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obtain some fundmental data to improve the dietary life and to establish the nutritonal education and policy on inhabitants lived in isle area near by demilitarized zone in Korea. For this, 33 families in the area of Kyodong island located at Kanghwa-Gun, Kyungki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Trained surveyors visited each house to survey the food and nutritional status in summer during 3 days in August, 1987.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foods they were taking totalled 17 categories and 134 kinds of which 104 kinds were vegetable foods. The average amount of food intake was 1465.3g per person per day, animal food occupied 9.6% only. The intake amount of fruit among vegetable foods, and fishes, shells, milk and eggs among animal foods wa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Each proportion of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to the total energy intake was 70.4%, 9.7% and 19.9%. The foods they used to take a lot were rice, potatoes, cucumbers, cabbage KIMCHIE and YULMOO KIMCHIE in order of their intake amount. The energy intake was 3064㎉ which is higher than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the energy ratio of cereals to the total energy in take is 76%. If the amount of fat intake is fixed to 20% of total energy intake, the amount of fat intake is 68g, but the actual amount of fat intake was only 33g. With an increase of total energy intake, supply of calcium and vitamin A should be increased much more.
1985년 1월 28일부터 7월 20일까지 한국어업기술훈련소(Lat. 35˚05'04N, Long, 129˚02'13E)에서 NNSS로 연속관측하여 관측시간, 위성별, 앙각, 통과방향, doppler count 수, 안테나의 높이 등이 NNSS위치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위성항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WGS-72 측지계를 Bessel측지계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편위오차를 평균 0.21마일 정도로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산정의 앙각이 높을 때 측위정도가 높았고, 위성의 앙각이 20~70도 범위에서 더욱 높았다. 3. Doppller count 수가 21번 이상일 때 측위거리의 오차도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위성의 종류에 다른 측위오차의 변동은 거의 없었다.
Korean peoples have been the god of 'Cho-Wang' and believed the god that control the food in the kitchen and well-being of home. There were many charms related to the kitchen. The striation of 'Kama' was especially peculier in the charms. The word of 'Kama' means hair striation of head and also means cooking kettle. Other charms related to food were also reviewed.
There is the picture of four gods(四神圖) painted on the wall of old tomb of Koguryo dynasty in 4~5 century. Four gods in this picture were Symbolized by four animals, tortoise, tiger, ryong which is imaginative large Snake, and bong hwang which is also imaginative birds. Those animals wese believed at that time as protecting geities against all of the haman disaster and evils. The peoples of Kojosun dynasty carried those animal charms, and painted or graved on some where of living environment such as furniture, utensils, tools, wall, ceiling, etc. They ate those animals as food or medicine to treatment of all disieses and to get rid of evils and to gain well-being. A lot of examples in historical records were cited and interrelated to above super st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emission from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in the Pyeongdong industrial complex in Gwangju. In addition, the objective wa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Cs in the ambient air in industrial complexes affected by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The painting facility mainly emitted toluene, acetone, butyl acetate, 4-methyl-2-pentanone, ethyl acetate, 1-butanol, methyl ethyl ketone, m,p-xylene, o-xylene, 4-ethyltoluene, ethylbenzene, 3-ethyltoluene, and 1,2,4-trimethylbenzene. The main emission components in printing facilities were methyl ketone, ethyl acetate, acetone, 2-propanol, toluene, heptane, and butyl acetate. Ethyl acetate, toluene, 2-butanone, acetone, butyl acetate, 2-propanol, xylenes, and 4-methyl-2-pentanone were detected in the ambient air of the Pyeongdong industrial complex, consistent with the VOCs emitted by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easonal TVOCs followed an order of winter > fall > spring > summer,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daytime and nighttime TVOCs were generally higher at night than those during the day, and the wind speed was greater during the day than it was at night. Based on a factor analysis of VOCs in the ambient air of Pyeongdong industrial complex, it is considered that organic solvents used in coating, printing, and electronics manufacturing facilities, as well as diesel vehicle emissions played a major role.
Screening of Bacillus subtilis strains capable of producing extracellular hydrolases, including lipolytic enzyme was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total 61 strains were isolated from various domestic specific environmental samples such as seawater, soil, Jeju ranch, hot spring, salt farm, and fermented food and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based on 16S rRNA sequences. Among the isolates, 4 strains had extracellular lipase activity. The growth profile of the strains revealed that 4 strains showed well growth at 50℃, 3 strains at 55℃, and pH 7.0. All strains could tolerate salinity up to 5%(w/v), 3 strains up to 10%(w/v), and only one strain showed growth at 15%(w/v). Additionally, amyl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were detected in these strains. The highest lipolytic, amyl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y was detected in Bacillus subtilis YS-YR 5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extracellular hydrolase-producing Bacillus subtilis strains, especially strain YS-YR 5A, as fermentation starter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and multiplication of functional natural products in the food/medicine/cosmetics/bio industries.
