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4년 10월) 269

8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lant bug, Nesidiocoris tenuis (Reuter, 1895), is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n various crops such as tomato and paprika. In this study, the egg and all the nymphal stages of N. tenui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for the first tim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mai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each instar are as follows: body shape, body size, development of wing pads, density of pubescent covered with abdomen, and colorations of antenna and legs, etc. Additionally,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feeding habits and mating are also provided with life cycle photographs.
8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예천시 용두천 수계의 댐 건설 중 및 준공 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 군 및 서식기능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사 구간의 3개 지점에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7~8월 시기에 연 1회씩 총 4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4문 5강 12목 28과 50종 5,865개체가채집되었으며, 우점분류군은 하루살이목(45.2%)으로, 날도래목(45.0%), 파리목(7.6%)순으로 나타났다. EPT 분류군별 개체수 점유율은 하루살이목(45.2%), 강도래목(0.1%), 날도래목 (45.0)%로 나타났다. 건설 중(2010~2011년)에는 하루살이목 11종 614개체, 날도 래목 6종 185개체가 출현하였고, 준공 후(2012~2013년)에는 하루살이목 18종 2,039개체, 강도래목 1종 4개체, 날도래목 13종 2,453개체가 출현하였다. 건설 중 우점종은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아우점종 애호랑하루살이(Baetiella tuberculata)로, 준공 후의 우점종은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 아우점종 줄날도래(Hydropsyche kozhantschikovi)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건 설 중에는 우점도(DI) 0.519, 다양도(H') 2.676, 풍부도(R') 1.721, 균등도(E') 0.852 로, 준공 후 우점도(DI) 0.484, 다양도(H') 3.255, 풍부도(R') 2.862, 균등도(E') 0.752로 나타났다. 섭식기능군(FFG)의종구성비는 건설 중 SH: 8.3%, GC: 50.0%, FC: 16.7%, SC: 12.5%, P: 10.3%, 준공 후 SH: 4.9%, GC: 39.0%, FC: 14.6%, SC: 22.0%, P: 19.5% 로 나타났고, 서식기능군(FHG)의 종구성비는 건설 중 BU: 23.1%, CL: 50.0%, SP: 7.7%, SW: 19.2%, 준공 후 BU: 14.6%, CB: 2.4%, CL: 53.7%, SP: 9.8%, SW: 19.5%으로 나타났다.
8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ting elicits a dramatic changes in physiology, behavior, and life-history traits in insect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ing and the capacity of insects to resist environmental stressors. Starvation is one of the most ubiquitous forms of environmental stress faced by all insects under natural conditions. Previous studies using Drosophila melanogaster flies has shown that mated females lived longer under starvation than did virgin females, but the mechanistic basis for such post-mating increase in starvation resistance remains largely unexplo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of mating-induced alteration in starvation resistance and its heritable genetic variations in D. melanogaster. In the first experiment (Experiment 1), we compared starvation resistance (measured as starving time before death), body compositions, and food intake between mated and unmated flies of both sexes using a large outbred popul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Experiment 2), starvation resistance and body composition were quantified for mated male and female flies derived from each of 19 highly inbred genetic lines. Results from Experiment 1 showed that mated females were better able to resist starvation than virgin females and males because they ate more and thus laid down more fats in their body. Results from Experiment 2 revealed a significant heritable genetic variation in starvation resistance and its correlated body composition parameters for both sexes. Overall, females had a higher starvation resistance than males, but the magnitude of such intersexual difference varied among genetic lines, as suggested by a significant sex-by-line interaction. Cross-sex genetic correlations were highly significant and positive for starvation resistance, indicating that the genetic factors controlling the starvation resistance in D. melanogaster are shared between the two sexes.
