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류(호밀, 보리, 밀)을 이용하여 친환경 콩 생산에 있어 가장 문제시되는 잡초를 방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종 맥류를 춘파, 추파하고 콩을 파종한 후 잡초방제효과와 각 처리가 콩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맥류 추파구가 춘파구에 비하여 잡초 방제가가 높았으며 그 중 호밀 추파구의 잡초 방제가가 87.7%로 관행(89.5%)와 거의 같은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잡초 방제효과는 추파구의 경우 투입된 바이오메스량이 증가할수록 방제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추파성이 소거되지 않은 맥류의 좌지현상을 이용하여 콩 포장 잡초 억제를 기대했던 춘파구의 경우는 콩의 생육과 수량이 떨어졌다. 맥간의 Allelopathic Chemicals의 토양 잔류량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호밀을 추파한 후 콩을 파종한 다음 볏짚을 피복하면 잡초 방제 뿐 아니라 토양 수분보존 효과도 있어서 친환경적 콩 밭 잡초 방제가 가능할 것 이라 판단되었다.
국내의 조사료원으로써 양질의 조사료 생산 및 이용을 위해 총체맥류의 논재배 면적이 최근에 급증하고 있다(1998년(10a)→2006년(9787a), 농림부). 총체맥류 재배시 최대 조사료 생산을 목적으로 다량의 종자를 파종하고 있으며 파종량이 많을수록 더 많은 토양중의 질소분을 흡수, 이용하기에 동일 포장에서 바로 이어서 재배되는 벼 식물체의 질소분의 흡수, 이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토양 중의 질소 수지 조사에 의한 벼의 시비 처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총체맥류 생산답에서의 벼 재배시 총체맥류 생산시의 파종량과 토양의 질소량을 고려하지 않고 벼에 대한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총체맥류 재배답에서의 벼 재배시 벼 식물체의 질소 이용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2007년 전북농업기술원의 포장에 총체 맥류 파종량을 기준으로 총체 보리,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재배답을 각 각 4구씩 구획하였으며 2008년 6월 5일 5개의 벼 품종을 각 파종구에 이앙하였다. 5개의 벼 품종들은 7개의 주요 생육시기별로 샘플링 하여 질소 동화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Glutamine Synthetase(GS), Glutamate Synthase(GOGAT), Glutamate Dehydrogenase(GDH)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S, GOGAT, GDH 효소의 활성은 벼 식물체의 주요 생육시기가 진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유수형성기와 수잉기에서 이앙기의 약 1.3 ~ 5.5배 증가하였으며 출수기에 접어 들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파종량별 GS, GOGAT, GDH 효소의 활성에서 신농흑찰벼의 GOGAT 효소의 활성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재배답에서만 파종량이 많을수록 효소의 활성도 높아졌으며, 큰눈벼의 총체보리 재배답, 신농흑찰벼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재배답과 호품벼의 총체보리 재배답에서만 파종량이 많을수록 GS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본시험에서 사용한 총체맥류 파종량의 범위에서는 총체맥류 재배답의 벼 재배시 질소 동화에 관여하는 GS, GOGAT, GDH 효소의 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주관 농업기술센터 공동연구과제의(과제번호-200803A01082002) 일환으로 수행됐다.