이 연구는 동기화-지속 과제(synchronization-continuation task)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타이밍 제어 특성을 무용 숙련성과 템포의 측면에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국내 직업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 는 무용 숙련자 12명과 비숙련자 12명이다. 실험과제는 각기 다른 템포 조건(60, 120, 180bpm)에서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청각자극에 맞춰 손가락 태핑(finger tapping)을 동기화하는 것과 청각자극 없이 기존 템포를 지속하며 태핑하는 것이다. 청각자극이 제시되는 동기화 과제에서 비동기성의 절대오차는 타이밍 정확성으로, 비동기성의 표준편차는 타이밍 가변성으로 산출하였다. 청각자극이 없는 지속 과제에서는 탭 간 간격(inter-tap interval, ITI)과 목표시간 간 차이를 타이밍 정확성으로, ITI의 표준편차는 타이밍 가변성으로 산출하였다. 결과: 동기화 과제에서 타이밍 정확성은 120bpm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무용 숙련자의 타이밍 가변성은 비숙련자와 비교하여 60bpm, 120bpm 조건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지속 과제에서 나타난 타이밍 가변성은 숙련자가 비숙련자보 다 낮게 나타났으며, 60bpm 조건에서 다른 템포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용 숙 련자는 주기적인 리듬에 맞춰 일관적으로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청각자극 없이 규칙적인 움직임을 생성하고 유 지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오랜 무용훈련 경험이 이러한 능력을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영덕단층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세 지표지질조사에서 수집된 다양한 구조요소들의 기 하와 운동학적 자료 그리고 단층암의 대자율이방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영덕단층의 내부구조 그리고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덕단층은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에서 울진군 매화면 길곡리와 기성면 방 율리까지 연장되며, 4.6-5.0 km (평균 4.77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로 고원생대부터 중생대에 이르는 다양한 암 종을 절단하거나 암상경계를 이룬다. 영덕단층은 4개의 기하학적 분절로 구분되며, 대부분 노두에서 남-북 내 지 북북서 주향에 54° 이상 고각으로 동쪽으로 경사지고 있으나 북쪽으로 갈수록 서쪽으로 54°-82° 경사지는 노두가 증가한다. 영덕단층은 모암의 암종에 따라 0.3-15 m 범위의 다양한 폭을 가진 단층핵과 단층대 내부구 조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모암의 연성도, 구성광물, 입자크기, 이방성과 같은 물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한 고응력장 및 대자율이방성 분석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 덕단층은 (1) 백악기말~신생대초에 북서-남동 최대수평응력(σHmax)과 북동-남서 최소수평응력(σHmin) 하에서 좌 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이후, (2) 신생대 고진기에 북동-남서 최대수평응력과 북서-남동 최소수평응력 하에 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이중 고진기에 발생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변형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이후 지각변형은 미미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of primary sludge, secondary sludge, and food waste in batch anaerobic mono-digestion test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xture ratio of those organic wastes on methane yield and production rate in batch anaerobic co-digestion tests, that were designed based on a simplex mixture design method. The BMP of primary sludge, secondary sludge and food waste were determined as 234.2, 172.7, and 379.1 mL CH4/g COD,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ixing ratio of those organic wastes with methane yield and methane production rate were successfully expressed in special cubic models. Both methane yield and methane production rate were estimated as higher when the mixture ratio of food waste was higher. At a mixing ratio of 0.5 and 0.5 for primary sludge and food waste, the methane yield of 297.9 mL CH4/g COD was expected; this was 19.4% higher than that obtained at a mixing ratio of 0.3333, 0.3333 and 0.3333 for primary sludge, secondary sludge, and food waste (249.5 mL CH4/g COD). These findings could be useful when designing field-scale anaerobic digersters for mono- and co-digestion of sewage sludges and food waste.
