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eight university students with those of overweight university students. The surey was carried out by self-questionnaires with 97 underweight and 156 overweight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s. Breakfast was skipped in 37.1% of underweight and 46.2% of overweight students and it appeared overweight students eat faster than underweight students. The 16.5% of underweight and 75.0% of overweight students have correct perception about their body image. The percentage of weight control experience were 25.8and 55.8 in the underweight and overweight students, respectively. Blood levels of lipid profiles(triglyceride, LD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hemoglobin, AST and ALT were anaylzed.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of underweight students were 96.41, 143.75, 97.53 and 56.27 mg/dl, and those of overweight students were 107.99, 164.31, 100.08 and 53.64 mg/dl, respectively. Blood parameters were in normal range in both group.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s o( overweight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derweight students. On the other hand, plasma HDL cholesterol levels of overweight stud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underweight students. Plasma levels of AST and ALT were in normal range in both group. However, AST and ALT levels of overweight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underweight students.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ir dietary and living habits for overweight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고강도 재료(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철근)가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파괴모드는 보통강도 재료를 사용한 부재의 전단파괴모드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고강도 재료가 사용될 경우에 구조설계기준식에서 요구하는 전단보강철근이 먼저 항복한 후에 콘크리트가 압축파괴하는 것과는 다르게, 철근이 항복하기 이전에 콘크리트가 압축파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강도 재료가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최대철근비를 균형파괴시의 재료의 응력 및 변형률 상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제안식에서 최대철근비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전단보강철근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변화하였다. 제안식은 97개의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실험결과 및 계산결과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파괴모드가 전단보강철근의 양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A manufacturing information system, which collects manufacturing information from the shop floors and supply them to higher level systems, should be maintained and upgrad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roduction environment such as new product introduction. This situation leads to the need of a cost-effective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In this paper, a methodolog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similarity comparis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is proposed. In this, a new produc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its manufacturing processes, which enables recycling of existing system modules.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been tested in the case of an electronics parts manufacturing company, where an information system is implemente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save time and efforts for system implementation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 내 불편한 공간 및 요소와 위험한 공간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이 두려워하는 사고와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9명이었다. 설문내용은 가정 내 공간 실태와 불편한 공간 및 요소, 위험한 공간, 사고 관련 항목을 포함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1대1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노인들의 가정 내 공간 중 불편한 공간은 없음 20명(47.6%), 화장실/욕실 11명(26.2%), 부엌 4명(9.5%), 다용도실 4명(9.5%), 침실 2명(4.8%), 현관 1명(2.4%)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는 화장실/욕실의 바닥 미끄러움(2.67±1.43점), 침실의 리모콘 사용(1.90±1.43점), 부엌의 싱크대 높이(1.82±1.22점), 거실의 가전제품 사용(1.65±1.25점), 다용도실의 세탁물 넣고 빼기(2.16±1.53점), 현관의 공간협소(1.63±1.07점)로 나타났다. 위험한 공간은 화장실/욕실 13명(34.2%), 부엌 12명(31.6%), 없음 6명(15.8%), 현관 3명(7.9%). 거실 2명(5.3%), 다용도실 2명(5.3%) 순으로 나타났다. 두려워하는 사고별로는 가스사고가 21명(42.9%), 외부인 침입이 11명(22.4%), 화재로 인한 질식이 9명(18.3%), 낙상이 4명(8.2%), 기타가 3명(6.2%), 화상이 1명(2.0%)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27명(55.1%), 자녀가 10명(20.4%), 기타가 6명(12.3%), 경찰서가 4명(8.2%), 배우자와 병원이 각각 1명(2%)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김해시 지역 노인들은 없음을 제외하고 화장실/욕실을 가장 불편한 공간으로 여겼으며, 가장 위험한 공간 역시 화장실/욕실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 내 공간별 가장 불편한 요소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사고는 가스 사고였으며, 사고 시 연락방법 선호도는 119구조대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대의 흐름에 맞게 노인을 위한 건축설계와 가정용품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택 내 안전성과 기능성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주거 변경을 위한 작업치료접근 시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노인들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송악산과 사람 발자국 화석지 주변에서 측정된 절대 연대 측정 결과와 야외 지질 조사를 근거로 할 때,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층서는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 송악산 응회암, 하모리층 및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사계리 지역은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사람 발자국 화석 산출 지층 그리고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모리층은 송악산 응회암이 형성된 후 퇴적된 지층이라는 규정과 절대 연령 측정 결과 및 현지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사람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송악산 응회암층 상부에 놓이는 하모리층이 아니라 하부에 분포하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과 대비된다. 따라서 사람 발자국 화석의 형성 시기는 14C 측정 결과인 약 15,000년 전으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odor active compounds among MVOCs (Microbial Voli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Geotrichum sp. which was previously identified as the main kinds of mold in indoor air. To sample the odor active compounds emitted from Geotrichum sp. while metabolizing,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method, which is well known for sampling odorants, was used.
