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86

        396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뿌리에 진통, 진정, 건위, 구충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확대재배를 위하여 현재 분근증식만으로 한정되어 있는 번식법을 개선하고자 종자번식과 기내배양에 의한 번식 방법을 검토하였다. 종자번식을 위한 수확적기는 종피가 연녹색을 띠었을 때가 적합하였으며, 종자의 보관은 5℃에서 30일까지 저장하는 것이 발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다. 석창포의 기내발아에는 2.0mg·L-1 NAA와 0.1mg·L-1 BA를 MS 기본배지에 첨가하여 다수의 신초를 유도한 후, 0.1mg·L-1 BA 단독 처리 및 0.5mg·L-1 NAA와 1.0mg·L-1 BA 혼합처리에서 발근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석창포 육묘상토로는 vermiculite보다 원예상토가 생육이 우수하였다.
        396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문 모형의 발전이 거듭되면서, 최적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적정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토지이용 변화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 평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용된 수문 모형의 강력한 검증이 요구된다. 그리고 수문모형의 적용 시 많은 지점에서 유량이 미 계측 되었거나, 측정된 자료마저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형의 예측 값을 이용하여 수문분석이 이루어
        3967.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 된장의 숙성기간 중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된장을 담금하여 일정기간 숙성한 후, 된장의 protease 활성, 항돌연변이 활성, isoflavone 등을 측정하였다. Protease의 활성은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구가 3.15 unit/mL로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의 저해 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실험구가 각각 45.78%와 55.18%로 대조구보다 약 20%
        3968.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산 시판 밀가루의 품질 평가를 통하여 국내산 밀의 품질 향상 방향과 향후 개선 방향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수입산 밀가루와 비교 평가하였다. 시판되는 국내산 밀가루는 통밀 밀가루 백밀 밀가루의 두 가지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통밀 밀가루는 백밀 밀가루에 비해 회분함량과 단백질함량이 높고, 밀가루 색이 어두었으며, 반죽시 높은 가수량을 보였다. 국내산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수입산 강력분 정도로 높았지만 침전가와 반죽시간은 중력분과 비슷하였
        397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해연안지역의 해안거리별 기상, 토양환경 및 벼 생육변화를 조사분석하여 벼 수량감소의 원인규명 및 대응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풍미벼, 삼덕벼, 주남벼를 영덕군 병곡면 해안 1, 2, 3, 5km지점에 5월30일 이앙하여 벼 생육 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냉해풍 발생시 해안거리별 온도변화는 거리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5km에서보다 1km지점에서는 8℃, 2km지점은 7℃, 3km지점은 4℃가 낮았다. 해안거리별 토양특성은 해안에 가까울수록 모래성분이 많고, 미사 및 점토성분은 적었으며, 유효인산 함량과 양이온 치환용량이 적었다. 벼 생육 특성은 해안에 가까울수록 초장은 짧아지고 경수는 적었으며, 출수기는 지연되었고 수량도 감소되었는데 해안5km에서보다 1km지점에서 38~40%감수되었으며 삼덕벼는 2km지점에서부터 90%이상의 수량성을 보였다.
        397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류(호밀, 보리, 밀)을 이용하여 친환경 콩 생산에 있어 가장 문제시되는 잡초를 방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종 맥류를 춘파, 추파하고 콩을 파종한 후 잡초방제효과와 각 처리가 콩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맥류 추파구가 춘파구에 비하여 잡초 방제가가 높았으며 그 중 호밀 추파구의 잡초 방제가가 87.7%로 관행(89.5%)와 거의 같은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잡초 방제효과는 추파구의 경우 투입된 바이오메스량이 증가할수록 방제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추파성이 소거되지 않은 맥류의 좌지현상을 이용하여 콩 포장 잡초 억제를 기대했던 춘파구의 경우는 콩의 생육과 수량이 떨어졌다. 맥간의 Allelopathic Chemicals의 토양 잔류량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호밀을 추파한 후 콩을 파종한 다음 볏짚을 피복하면 잡초 방제 뿐 아니라 토양 수분보존 효과도 있어서 친환경적 콩 밭 잡초 방제가 가능할 것 이라 판단되었다.
