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철도의 경우, 선로의 노반과 사면·법면 등의 내하력을 넘어서는 대형 강우에 대하여 열차의 운전중지와 속도제한 등의 운전규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기준으로 설정되어 열차통제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다만, 한국철도공사의 강우자동경보시스템을 통하여 강우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열차운행을 위한 판단의 보조지표로써 활용되고 있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강우시 취약개소로 선정된 영동선과 경전선 구간 사면의 현장시험, 불포화함수측성 시험 등의 결과 및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강우침투해석 및 시간강우량에 따른 콘크리트블록 설치 현장사면의 안정해석으로 내강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율 1.3에 따른 시간 강우정보를 역산하여 한국철도공사의 강우경보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는 열차운전규제 기준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추가적인 검증 및 확장연구를 통해 현장적용이 가능한 불포화 개념의 열차안전규제 기준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반시설의 연쇄적인 운영중단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시설간 상호의존도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미국 동부지역의 대정전, 2011년 일본 동북부 대지진까지 재난은 점점 더 대형화, 복잡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동일본 대지진에서 동북부에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기반시설의 피해가 서부지역으로까지 파급된 것처럼, 국가기반시설(Critical Infrastructure)에 발생한 재난은 타 지역에 위치한 다른 국가기반시설로 재난영향이 파급되면서, 피해규모가 더욱 커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국외에서는 기반시설간의 연쇄적인 기능마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념적 접근, 시뮬레이션적 접근, 경험적 접근방식 등을 통해 기반시설간 상호의존도를 파악하여 기반시설 보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03년 화물노조 파업을 시작으로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나, 각 시설 단위에만 그 범위가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2011년 9.15 대정전과 같이 국내에서도 국가기반시설에 발생한 재난이 사회 각 부문에 영향을 미친 사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의 잦은 중단으로 인한 전력수급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기반시설간 중요도 및 상호의존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반시설의 다양성과 특정분야의 전문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국가기반시설 상호의존도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또한 상호의존도 분석 방법론을 재난선진국의 연구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수, 폭우, 태풍을 포함한 극한 현상이 빈번히 관측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1980년대 후반부터 수재해에 따른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 하천은 외국의 주요 하천에 비해 유량변동계수가 큰 특징을 가지므로 하천 및 하도관리 여건이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하천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정확한 하천지형조사는 필수적인 요건이며, 정밀 하천지형제작을 위한 선진화된 조사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천측량방법을 보완하는 유·무인 수심측량을 수행하여 고품질의 하천지형조사 자료를 획득하고자 한다. 또한 하천 유지·관리업무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체계 구축방안으로써 측량 성과물을 입력자료로 하는 하상변동 자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자료 관리 측면에서 하천지형조사 자료의 현황 조회 기능을, 효율적인 자료 활용 측면에서 DEM 기반의 하천단면 조회 및 변화분석 기능을 탑재하여 유관기관에 배포 시 측량자료 제공의 표준화, 전산화 및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가진을 이용한 초음파 전파 영상 기반 배관 비파괴 검사에 관해 다룬다. 손상의 영상화를 위해 갈바노미터 기반레이저 미러 스캐너와 Q-Switch Nd: YAG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레이저 시스템을 가진원으로 사용하면 빠른 속도로 비접촉 초음파 가진이 가능하며,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환경이나 유해 물질이 포함된 환경에서도 대상 구조물의 원거리 가진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해상도가 높으며, 입사각이 넓어 표면 형상이 복잡한 대상 구조물도 가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저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유도 초음파를 단일 PZT 센서를 사용하여 계측하고, 계측된 신호는 레이저 가진점에 해당하는 좌표점에 나열함으로써 2차원 공간좌표 및시간축을 더한 초음파 전파 영상 생성을 위한 3차원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 데이터를 시간 축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 재생하면 초음파 전파 영상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계측 신호의 특정 주파수 성분을 추출해냄으로써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 유도 초음파 모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 전파 영상 데이터를 시간-공간 영역에서 주파수-wavenumber 영역으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손상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손상의 진단 및 위치 추정을 위해 wavenumber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시스템 검증을 위해 다양한 배관구조물 Testbed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교원의 역량을 진단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교사 1,066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에 사용된 역량진단 도구는 총 13개 역량, 61개 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보유도-중요도 차이 분석과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교 육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계 및 개발, 내용전문성, 테 크놀로지 리터러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별 비교 및 지역별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외협력관계 형성,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찰이 상위 5위의 교육요구도 안에 공통으로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요구 수준과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광양항은 ‘98년 개장 이후 현재 16개 선석(5만 톤급 12선석, 2만 톤급 4선석)을 운영 중에 있다. 특히 광양지역은 광양만권의 핵심 역할을 하는 광양항이 위치하고 있다. 본 논문은 광양지역의 물류도시 발전 전략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SWOT/AHP 분석 방법을 사 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익 창출형 물류 비즈니스 모델 창출, 항만기능과 연계된 국제적인 배후물류단지 개발, 공동물류창고 운영 등의 비용절 감형 물류 비즈니스 모델 창출, 자유무역지역의 고부가가치화 전략 그리고 광역항만클러스터 조성 등에 우선순위를 두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 이 바람직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도출된 우선순위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주 기로 동일한 설문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보다 심도 있는 심층면접이 나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략이 보완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보다 심층적이고 실증적 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여 김치의 맛과 저장성 을 증진시키는 김치를 개발하고자 품질특성을 관찰하였다. 