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품의 개발 주기가 지속적으로 단축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에서는 이에 따른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혁신을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현재의 공학기술측면과 새로운 기술개발측면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 기술개발 실현 등 많은 발전이 있 었지만, 제품의 안전성이나 신뢰성 측면의 기술 개발 속도는 여전히 더딘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속신뢰성시험 중에 초가속수명시험(HALT : Highly Accelerated Life Test)은 최단기간에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신뢰 성시험 기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HALT의 수요가 급격히 증 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연구소와 시험 서비스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HALT 장비 는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구입과 설치에 많은 비용이 필요 하다. 이러한 이유로 중소기업에서는 HALT 장비의 효과적 활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 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ALT 장비의 국산화 개발을 추 진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HALT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한 국산화 개발을 위해 리스크 분석 방 법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보증데이터의 분석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현상파악이다. 현 상파악은 각 부품별 보증클레임데이터를 이용하여 각부품의 현수준을 분석하는 방법 으로 단변량 분석방법이다. 즉 부품의 현 수명(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생명표법, 카 랜마이어 방법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고장원인분석이다. 부품의 고장에 다 양한 인자가 영향을 줄 것이다. 생산부터 고객의 사용조건까지 다양할 것이다. 이처럼 단순히 사용시간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원인변수를 통해서 원인을 파 악하는 다변량 방법이다. 셋째, 단변량이 아닌 다변량 수명예측방법으로 그 모형의 구 조에 따라 비례적 위험함수 모형 (proportional hazards)의 가정을 적용하는 COX 모형 과 가속화 시간 (accelerated failure time)을 적용하는 AFT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에 적합한 AFT모형을 통해서 생존 시간 자체에 대한 설명변수 의 효과를 모형화하고 각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 방법을 제시하는 이유는 COX모형의 경우 준 모수적 방법으로 위험함수의 모수적 유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 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위험 함수 보다는 설명변수의 효과를 추정에 그 주 목적 이 있기 때문에 모형의 결과를 수명예측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 부품의 수명 및 수명에 대한 설명변수의 효 과를 모형화 하여 보증데이터를 분석하는 AFT 모형을 제시 하였고 실제 보증데이터 를 통해서 AFT 모형의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산업의 발전으로 소비자는 다양한 기능과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기 업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와 함 께 제품의 신뢰성 평가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초가속수명시험(HALT : Highly Accelerated Life Test)은 초기고장을 빠르게 찾아내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신 뢰성을 향상 시킨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초가속수명시험에 집중하게 되었고 이에 따 른 장비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초가속수명시험 장비는 해외 장비에 의존하 고 있어 장비의 국산화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초가속수명시험 장비의 설계와 개발과정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먼저 개발 장비 의 구조와 기능을 정의하고 일반적인 설계 FMEA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개발과정의 초가속수명시험 장비에 개선이 필요한 부품들을 확인한다. 또한 초가속수명시험 장비 의 유지보수를 위한 FMEA의 필요성을 기존 연구를 통해 제안한다.
제품 개발기간의 단축속도가 빨라지는 현 시점과 제품의 부품 시험을 통한 개발 과 정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 까지는 가 속수명시험(Accelerated Life Test)법을 개발·적용해 왔다. 그러나 제품의 사용조건이 가혹해 짐으로써 온도를 이용한 가속시험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ALT는 급격한 온도변화와 6축 진동을 시료에 전달할 수 있는 장비로써 위의 조 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5]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품과 재료의 신뢰도 정보를 신속 하게 얻을 수 있는 HALT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적용 현황을 비교 분석 뿐만 아니라 HALT와 HASS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2]
I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without encoder drive for stepping motor using back electromotive force(B-EMF). In generally stepping motor should be rotary encoder to rotor position, the rotary encoder is adopted to detect the position. But in this way increase cost and volume. This paper propose B-EMF & closed-loop method was implemented using current detect circuit, AD-converter and MCU(micro controller unit). So that stepping motor environment is very simplify. The current of stepping motor was measured by using amplifier. The change of current was measured and analyzed, when the missing step occurred. Based on data from current feedback, position errors were compensated and it was confirmed by using AD-converter.
오늘날 대 산업분야는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비약적인 기술발달을 이루었다. 따 라서, 고객이 요구(Needs)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당수 부분을 소프트웨 어 중심으로 달성하고 있다. 이렇듯, 과거의 하드웨어 중심의 자동차와 달리 소프트웨 어 중심의 기능 구현이 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시스템이 보다 복잡해 짐에 따라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어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 서, 유럽에서는 자동차 분야의 전자제어 장비로 인한 기능안전을 달성하기 위해 ISO26262라는 국제표준을 제정하였다. 국제표준의 제정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은 차량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의 노력, 뿐만 아니라, 기능안전이라는 안전부분을 대비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시스템의 상위 수준의 설계인 개념설계 단계에서 FMEA를 통한 안전성 활동 반영을 통한 하나의 단일화된 개발 방법론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추가 연구를 수행한다면, 국내 자동차 산업, 뿐만 아니라, 대형복합 안전 중시 시스템 으로 확대하여 설계단계에서 안전성을 동시 고려한 시스템 설계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Notwithstanding the existence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 Laboratory Environment to prevent accidents in laboratory, it has not been secured substantive level of safety. Moreover, it is hard to apply to the scope of responsibility when the accident occurs in laboratory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OSH) Act.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compare the OSH Act 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 Laboratory Environment to reinforce the safety in laboratory.
Quality of life due to climate change are different and are seeking a way, that affects most of the water seems to be the field. Carbon dioxide is a greenhouse gas causing climate change in the proportion known to be the most. According to the OECD's 2050 Environmental Outlook in Korea is the OECD country with the most severe water stress was released. Water shortages in 2020, Korea has been known to enter the country. The OECD Green Growth policy of the keyword in the water to be present Water Footprint is produced from raw materials procurement, disposal and recycling of the product's life cycle to calculate the water usage of water resources is a technique to quantify the load. Water footprint calculations are used in the per-unit water consumption.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water usage more accurately measure who try and look for ways to man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