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8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reinforced soil slopes with anchors, additional slope reinforcement using anchors is highly difficult due to their interference with previously installed anchors. This case study presents the applicability of high pressure jet nail for the reinforcement of slopes where additional reinforcement is needed due to the loss of tensile force in the anchors.
        86.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from 13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of 574 taxa; 116 families, 355 genera, 505 species, 8 subspecies, 52 varieties, 7 forms and 2 hybrids. A high plant diversity were Asteraceae (12.3%), Poaceae (10.6%), Cyperaceae (6.1%), Fabaceae (4.5%) and Rosaceae (4.2%) in regular order. The seven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Viola seoulensis,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Ajuga multiflora f. rosea,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were collected. The red data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five taxa; Least Concern (LC) species of both Phacelurus latifolius and Belamcanda chinensis, Not Evaluate (NE) species of Lithospermum arvense, 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34 taxa comprising one taxa of degree IV, six taxa of degree III, 11 taxa of degree II, and 16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6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0%, Urbanization Index (UI) was 14.3%, respectively.
        8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의 양적 형질을 다변량으로 분석하여 유연관계를 해석하고, 품종을 분류하여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172품종의 군집분석 결과 7군으로 분류되었다. 제Ⅰ군에는 장단백목 외 13품종이 속하였으며, 100립중이 가장 무거운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Ⅱ군에는 충북백 외 111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짧으며, 1주종실중이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Ⅲ군에는 호서콩 외 5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긴 만생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Ⅳ군에는 팔달콩 외 3품종이 속하였으며,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Ⅴ군에는 광교콩 외 26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가장 짧은 조생종이었고, 경장이 짧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Ⅵ군에는 소명콩 외 5품종이 속하였고, 분지수가 많은 품종들이 분류되었다. 제Ⅶ군에는 아가4호 외 3품종이 속하였고, 경장, 협수 및 1주립수가 가장 많은 품종들과 100립중이 가장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8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 equivalent circuit model of CNT-filled cement composites is proposed. Both the polarization effect of electrode/composite interface and the complex resistance effect due to dielectric property of CNT cement composite are considered in the proposed model. Effective of the proposed model will be experimentally validated.
        9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rious methods for producing high-quality fuel pellets using rape stalk (RS), which is an agricultural waste. RS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pellets production after three treatments [distilled water (DW), sulfuric acid (AC), sodium hydroxide (AK) solutions]. Then, fabricated pellets with two binder additions [ rapeseed flour (RF), coffee waste (CW)]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ir fuel qualities. Results showed that binder additions (RF, CW) improve the durability and higher heating value for RS-based pellets. The addition of CW greatly decreased ash content for fabricated pellets. Also, all immersion treatments improved all fuel qualities compared to non-immersed treatment. Particularly, DW-immersion had favorable influences on the increases of higher heating value and durability. Two immersion treatments (AC, AK solu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s of bulk density and ash content for fabricated pellets. However, they were required to rinse the residue existed on the RS, and consequently the use of DW-immersion might be the most beneficial way to improve the qualities of RS-based pellets. All qualities of the pellets were acceptable for the European agropellet standards (A- or B-grade). Hence, RS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gropellets while outdoor exposure of RS or mixing RS with CW or wood sawdust might be help to better agropellets qualities.
        9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소뇌에 이상이 있는 소뇌성 운동실조증 환자들(n=9)을 대상으로 단일 장애물 보행과 연속적인 다중 장애물 보행을 수행하는 동안에 운동학적 특성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소뇌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였다. 실험과제는 과제의 난이도 별로 단일 장애물 보행과 다중 장애물 보행 조건으로 설정하여 장애물을 넘는 동안 발의 높이, 장애물을 넘기 전 발의 이륙거리, 장애물을 넘은 후 착지거리, 장애물을 넘는 동안 발의 외전량, 보행 속도 등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소뇌 환자 집단은 정상인들에 비해 장애물을 통과하는 속도가 느리며, 단일 장애물 과제를 수행 할 때 보다 많은 정보처리를 요구되는 다중 장애물 과제의 수행에 어려움을 보여 주었다. 또한 장애물을 넘기 위한 행동 전략으로 다중 장애물뿐만 아니라 단일 장애물 과제 모두에서 발의 위치를 장애물에 가까이하고 발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발이 장애물에 걸리지 않게 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 역시 운동계획과 예측 전략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정보 처리가 요구되는 동작 과제와 연속적인 다중 장애물 보행과 같은 복잡한 하지 제어의 계획과 실행에 소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9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균형 및 자세유지와 보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뇌에 손상을 입은 소뇌성 운동실조증 환자(n=9)들과 정상 대조군(n=9)을 대상으로 장애물 보행 동안에 나타나는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과제는 낮은 장애물(5cm)과 높은 장애물(15cm) 조건으로 설정하여 장애물을 넘는동안 발의 높이, 장애물을 넘기 전 발의 이륙거리, 장애물을 넘은 후 착지 거리, 장애물을 넘는 동안 발의 외전량, 보행 속도 등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뇌환자 집단은 정상인들에 비해 장애물을 넘는 동안에 발의 높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물을 넘기 전후의 발의 위치를 장애물 가까이 위치시키면서 발의 궤도를 "┌┐" 모양의 수직 형태로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을 의도적으로 높이 들기 위하여 정상인들에 비해 발의 외전량을 증가시켰으며, 보행의 속도 역시 정상인들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뇌손상으로 인한 자세제어와 균형 유지에 대한 장애를 보완하기 위한 보행 전략으로써 장애물 보행에 있어서 소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95.