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공산업에서 부산물로 제거되는 은행 외종피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에 미치는 열처리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은행 외종피를 분리하여 13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물, 70% 에탄올 및 80%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변화를 살펴본 결과, ABTS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80%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 열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에서 각각 14.95 mg AAE/g과 7.36 mg TE/g으로 높게 나타났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물 추출물을 제외하고 열처리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열처리 전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98.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 활성은 추출물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열처리 후 모두 감소하였다. 산화질소 생성억제 활성은 열처리 시 증가하였으며, 물 추출물(200 μg/mL)이 12.33 μM로 LPS 처리구에 비해 산화질소 생성량을 72.39% 감소시켰다. 지방구 축적억제활성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열처리 시 감소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은 열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은행 외종피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과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추후 생리활성물질의 규명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비살균 탁주의 유통기간 산정을 위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온도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품질특성은 알코올 함량, 총균수, 효모수, 총산도, pH, 메탄올, 알데히드 함량 및 관능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저장조건에서 알코올 함량, pH, 총균수 및 효모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알데히드 함량과 총산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모든 저장조건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향, 맛 및 전반적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알코올 함량, 총균수, 효모수, 총산도, pH, 알데히드 함량 및 관능특성과 같은 품질지표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빨랐다. 관능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알코올 함량, 총균수, 효모수, 총산도, pH 및 알데히드 함량이었다. 식품규격에 따라 품질유지기한은 5℃에서는 55일, 10℃에서는 26일 그리고 20℃에서는 3일까지 섭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ge and growth of the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were investigated using left sagittal otoliths of 832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mid-southern waters of Korea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07. The seasonal changes in the ratio of an translucent zone to interval between annular rings reveale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translucent and opaque parts of the otolith were annual growth rings formed between May and June once a year. The spawning period was November to March and therefore the duration from fertilization to the complete formation of the annual growth ring became fifteen months. The parameters of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s estimated using the average standard length at each age are the L∞ of 48.04cm, K of 0.1406/year and t0 of -0.5116 for female and 26.14cm, 0.3056/year and -0.8202 for male, respectively.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growth of female is faster than that of male from age-2.
We try to test the pecking order theory of Korean fisheries firm’s capital structure using debt capacity. At first, we estimate the debt capacity as the probability of assigning corporate bond rating from credit-rating agencies. We use logit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is probability as a proxy of debt capac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can confirm the fisheries firm’s financing behaviour which issues new debt securities for financial deficit. Empirical test of SSM model indicates that the higher probability of assigning corporate bond rating, the higher the coefficient of financial deficit. Especially, high probability group follows this result exactly. Therefore, the pecking order theory of fisheries firm’s capital structure applies well for high probability group which means high debt capacity. It also applies for medium and low probability group, but their significances are not good.
Secondly, the most of fisheries firms in high probability group issue new debt securities for their financial deficit. Low probability group’s fisheries firms also issue new debt securities for their financial deficit within the limit of their debt capacity, but beyond debt capacity they use equity financing for financial deficit. Therefore, the pecking order theory on debt capacity come into existence well in high probability group.
As sewerage systems have obsolete, as quality and service level standards increase, and as rain characteristics change, the sewerage utility authorities are challenged to develop cost recovery strategies that assure financial sustainability. In this study, we conducted scenario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ree alternatives of partial or full sewerage cost recovery in Seoul during 2014-30 periods. It turned out that the alternative 1 is optimal and recommended. According to alternative 1, we had better increase annually sewerage fee by 14.8% until 2020 and thereafter apply only the inflation rate in setting sewerage fee. It would gradually decrease the deficit after 2019. The accumulated deficit of 13 billion Won in 2030 was estimated.We expect that this kind of analysi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s to help sewage utility staffs, decision makers, and regulatory authorities understand, develop and implement ultimate full cost recovery strategy for many municipalities.
As sewer flooding frequents due to localized and concentrated stormwater and increased non-permeable surface area after urbanization, building cities with sound water recycle and accordingly efficient management of rainwater is demanded. To do this, the existing sewage (including rainwater) fee imposition system should be philosophically evaluated. This study presents problematic issues of the existing domestic sewage fee imposition system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sharing costs on the service of sewage and rainwater collection and treatment. Four methods to improve the existing sewage fee imposition system are suggested: 1) imposing stormwater fee according to Polluter Pays Principle, 2) clarification of the share of public sector, 3) reducing or exempting the sewerage fee for inhabitants reducing urban runoff by constructing their own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4) imposing charge for discharging rainwater to sewers due to new development action. Short, mid, or long term planning for rainwater management is recommended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each municipality.
