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3

        181.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producing pre-engineered modular system in the factory, It is enable to expedite construction 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two types by the method resisting load. One is the open-sided modular system composed of beams and columns. The other is enclosed modular system composed of panels and studs. Of the modular systems, the open-sided modular system buildings the connection between modules are difficult due to closed member sections, and the overall strength is reduced as a result of local buckl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modular system with folded steel members filled with concrete are proposed.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presented in ATC 40 is used for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proposed model structure and the structure with conventional steel memb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t the performance point of each model the number and rotation of plastic hinge formed in the proposed modular system are smaller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system. Based on this observ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system with composite sections has superior seismic capac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system.
        18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or damping materials used in floating floor system to diminish the floor noise have been made with low density and dynamic stiffness. Owing to this low density and dynamic stiffness, the deflection in these materials under long-term loading and cracking of the floor finishing mortar in the floating floor system may occur.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long-term loading effects on the deflection of different types of floor damping materials. The experimental program involved the long-term loading tests for 490 days loading period on sixteen specimens. Specimens were classified as DM1(Damping Materials) to DM8, depending upon the four main parameters; types, bottom shapes and densities of floor damping materials and amount of load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term deflection of all specimens of damping materials remained unchanged after 200 days at all loading amounts, except the specimens made up of Polystrene, in which long-term deflection remained unchanged after 160 days at 250 N load and 100 days 500 N load. In this paper, two types of correlation expressions were shown in the deflection range prior to the range where deflection remained constant; two analyses by ISO 20392 and linear regression. In comparison of two analyses and experimental results on the difference of deflection of 16 specimens, the difference of deflection was below 0.4 mm in those analyses in case of that total deflection was below 10 mm. Restrictively, it was judged that the analysis for the deflection of specimens made up of Polystrene is more appropriate using ISO 20392.
        18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seismic retrofit scheme for a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structure using steel slit dampers was presented. The stiffness and the strength of the slit damper used in the retrofit were verified by cyclic loading test. Genetic algorithm was applied to find out optimum location of the slit dampers. The effects of the slit dampers on the seismic retrofit of the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jacketing shear walls.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model structure with optimally positioned slit dampers was evaluated by nonlinear static and dynamic analy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imple procedure for determining required damping ratio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along with the damper distribution pattern proportional to the inter-story drifts was validated.
        184.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double sided character of faded and increasing feedback on an anticipation timing task. Methods: Thirty-six undergraduate students(male = 36) whose age raged from 19 to 21, with a mean age of 19.8 year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l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elective physical education activity classes volunteered to b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1) faded, (2) increasing, and (3) control condition. Task was to hit the enter key on a keyboard when the time arrived at 15 seconds on the screen. Participants performed 12 trials of 4 blocks in the acquisition, 12 trials of 2 blocks in the retention and 12 trials in the transfer phases, respectively. Results: Dependent variable were absolute, variable and constant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aded and increasing feedback schedules are beneficial for performance, learning and transfer on an anticipation timing task. Conclusion: Contrary to our expectation, we found that both faded and increasing feedback schedules have no double-sided character, which means that starting with faded or increased feedback did lead to better performance, learning and transfer.
        18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hybrid energy dissipation device is developed by combining a steel slit damper and linear-slot friction dampers to be used for seismic retrofit of structures. The hybrid damper has an advantage in that friction dampers are activated for small earthquakes or strong wind while slit damper remains elastic, and both friction and slit dampers work simultaneously for strong earthquakes. Cyclic loading tests of the linear-slot friction, slit, and the combined hybrid dampers a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ir seismic energy dissipation capability.
        18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developed the viscoelastic dumpers whose multilayer system absorbs weight transmitted to framed structure sliding down along specific layer elements. Experiments with and without viscoelastic dumper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I could confirm that interstory drift ratio of steel frame structure has effectively decreased on both 1st and 2nd floor compared to that of before.
        18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seismic retrofit of buildings using damper of apartment buildings, it was found that using genetic algorithm is efficient for seismic retrofit compare to existing way of retrofit. Therefore using genetic is recommended when seismic retrofit applied.
        188.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mplicit, explicit, and similar task learning strategies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badminton overhead stroke skill. Methods: Participants were 40 right handed 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se age ranged from 18 to 27, with a mean age of 21.5 yea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1) explicit group, (2) implicit group, (3) similar task learning, and (4)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badminton overhead stroke (receive returning) task for 40 times in the acquisition phase, 20 times in the retention phase and 20 times in the delayed retention phase a week later. A 4(groups)ⅹ4(types of learning phrase), 4(group) ⅹ2(types of learning phrase), and 4(group)ⅹ2(types of learning phrase) ANOVAs with repeated measures were used for the acquisition, retention and long term retention phases, respectively. Dependent variables were absolute error(AE) and variable error(V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the similar learning group presented less err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Specially, the similar task learning group had less error score than the explicit group. In regard to variable error, the similar task learning group and the implicit group showed less error score than the explici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retention phas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the similar task group had lower err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long term retention phase, the result presented that the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the similar task learning group had lower err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Specially in absolute error, the similar task group showed lower error score than the explicit, implicit, and the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implicit and similar task learning groups showed statistically less error tha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milar learning group and the implicit condition, the similar task group has a tendency to decrease variable in acquisition and retention phases. Conclusion: The similar task learning strategy may have more potential to improve motor skill learning than those of explicit strategy.
