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3

        1684.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diocin 처리에 따른 생면의 저장성 연장효과를 얻기 위하여 pediocin을 처리한 후 생면의 미생물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pH의 변화는 pediocin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후 2일에서 약간 증가 하다가 이후부터 점차 감소함을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일반 세균수의 변화는 점차 균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00 ppm 처리구의 경우 저장 1일 후 일시적으로 균수의 감소되어 살균효과를 관찰할
        1685.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PME 처리가 미생물의 생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ME의 항균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소수성 분획과 친수성 분획으로 분리하고, 공시균주를 사용하여 미생물의 성장 및 에너지대사 관련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추출물 분획별 항균활성은 변패미 생물인 C. fragariae를 대상으로 paper disk법으로 관찰하였다. 총 추출물(PME)의 소수성 분획은 C. fragariae의 성장을 저해하기는 하나 그 효과가 총
        168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ing with the well-being era, consumer’s demand for safe agricultural products is increasing. So, it is urgent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rice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rice production system by using Amo known as EM(effective microorganisms) and also known as being effective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roduction with several othe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he highest number of tillers per hill was obtained from level 2 of EM treatment (48.8 tillers per hill), while the lowest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plot (41.0 tillers per hill). Leaf area per hill at heading stage was the highest in level 3 of EM treatment (3228.5㎠), while control was the lowest leaf area (2264.7㎠), which is 70.2% compared to the level 3 of EM treatment. The highest effective tillers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63.7%), while the lowest effective tillers was obtained from the level 3 of EM treatment (55.4%), which were treated with higher amoun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Level 3 of EM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panicles per hill (20.9), while the control showed the lowest number of panicles per hill (19.3). In the spikelets per panicle, level 2 of EM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pikelets (85.2), while the control showed the lowest number of spikelets (81.9)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levels and control. The highest grain filling ratio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85.0%), while level 3 of EM treatment was the lowest grain filling ratio and there were no grea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levels. Regarding the 1000 grain weight, the control showed the highest 1000 grain weight (21.7g), which is heavier by about 1g compared to treatment levels. Level 2 of EM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rough rice yield per 10a, while level 3 of EM treatment was the lowest and they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 levels.
        168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인삼의 대표적 재배지인 금산군에서 GAP인삼 생산을 희망하는 10농가를 선발하여, GAP인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그리고 미생물 등의 위해요소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경작되고 있는 인삼을 비롯하여 인삼밭의 토양, 수질 등 3종류로 하였다. 토양에서의 농약잔류를 검사한 결과, 인삼농가 및 일반농가 토양에서 자주 사용되는 Carbendazim등 81개의 농약을 선발하여 분석하였으나, 인삼에 등록된 농약별 최대잔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모두 적합판정의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재배 토양에 중금속의 오염우려가 되는 비소 등8종류의 조사 하였으나 기준치 보다 적게나와 전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관개수 및 농약희석 살포 등으로 사용되는 수질을 조사한 결과도 조사된 10농가가 모두 안전하였다. 참여농가 밭에서 직접 채취한 인삼에서 24종의 농약을 분석한 결과도 적합 판정으로 나타났다. 조사농가 수삼에 존재하는 위해성 미생물 검사에서 Pantoea spp등 2종의 Gram 음성균과 1종의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sciuri)이 동정되었으며, 일반세균 수는 1.5×103 cfu/ml 로 다른 농산물보다 적은 수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번 조사한 금산 지역에서는 GAP 인산재배 생산에 적합한 토양, 수질을 보였으며, 기존 생산한 인삼에서도 GAP 농산물 생산 기준에 적합하였다.
