로 표출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교과지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통로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구분을 전제로 하는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이수를 설정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으로 우리는 교과교육학의 재구성을 생각해볼 수 있고, 그 새로운 교과교육학이 교실상황과 보다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당위를 받아들여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이라는 개념을 상정할 수 있다.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은 그런 점에서 교실상황 자체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해서 각 교과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의 모든 활동들, 교사 자신의 교과관이나 지식, 태도가 실제의 교과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또는 관련성 분석을 그 연구주제로 삼을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모두 교실친화력이라는 점에서 일관성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새로운 교과교육학의 정립은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38.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관한 여러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정리하면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이란 “건전한 인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심리와 행동발달 상황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사양성기관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학교의 현장에 연계하여 효과적·효율적으로 적용·실천하며, 다차원적인 교육의 현상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과내용학적·교과교육학적 지식은 해당 전공학과 및 교육학에서 습득된다. 그러나 교사양성기관은 교사지망생들이 장래에 학교 교육에서 지도하여야 할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의 해결 방안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느냐 못하느냐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사가 청소년들의 이러한 문제들까지 고민하고 올바로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할 때 비로소 교실친화적 교사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전인적·인성적 문제에서 예술교육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므로 본고는 일반적인 이론적·교수법적 지식의 차원을 넘어 중등학교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를 다루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선 학교 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효과를 선행 연구문헌들을 통하여 살펴 본 후,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필요성,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마지막으로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교육과정 개편, 교사선발과 지원체제 구축, 교사․강사에 대한 연수프로그램 마련, 프로그램 지원과 개발, 교사양성기관과 일선 중등학교와의 협력체제 구축 등이 신중히 논의되어야 한다.
        123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육 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격려하는 교실 친화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의미를 해석하여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전문성, 초등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는 대학 중심의 이론 지식과 학교 현장 중심의 실천적 지식 간에 연계와 통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 시기부터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실 친화적 관점의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국어 교육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기회를 갖게 해준다. 교육 실습은 예비교사에게 학습자의 관점에서 드디어 교사의 관점으로 변화해가는 실제적 과정이다.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제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구성해가는 시기가 바로 교육실습 시기이다. 반성적 사고 내용은 2004년부터 2007년에 이루어진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3학년 2학기 교육실습 내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생들은 국어 수업을 한 차시하고, 자신의 수업 과정과 자료를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였는데, 여기에는 자신의 국어 수업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기술되어 있다. 교생들은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국어 수업 의도 및 계획, 적용 모형, 수업 분석, 학생 반응, 국어수업 협의회 및 수업자 소감, 수업 동영상 관찰, 기록하고, 교육 실습 후에 수업자가 반성적 점검 내용을 발표하고 협의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 공유를 위하여 먼저 초등국어교육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그동안 초등국어교육의 본질 규명에 대한 이론과 현상을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체계화하는 시도를 함으로써 초등국어교육은 양적, 질적으로 학문적 성장을 가져왔다.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교과 중에 하나이자 국어교육이라는 현상 아래 흐르고 있는 하나의 줄기이다. 따라서 초등교육과 국어교육의 측면을 모두 살펴볼 필요가 있다. 초등국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어 교육이며, 그 목적은 초등교육의 목적에 닿아있다. 초등국어교육은 타교과학습의 기반이 되는 기초 교육, 의사소통 교육, 인성과 정서 함양의 문학 교육의 특성을 지닌다. 초등 예비교사의 국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점검 내용으로는 국어과 동기 유발과 목표 제시, 국어 교수 학습 모형과 절차, 국어 수업 활동, 언어적 상호 작용 및 피드백, 자료 활용 및 평가, 수업 계획과 실천의 상황 대처의 반성적 점검을 수업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실 친화적 교육 실습을 통한 초등국어 수업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초등국어 수업의 의미로는, 초등국어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학습과 실천적 지식의 중요성 인식, 구성주의 관점의 초등 국어 수업 지향,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재 분석 및 탐구, 자신의 초등국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점검에 대한 필요성 인식, 초등국어 교과의 특성 이해, 초등교사의 보람 등을 들 수 있다.
        124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원(classroom friendly teacher)”이란 개념을 교원양성과정을 통해서 배출해낼 이상적 교사의 모습으로 상정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교사로서 활동하는 교원의 구체적인 속성을 탐색하고, 교실친화적 교원양성과정에 있어서 주안점을 두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실친화적 교원은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기술적 차원의 지식과 기술 (technical domain), 수업활동이 학습자들에게 교육적 경험으로 조직,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윤리적 요소 (ethical domain), 그리고 교실외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와 영향력이 교실수업에 미칠 수 있는 효과를 예측, 조절할 수 있는 정치적 요소 (political domain)의 세 차원의 지식,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요소에 덧붙여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교실상황에서 최선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상황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교실친화적 교원양성과정은 교과내용 및 교수방법에 대한 전문적 소양을 배양하는 동시에 교육활동이 벌어지는 상황 이해능력, 그리고 윤리적 판단가능성을 증진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을 갖춘 교사는 수동적인 지식, 기술의 소비자가 아닌, 수업상황에 적절한 지식의 생산자로서 역할에 필요한 창조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