        189.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조준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정신적 준비기의 뇌 활성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CNV파형을 측정하기 위해 남, 여 대학생 17명(남자=13명, 여자=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는 테이블 위에 고정되어 있는 중심원이 같은 두 개의 과녁(큰과녁=40cm, 작은과녁=10cm)에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대, 소 음성신호가 제시되면 공깃돌을 튕겨 과녁 중심에 정확하게 조준하는 과제이다. CNV파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EEG 측정영역은 Fz, Cz, Pz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설계는 난이도(2)×영역(3)에 대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난이도에서는 쉬운 과제보다 어려운 과제에서 CNV파형의 진폭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영역에서는 Cz영역이 Pz영역보다 진폭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준비기 동안 과제에 대한 기대와 예측이 반영되고 더 큰 인지적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준동작 준비과정에서 Cz영역이 가장 많이 동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준과제를 수행할 때 과제난이도에 따른 CNV 진폭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난이도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190.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of 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staggered wall system (SWS) structur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ATC-63. The adjusted collapse margin ratios of the model structures obtained from incremental dynamic analyses turned out to be larger than the specified limit states, which implies that the analysis model structures have enough safety margin for collapse against design level earthquakes. It also was concluded that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6 used in the design of the model structures was valid.
        191.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ismic risk assessment of staggered wall system structures is presented using fragility curves which represent the probability of damage of structure. To obtain fragility curves, dynamic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wenty two pairs of earthquake records. For the risk assessment, spectral accelerations are obtained for various return periods from the seismic hazard map of Korea, which enable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spectral accelerations.
        192.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s of helical buildings were evaluated by nonlinear static and dynamic analysis. 36-story diagrid buildings with twist angles of 0, 90 and 180 degrees were designed as analysis model and progressive collapse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removing first-story colum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elical buildings designed per current design codes generally had enough resistance to progressive collapse caused by the sudden loss of corner columns in the diagrid system.
        19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a floor falls onto the floor below, the impulse transmitted to the lower system results in considerable deformation in the impacted floor. In this paper, a linear static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procedure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impact of failed members. The impact loads computed from various simplified methods were calibrated with FEM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procedure was applied to a moment frame and a braced fram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ithout considering impact load.
        194.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fMRI를 사용하여 선택반응 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뇌 활성화 차이를 연구하였다. 피험자는 대학야구선수 15명과 남자대학생 16명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3가지 구질(직구, 커브, 슬라이더)을 관찰 후 해당 버튼을 빠르게 누르는 것이다. 실험설계는 집단(2)×구질(3)에 대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FWER(family-wise error rate : p<0.01)에서 voxel 수준을 설정하였다. 모든 활성화 크기는 16 voxel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 집단이 비전문가 집단보다 운동영역과 중전두엽 그리고 1차 체감각영역과 시각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정보 입력-정보통합-운동계획-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지는 신경네트워크가 전문가 집단이 비전문가 집단보다 잘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비전문가 집단의 경우 자극의 생소함과 정보의 부족으로 기억저장과 관련된 방추상회와 측두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에서 직구와 같이 자주 접하는 자극일수록 정보처리과정이 간결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195.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과제와 운동과제 수행 시 EEG를 측정하여 두 과제의 신경생리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피험자는 20명의 대학생으로 이전에 신경생리적 실험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는 피험자가 컴퓨터 화면에 제시된 막대 그림을 회상하여 막대 길이와 위치에 따라지정된 컴퓨터 자판을 누르는 것이었다. 과제 수행은 8초와 휴식 3초로 1회당 총 11초, 인지과제 20회와운동과제 20회로 구성되었다. 관심 뇌 영역은 Fz, F3, F4, Cz, C3, C4, T3, T4, Pz, P3, P4였고, 뇌파 측정시 샘플링은 256 Hz로 하였으며, 사용된 참조전극은 오른쪽 귓볼, 그라운드는 Fpz로 하였다. 연구결과인지과제 수행 시 전두엽에서 세타파의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인지과제 수행 시 세타파가 증가한 이유는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두엽이 영역이 관여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운동학습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인지과제와 운동과제의 차이점을 신경생리학적으로 밝혀주었다.