본시험은 콩을 파종한 직후에 발생되는 조류의 피해양상 및 조류 피해경감 방법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콩파종 후 방조망을 피복한 다음 파종기, 출현기, 자엽전개기, 초엽전개기에 방조망을 제거하여 피해양상을 살펴 본 결과 종자섭식, 종자발출, 자엽섭식, 생장점 가해 등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가해시기별 피해양상은 파종 후부터 새 피해에 노출된 처리에서는 종자섭식, 출현기에 방조망을 제거한 처리에서는 종자섭식과 종자발출, 자엽전개기와 초엽전개기에 방조망을 제거한 처리에서는 자엽 섭식과 생장점 가해 피해가 많았다. 조류퇴치 방법으로는 조류 혐오음 발생기, 맹금류 모빌, 송풍식 풍선 인형, 견사류, Thiram제제와 방향성 살충제 등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 조류 혐오음 발생기와 맹금류 모빌처리는 멧비둘기가 주로 가해하는 산간지에서는 효과가 우수했으나, 야생화 된 집비둘기가 피해를 주는 소도시나 주거지에 인접한 들녘에서는 효과가 낮았다. 송풍식 풍선인형은 반경 40m까지도 효과가 우수했으며, 타이머를 이용하여 파상적으로 작동시키면 파종 후 피해가 많은 초엽기까지는 학습효과에 의해 피해경감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었다. 방향성 살충제류를 이용한 조류 피해 경감 효과는 본 시험의 결과에서는 매우 낮거나 거의 없었다. 콩 재배면적별로 적합한 조류의 퇴치방법은 Thiram제제 종자 분의처리를 기본적으로 실천하고 대규모 집단재배지에서는 조류 혐오음 발생기와 맹금류 모빌을 조합한 방법이나 송풍식 풍선 인형을 이용한 퇴치방법이, 중・소농 규모에서는 은박테이프를 이용한 방법이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environments of schools, we measured the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level of PM10 for 40 classrooms(20 old, 20 new) in chungnam area from June 22 to July 19 and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30, 2003. 1. Old classrooms contained more dust than new classrooms; the average of respirable dust is 43.27 ㎍/㎥ for new classrooms while 53.38 ㎍/㎥ for old one. The exposure concentration level of respirable dust in new classrooms were in summer higher outdoors than indoors. The values were indoors 46.71 ㎍/㎥, outdoors 50.46 ㎍/㎥, and personal 41.62 ㎍/㎥. Meanwhile in winter indoors had a higher concentration level than outdoors, the values being indoors 39.11 ㎍/㎥, outdoors 34.86 ㎍/㎥, and personal 49.01 ㎍/㎥. 2. Cr concentration level within dust was slightly higher in summer indoors (101.50±32.10 ng/㎥) and outdoors (100.89±35.18 ng/㎥) than winter indoors (85.80±48.95 ng/㎥) and outdoors (74.43±38.93 ng/㎥), but in personal concentration level, winter was hig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health risks from indoor air pollution, and shows possible health problems to students from school indoor air pollution. As such, a logical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about the importance of indoor air quality should be carried out. Also the results of PM10 concentration level measurements emphasize the need for regular measurements of indoor / outdoor and personal concentration level. New classrooms in particular needs to be used after measuring pollutants and safety, and requires installation of a ventilation device in all classrooms to improve air quality.
“Unmi”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7. This variety was developed from a across between Samcheonbyeo with lodging and cold tolerance and HR17870 derived from the cross of Iksan435 (Sobibyeo) and Sangju17 with resistance to diseases and good quality. This variety has about 110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It is about 68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blast, and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Unmi” is translucent and has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It has about 17.3% amylose content, 6.3% of protein and simila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Odaebyeo.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5.16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Unmi”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the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South Korea.
“unbora”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33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and Miyadamamochi, a waxy line.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i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18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unbora”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ic conditions. The milled rice are snow white and glutinuous. This cultivar shows high resistant reactions to the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 K1~K3 and blast respectively. The milled rice yield of “unbora”is about 5.34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unbora”would be adaptable for in the middle plain, north middle-mountin plain and Honam plain, and Youngnam plain areas of Korea.
“wangkeumbora”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three way cross of Jinbubyeo, Odaebyeo and Fukei126 at Honam Agricultural Rease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bout 110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milled kernel of “wangkeumbora”is translucent with non- glutinous endosperm. Amylose content of “wangkeumbora”is about 19.3%. “wangkeumbora”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daebyeo”and shows high resistant reaction to the blast, but susceptible to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yield of "Hwangkeumbora" is about 5.37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keumbora”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and southern mountainous of Korea.
