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골든씨드프로젝트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4년 7월) 389

4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직파재배는 노력시간 및 생산비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입모율 저하 및 도복에 의한 수량 감소 등의 문제로 계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담수직파 전용 벼 품종육성을 위한 교배모본을 탐색하기 위해 국립농업과학 원 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저온발아성이 우수한 유전자원 및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원의 저온발아성 및 담수 토중출아성을 평가하였다. 522점의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13℃에서 15일간 처리한 후 발아율을 조사하고 저온발 아성이 우수한 유전자원에 대해 파종 후 1cm 복토하고 10 cm 담수상태에서 15일 후 발아율 및 초장을 조사하여 담 수토중출아성을 평가하였다. Dao ye qing, IR63295-AC209-7 등 13℃ 저온에서 전혀 발아가 되지 않는 유전자원도 있었으나 400여점이 저온발아율 60% 이상으로 저온발아성이 양호하였다. 저온발아성이 우수한 유전자원 308점 을 이용하여 담수토중출아성을 평가한 결과, 토중출아율의 범위는 0~80%, 평균 17.8%를 나타냈고 출아한 유전 자원의 초장은 평균 8.8 cm, 최대 20.7 cm로 담수토중에서도 출아 및 초기신장이 양호한 유전자원을 선발할 수 있었 다. 그 중에서 Yunjing4, Lan dao, Annapurna 및 자광도는 저온발아성 및 담수토중출아성이 우수하여 담수직파 전용 벼 품종육성을 위한 모본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포니카 형인 Yunjing4의 저온발아율, 토중출아율 및 초기신장성(초장)이 각각 99.0%, 55%, 7.4 cm이었고 Lan dao는 100.0%, 80.0%, 9.8 cm이었다. 인디카형인 자광도 는 98.0%, 76.0%, 11.3 cm이었으며 Annapurna는 99.5%, 60%, 7.3 cm이었다.
4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area of reclaimed land in Korea is about 135,100 ha, which occupies 9 % of total arable land. Soyb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 in Korea and demand for the crop is increasing, while the country’s self-sufficiency is very low, around 9 %. If it’s possible to cultivate soybean in reclaimed land, it would increase self-sufficiency of the soybean.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to cultivate soybean in reclaimed land because of excessive level of salinity in the soil, to prevent this barrier in saline soi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alt tolerant soybean cultiva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lect salt tolerant lines derived from PI 483463 (salt tolerant wild soybean accession). The F1 (Hutcheson × PI 483463) was backcrossed with Hutcheson and Wooram (salt sensitive soybean cultivar). For marker assisted selection and salt reaction phenotyping, randomly selected BC1F1 seeds from two backcross populations were planted in 11 cm tall tray. At the V1 growth stage, DNA was sampled with FTA card. The genomic DNA and SSR marker, BARCSOYSSR_03_1348, were used for PCR amplification and the result was checked through electrophoresis. The trays with BC1F1 plants were immersed in 100 mM NaCl solution up to the bottom third of the trays directly after the DNA extraction. After two weeks, phenotype was measured depending on leaf scorch degree. Through this research, 25 dominant homozygote lines and 22 heterozygote lines from Hutcheson backcross population and 28 dominant homozygote lines and 37 heterozygote lines from Wooram backcross population were selected. These lines will be used for developing soybean with salt tolerance
4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콩의 재배면적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연간 1인당 소비량은 8kg을 유지하고 있어 식용콩의 자급율이 30%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콩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수량성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여 왔 으며, 2002년 ‘신팔달콩2호’의 수량성을 이용한 ‘대풍’이 평균 3MT/ha 이상의 다수성 품종으로 개발되었으나 종자 의 배꼽색이 갈색이며 크기가 작아 보급이 확대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개선하기 위해 2012년 ‘대풍’을 모본으로 하여 종자상의 단점을 개선한 ‘진풍’이 개발되었으며, 2013년에는 ‘진풍’보다 종자가 굵고 품위가 우수 한 다수성 ‘선풍(밀양231호)’을 개발하였기에 그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선풍’은 ‘신팔달콩2호’에 ‘화엄풋콩’을 교배하여 대립화한 ‘수원 224호’에 ‘동산121호’와 ‘Sprite87’의 교잡후대로서 종실품위가 우수한 계통을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한 품종이다. ‘선풍’은 성숙기가 10월 19일로 현재 가장 많이 재배되는 ‘대원콩’보다 5일 늦으며, 불마름병과 SMV에 저항성이다. 종자의 배꼽색이 없고 100립중이 ‘대원콩’보다 1.7g 무거운 대립이면서 내탈립성이 강하다.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전 지역에서 ‘대원콩’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특히 중남부지역에서 평 균 3.4MT/ha로서 대원콩 대비 21% 증수하였다.