        196.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숙한 자극에 반응할 때 나타나는 측두 영역(T7과 T8)의 N170과 P250 그리고 측후두 영역의 P170과 N250을 분석하여 친숙한 자극이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12명의 남자 고등학교 레슬링 선수들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친숙한 자극은 레슬링 지도자의 사진을 자극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친숙하지 않은 자극은 면식이 없는 일반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자극을 만들었다. 전체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모니터에 나타나도록 하였다. 과제는 목표자극이 나타나면 왼쪽 버튼을, 표준자극이 제시되면 오른쪽 버튼을 가능한 한 빨리 누르는 것이었다. 뇌파는 Fz, Cz, Pz, T7, T8, P7, P8 그리고 O1에서 각각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측두 영역과 측후두 영역에 대해 자극(2)×좌우반구(2)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두 영역(T7과 T8)의 N170에서는 친숙한 자극의 잠재기가 친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잠재기가 더 길었으나, P250에서는 친숙한 자극이 친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폭을 분석한 결과 측두 영역과 측후두 영역의 N170과 P170은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진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슬링선수가 연습이나 면식으로 인해 과제에 익숙해지게 되면 정보처리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을 뇌생리학적으로 밝혀 주었다.
        197.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해상교역과 국제 혼승선박의 지속적인 증가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항로표지와 관련하여 우선 해사영어의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항로표지장비 및 용품 표준규격심의회 조직의 검토결과 현행 심의회의 활동만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항로표지의 표준화를 충족시킬 수 없었고 실무적 진행을 위해서는 실무위원회가 항로표지의 종류별로 구성될 필요가 있기에, 조직원의 구성에 있어서는 표준규격 심의회의 유연성과 전문성을 조화시킨 민 관 학 연의 통합적 접근이 바람직하다. 항로표지와 관련해사영어의 표준화 방안의 연구결과에서 각과정마다 대상, 등급 및 학습목표가 제시 되었으며, 이 모든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교육/훈련단계는 통역/커뮤니케이션의 근본원리를 적용한 난이도에 따라 구분되었다. 본 논문의 기여는 항로표지와 관련한 제도정비의 근본이 되는 관련해사영어의 우선적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여 현재 해사분야에서 실무전문성이 결여된 시청각 영어교육훈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초의 방안구축에 있다.
        19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1) 시각적 심상이 대뇌활성화와 사격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2) 심상시에 유도된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사격 경험이 없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남녀 대학생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의 연령은 18세에서 28세이고 평균연령은 21.3세이며,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이들은 시각적 심상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 되었다. 뇌파분석을 위해서 시각적 심상집단의 경우 1분씩 총 3회 심상동안의 EEG(electroencephalography)가, 통제집단의 경우 1분씩 총 3회 휴식을 하는 동안에 측정된 EEG 가 분석되었다. 집단별 뇌파(세타, 알파, 베타파) 파워값의 차이와 사격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 시각적 심상시에 측정된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각 주파수 대역의 파워값과 분단별 사격수행 점수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심상 집단은 무심상 집단보다 대뇌활성화의 효율성(neural cortical efficiency)이 컸고, 심상 후 습득단계와 파지단계 모두에서 사격점수가 높았다. 또 심상 시의 뇌파와 사격수행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상관분석은 심상시의 세타파가 높을수록 사격점수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어 심상으로 인해 유도된 뇌파가 사격수행을 중재할 수도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99.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난이도에 따른 P300의 변화를 통하여 선택적 주의 시 나타나는 뇌의 정보처리현상을 규명해 보는데 있다.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ERP파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험자의 F3, F4, Fz, Cz, Pz, T3, T4부위의 ERP를 측정하였다. 단순과제-표준자극이 단순과제-목표자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과제-표준자극과 복잡과제-표준자극이 복잡과제-목표자극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목표자극과 표준자극에 따른 진폭과 잠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진폭의 경우 표준자극보다 목표자극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잠재기의 경우 표준자극이 목표자극보다 길게 나타났다. 대뇌영역별에서는 진폭이 Fz, Cz, F4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잠재기에서는 T3, T4 영역에서 짧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청각 자극을 통한 P300은 과제를 식별하고 결정하는 주의와 관련이 있으며, 처리하여야 하는 정보의 수와 주의의 양이 늘어날수록 뇌의 정보처리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극에 따른 주의의 할당 정도는 P300의 진폭에 비례한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200.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REBT 상담을 통해 청소년기 조정선수의 경쟁불안과 관련한 인지, 정서,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 지를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연구의 보조자료로 활용한 EEG뇌파측정을 통해 REBT 상담의 심리생리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6명의 고교 조정선수를 대상으로 일주일에 2회 총10회의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상담의 성과를 상담축어록과 보조자료로 활용한 4차례의 경쟁상태불안 검사, EEG뇌파측정, 에르고메타 수행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집단상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동기의식 결여, 목표 의식 부재, 부적절한 정서, 비합리적 사고 체계와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갖게 되는 경쟁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목표를 설정하고 REBT 상담에서 사용하는 전략중의 하나인 논박, 뜨거운 자리 경험, 역할극, 과제 제시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담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초기의 상호간의 의사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던 상태에서 서로간의 신뢰성이 회복되고 집단의 응집력이 생성되고 개인적인 통찰이 일어났다. 또한 상담자가 기대했던 비합리적 신념들이 합리적 신념 체계로 점차적으로 바뀌어 지고 자신감도 많이 회복되었으며 EEG뇌파측정에서 알파값이 상승했으며 수행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발견하였다. 참여자들의 진술내용과 보조자료 결과를 통하여 상담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