This study investigated microbial communities and their diversity in a full-scale mesophilic anaerobic digester treating sewage sludge. Influent sewage sludge and anaerobic digester samples collect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were analyzed using high-throughput sequencing. It was foun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in the anaerobic digester could be affected by inoculation effect with influent sewage sludge. Nevertheless, distinct microbial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s the dominant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anaerobic digester. Twelve genera were identified as abundant bacterial communities, which included several groups of syntrophic bacteria communities, such as Candidatus Cloacimonas, Cloacimonadaceae W5, Smithella, which are (potential) syntrophic-propionate-oxidizing bacteria and Mesotoga and Thermovigra, which are (potential) syntrophic-acetate-oxidizing bacteria. Lentimicrobium, the most abundant genus in the anaerobic digester, may contribute to the decomposition of carbohydrates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fatty acids during the anaerobic digestion of sewage sludge. Of the methanogens identified, Methanollinea, Candidatus Methanofastidiosum, Methanospirillum, and Methanoculleus were the dominant hydrogenotrophic methanogens, and Methanosaeta was the dominant aceticlastic methanogens. The findings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microbial indicators to evaluate the process stability and process efficiency of the anaerobic digestion of sewage sludge.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in Atmospheric Research Aircraft NARA and investigated the condensatio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Pump and set point information were changed to improve the instrument used by aircraft for observation. Ground-based observational result showed that the error between two instruments, which are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and butanol-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was 4.7%. Aerial observational result revealed that the number concentration before improvement indicate large variation with unstable condition, whereas the number concentration after improvement indicate a reasonable variation. After improvement, the number concentration was 706±499 particle/㎤ in the West Sea and 257±80 particle/㎤ in Gangwon-do, and these are similar to the concentration rang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Notably,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use aerial observation with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to investigate condensatio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한반도 동남부에서 가장 규모가 큰 마이오세 포항분지의 남서부를 대상으로 상세한 지질도 작성과 지질구조를 분석하여 분지 발달사를 해석하였다. 포항분지 남서부는 북북동 방향의 분지 내 지구내지루에 의해 기하와 변형사가 서로 다른 서쪽의 보문구역과 동쪽의 오천구역으로 나누어진다. 보문구역은 포항분지 초기 확장 이후 거의 변형되지 않은 반면, 오천구역은 충전물의 퇴적 이후에도 후기 변형이 지속·중첩된 지역이다. 따 라서 보문구역은 포항분지 최초 확장 형식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보문구역은 북북동 방향의 정단 층들과 북북서(북서) 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분절들이 지그재그로 이어진 서편 경계단층에 의해 침강이 주도되었으며, 이 경계단층은 남쪽으로 한반도 동남부 마이오세 지각변형의 서쪽 한계선이며 우수향 주향이 동성 주변위대로 알려진 연일구조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포항분지는 17-16.5Ma 경 활동을 시작한 연일구조 선 북쪽 말단에 우향스텝 형태로 생성된 북북동 방향의 정단층 또는 사교이동단층에 의해 서북서-동남동 방 향으로 확장된 횡인장단층말단분지로 최초 침강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로 인해 보문구역에는 서쪽으로 갈수록 분 지의 깊이가 더 깊어지는 북북동 방향의 비대칭 지구 또는 반지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포항분지의 확장과 변 형은 오천구역을 포함하는 보다 동편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In this study, the inhibition of ammonia on anaerobic digestion of butyric acid was evaluated and the potential alleviating effects of such ammonia inhibition by the addition of magnetit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Independent anaerobic batch tests fed with butyric acid as a sole organic source were conducted in twenty 60-mL glass bottles with 10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comprising ammonia: 0.5, 2.0, 4.0, 6.0, and 7.0 g total ammonia nitrogen (TAN)/L and magnetite particles: 0 mM and 20 mM. The increase in ammonia concentration did not cause significant inhibition on methane yield; however, a significant inhibition on lag time and specific methane production rate was observed. The IC50 in the control treatments (without magnetite addition) was estimated as 6.2654 g TAN/L. A similar inhibition trend was observed in magnetite-added treatments; however, the inhibition effect by ammonia was significantly alleviated in lag time and specific methane production rate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s. The lag time was shortened by 1.6–46.3%, specific methane production rate was improved by 6.0–69.0%. In the magnetite-added treatments, IC50 was estimated as 8.5361 g TAN/L. This study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magnetite particles as an enhancer in anaerobic digestion of butyric acid under conditions of ammonia stress.
목적: 핸드볼 공격 전술 상황에서 숙련성과 무빙 윈도우 기법을 활용한 환경시 범위에 따른 의사결정과 시각탐색 전략의 차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핸드볼 숙련자 6명, 보초자 6명 총 12명이 실험에 참여 하였다. 모든 연구참여자는 안구움직임 추적 장치를 착용하고 세 가지 조건으로 환경시 범위의 크기(3°, 6°, 9°)를 조절한 핸드볼 공격 전술 동영상을 보고 과제를 수행하였다. 공격자의 숙련성과 환경시 범위에 따른 의사결정과 시각탐색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과, 이원다변량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 째, 숙련자는 초보자보다 의사결정 정확성이 높고,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균시선고정시간에서 숙 련자는 초보자에 비해 환경시 영역의 크기가 제한될수록 시선을 짧게 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숙련자는 공격자 영역에 높은 비율로 시선을 고정시키며, 초보자는 공격자 영역과 함께 의미 없는 공간 영역에도 높은 비 율의 시선고정이 나타났다.