4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다수확성 호두나무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호두나무 주산지를 대상으로 병해충 피해가 없고 과실형질이 우 수한 우량개체들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후보목들은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재배포지에 식재하 였고 풍매검정을 통하여 제특성을 검정하여 형질이 우수한 ‘YD1’, ‘MP10’ 및 ‘ET1’ 개체를 선발하였다. 우량개체 로 선발된 YD1, MP10 및 ET1을 대상으로 2009∼2011년까지 결실 및 과실특성에 대한 안정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우수한 특성들이 안정적으로 발현되어 각각 ‘정월’, ‘보름달’ 및 ‘칠선’으로 최종 명명하였다. 신품종 ‘정월’은 과실 의 종경과 횡경이 각각 44.3mm와 35.6mm, 입중과 인중은 14.0g과 6.6g, 인중비와 과피 두께는 46.9%와 1.5mm이다. “보름달”은 과실의 종경과 횡경이 각각 40.2mm와 39.1mm, 입중과 인중은 15.8g과 6.5g, 인중비와 과피 두께는 41.3%와 1.7mm이다. ‘칠선’은 과실의 종경과 횡경이 각각 44.8mm와 41.0mm, 입중과 인중은 19.7g과 11.2g, 인중비 와 과피 두께는 53%와 1.7mm로 과실형질이 우수하다.
4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 개방화 대응 최고품질 벼 품종의 다양화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벼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에 대등하기 위하여 복합내병성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7년 하계에 고품질 이면서 K3a에 저항성 계통인 익산493호(진백)를 모본으로 하고 벼멸구저항성 계통 익산495호(다청)와 직파적응 계통인 익산496호을 교배한 F1을 부본으로 하여 삼원교배 하였다. 조기에 우량 품종을 개발하고자 F1세대에서 약 배양을 수행하여 우량계통을 선발 고정하여 2013년에 ‘해품’을 개발하였다. ‘해품’은 출수기가 8월 11일로 ‘남평’ 보다 3일 빠른 중생종이며 남평’보다 8cm 작은 단간 내도복 품종이다. ‘해품’은 벼흰잎마름병(K1∼K3, K3a)과 줄무 늬잎마름병에 강하고, 쓰러짐에 강하며 수발아가 안 되는 편이다. 쌀 수량성은 2010∼2013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 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27MT/ha로 남평에 비해 2% 적으나, 벼흰잎마름병 발병상습지 검정에서는 5.25MT/ha으로 이병성인 남평벼에 비해 26%의 증수효과가 있다. 또한 ‘해품’은 이모작재배에서 5.25MT/ha, 만식 재배에서는 5.05MT/ha의 수량성을 보이는 최고품질 벼 품종이다. ‘해품’의 적응지역은 충남이남 평야지 및 남서 해안지이다.
