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70

        226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26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crystallization and magnetic properties of non-equilibrium alloy powders produced by rod-milling as well as by new chemical leaching. X-ray diffractometr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vibrating sample magnetometry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as-milled and leached specimens. After 400 h or 500 h milling, only the broad peaks of nano bcc crystalline phases were detected in the XRD patterns. The crystallite size, the peak an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s increased with increasing Fe. After being annealed at for 1 h for as-milled alloy powders, the peaks of bcc are observed. After being annealed at for 1 h for leached specimens, these non-equi-librium phases transformed into fcc Cu and phases for the x=0.25 specimen, and into bcc phases for both the x=0.50 and the x=0.75 specimens.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milling time for alloy powders. On cooling the leached specimens from ,\;the magnetization first sharply increase at about for x=0.25, x=0.50, and x=0.75 specimens, repectively.
        4,000원
        226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국내에서는 벽과 바닥판만으로 이루어진 벽식 구조형식의 아파트 건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아파트와 같은 주거구조물에서는 다양한 진동원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은 벽과 바닥판을 통하여 이웃한 세대 및 위, 아래층 세대로 전달되게 된다. 벽식구조물의 진동해석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벽과 바닥판을 많은 수의 유한요소로 세분한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벽식구조물 전체를 수많은 유한요소로 세분하여 모형화하면 막대한 해석시간과 컴퓨터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당히 줄어든 해석시간과 컴퓨터 메모리를 사용하여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기 위하여 행렬응축기법으로 벽과 바닥판에 수직인 자유도만 가지는 효율적인 진동해석 모델을 제안한다. 벽식구조물에서 벽과 바닥에 수직인 자유도만을 남기고 나머지 자유도를 행렬응축기법을 통하여 한꺼번에 소거를 한다면 행렬응축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벽이나 바닥판에 수직인 자유도만을 가진 수퍼요소를 생성한 후 이를 조합하여 한 층을 나타내는 부분구조를 만들고 최종적으로 부분구조를 조합하여 전체 구조물을 구성하는 모형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기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층 및 5층의 벽식구조물을 예제구조물로 사용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예제해석 결과 제안된 해석방법의 결과는 절점당 6개의 자유도를 모두 사용한 해석모델의 결과와 비슷한 정확성을 보이면서도 소요되는 해석시간과 컴퓨터 메모리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
        4,300원
        2266.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버섯인 상황(P. baumii) 자실체의 열수 추출물로 부터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항암실험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PMO-P4의 경우 rDNA의 ITS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분석결과 P. baumii로 판명 되었으며, PMO-P4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성분(HWE-P4)을 160mg/kg/day의 농도로하여 Sarcoma-180 암세포를 유발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A군의 경우, 종양억제효과는 35.3%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생명연장 효과는 156%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경구투여 방법에 있어서도 시료를 먼저 2주간 투여한 후 암세포를 접종한 A군의 경우가 시료 투여와 암세포 접종을 동시에 실시한 B군의 경우 보다 종양억제효과 및 생명연장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A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CD4/CD8의 비율이 71.4%증가 하였으며, CD25(IL-2receptor chain)분자의 발현을 5배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P. baumii로 밝혀진 PMO-P4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성분의 항암효과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T cell등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를 억제 혹은 사멸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267.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안의 연안성 어족인 빨간횟대에 대해 망목크기 등을 달리한 8종류의 장구형 통발을 사용하여, 2003년 6월부터 12월까지 총 6차례에 걸쳐 어선 2척을 용선하여 조업한 어획실험으로부터 망목선택성 곡선을 구하여 합리적인 자원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하고자 하였다. 망목 크기가 20mm와 35mm인 두 통발의 빨간횟대 어획물로부터 체장에 따른 어획비율의 차이에 대해 특별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망목 크기가 20mm와 55mm인 두 통발의 경우에 대해 SELECT방법을 이용하여 equal split model 과 estimated split model을 적용한 결과, AIC 값이 적은 전자가 더 적절한 모델이므로, 빨간횟대의 경우는 이들 두 통발에 대한 입망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목 55mm의 통발에서 SELECT 모델로 구한 50% 어획될 빨간횟대의 전장은 22.0cm였다. 망목 크기가 20mm, 35mm, 55mm인 통발의 어획 자료에 Kitahara의 방법으로 logistic식을 적용하여 추정된 선택성 곡선식은 와 같았고, 현재 규정 망목 크기인 35mm 장구형 통발에 대해 50% 어획될 빨간횟대의 전장은 21.4cm이었다.
        4,000원
        2268.
        200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portance of strategic operation on the IT outsourcing israpidly increasing. The selection process of IT outsourcer plays a critical role since the service quality determined by IT outsourcer is directly linked with each other. While th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process is realized, it is still quite drift and subjective. This paper proposes an evaluation model that helps a decision group to select a proper IT outsourcer among alternatives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gram, AHP. In this paper, the web system is designed the way that focuses on group decision making with a geometric mean method, GMM, of AHP for IT outsourcer selection.
        4,000원
        2274.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조미 오징어(PVC film, 0.6 mm)의 감마선 조사와 저장 중(15±1℃, 6개월)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시료의 미생물 농도는 1.6×105CFU/g, 효모 및 곰팡이 104~105CFU/g.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각각 나타났으나, 3kGy의 감마선 조사는 저장 6개월까지도 검출한계 이하의 감균효과를 보였다. 시료의 pH와 수분함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저장 중 수분한량은 감소되었다. 시료의 색도(Hunter b). 지용성 및 수용성 색소와 지방질의 품질을 나타내는 TBA가는 3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저장기간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의 VBN 및 TMA 함량은 감마선 조사 시 비조사구와 유사하거나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장 중에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나 감마선 조사구는 미생물 농도의 감소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2275.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공노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08~0.11mg%, glucose 0.09~0.32%, sucrose 0.08~1.26mg%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에서 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5% ethanol 추출액은 0.02%로 다른 용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50% ethanol에서 66.,39%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50.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76.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오미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1.24~4.42mg%, glucose 3.65~4.71mg%, sucrose 0.89~1.69mg%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당질의 대부분을 glucose와 fructose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은 0.98%, 75% ethanol 추출액은 0.89%, water 추출액은 0.58%로 나타나 50%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에 비해 유기용매 추출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water 추출액 60.87%, 50% ethanol 추출액 57.24%, 75% ethanol 추출액 55.61%로 나타나 용매별 전자공여능 효과가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다. SOD 유사환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3.6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