        1690.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73,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154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그리고 Aeromonas hydrophila KCTC 2358에 대하여 0.05-0.2% 범위에서 뚜렷한 성장억제효
        1691.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박 메탄을 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매실박 메탄올추출물의 항균물질은 높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안정하였으며, 넓은 범위의 pH(3-11)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매실박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s spectrum이 광범위할 뿐 아니라, 높은 온도 및 넓은 범위의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
        169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쌀의 품질과 식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질소시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비 및 분얼비 시용량을 달리하여 수비 시기인 유수분화기에 벼의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를 다양하게 조성한 상태에서 수비 시용량을 달리하였을 때의 백미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고품질 쌀 생산에 맞는 질소 시비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6~9% 로서 기비+분얼비 및 수비 시용량비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는데, 기비+분얼비 시용량이 20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1.8 kgN/10a 이하일 경우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7% 이하였으며. 기비+분얼비 보다는 수비에 의한 단백질 함량 증가폭이 더 컸다. 2. 수확기 지상부 질소함량과 백미의 질소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직선회귀 관계를 보였는데, 수확기 총 질소흡수량 중에서 58.3%와 46.5%가 각각 이삭과 백미로 전이되었고, 연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유수형성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유수분화기 이후 수확기까지의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2차곡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후자의 영향이 컸다. 유수분화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이 8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이후의 질소집적량이 3 kgN/10a미만일 경우에는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7% 미만이었다. 4. 수확기까지 총 질소 집적량이 같더라도 단위면적 당 영화수에 영향이 큰 유수분화기까지의 질소 집적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그리고 등숙기 기상환경이 좋아 sink의 충진에 유리한 해에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III 균주는 최고분얼기때의 반응과 유사하였다. xa5를 갖는 IRBB5, IRBB105 및 IRBB205 계통은 모든 검정균주에 대해 저항성으로 반응하였다. 4. 2개 이상의 진성 저항성 유전자를 갖는 계통들은 벼 생육시기 전 과정에서 벼흰잎마름병균에 대해 저항성 정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저항성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Xa4, xa5, Xa7 등의 유전자의 집적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chain E 발현이 감소하였다.floor pen(가로: 2.0 m, 세로: 2.4 m)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2는 1일령 육계(Ross(R)종) 240수(암 수 각각 1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암 수 동수) 씩을 케이지(가로: 35.5 cm, 세로: 45 cm, 높이: 55 cm)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각각 35일간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 생산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herbs M구가 가장 높았다. 시험 2에서 4~5 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시험 1의 RBC와 적혈구 용적 (HCT 또는 PCV), Hb는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2의 BA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혈청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장내 미생물 균총과 영양소 이용율은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
        1693.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protect pigs from bacterial diarrhea and the nasty smell in stalls which are the most trouble, we composed a bio-formula with Stretococcus thermophilus, Bacillus amyloliquifaciens and Bacillus subtilis. The antagonistic microbe Bacillus amyloliquifaciens can control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6, Escherichia coli O-157, Listeria and Staphylococcus. S. thermophilus from pig’s stomach can live in gastric juice so it also control germs. They worked in its living cell state and its culture fluid. As a result of feeding with piglings, it showed effects of preventing diarrhea and increasing the weight.
        1694.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8 ∼ 12의 medium-chain free fatty acid 및 1-monoglyceride의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은 잘 알려져 있다. Lipid의 항균력에 대해 발표된 연구는 주로 사람이나 가축에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력에 초점을 맞춰 왔으며, 실제로 화장품에 문제가 되는 미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항균력 조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C12 (glyceryl laurate)에 비해 C8 (glyceryl caprylate) 사슬 길이를 가지는 1-monoglyceride의 화장품 제형 내 방부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C8 및 C12의 chain length를 가지는 1-monoglyceride 모두 세균에 대한 방부력은 매우 우수한 반면, 진균에 대한 방부력이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12에 비해 C8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glyceryl caprylate는 항균력이 약간 우수하였다. 