4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ze breeding is mainly divided by two steps; line development and hybrid selection. Line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procedure to make good hybrids and this line development in Korea is fully depend upon conventional methods like pedigree selection, back-cross, etc. For development of pure line, we have to do self-pollination for at least seven cycles. This line development system is tedious,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procedure. Doubled Haploid technology for maize is a new system to develop inbred lines within short period and many maize research institutes in foreign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using this technology. Using Doubled Haploid technology, we can greatly reduce the period of line development and strengthen maize research ability in Korea. Key requisite for Doubled Haploid breeding is possession of inducer lines which can produce haploid when source population is crossed with them. Maize Research Institute in Gangwon Province secures the right of using inducer lines and is trying to introduce Doubled Haploid breeding in Korea. Doubled Haploid breeding system is as follows; crossing between population and inducer, separation haploid seeds from F1 seeds, chromosome doubling, doubled plant management, self-pollination, seed multiplication, and assessment. We expect our breeding capacity will be progressed by introduction of Doubled Haploid technology. When this technology comes to combine with marker assisted selection, we can increase competitiveness against global institutes.
4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of the biotic stresses in rice production is rice blast disease caused by Magnaporthe oryzae, which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fungal diseases in rice. We outlined an approach towards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for the blast disease resistance in rice. In total, 295 rice accessions including 137 Heuristic Set accessions (HS) and 158 Korean Bred varieties (KB) were screened for the rice blast disease resistance. Firstly, Magnaporthe oryzae were inoculated to the rice seedlings of two weeks after germinations. Then, evaluation of the disease symptoms and checking the crossing point (CP) value were conducted one week after inoculation. To quantify the CP valu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employed in combination with the primer pair and Taqman probe specific to Magnaporthe oryzae HYDROPHOBIN class 1 (MHP1) which is an indispensable unigene encoding HYDROPHOBIN for normal virulence expression. Based on these CP values from the PCR reactions containing a series of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loned amplicon or fungal genomic DNA, correlation among the template’s copy number or its amount and amplification pattern was calculated. Reliability of this equation was further confirmed using the DNA samples from the rice leaves infected with compatible or incompatible strains of M. oryzae. These steps are still being undertaken, and after the complete process of disease resistance phenotyping for the whole population containing 295 accessions, GWAS will be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ed genes involving in blast resistance mechanism using the whole genome resequencing data of 295 accessions. This approach would be a useful technique for identifying genetic loci responsible for natural variation in rice blast disease resistance and ultimately, new R genes which can improve the blast resistance in rice.
4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economy development, people have an increasing demand for meat and eggs. Hence the market demand for cereal crop keeps increasing. maize is the major crop to meet the conditions of market demand. As a part of the Golden Seed Project, we are planning to develop maize varieties for adaptation in Southern Asia, especially in India. This project was started at 2013 and has been collaborated with Nongwoo Bio Co. Our project is based on overseas maize breeding in Bangalore, India. At first year, we tested 40 maize hybrids to investigate adaptability, yield capacity, and growing characteristics. Planting materials for this test were developed and selected in Cambodia by researchers of Maize Research Institute. Growing performance is usually quite different by the growing area and seasons, but some of our materials have shown good adaptability and yield at dry season in Southern India. 13IN07 was selected by yield and grain color, 13IN39 was selected by yield and plant type. These two selected hybrids were applied to regional test controled by 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in India. We will see how our hybrids adapt in various regions in India, assess how other tested hybrids perform in those regions, and compare each other. We may also expect one of the selected hybrids can be a candidate variety for some regions in India and we will continuously select good hybrids and develop new varieties in India.