8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대구와 경북지역에 위치한 팔공산 일대의 자연자원조사 일환으로 수 행되었다. 이를 위해 팔공산의 주요 지역에서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가산산성 지구, 한티 지구, 동화집단시설 지구를 중점으로 총 6회 10개소에서 야행성 곤충류 조사를 위해 유아등, 충전식버킷트랩 등을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확인된 팔공산 지역 야간곤충류는 총 18과 273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야간곤충류를 월별로 살펴보면 3월에 37종 324개체, 4월에 31종 184개체, 5월에 107종 533개체, 6월에 156종 1,009개체가 조사되었고, 7월과 8월은 현재 동 정 작업중에 있다. 4월이 3월에 비해 적은개체가 채집된 이유는 채집당일이 비가 온후이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 종 및 개체수가 적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8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of Phycitinae is one of the largest groups in family Pyralidae, as Solis and Mitter (1992) estimated, about 4000 species in the world. The Phycitinae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orewings long and narrow, with 11 veins or less, R3 and R4 stalked at base or fused completely, both male and female with only one frenulum; gnathos usually rod-shaped or coniform; valva usually hairy, with well-developed costa, sacculus well-sclerotized, shorter than valva, transtilla free or connected at top, juxta and vinculum U-shaped; most of male with culcita; ductus bursae usually from corpus bursae. The larvae of phycitinae are leaf rollers, leaf bores and leaf miners, also they are predators and products pests. Their distribution is throughout the world (Munroe and Solis, 1999). Leech and South (1901) first reported 3 species of Phycitini from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at, several researchers respectively made contributions to the fauna of Korean Phycitinae. Until 2008, Bae et al. recorded 79 species from South Korea. Currently, Qi and Bae (2014) added two more phycitinae species for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wo more Phycitinae species which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The morphology of adults and genitalia are redescribed and illustrated, the specimens examined are deposited i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8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Eumetoecus Loginova is revised. The genus is considered as Palearctic group and consist of four species in the world. This genus is newly recorded from Korea with a new species Eumetoecus sp. nov. which was collected from Suaeda japonica Makino (Chenopodiaceae). The new species is described, and a key to species and short biological notes are provided.
8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tesia plutellae known as an endoparasitoid parasitizes larvae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hich is a major pest in cruciferous crops. For the successful parasitization, maternal and embryonic factors of C. plutellae such as polydnavirus, ovarian proteins, teratocytes and venom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calreticulin (Cp-CRT) gene from transcriptome data of the venom gland in C. plutellae. cDNA of CRT was cloned from total RNA of the venom gland via PCR and encodes 403 amino acids harboring several structural motifs such as a signal peptide sequence, a repetitive sequence, a putative coiled-coil sequence encompassing, and endoplasmic reticulum-recognizing domain (-KDEL).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Cp-CRT gene formed a unique cluster with other hymenopteran CRT genes, indicating that the Cp-CRT belongs to the CRT family.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Cp-CRT, recombinant Cp-CRT, fused with 6X-His at N-terminal was constructed and expressed in E. coli. Recombinant Cp-CRT was successfully expressed via Western blot analysis and suppressed significant nodule formation when co-injected with E. coli as immune response induc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p-CRT involves in suppression of cellular immune response in the host
8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Glischrochilus Reitter, 1873 is characterized by reddish or yellowish markings on their elytra. This genus is belonging to family Nitidulidae Latreille,1802. Five species in this genus: Glischrochilus (Librodor) ipsoides (Reitter, 1879), Glischrochilus (Librodor) japonicus (Motschulsky, 1858), Glischrochilus (Librodor) pantherinus (Reitter, 1879), Glischrochilus (Librodor) parvipustulatus (Kolbe, 1886), Glischrochilus (Librodor) rufiventris (Reitter, 1879) have been recorded in Korea upto now. Additionally, a new recorded species, G. christophi, are recognized from korea. As the results,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adults of totally five species with one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were reviewed herein. A key to Korean species of genus Glischrochilus is also provided.
8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ate there have been only two species in genus Pogonus and subgenus Europhilus of genus Agonum recognized from Korean insect fauna: Pogonus itoshimaensis Habu, 1954 and Agonum (Europhilus) bellicum Lutshnik, 1934. In the present study one additional species for each genus is newly recognized from Korea: Pogonus (Pogonus) japonicus Putzeys, 1875 and Agonum (Europhilus) gratiosum nipponicum Habu, 1972. A key to adults, redescription, diagnostic photos of adult and male and female genitalia are provided.