이 후 화장품 방부력 시험에 사용되는 5종의 미생물 각각에 대한 glyceryl caprylate의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 결과,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와 이스트인 C. albicans에 대한 항균력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그람 음성균인 E. coli, P. aeruginosa 순으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곰팡이인 A. niger에 대해서는 다른 균에 비해 매우 취약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yceryl caprylate의 화장품 방부제로서의 적용을 위해 A. niger와 같은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glyceryl caprylate의 A. niger에 대한 항균력이 산성 조건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종의 다른 antimicrobial agent와의 병용을 통한 최적의 조합을 찾고자 실험한 결과, methylparaben과 조합했을 때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169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해안 지역 갯벌의 퇴적학적인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갯벌 퇴적물의 광물학적인 연구 및 지구 미생물학적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남도 무안군의 청계면과 해제면의 갯벌 퇴적물 내 광물의 특성 관찰 및 철 환원 박테리아의 존재에 따른 철산화물 상전이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갯벌 퇴적물의 광물학적인 특성 관찰을 위해 입도분석으로 분리된 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SEM-EDX), 투사전자현미경(TEM), X-선회절(XRD) 분석을 이용하여 구성광물을 관찰하였다. 생지화학적 연구는 갯벌 퇴적물 내 철 환원 박테리아의 존재를 확인한 후, 갯벌 내 서식하는 철 환원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akaganeite, ferrihydrite, 침철석을 전자수용체로 그리고 젖산, 글루코스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여 3가 철의 환원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박테리아에 의한 산화철의 상전이 과정에서 형성된 이차광물을 투사전자현미경과 X-선회절 분석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청계면과 해제면의 갯벌 퇴적물 모두 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흑운모, 카올린, 일라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갯벌 퇴적물로부터 배양한 철 환원 박테리아는 글루코스 또는 락테이트를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여 적갈색이었던 akaganeite를 나노미터 크기의 검은색 자철석으로 그리고 적갈색의 ferrihydrite를 검은색의 비정질 광물로 상전이 시켰다. 또한 노란색의 침철석을 녹색으로 환원시켰으며 침철석의 일부를 나노미터 크기의 광물로 상전이 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갯벌 퇴적물로부터 배양한 미생물들은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이용하며 3가철을 포함한 산화철을 환원시키고 자철석과 같은 2가 철을 포함한 광물을 형성함을 보여 주었다. 이들 박테리아의 활동은 갯벌 퇴적물 내에서 유기물과 금속이온의 순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철석을 형성하는 등 생광화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1696.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 당근채 세척시 오존수 사용에 의한 품질 및 안전성 향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척 당근을 절단한 뒤 100ppm의 염소수에 1, 2회 세척 및 오존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초기 오존수 농도 2ppm에서 1,5, 20분 세척한 뒤 투과율 필름으로 포장하여 에서 3주간 저장되었다. 당근채의 오존수 세척처리는 저장 중 포장내부의 기체 조성, 당근채의 품질 및 미생물 수에 영향을 미쳤다. 오존수 20분 처리는 당근채 저장
        1697.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내미생물 개선에 효과가 있는 약용식물소재들을 탐색하여 정장제품 개발하고자 13종의 식물을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농도별로 유해균인 C. perfringens, E. coli와 유익균인 B. longum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실험으로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가. C. perfringens은 민들레와 인진쑥 물 추출물에, 돌나물, 오미자, 민들레, 부추, 생강, 쑥, 인진쑥, 질경이 에탄올추출물에 강하게 생육억제 되었다. 나. E. coli은 돌나물, 오미자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하게 생육억제 되었다. 다. B. longum은 추출용매에 관계없이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라. 돌나물과 오미자 에탄올추출물이 유익균에 생육억제 없이, 두 유해균을 억제됨으로서 이들 소재가 정장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1698.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미생물에 의한 농산물의 오염 및 균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포도저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중량감소율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20 ppm+Ny/PE/L-LDPE 처리구가 가장 적었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무처리구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0 ppm+Ny/PE/L-LDPE 처리구는 감소했다. 적정산도 값은 상온, 저온
        1699.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pipe materials on corrosion and bacteria regrowth using a laboratory scale batch test. Two varieties of feed water with different microbial conditions were selected: tap water, surface river water (Han River water), and five pipe materials; carbon steel, copper, galvanized iron, stainless steel, and PVC. Carbon steel and galvanized iron pipes showed higher corrosion rates than other materials. In terms of attached bacterial growth, pipes with PVC and stainless steel showed higher bacteria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materials. Pseudomonas vesicularis was the predominant bacteria found on biofilm. The behavior of bacterial growth in the pipes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70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gh surface area polymer, AquaMatsⓇ was used for the leachate purification process originated from the Samsan Dong Landfill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hen, three species of dominant microb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AquaMatsⓇ. Gram staining revealed these microbes to be Gram-negative rod strains: They were identified as Agrobacterium radiobacter, Pseudomonas cepacia, Flavobacterium indologenes. All they showed no growth on media in which the leachate was added alone, but a rapid proliferation rate on media with yeast extract as nutrient requi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