4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곡물 옥수수 자급률이 1% 미만이지만 매년 약 800만톤 이상을 소비하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의 식량자급은 대단히 위태로운 상황에 직면에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의 해외식량기지 구축 및 지원을 위한 우량 옥수수 품 종개발을 통하여 식량자급에 보탬이 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대학교 이석하 교수와 현지 진출기업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본 과제는 2011년 8월부터 2014년 8월까지 3년간 캄보디아, 러시아 연해주에서 현지 기업 재배 시험포에서 적응하는 품종을 개발하였다. 캄보디아 캄폿주에서 에이퍼플주식회사의 JNJ Bora의 협조로 현재까 지 3년간 총 8작기(회) 현지에 상주하면서 육종 및 평가를 추진하였으며, 러시아 연해주 우스리스크에서 서울사료 의 협조로 4작기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연구원 현지 상주로 국내 육성 또는 도입 고정계통의 특성평 가, 현지 평가용 교잡종의 구성 및 평가, 열대 수집자원을 중심으로 한 분리계통의 육성 등을 추진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열대지방 지속 육종을 위한 분리 395계통과 교잡종 강원캄1, 2, 3호를 선발하였다. 분리 계통은 남부아시아 적응 수출용 옥수수 품종개발 육종 재료로 활용하고 있고 선발된 교잡종 3종은 현지 캄보디아 품종 출원 중에 있으 며 신속한 종자공급을 위하여 50a 채종포를 조성하였다. 러시아 연해주에서는 2011년부터 3년간 국내에서 육성 교잡한 225교잡종을 현지에서 평가한 결과 최종으로 강원러1호(종교101호)를 선발하였고, 현지에 채종포 10a를 조성하였다. 현지에 적응하는 품종은 향후 품종실시를 통하여 우리 진출기업이 옥수수 대량 재배에 활용할 수 있 도록 지속적인 육종과 종자생산관리를 추진할 예정이다.
5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Oryza sativa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ple foods that feed more than 50% of the world’s population. With the improving of people’s living standard, eating quality of rice become the most important aims in current breeding programs. Amylose content (AC) and gelatinization temperature (GT) are the two main measures to estimate the rice grain quality. In rice, a total of 27 genes directly involved the rice starch biosynthesis effecting on the rice eating quality. It clearly identified chromosome 6 to be rich in the genes related to AC and GT properties (GBSS I, SSIIa and SBE I) along with other genomic regions scattered in rice genome. Rice blast, caused by the fungal pathogen M. oryzae, is the most devastating disease of rice and severely affects crop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worldwide. Many fungal genes involved in pathogenicity and rice genes involved in effector recognition and defense responses have been identified over the past decade. A total of 99 and 22 blast resistance genes have been identified and cloned; in which 45% were found in japonica cultivars, 51% in indica cultivars, and the rest 4% in wild rice species. Among them, three major resistance gene clusters have been characeterized: the Pik locus on Chromosome 11, and the Pita locus on Chromosome 12, the Piz locus on Chromosome 6 closely to the starch synthesis-related genes. These results could be important clues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 susceptible materials and eating quality.
5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of the overwhelming number of cysteine proteases in plants, only a few were substantially investigated. Papain-like cysteine proteases (PLCPs) are commonly implicated to disease immunity in some key pathosystems in plants, such as in tomato – Cladosporium fulvum, potato/tomato – phytopthora infestans, and Arabidopsis – Ralstonia solanacearum, among the few oth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unction of cysteine protease gene cloned form Brassica rapa (BrCP) related to resistance to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 transgenic rice lines. The cysteine protease-encoding full-length cDNA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using web-based tools. The gene is 2,267 bp in size with an open reading frame of 1,365 bp that encodes predicted polypeptide of 455 amino acids. Blast analysis of the conserved domain of the gene confirmed its affinity to Peptidase_CIA family. Full-length cDNA of PLCP in Brassica rapa was then cloned and co-overexpressed in rice with HPT marker. Introgression of the gene was confirmed in the transformants through genomic PCR assay.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 gene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and present in all tissues. The overexpression rice lines exhibited an enhanced resistance when screened with four Korean Xoo isolates.
