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

        101.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체력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기질과 체력의 관계적인 구조모형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체력의 요인에 대한 기질의 관계와 영향력이 분석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유아의 기질과 운동능력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내 4곳의 유치원의 만 5, 6세 유아 406명을 대상으로 체력의 측정을 시행하고 부모용 유아 기질질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기질의 요인과 체력의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에서 정서성 요인은 수행관련체력요인에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활동성과 사회성요인은 건강관련체력과 수행관련체력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관련체력에 더욱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조모형의 분석결과 유아의 기질은 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러 적합도 지수들은 모형이 적합함을 증명하였다. 체력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의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건강관련체력은 사회성요인이 수행관련체력은 활동성요인만이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104.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using data from which obtain local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cohort study in Chungju, Korea. We analyzed the concentration data of NO2, SO2, and PM10 in Chungju and industrial cities in 2006. We compared a industrial area with a cohort study area using by bicluster algorithm. In the case of SO2, the rate of the cluster time was 10~60% and the cluster time number of two areas was similar. In the case of NO2 and PM10, the number of cluster time between a industrial area and cohort study area was clearly different.
        106.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해 초의차(불발효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청국장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 및 미생물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초의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효미생물 생육이 지연되었고 pH 및 휘발성염기태 질소 함량은 초의차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초의차 첨가 청국장의 색도측정에서 명도(L) 및 적색도(a)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결과 초의 차가 첨가된 모든 실험구들의 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무첨가
        107.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과의 저장안전성 및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루녹차 1, 2, 3% 첨가량에 따른 수분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기공크기와 팽화율은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
        108.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기저장이 가능한 김치제조를 위해 사용된 2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된 김치와 동결건조된 김치의 미생물학적,조직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의 총균수는 감마선조사 후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나 동결 건조된 김치는 비조사 대조구에 비해 1 log 수준의 미생물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마선조사 김치의 경도는 동결건조 후 재수화된 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김치 조직 관찰 결과 동결건조 후 복원된 김
        109.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와 실크 펩타이드 병용처리가 세균의 방사선 감수성 및 햄버거 패티의 저장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멸균된 햄버거 패티에 접종된 4종의 세균에 대한 감마선 값은 E. coli 0.25 kGy, L. ivanovii 0.50 kGy, S. typhimurium 0.55 kGy, C. sporogenes 1.35 kGy 이였다. 실크 펩타이드 5% 첨가 햄버거 패티에 접종된 S. typhimurium의
        110.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된 분말수정과의 저장 중 관능적 품질특성 변화 및 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미생물 분석결과 멸균을 위한 최소선량은 약 4.5 kGy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된 시료들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평가항목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색도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12.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 검사지의 구조적 타당성검증에 그 목적이 있다. 선행문헌 및 Adams(2001)와 Ogden 등(1997)의 운동중독 질문지(EBS, EDQ)를 토대로 초기 98문항으로 1차 예비판이 제작되었다.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거쳐 69문항으로 축소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28문항 5요인 6점 척도(1점: 전혀 아니다~6점: 매우 그렇다)로 결정하였다. 625명의 생활체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문제, 운동의존, 금단증세, 운동동기, 운동욕구의 5요인 24문항이 추출되었다. 고유치는 3.54~2.05이고, 요인적재치는 .505~.879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변량은 56.45%였다. 신뢰도 검증결과 내적합치도 Cronbach' α는 .83~.73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가 다소 낮았다. 모델 찾기를 통해 수정모델를 검증한 결과 전반적 적합도 지수(Q=3.54 GFI=.93, CFI= .91, RMR=0.087)가 승인 가능한 수준에서 타당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심리측정적 관점과 운동중독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인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보하는 등의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113.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당유자 원료의 세절방법과 당유자 정백당 혼합물의 냉동저장 기간 및 당유자청의 희석배수에 따른 당유자차의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원료선별, 세척, 건조, 절단 및 씨앗제거 과정을 거친 당유자를 슬라이스 세절 후 당침하거나 믹서기로 갈고 과육과 과피를 혼합 당침한, 두 종류의 당유자청을 제조하고 이를 적정 비율로 희석하여 제조한 당유자차의 맛, 색상과 향을 비교하였다 또한 원료세절 후 정백 당에 당침
        114.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열 및 감마선조사 또는 가열-감마선 병용처리가 김치의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김치의 가열처리를 위한 온도는 에서 30분이 최적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에서 30분간 가열처리된 김치에 감마선을 병용처리 할 경우 미생물감소 효과가 증가되어 20kGy의 감마선-가열 병용처리군은 에서 14일간 가속저장 후에도 미생물이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관능적 품질 또한 다른 처리군에 비해 높은 평점을 나타내어 김치의 장기
        118.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온도는 닭고기 가슴살의 미생물학적 품질에 유의적 영향을 주었다. 에서 저장된 비조사시료에서 총균수와 대장균수는 저장후 3일 동안 현저히 증가하였고, 10 kGy 이상의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사멸되었다. 에서 저장된 시료의 총균수와 대장균수는 5 kGy이상의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검출제한(< 2 log CFU/g) 미만으로 감소되었다. 일반적으로 비조사시료와 조사시료 간의 TBA값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주 동안의 저장에서 조사시료의 IB
        119.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파조절을 통한 집중력과 심상이 골프퍼팅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C대학교 학생들로서 골프 퍼팅에 사전경험이 없고, 실험에 동의한 지원자중에서 남자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이들은 모두 자원봉사자들로 구성하였고, 30명을 집중력집단, 심상집단,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임의로 무선할당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나이는 20세에서 25세였으며, 평균나이는 21.1세였다. 이 실험에서 실시된 뉴로하모니 시스템의 마인드 에로우 프로그램은 과녁에 화살을 쏘는 장면을 시뮬레이션 한 컴퓨터 게임인데 이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자가 자기조절을 통해 뇌에 알파파를 생성시키면 게임이 진행되도록 만들어졌다. 심상집단은 골프퍼팅비디오 시청으로 심상훈련을 하였다. 비디오 내용은 퍼팅 명장면을 텔레비전 화면을 통하여 시범을 본 후에 연구대상자들은 그들 자신이 시범을 보인 사람처럼 퍼팅을 성공적으로 끝마치는 장면을 되풀이하면서 심상을 하였다. 과제는 실제 그린과 유사한 카펫트 위에서 2.5m 골프퍼팅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Excel을 이용하여 절대, 반경, 가변오차를 계산한 후 Window용 SPSS/PC+10.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하였으며 유의한 차가 있을 경우에는 Duncan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습득과 파지단계의 절대, 반경, 가변오차에서는 집중력과 심상이 골프퍼팅 수행학습에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집중력과 심상의 차이는 없었으며, 집단과 분단의 상호작용효과도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중력과 심상이 운동수행을 더욱더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