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적 신호(external cue)의 제공은 파킨슨병 환자들의 운동 이상 증상을 완화시켜 수행의 향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으로 진단은 받았으나 아직 어떠한 약물 치료도 받지 않은 초기(de novo) 파킨슨병 환자들(n=10)과 5년 이상 약물복용의 경험이 있는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들 (n=10)을 대상으로 양팔 협응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외적 신호의 제공 유무에 따라 양팔의 협응 수행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반대 위상 조건에서 외적 신호를 제공해 주었을 때 정상인 집단과 초기 파킨슨병 집단은 양팔 협응의 상대적 위상 오차값이 감소되어 수행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중등도 파킨슨병 집단의 경우 수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협응동작 과제에서 양팔을 사용하여 비대칭적 동작을 수행하게 한 반대 위상 움직임과 같이 과제의 복잡성이나 난이도가 증가한 상황에서는 약물을 5년 이상 복용한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외적 신호의 제공이 수행 능력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동작 속도나 거리 조절 능력의 변화는 두 파킨슨병 집단 모두에게 나타났으나, 동작의 연속성 측정에서는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 집단에서만 이상 증상의 완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수행의 변화에 대한 기전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파킨슨병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96.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selected a β-glucan producing mushroom strain and developed industrial media, and used to β-glucan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in weaned pigs. Yields of mycelial biomass and extracellular β-glucan from Youngji (Ganoderma lucidum) mushroom was 8.52g/L and 4.49g/L respectively. Also, we prepared optimum formula for mushroom cultivations. A total of 144 pigs (8.6±0.9 ㎏ average body weight, weaned 20±3 days of age) were allotted to 4 different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8 pigs per replicate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NC (negative control, basal diet), T2) PC (positive control, basal diet+0.255% antibiotics), T3) NC+0.2% β-glucan and T4) PC+0.2% β-glucan. The T2 and T4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ed efficiency by antibiotics group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during phase Ⅰ(0~14 days). In phase Ⅱ(15~28 days), Pigs fed with antibiotics and β-glucan (T4) had greater ADG than other treatments (p<0.05), whil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DFI and feed efficiency.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 ADG of T4 treatment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Pigs fed with β-glucan (T3 and T4) had greater diarrhea score and moisture content than other treatments (p<0.05). Pigs fed with β-glucan (T3 and T4) had greater moisture content than other treatm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arrhea score and mortality of weaned pigs. There was marginal reductions in feed cost measured feed cost per weight gain used in antibiotics and β-glucan added diet during phaseⅠ. In the second phase, the treatment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had a significantly lower feed cost per weight gain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from these experiments suggests that β-glucan is likely able to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reduce feed cost although they do not have similar effects like antibiotics in weaning pigs.
        9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연속적인 두 분절 움직임에서 두 번째 목표물의 난이도 변화에 따른 하지 동작의 제어 특성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시작지점에서 출발하여 첫 번째 분절 움직임을 완성한 후 곧 바로 두 번째 분절 움직임을 실시하는 순서로 연결하여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첫 번째 목표물은 고정시킨 반면 두 번째 목표물의 크기와 거리에 변화를 주어 분절간 움직임의 형태를 동작 시간과 속도, 그리고 영점교차 등의 운동학적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번째 목표물의 거리 조건은 첫 번째 분절 움직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맥락-의존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의 상대적인 순서에 대한 제어가 운동 수행을 담당하는 효과기(effector)와는 무관하게 상위 제어체계에서 조직화되고 실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목표물의 크기 조건은 하지 동작의 움직임 계획과 실행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특수적 운동 환경과 하지 동작의 제어 형태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99.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대속 식물 두 종 달뿌리풀과 갈대의 종간 유연관계분석 및 수환경변화에 따른 종내 지역별 유연관계를 조사하기위해 RAPD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9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300 bp에서 1,900 bp 사이의 구간에서 142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를 확인하였다. Nei-Li의 genetic distance를 이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비유사도지수가 달뿌리풀 개체군 종내에서는 0.012에서 0.061, 갈대 개체군 종내에서는 0.033에서 0.095의 낮은 상이성을 나타내어 종내 지역집단간에는 높은 유전적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달뿌리풀 개체군과 갈대 개체군 종간에서는 0.043에서 0.132의 상이성을 나타내어 달뿌리풀과 갈대 사이의 비유사도지수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유전적으로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APD 결과 이 두 종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genetic marker를 확인하였고, UPGMA 유집분석에 의하면 두 종은 비슷한 수환경끼리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수환경끼리는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RAPD 분석법은 갈대속 두 종의 분류학적 혼동 해결과 동시에, 수환경변화에 따른 종내 지역별 유전적 유연관계 확인에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화악산(931m)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6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2과 248속 281종 1아종 47변종 9품종의 총 338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의 관속식물 4,881종류의 6.9%에 해당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338종류의 식물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278종류의 자원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54종류(55.3%), 약용자원(M)은 163종류(58.6%), 관상자원(O)은 58종류(20.8%), 초지자원(P)은 91종류(32.7%), 공업원료자원(I)은 22종류(7.9%), 목재자원(T)은 9종류(3.2%)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산림청 지정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1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21종류, 귀화식물이 19종류로서 귀화율은 5.6%, 도시화지수는 6.8%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