5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1/2002년 동계온실에서 동해안 및 영남지역에서 출수기가 중생이면서 밥맛 이 뛰어나고 재배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벼알의 숙색이 양호하고, 초형 및 밥맛이 좋은 “영덕31 호”를 모본으로 다수성이면서 밥맛이 우수한 “밀양16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2002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여 YR23160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3년에 F2집단을 포장과 실내 선발하여 2004년 하계에 F3세대를 육성하고, 이후 F4 ∼ F8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면서 예비선발시험 후 고품질이면서 현미 외관특성이 우수 하고 병해 및 재해에 안정적인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을 선발하여 2008년 생산력검정예비시험 2009년 생산력검 정본시험을 실시 한 후 중생이면서 다수성이고 완전미율이 높아 외관이 우수하면서 재배 안정성인 YR23160-31-2-1-5-B-3을 선발하여 “영덕53호”로 명명하였다. 2010년~2012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 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 품위 및 밥맛이 좋고 내도복과 내병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어 2012년 12월 농작물 직 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 “다보”로 명명하였다.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평균 8월 8일로 “화 성벼”보다 6일 빠른 중생종이며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 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수당 립수는 “화성벼”보다 많으나 현미천립중은 22.6g으로 “화성벼”보다 약간 가볍다. 도정특성은 “화성벼”와 비슷하 고 쌀알 모양이 단원형으로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화성벼”와 같이 양호하다. 불시출수는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 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 보다 다소 약한 수준이다. 잎도열병은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 는 감수성이다. 쌀수량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90MT/ha로 “화성벼”보다 10% 증수되었으며, 이모작재배에서 는 5.37MT/ha로 21%, 만식재배에서는 4.75MT/ha로 20% 증수하여 이모작 및 만식적응성이 높았다. 적응지역은 동 해안냉조풍지 및 남부해안지, 영남평야지, 남부중산간지이다.
5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 다수성 벼 품종으로 소얼수중형인 드래찬과 다소 수수형 특성을 나타내는 보람찬을 인공교배한 F1을 약 배양하여 220개 약배양 계통을 육성하였고 이 중 출수기가 모부본과 비슷하고 농업형질이 양호한 163계통을 선발 하였다. 2011, 2012년에 이삭 및 수량 관련 18개 형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간이수량은 2차지경 착생립수와 가장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1차지경에 비해 2차지경 관련 형질이 높은 관련성을 나타냈다. 주성분1을 기준으로 간이수량은 이삭관련 형질들과 같은 방향성을 나타낸 반면 수수와 등숙률과는 반대방향을 나타내고 있 어 공시된 약배양 집단의 다수성 특성은 2차지경립 확보에 의한 수당립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군집분 석을 통해 분류된 그룹 중 그룹 C의 평균 간이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수장, 수수, 수당립수, 지엽장 등이 드래찬과 보람찬의 중간을 나타냈다. 그룹 C에 속하는 13개 계통과 모부본에 대해 201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수행하여 이삭 과 수량관련 형질들을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해 군집분석한 결과 네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그룹 A는 드래찬 포함 5계통, 그룹 B는 보람찬 포함 6계통, 그룹 C는 HR28832-AC60, AC156 계통, 그룹 D에는 AC152, AC161 계통이 속하였다. 수량성은 D>C>B>A순으로 그룹 C는 수당립수가 다른 그룹에 비해 적고 천립중이 가벼우며 수수가 많 고 등숙률이 높은 특성을 나타냈으며 그룹 D는 특히 2차지경립이 많아서 수당립수가 가장 많고 천립중, 수수, 등숙 률이 A와 B의 중간을 나타냈다. 그룹 C와 D에 속하는 다수성 4계통을 대상으로 2014년 생산력검정시험을 수행하 여 수량성에 대한 재검정과 품질특성에 대해서 조사할 계획이다.
5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ysanthemum white rust, caused by Puccinia horiana,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fungal diseases in chrysanthemum cultivation worldwide.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resistant breeding, molecular markers linked to chrysanthemum white rust resistance gene were developed in pseudo F1 cross population between ‘Puma White’ as susceptible and ‘Dancer’ as resistant using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Of 280 RAPD primers (Operon 10 mer), 18 primers found to be polymorphic. After screening of these primers in 20 individual lines, only OPI-13520 was selected as closely linked marker to white rust disease resistance. Based on correspondence between phenotypic resistant level and marker in 187 segregation population,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white rust resistance gene and OPI-13520 marker assumed to be 3.8 cM. For OPI-13520 marker conversion into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the amplified fragment of OPI-13520 was purified, cloned and sequenced. Based on the DNA sequence of OPI-13520, SCAR maker was generated and verified in 20 individual lines used in BSA-RAPD.The results showed SCAR marker could be used to identify white rust resistance in chrysanthemum.