        397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조사료원으로써 양질의 조사료 생산 및 이용을 위해 총체맥류의 논재배 면적이 최근에 급증하고 있다(1998년(10a)→2006년(9787a), 농림부). 총체맥류 재배시 최대 조사료 생산을 목적으로 다량의 종자를 파종하고 있으며 파종량이 많을수록 더 많은 토양중의 질소분을 흡수, 이용하기에 동일 포장에서 바로 이어서 재배되는 벼 식물체의 질소분의 흡수, 이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토양 중의 질소 수지 조사에 의한 벼의 시비 처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총체맥류 생산답에서의 벼 재배시 총체맥류 생산시의 파종량과 토양의 질소량을 고려하지 않고 벼에 대한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총체맥류 재배답에서의 벼 재배시 벼 식물체의 질소 이용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2007년 전북농업기술원의 포장에 총체 맥류 파종량을 기준으로 총체 보리,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재배답을 각 각 4구씩 구획하였으며 2008년 6월 5일 5개의 벼 품종을 각 파종구에 이앙하였다. 5개의 벼 품종들은 7개의 주요 생육시기별로 샘플링 하여 질소 동화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Glutamine Synthetase(GS), Glutamate Synthase(GOGAT), Glutamate Dehydrogenase(GDH)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S, GOGAT, GDH 효소의 활성은 벼 식물체의 주요 생육시기가 진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유수형성기와 수잉기에서 이앙기의 약 1.3 ~ 5.5배 증가하였으며 출수기에 접어 들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파종량별 GS, GOGAT, GDH 효소의 활성에서 신농흑찰벼의 GOGAT 효소의 활성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재배답에서만 파종량이 많을수록 효소의 활성도 높아졌으며, 큰눈벼의 총체보리 재배답, 신농흑찰벼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재배답과 호품벼의 총체보리 재배답에서만 파종량이 많을수록 GS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본시험에서 사용한 총체맥류 파종량의 범위에서는 총체맥류 재배답의 벼 재배시 질소 동화에 관여하는 GS, GOGAT, GDH 효소의 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주관 농업기술센터 공동연구과제의(과제번호-200803A01082002) 일환으로 수행됐다.
        397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콩을 파종한 직후에 발생되는 조류의 피해양상 및 조류 피해경감 방법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콩파종 후 방조망을 피복한 다음 파종기, 출현기, 자엽전개기, 초엽전개기에 방조망을 제거하여 피해양상을 살펴 본 결과 종자섭식, 종자발출, 자엽섭식, 생장점 가해 등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가해시기별 피해양상은 파종 후부터 새 피해에 노출된 처리에서는 종자섭식, 출현기에 방조망을 제거한 처리에서는 종자섭식과 종자발출, 자엽전개기와 초엽전개기에 방조망을 제거한 처리에서는 자엽 섭식과 생장점 가해 피해가 많았다. 조류퇴치 방법으로는 조류 혐오음 발생기, 맹금류 모빌, 송풍식 풍선 인형, 견사류, Thiram제제와 방향성 살충제 등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 조류 혐오음 발생기와 맹금류 모빌처리는 멧비둘기가 주로 가해하는 산간지에서는 효과가 우수했으나, 야생화 된 집비둘기가 피해를 주는 소도시나 주거지에 인접한 들녘에서는 효과가 낮았다. 송풍식 풍선인형은 반경 40m까지도 효과가 우수했으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파상적으로 작동시키면 파종 후 피해가 많은 초엽기까지는 학습효과에 의해 피해경감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었다. 방향성 살충제류를 이용한 조류 피해 경감 효과는 본 시험의 결과에서는 매우 낮거나 거의 없었다. 콩 재배면적별로 적합한 조류의 퇴치방법은 Thiram제제 종자 분의처리를 기본적으로 실천하고 대규모 집단재배지에서는 조류 혐오음 발생기와 맹금류 모빌을 조합한 방법이나 송풍식 풍선 인형을 이용한 퇴치방법이, 중・소농 규모에서는 은박테이프를 이용한 방법이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