절화장미의 수송 중에 문제가 되고 있는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SO2가 발생하는 sodium metabisulfite(SMS) 2.5g/m3, 5.0g/m3, 7.5g/m3을 저장온도(상온: 24-28οC, 저온: 9- 12οC, 변온: 저온저장하면서 하루 2시간씩 상온에 노출)와 포장방법 (폴리에틸렌 비닐로 포장한 박스, 폴리에틸렌 비닐을 포장하지 않은 박스) 달리하여 상자의 상단부에 처리하였다. 저장온도에 의한 잿빛 곰팡이병의 발생률은 상온에서 가장 높았고, 변온, 저온 순으로 낮 아졌다. 수출용 상자를 밀폐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높았 고 발현시기도 1-2일 빨랐다. SMS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상자 내 부의 SO2 농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감소하 였다. 특히 7.5g/m3 SMS 처리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은 무처리에 비해 20% 정도가 억제되었다. SMS 처리는 포장방법별, 온도별 처리 모두에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상온과 변 온에서 포장상자를 밀폐한 처리구에서 효과가 높았다. 이는 수송 중 온도 변화가 심한 하절기나 수송 중 컨테이너 중앙에서 공기의 이 동이 원활하지 않은 포장상자의 잿빛곰팡이병 발생억제에 효과가 높 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244,443 도체로부터 얻은 도체특성(성별, 등지방두께 및 도체중), 사육환경(자돈의 성별 분리사육, 돈사의 온도관리 유무, 돈사의 형태, 환기방식, 급수원의 종류, 음수 개선시설의 유무, 돈사의 연간 소독횟수, 돈사의 바닥형태 및 평당 사육두수), 출하방법(선별출하, 출하일령, 등지방두께의 편차 및 도체중의 편차) 및 번식특성과 자돈관리(모돈의 산차, 이유일령, 정액의 분양처 및 자돈의 품종)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돼지의 도체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도체특성 변수에서 암퇘지 및 거세돈이 숫퇘지보다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며(p<0.05), 등지방두께 15-29mm 및 도체중 91-95kg가 높은 도체가격을 보였다(p<0.05). 도체가격에 대한 등지방 두께 및 도체중은 도체가격 형성에 각각 90.75%와 90.23%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사육환경, 출하방법, 번식관리는 각각의 방법별로 가격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도체가격형성에는 낮은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 여러 가지 변수 중 등지방 두께 및 도체중이 도체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combination of the plasma discharge in the reactor by the reaction surface discharge reactor complex catalytic reactor and air pollutants, hazardous gas SOx, change in frequency, residence time,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the addition of simulated composite catalyst composed of a variety of gases, including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varying the process parameters. 20W power consumption 10kHz frequency decomposition removal rate of 99% in the decomposition of sulfur oxides removal experiment that is attached to the titanium dioxide catalyst reactor experimental results than if you had more than 5% increase. If added to methane gas was added,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decomposition, the oxygen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degradation rate in the case of adding carbon dioxide decreased.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염료가 절화 장미 ‘Akito’ 품종의 염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2가지 색상의 염료를 이용한 염색 결과, 다채로운 색상을 구현해 내고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었지만 절화수명은 대조구보다 1-3일 단축되었다. 4종류의 blue 염색염료를 비교한 결과 Fantasy blue (Palace Chemical Co., Japan)와 Blue No.1(Vidhi Dyestuff Mfg LTD, India)의 색상이 좋았다. 고농도 (7.5g •L-1와 10.0g •L-1)의 blue 염색의 경우 잎의 착 색이 심하고 불균일 하였으며 꽃잎의 가장자리가 짙어 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의 어업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진해만에서는 총 116종이 어획되었고, 그 중 어류가 62종, 갑각류가 24종을 차지하였다. 진주만에서는 총 105종이 분류되었고, 그 중 어류가 56종, 갑각류가 31종 조사되었다. 진해만에서는 등가시치, 마루자주새우, 갯가재가 우점하였고, 진주만에서는 마루자주새우, 주둥치, 두점박이민꽃게 순으로 우점하였다. SOM을 이용한 군집유형화 결과, 진해만과 진주만의 군집구성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룹1에 묶여진 진주만 조사정점들은 민새우, 대하 등 갑각류와 주둥치 쥐노래미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4월 조사는 해역에 상관없이 모든 정점이 그룹2에 묶였는데 마루자주새우, 검은띠불가사리, 꼼치 등의 밀도가 높았다. 그룹3에 묶여진 진주만의 6월 조사정점들은 두점박이민꽃게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와 도다리, 돛양태, 쉬쉬망둑 등의 다양한 어류가 우점하였다. 그룹4에 묶인 진해만의 6월~11월 조사정점에서는 등가시치, 흰베도라치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인 마루자주새우는 6월까지 포란개체가 많이 어획되었고, 등가시치와 주둥치는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소형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는 본 해역이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about BOD ,COD, SS, T-N, T-P of 4Stage-BNR, MLE + CS(Coagulating Sedimentation) , Bio-SAC BNR method of construction for 3 largest sewage treatment plants among 12 sewage treatment plants in lnch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ing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for lncheon sewage treatment plant by introducing the optimized method for quality of the discharged water.