5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형 조생 찰벼의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증진을 위하여 내도복 다수성 조생 찰벼인 상주찰벼 배경에 벼흰잎 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2, Xa3, xa5, Xa21을 도입한 저항성 계통을 여교배와 벼흰잎마름병 생물검정을 통해 육성 하였고, 해당 저항성 유전자를 표지하는 DNA 분자 마커를 이용하여 저항성 유전자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우 리나라 벼흰잎마름병 균계 네 개와 필리핀 11개 균계를 대상으로 저항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Xa2가 도입된 HR24465 계통은 우리나라 K1, K2 균계와 필리핀 race 9a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Xa3가 도입된 HR24666 계통은 우리나라 K3a와 필리핀 race 6을 제외하고 저항성 및 중도 저항성을 나타냈다. xa5가 도입된 HR24668과 HR24673 은 필리핀 race 6을 제외하고 모두 저항성 반응을 나타냈으며 Xa21이 도입된 HR24669는 우리나라 K1 균계와 필리 핀 race 10을 제외하고 저항성 및 중도 저항성을 나타냈다. 육성된 계통들은 상주찰벼와 같이 조생이면서 찰벼였고 출수기와 수장, 수수, 정현비율 및 백미수량이 상주찰벼와 차이가 나지 않았다. 상주찰벼 배경에 Xa2, Xa3, xa5, Xa21이 도입된 저항성 계통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이 부족한 자포니카형 조생 찰벼의 저항성 강화를 위하여 유용 한 육종소재로 활용될 것이다.
5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5와 Xa7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방글라데시 aus 타입 벼 품종 DZ78로부터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저항성 계통을 육성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Xa3 보유 운광벼를 반복 친으로 하여 육성된 BC1F2 집단에 K3a 균계를 접종하여 선발된 저항성 33개체를 약배양에 이용하여 93개의 약배 양 집단을 작성하였다. K1 및 K3a 균계에 대한 저항성 반응을 조사하여 반응에 따라서 그룹을 분류하였다. 이 중 K3a 균계에 저항성인 계통은 1/1 그룹에 속하는 9 계통과 1/3 그룹에 속하는 7계통으로 예상보다 적게 발생하였는 데 이는 원연교배와 약배양에 의해서 segregation distortion이 일어난 것으로 생각한다. Xa7이 도입된 것으로 추정 되는 1/1 그룹에 속하는 계통들의 농업형질 특성을 보면 평균 간장이 49 cm, 수장이 20 cm로 다른 그룹에 비해서 간장과 수장이 짧았고, 수수는 많은 편이었다. 수당립수가 적고 까락이 존재하며 탈립이 심하고 불량한 초형 등 열 악형질이 수반되어 육종소재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접종 후 2주 후의 진정저항성 은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다소 병반이 진행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적색 종피를 가지 고 있는 DZ78의 기능성 효과가 보고되었는데 약배양 계통 중 적색 종피이며 농업형질이 양호하고 K1에 저항성인 계통을 선발하였다. 운광벼에서 저항성유전자가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 계통들은 벼흰잎마름병에 모두 이 병성인 적미 품종의 저항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가적인 농업형질 및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성능검정 을 실시하고 있다.
5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직파재배의 장점은 노력시간을 절약하여 생산비를 이앙재배대비 8%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재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직파재배는 ‘95년 118천ha(벼재배면적의 11%)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직파적응성 품종, 잡초, 앵미, 미질 등 재배여건 등이 크게 관여 했는데 품종적 측면에서는 저온발아성, 토줄출아성 등 초기입모관련 특성과 내도복성, 군집의 균일성 등 재배안전성이 가장 큰 요인이다. 본연구에서는 초기 입모와 관련한 저온발아성(13℃, 15일, 유아장 1mm이상), 담수토중출아성(5월 중순, 토중 1㎝, 수심 10㎝, 15 일후 입모조사), 도복검정(담수직파)을 실시하여 실제 담수직파재배 생육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저온발아성 은 답수직파 포장에서의 입모율과는 직접 연관이 적으며 담수토중출아성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초기신장성은 입 모와 관련 중요한 특성이며 이후 제초제처리 등 포장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초기 신장성 이 우수한 계통은 후기생육까지 영향을 주어 도복에 취약한데 HR27035-23-2-4, HR27035-39-3-1은 초기신장이 우 수하고 성숙기 간장이 73㎝로 양호하였다.