9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기간산업에 대한 곤충상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보현산 다목적 댐을 선정하 여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다목적 댐 건설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위치하 고 있으며, 건설계획은 2010년 1월을 시작으로 2014년 12월에 완공할 예정이다. 본 조사는 보현산 다목적 댐 건설지역에서 총 7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 점별 곤충의 분포상을 조사하였으며, 댐 건설로 인한 곤충상의 변화, 출현종의 분 포현황, 보호종, 특산종, 희귀종, 특정개체군 출현 및 서식지 파악과 번식 유무, 이 동성, 서식환경의 특성 조사를 위해 시행하였다. 조사는 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 조사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매년 분기 별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환경영향평가는 2009년 3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환경영향조사는 2010년 9월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진행중에 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총 15목 161과 732종이 조사되었으며, 환경영향조사에서는 15목 123과 537종이 조사되었다. 금회 조사부터는 댐의 담수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작년도에 비해 눈에 띄는 곤충상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담수화가 진행되면서 물에 잠겨 서식환경의 특성변화가 나타난 지점이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보현산 다 목적 댐 건설 현장 주변의 곤충분포상과 출현종의 변화가 나타났다.
9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ussidae is a unique family belonging to the ‘Symphyta’, Hymenoptera. It is a small group of parasitoid sawflies, consisting of about 90 known extant species in 15 genera in the world. Most species of Orussidae are thermophilous and imagines are active during the hottest hours of the day. Therefore, orussids are rarely collected. They are known to be idiobiont ectoparasitoids of larvae of wood-boring beetles such as Buprestidae and Cerambycidae or Hymenoptera such as Siricidae and Xiphydriidae, although records of orussids parasitizing introduced siricids in New Zealand do not constitute a natural host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Orussus is the largest and most widely distributed genus. Currently, 28 valid species are recognized. Recently, Vilhelmsen et al. (2014) reported three new species of the genus Orussus from the Oriental region. Here we describe a new species, Orussus sp. nov., from South Korea and provide a revised key to the eastern Palaearctic species of Orussidae. Also, phylogenetic analyses place the new species basally in Orussus, together with other species from the Far East.
9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lvinaria regalis Canard, 1968 is newly record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genus Pulvinaria Targioni Tozzetti (Hemiptera: Coccidae) is revised as 6 species from Korean peninsula including a new record P. regalis. In this study, we provide description, illustration and key to species of this group.
9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eratovacuna aphids are one of the major gall-forming aphids. Four Ceratovacuna aphids have been reported from East Asia including Taiwan, Korea, and Japan. In Korea, only one species, Ceratovacuna nekoashi (Sasaki), has been confirmed amongst the four species, and yet their colonies have been found only from the banana bundle or cats-paw shaped galls on the primary hosts, Styrax trees (Styraceae). Colonies on the secondary hosts (Gramineae) have not been seen from Korea nor confirmed from Taiwan, although they are usually seen from Japan limitedly on stiltgrass Microstegium vimineum. Recently in Korea, a colony consisting of an emigrant and first instar soldiers were found from a grass species, Seteria sp. that have not been reported as a secondary host of C. nekoashi. Identity of C. nekoashi is definite based on morphology of the first instar soldier. Genetic identity is being explored for confirmation.
9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in the course of examining Korean diptera, we found a species, Atrichopogon femoralis Tokunaga placed in the subfamily Forcipomyinae Meigen. Forcipomyinae is most specious in the family Ceratogonidae, and comprise about 5,566 extant species placed in 103 genera in four subfamilies (Borkent and Wirth, 1997) from almost all the zoogeographic regions. Genus Atrichopogon is second largest genus, with about 520 species (Borkent, 2012). Currently 39 valid species of 6 genera belonging to 3 subfamily are known in Korea.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intermountain area and reservoir of Chungcheongnam-do, Cheonan-si, and Gyeongsangbuk-do, Gyeongju-si by black light trap (BLT) in 2013. We report an occurrence Atrichopogon femoralis Tokunaga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of which diagnosis, description, distribution and photo images are presented. For further researches, we also provide a key to genera of Korean Ceratopogonidae.