2004년도에 화형이 우수하고 연핑크색의 스프레이 ‘Macarena’ 품종을 모본으로 수량이 많은 핑크색 스프 레이 ‘Million Pink’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5년에 744개체의 실생묘를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 로 2007-2009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을 검정한 후최종 선발된 ‘원교 D1-143’을 ‘Glory Purple’이라고 명명하였다. ‘Glory Purple’의 화색은 짙은 분홍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66B이다. 화형은 고심형이고 향기는 없다. 꽃잎수는 25.7개로써 ‘Pinky’와 같았고, 화폭은 5.9 cm로 ‘Pinky’ 보다 작았다. 평방미터당 년간 절화수 량은 157.1본으로 ‘Pinky’ 보다 많았으며 절화장은 63.5 cm 절화경경은 6.3 mm로 ‘Pinky’와 비슷하였다. 또한 절화수명은 10.2일로 ‘Pinky’ 보다 약간 길었으며, 흰가루병 저항성과 기호도 평가에서도 각각 ‘Charming’ 과 ‘Pinky’ 보다 우수하였다.
접목선인장 신품종 ‘황운’은 해외 수출용 목적으로, 황색과 오렌지색을 가진 복색의 ‘황월’ 품종을 모본으로 황색의 계통 ‘0111021’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8년에 개발되었다. 이 품종은 처음 기내에서 무병삼각주에 접목 된 후 100 mL 시험관에 정식되어 6개월간 생육되었다. 2005년에 기외에서 접목한 후에 2008년까지 3회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구는 황색의 편원형이며, 몸체에 7~9개의 결각이 있으며, 갈색의 직립형 가시를 가지고 있다. 10개월간 재배되었을 때 구의 직경은 40.9mm로 대조 품종 ‘후광’에 비해 구가 작고, 자구 착생수는 평균 22.3개로 ‘후광’ 품종에 비해 우수하였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미 재배종은 오랜 기간 동안 종간교잡과 종내교잡을 통해 선발되어 온 것으로서 대 부분이 이형잡종의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아율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화 분의 활력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색액과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7품종의 화분 임성율과 발아율 검정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화분의 크기, 배수 성 및 교배조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화분 임성율은 ‘스칼렛미미’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피노키오’가 39%로 가장 낮았다. 발아율 관찰 결과 ‘스칼렛미미’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미니로사’가 1%로 가장 낮았다. 화분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화분은 큰 화분 과 작은 화분으로 구분되었으며 화분의 직경은 각각 41.3- 45.4 μm과 30.7-37.4 μm로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크기는 10-40%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의 크기 와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을 비교한 결과 염색체 크기와 화분의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배조합 검정 결과 착과율과 발아율은 화분 발아율, 임성률 및 배수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e research-oriented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laboratories in the departments according to a major field of stud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budget to purchase experimental equipments has only to be distributed among research teams and then is spent within the confines of it without rein. However, in case of college the budget for experimental equipments needs to be considered other allocation methods because of no laboratory being managed by professor. In this paper the methodology for the rational operation of experimental equipments for college is proposed. I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 (1) the rational allocation method of the budget for experimental equip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departments, and (2)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e alternative experimental equipments submitting in each department. First of all, the proposed methods are presented and then discussed with simulation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