5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outhern region of Korea, double cropping system including soybean as a second crop is widely adopted because prolonged high temperature in October enables soybean maturation even in late autumn. Global warming during decades derives transition of soybean planting dates as late as late-July. Delayed planting beyond the critical time moves reproductive stage to less favorable weather conditions like low temperature and short photoperiod, which can affect soybean yield and seed composition. Therefore selection of appropriate cultivar for changed climate and cultural practice is required. Effects of different eco-type and planting date on soybean yield was investigated for three sowing dates of 20 June, 5 July and 20 July with ten cultivars. Strong interaction between cultivar and sowing date was detected in number of branch, node and pod.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in 100-grain weight and yield, and this might be resulted from similar yield reduction pattern. Daepung, Taekwang and Uram recorded the highest yield when planted late, proving that these three cultivars are the most adaptable to delayed planting. Delayed planting results in higher sugar content, especially stachyose and raffinose which have detrimental effect on human health by causing flatulence and diarrhea. Protein content was decreased and oil content was increased in July 20 planting. Decrease in protein content was the largest in Hwangeumol and maintained high in Saedanbaek.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a guideline when select appropriate soybean cultivar in delayed planting to maintain yield and seed quality.
5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1035는 직파에 의한 못자리 생략으로 생산비 절감을 위한 직파적응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개발을 목적으로 2005/2006년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단간, 복합내병성, 다수성인 익산488호(IT235282)을 모본으로 하고 HR21050-B-50-1을 부본으로 육성도었다. 육성방법은 인공교배 후 F3는 집단으로 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선발하면서 주요 병해충 및 미질특성을 조사하였다. 2010~2011년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초형이 우수한 고품질 직파적응성 HR26399-B-14-1-4 계통을 선발 “익산54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주요 특성으로 출수기는 8월 17일로 중만생종이며 간장이 73cm로 단간이고, 수수는 328개/㎡이다. 13℃에서 15일간 실시한 저온 발아성은 88%로 높았고 적고에도 강했으나 수발아가 40.1%였다. 주요병해충은 도열병에는 중간 저항성이고, 흰 잎마름병 K1-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며 충에대한 저항성은 없다. 수량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25kg/10a, 담수직파에서 523kg/10a이다. 직파관련 특성으로 저온발아성이 우수하며 입모가 123개/㎡로 양호하며 도복에 강 하다. 그러나 담수토중출아서, 밥맛, 수량성 등이 미흡하여 2011~2013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모 1035”로 명명하였다.
6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racteristics of agronomy, especially good yield productivity is very important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as human food crop. Development of elite cultivar having good traits is required for food stability. In 2013, a new wheat line called Iksan370 has bee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ksan370 has hard red winter wheat characteristics and better features like resistance to biotic, abiotic stress and higher yield ability than Keumkang. Heading and maturing date were delayed about ten days and period to flowering date was shorter three or four days than Keumkang. Culm and spike length of Iksan370 were 95cm and 15.3cm, averagely. This means that culm and spike length were longer than Keumkang (79cm and 7cm, respectively). It showed higher milling rate (75.5%), protein content (13.5%) and SDS-sedimentation volume (77.5ml) than Keumkang. Genotypes of six genes, GBSSA, B, D, PPO18, Pina and Pinb, were represented that were similar to Keumkang, respectively. Average yield of Iksan370 in the preliminary trial test was 6.61 tons/ha in upland. We expect that yield productivity and farm income were increased by Iksan370.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