9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큰 섬으로 연평균 16.5℃로 사계절이 뚜렷 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는 연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 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는 지역이다. 본 조사는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 자도, 우도, 마라도)의 15개지역 24개지점을 대상으로 18회 유아등 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 결과 잎말이나방과 1종 (Phaecadophora fimbriata Walsingham)), 포충나 방과 2종 (Piletocera aegimiusalis (Walker), Pelena sericea (Butler)), 자나방과 1 종(Apochima praeacutaria (Inoue)), 혹나방과 1종(Meganola triangulalis (Leech)), Erebidae 1종 (Asota heliconia (Linnaeus)), 총 5개과 6종이 우리나라 미기록 종으 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9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08년 강원도 춘천, 원주지역의 꽃매미의 발생을 시작으로 ’12년 미국선녀벌레 와 ‘13년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생 등 최근에 강원지역에 발생된 돌발해충의 발생상 황과 돌발해충의 확산방지 및 적정 방제시기를 설정하기 위해 발생지역을 중심으 로 월동난의 부화시기를 조사하였다. ‘14년 강원도 내 꽃매미의 발생은 춘천을 비롯한 원주, 강릉 등 농경지 및 산림에 22.1ha가 발생되었으며 포도원 등 농경지보다는 산림에서의 발생이 많았다. ’11 년~‘13년까지의 동계 최저기온과 월동난의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최저기온이 많 이 경과하는 해 일수록 부화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4년 부화율 은 전년 대비 57%나 급증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춘천, 원주지역에서의 월동난 부화시기가 5월 12일경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에 따라 적정 방제시기는 5월 중순~6 월 상순으로 판단되었다. ‘12년 영동고속도로 원주지역 휴게소 정원수에서 도내 최초 발생된 미국선녀벌 레는 ’13년 횡성지역의 인삼포장에도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14년에는 원주지역 고속도로휴게소 정원수와 원주, 횡성지역의 인삼포장과 주변 수목에서 발생되었 다. 이들 발생지역에서의 월동난 부화시기는 6월 14일경으로 조사되어 적정 방제 시기는 6월 중순~7월 상순으로 판단되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13년 원주지역의 복숭아, 블루베리과원에서 도내 최초로 발 생되었으며 ’14년 조사에서는 전년 발생지를 중심으로 2.3ha의 발생이 확인되었고 주변으로의 확산은 없어 자력으로 비래하여 확산되는 경향은 적은 것으로 생각되 었으며 월동난의 부화시기는 6월 13일경으로 조사되어 부화약충을 대상으로한 적 정 방제시기는 6월 중순~7월 상순으로 판단되었다.
9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감귤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볼록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시기 결정 및 방제 효율 증진을 위해 감귤류에서의 볼록총채벌레 산란흔적을 구명하였다. 현 재까지 감귤 더뎅이병 유사증상으로 분류된 것 중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증상이 상 당수 존재하였으나 이중 일부는 볼록총채벌레의 산란흔적으로 구명되어졌다. 총 채벌레류의 산란흔적은 이미 다른 과수나 채소류에서 밝혀진 예는 있으나 감귤류 에서 볼록총채벌레 산란흔적이 밝혀진 경우는 처음이다. 볼록총채벌레는 감귤 엽 육조직에 산란하며 알의 일부는 엽육조직 위로 아주 조금 나오게 된다. 3∼5일이 경과하게 되면 산란한 장소는 회백색의 볼록한 흔적을 남기게 되면 이때 비로소 육 안으로 관찰가능하게 된다. 감귤 더뎅이병과 비교하였을 때 더뎅이병의 경우 감귤 잎이 돌출하게 되며 회갈색의 각질 흔적을 남기게 되지만 볼록총채벌레 산란흔적 의 경우 회백색의 각질을 남기지만 그 부위가 돌출되지는 않는다. 볼록총채벌레의 경우 산란후 부화하기까지 10일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산란흔적이 나타난 후 7∼ 10일 후 볼록총채벌레 약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방제가 가능하다. 과실의 경우 에도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앞으로 이러한 증상을 확인하여 볼록총채벌레의 적정 방제시기 결정 및 방제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본의 경우 친환경 감귤과원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화살깍지벌레의 방제를 위 해 1980년대 화살깍지벌레 원산지인 중국으로부터 기생봉 2종(Aphytis yanonensis, Coccobius fulvus)을 도입하여 경제적 피해수준 이하로 유지하는데 성공하였다. 한 국에서도 화살깍지벌레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기생봉 2종의 도입을 추진 중이 다. 