Hwangeumnodeul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HR15151-B-21-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7. This cultivar has short grains and about 139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areas. Culm length of this cultivar is 78 cm and the number of spikelet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the check cultivar,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the check variety. This cultivar i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Milled kernel of Hwanggeumnodeul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This cultivar has about 5.7% and 18.6%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respectively.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f Hwanggeumnodeul is similar to Nampyeongbyeo. Its milling recovery and head rice were 75.6% and 90.0%, respectively. Hwanggeumnodeul yielded 5.69 and 5.61 MT/ha in milled rice at the under wet-direct and dry-direct seeding conditions, respectively which are 17% and 12% higher than the check variety, Juanbyeo. It yielded 5.86 MT/ha, 8% higher than Nampyeongbyeo at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geumnodeul”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s well as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nnuri’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lyang 165’and HR14732-B-67-2-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21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Korean climate condition.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 from K1 to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nnuri’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8.6%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hucheongbyeo’cultivated in Kyunggi province. The milled rice yield of ‘nnuri’is about 5.94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nnuri’would be adaptable to southern plain of Cheonan, middle-northern plai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of Korea.
“Dami”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6.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38 with lodging tolerance and high yield potential, and Iksan426 This variety has about 122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It is about 83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ce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ly resistance to blast, and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ami”has high Quality, midium short grain. The milled rice yield of this variety is about 5.92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ami”would be adaptable to Middle plain, Honam plain and Youngnam plain area of Korea.
쌀 수입 개방과 소비량이 감소되고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 되면서 소비자는 고품질의 농산물을 추구하게 되었고, 밥맛이 좋은 품종 및 재배방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 일품벼를 육성하여 농업인에게 보급하였고 밥맛이 좋으면서 단위면적당 쌀수량이 많아서 농업인이 선호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품벼에 대한 선호도가 향상되는 단계에서 농협 및 지자체에서 쌀을 브랜드화 하면서 대형 미곡종합처리장이 설립되고 시설이 좋아지면서 벼를 산물로 수매하게 되고, 도정률에 의한 차등수매 체제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변화는 도정률이 낮은 품종을 미곡종합처리장 에서 수매를 기피하게 (RPC) 되고 이는 농업인이 외면하는 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도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일품벼의 도정률을 향상시키고,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이삭당 영화수는 일품벼가 105개, 추청벼가 70개로 일품벼가 35개 많았으며, 지경별로 보면 1차지경의 벼알수 비율은 일품벼 56.2%, 추청벼 61.4%로 추청벼가 많고, 2차지경의 벼알수 비율은 일품벼가 43.3%, 추청벼가 37.9%이었다. 2. 등숙정도를 정조의 비중선에 의하여 분류하면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충실도가 낮았는데, 일품벼와 추청벼의 차이는 정선 후에 0.47%, 비중 1.00에서 1.28%, 비중 1.10에서 6.27%, 비중 1.20에서 31.67% 낮았다. 3. 왕겨 1개의 무게는 일품벼 4.16 mg, 추청벼 3.92 mg이었으며, 정조 1 kg의 왕겨 무게는 일품벼 157.36 g, 추청벼 151.31 g으로 왕겨비율은 일품벼는 15.74%, 추청벼는 15.13%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0.61% 높았다. 4. 도정률은 콤바인 수확 산물벼의 정현비율은 일품벼가 81.22%, 추청벼가 82.52%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1.30% 낮았고, 현백비율은 일품벼가 92.14%, 추청벼가 92.51%로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0.37% 낮았다. 5.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도정률이 1.67% 낮은데 요인별로 분석 하면 왕겨의 무게 0.61%, 현백비율 0.37% 및 등숙정도 0.69%이다. 이는 왕겨무게와 현백비율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극복하기 어렵지만 등숙정도에 영향하는 0.69%는 재배 및 수확 후 관리를 철저히 할 경우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