결론: 환경시가 제한된 핸드볼 공격 전술 상황에서 숙련자의 시각탐색 특성은 짧은 평균시선고정시간과 높은 시선이동 횟수를 바탕으로 주요 단서에 시선을 고정하고 환경시를 통해 주변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visual pivot’현상을 무빙 윈도우 기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환 경시 범위에 따라 시각탐색패턴과 사전시각단서 획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적: 이 연구는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여 발레 분야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 자는 총 35명이었으며 다면적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 발레 전공 여학생 15명(Mage=17.13, SD=.74), 발레 지도자 10명(남성=2명, 여성=8명; Mage=52.20, SD=6.94), 그리고 발레 전공생의 어머니 10명(Mage=48.70, SD=2.05)으로 구분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라이프스킬의 개념 구조는 개인 차원과 대인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으로부터 도출된 결 과를 종합한 발레에서의 라이프스킬 개념 구조를 탐색한 결과, 개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자기 관리하기, 자신감 갖기, 목표 설정하기, 자기이해하기, 긍정적 생각하기, 창의적 생각하기, 감정 조절하기, 스트레스 대처하기, 시간 관리하기, 그리고 문제 해결하기 등 10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한편, 대인 차원 라이프스킬에는 협동하기, 공 감하기, 갈등 해결하기, 의사소통하기, 관계 맺기, 리더십 등 6개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발레 를 통해 습득 및 발달할 수 있는 라이프스킬을 다면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발레에서의 개념 구조를 도출하였 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레를 통한 라이프스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평가 도구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2년차에 접어든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초‧중등 국악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원격교육 체제에서 국악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방식과 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초‧중등 국악교육의 현안 과제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 중등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원격 국악 수업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국악 수업에 적용된 원격수업의 유형, 원격 수업 유형에 따른 국악 활동의 적용 실태 및 난점, 원격 국악 수업에 활용한 플랫폼 및 콘텐츠, 원격 국악 수업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지원사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국악교육이 당면한 과제를 ‘초‧중등 교육과정 기반의 국악 수업용 콘텐츠 개발 및 제공’, ‘콘텐츠 제작 및 활용을 위한 저작권 해결’, ‘원격수업을 위한 국악교육 연수 제공’, ‘국악 교육을 위한 원스톱 플랫폼 지원’의 네 가지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악교육의 직접적인 실행자인 초‧중등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에 기초하여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격 국악 수업에 대한 사회적‧교육적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고, 실효성 있는 국악 수업 지원 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산업규격(KS)에서 오징어젓은 오징어 배합비율이 75%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염 젓갈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유산균 첨가에 따른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면역활성이 있는 기능성 유산균을 오징어젓 및 어리굴젓에 각각 첨가한 후, 냉장 또는 실온에서 45일간 보존하면서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오징어젓은 실온에서 보관한 경우, 보존기간이 경과하면서 유산균 수는 대체로 증가하였다. 어리굴젓의 경우에도 유산균 첨가 시료에서 실온에 2주간 노출한 경우, 생균수가 약 100배 증가하였다. 한편, 일반세균의 경우에는 유산균 첨가 및 비첨가 대조구 모두 현저한 변화가 없이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학적 변화를 바탕으로 판단할 경우 본 시험에 공시된 오징어젓 및 어리굴젓은 유산균 첨가에 의한 현저한 미생물의 증식이나 감소는 수반되지 않으며, 소비자가 통상적으로 섭취하는 기간동안 유산균의 빠른 증식은 물론, 일반세균의 증식억제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저염화와 더불어 관능적 품질 향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기호성이 우수한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오면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단순히 지식을 많이 암기하는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를 찾아내고 다수와의 협업을 통해 이를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더하여 지금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사회가 개선되는 빅데이터(Big Data) 사회라 볼 수 있으므로 새로운 인재는 문제 해결과 관련 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는 역량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새로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초‧중‧고(K-12)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문제해결 역량을 키워주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소 프트웨어 교육은 코딩과 같은 프로그래밍을 중심으로 실시되며 문제를 해결하는 첫 번째 단계인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는 중요성이 덜하게 여겨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수업을 CT-CPS 모형에 기 반하여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포함되지 않은 수업을 적용하고, 실험집단에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포함된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한 소프트 웨어 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