이를 위해 현재 일본에서 화살깍지벌레 기생봉 2종의 기생능력을 파악 할 필요 가 있다. 일본 규슈 후쿠오카현 주변의 야생 감귤에서 화살깍지벌레를 발견할 수 있 었으며 이곳에서 기생봉 2종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생봉 도입 시 문제시되는 1세 대 경과일수 및 먹이를 주지 않을 경우와 먹이를 줄 경우의 수명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생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phytis yanonensis의 경우 1세대 경과 일수가 17일 Coccobius fulvus의 경우 21일인 것으로 밝혀져 있었으나 포획 후 실 내에서 확인한 결과 각각 20일, 21일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살깍지벌레에서 나타난 후 세어지지 개체가 나중에 세어지거나 나타난 후 산란하여 생긴 2번째 세 대인 것으로 유추된다. 도입을 위해 운반 시 먹이를 줄 경우는 전자는 평균 17일, 후 자는 13일까지 생존할 수 있었으며 먹이를 주지 않을 경우 4일, 5일로 나타났다. 먹 이를 주지 않고 운반시 4일 이내로 운반하는 것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기생봉 이 기생 할 수 있는 3령 및 성충 430마리를 조사한 결과 치사율이 65%, 그 중 기생봉 이 기생한 증거가 되는 탈출공은 24%, 기생봉의 배설물이 있는 경우는 27%로 기생 봉의 기생율은 40%로 나타났다.
9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가 온난화되어감에 따라 전북지역에서 콜라비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콜라비는 십자화과 작물로 해충의 발생이 많으며 그중에서 배추좀나방의 발 생과 피해가 크다. 해충 발생의 조기예찰은 방제의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과정이 며, 신속 정확한 예찰법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페로몬트랩과 황색끈끈이트랩 설 치방법에 따른 배추좀나방의 포획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14년 5월 8일 전북농 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콜라비 묘를 정식하고 페로몬 루어를 델타트랩과 판넬트 랩에 장착하여 지제부위 1m높이에 3반복설치하고, 배추좀나방의 유인 포획효과 를 6월 10일부터 23일까지 7일 간격으로 3회 조사하였다. 또한 황색끈끈이트랩 설 치방법에 따른 포획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제부로부터 1m 높이에 끈끈이 면이 수직이 되는 설치, 끈끈이 면이 45°경사를 이루는 설치, 끈끈이 면이 수평으로 위로 향하게 한 설치, 끈끈이 면이 수평으로 아래로 향하게 한 설치 를 하여 7일 간격으로 유인효과를 3회 조사하였다. 페로몬트랩 유인효과는 판넬트랩에서는 채집이 되지 않은 반면 델타트랩에서 는 트랩당 0.9마리가 포획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서는 끈끈이 면이 45°경사를 이루는 설치가 트랩당 2.2마리로 가장 많이 포획되었고, 끈끈이 면이 수직으로 한 설치가 2.0마리, 끈끈이 면이 수평으로 위로 향하게 한 처리가 1.8마리, 아래로 향하 게 한 수평처리가 0.2마리였다. 따라서 배추좀나방 예찰을 위한 페로몬트랩은 델타 트랩에 설치하고, 황색끈끈이 트랩은 끈끈이 면이 45°경사를 이루는 설치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10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ospholipase A2 (PLA2) catalyzes an ester hydrolysis at sn-2 position of phospholipids. Various PLA2 genes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15 groups. However, on the basis of physiological functions, PLA2 genes are classified into calcium dependent cellular PLA2 (cPLA2), calcium independent cellular PLA2 (iPLA2) and secretary PLA2 (sPLA2). In insects, several sPLA2 gene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venom or immune functions. However, no known cellular PLA2 genes are identified. This study reports an iPLA2 (SeiPLA2) encoded in Spodoptera exigua. SeiPLA2 has an open reading frame of 2448 bp encoding a sequence of 816 amino acid residues. Its predicted protein is 89.55 KDa and 6.15 pI. SeiPLA2 is expressed in egg, larva, pupa and adult stages. In larval stage, SeiPLA2 is expressed in hemocytes, fat body, epidermis, gut, malpighian tubules and salivary gland. To underst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ts RNA interference is under investig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