GC/Flame Ionization Detector/Olfactometry was used to identify main odor active compounds. GC/Atomic Emission Detector was used to identify if some compounds had atoms like oxygen, nitrogen, sulfur which are typically found from odorants. GC/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identify the odorants. Finally, Retention Index (RI) of each system was verified. In this study, hydrogen sulfide, methanthiol, 1-butanol,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S-methyl thiobutyrate, dimethyl trisulfide, geosmin were identified as MVOCs. Among them, identified main odor active compounds were dimethyl disulfie and dimethyl trisulfide which induce ordure smell and geosmin which induce moldy, earthy smell.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개념 이해 정도와 원인이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 고등학교 과학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현행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시대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많은 교사들은 단순히 지구의 나이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측정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자세한 측정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50% 이상의 교사들은 지사학의 5대 법칙을 동일 과정설, 지층 누중의 법칙, 생물군 천이의 법칙, 부정합 관계 그리고 관입 관계라고 생각하였다.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구의 나이, 가장 오래된 암석의 연령, 지질 시대의 정의 및 기간, 지구의 나이 측정 방법 그리고 지사학의 법칙 등과 같은 지질 시대 관련 내용은 상당 부분이 올바른 개념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제시된 유형도 다양하다. 설문에 응답한 상당수의 교사들은 지질 시대에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이해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기술된 내용과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 시대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와 수정이 필요하다.
2005년 11월 13일 중국 동북3성에 있는 지린(吉林) 석유화학공장에서 일어난 폭발사고로 상수원인 송화강(松花, Songhua River)에 벤젠이 유출되어 인구 1000만명의 하얼빈시(哈爾濱)가 대 혼란에 빠진 사건의 실태와 이에 따른 교훈을 알고져 자료를 정리하였다.
VLCC SPM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외해에서는 기상상태 및 파랑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기상악화로 인한 비상 이안시에는 강한 바람과 높은 파고로 도선사의 승선이 불가능하고 예인선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 울산항에서는 기상악화로 인한 VLCC의 SPM 비상이안이 빈발하고 있으며, 신항만 건설로 SPM 주위에 방파제가 건설됨에 따라 SPM 이안 선박의 조종영역 기준을 제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SPM 설치 기준이 없으며, 외국의 설치기준을 참조하고 있지만, 이 기준들이 일관성 및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울산항의 SPM 비상이안 선박들의 조종영역 실태를 AIS 항해 테이터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선박의 조종영역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주초롱꽃(Campanula punctata 'Rubriflora')의 자가영양배양시 CO2 농도,환기횟수 및 광도가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0μmol·m-1고농도CO2에서는 광도를 높일수록 초장, 엽수가 증가되었으나, 최대근장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엽록소의 함량은 광도가 높을 때보다는 낮은 경우인 70μmol·m-2s-1에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엽면적은 광도가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O2 1,500μmol·mol-1 환기횟수 2.8h-l, PPF 220μmol·m-2·s-1에서 가장 큰 차이로 작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CO2 농도, 환기횟수, PPF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특히 CO2 1,500μmol·mol-1, 환기횟수 2.8h-1, PPF 220μmol·m-2·s-1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환기횟수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적었다. 종합적으로 자주초롱꽃 소식물체의 기내 자가영양배양 차량번식을 위해서는 CO2 1,500μmol·mol-1, PPF 220μmol·m-2·s-1의 조건이 적합하였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손에 손상을 받은 경험이 없는 47명의 인제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후에 Nine Hole Pegboard Test(Smith & Nephew Rehabilitation Division version)와 대상자의 휴대전화기로 일정한 문장을 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문자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t-검정과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과 문자 쓰기 속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문자 쓰기 속도가 더 빨랐다. 성별과 오른손 민첩성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 보다 민첩성이 더 높았다.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손의 손상이 없는 성인에서 휴대전화기의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문자 쓰는 속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오른손 민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적인 손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와 손 기능에 문제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문자 쓰기 활동이 손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