삼채뿌리분말 0.1%, 1%, 5%를 첨가하여 4℃에서 8주 동안 저장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pH, 산도, 염도, 환원당, 미 생물의 변화 및 관능특성을 살펴보았다. 삼채뿌리의 비타 민 B1및 비타민 C의 함량은 각각 0.04 mg/100 g 및 5.76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삼채 뿌리의 비타민 B1의 함량은 마늘보다는 적고 양파와 비슷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삼 채뿌리분말 첨가 김치의 pH의 측정결과 초기의 pH는 비슷 하였으나, 저장기간 중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일 반김치는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한 김치에 비하여 대체적으 로 낮은 pH를 보였으며, 삼채뿌리분말 5% 첨가한 김치의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도의 측정결과 pH 변화와 비슷 하였으며, 삼채뿌리분말첨가 김치의 염도는 대체로 2.23% 를 유지하였다. 환원당 함량의 측정 결과 삼채뿌리분말 0.1%, 1%, 5% 첨가 김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환원당 함량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고, 삼채뿌리분 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환원당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 다. 숙성 중 총 균수 및 젖산균수 변화는 숙성 초기에 급격히 증가한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면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 삼채뿌리분말 1% 첨가 김치의 평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삼채뿌리분말을 첨가한 김치의 pH가 높고 천천히 감 소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숙성 지연 등의 저장성과 기호 성이 좋은 삼채뿌리분말 1%를 첨가하여 김치를 개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Behcet’s disease (BD) is characterized by oral or orogenital ulcers and various systemic symptoms. Ankylosing spondylitis (AS), a prototype of the seronegative spondiloarthropathy(SNSpA) group,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xial skeleton primarily involving the sacroiliac joint and vertebrae. Coexistence of BD and AS has rarely been reported. We report on a patient with concomitant AS and BD who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etanercept. Several case reports suporting the effectiveness of other medications such as NSAIDs in patients with coexisting AS and BD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we found no report regarding the use of anti TNF-α agent for treatment of these patients except for one case of adalimumab. To b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a patient with concomitant AS and BD treated with etanercept.
The Ambulatory arterial stiffness index (AASI) and abnormal dipping patterns have been suggested as a risk factor for strok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AASI might be confounded by dipping patterns as a prognostic marker.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data of 869 hypertensive patients for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of stroke with AASI and dipping patterns. AASI was higher in patients with stroke than in patients without stroke (0.47±0.16 vs. 0.41±0.17; p=0.083) and inversely related with nocturnal systolic BP reduction (r=–0.21; p<0.001).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predictors of AASI were 24-hour pulse pressure (β= 0.447, p<0.001) and nocturnal dipping (β=–0.178, p<0.001). The odds ratio (OR) for stroke associated with AASI was 0.86 (95% confidence interval (CI), 0.29–2.5; p=0.777) after multivariate adjustment. Higher OR was observed for non-dippers, extreme-dippers, and reverse-dippers than for dippers (OR 1.57; 95% CI 1.02–2.4, p=0.04, OR 2.71; 95% CI 1.06–6.88, p=0.037, OR 2.56; 95% CI 1.56–4.2, p<0.00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pping pattern has a stronger association with stroke than AASI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초고층 구조물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건물에 가해지는 외력 및 노후화에 따른 건물의 성능 저감에 대비하여 건물의 상태를 객관화하기 위한 건물의 동특성의 실시간 감시를 포함한다. 그 결과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Fig. 1과 같이 사용자의 안전 및 사용성을 보장하고 장기적으로 생애 주기 측면의 비용 감소를 지향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의 구성 항목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1) 구조물의 외력, 2) 구조물 자체의 반응, 그리고 3) 구조물 내 설치되는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이 있으며, 포스코건설 송도사옥 모니터링은 그 목적에 따라 상기 각 항목들에 대하여 계측을 실시하여 풍진동에 대한 건물의 거동을 모니터링 하는데 있다.
제철산업은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업종으로 포스코는 국내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약 7,000만 톤가량의 이산화탄소(CO₂)를 배출하고 있다. 2015년부터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될 예정이어서 제철업체는 대내외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요구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전 세계는 지금 온실가스인 CO₂ 를 줄이고자 노력하여 포집기술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환경적인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도 간과할 수는 없다. 산업체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포집/재활용되어 부가가치창출의 구조를 만든다면 향후 많은 기업의 자발적 포집과 재활용이 있을 것이다. 이는 환경규제에 앞서 대응함과 동시에 성장 신사업의 기회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으며, OCED 국가 중 탄소배출량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우리나라의 CO₂ 의무감축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고로부생가스(BFG : Blast Furnace GAS)는 고로에서 코크스가 연소해 철광석과 환원작용을 할 때 발생하는 무색무취의 유독성 가스로 공기보다 무거운 기체이다. 포스코는 철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BFG를 전량 회수해 공정 에너지원으로 바로 재사용하거나, 자가발전에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부생가스(BFG)에서 분리된 CO₂를 재활용하기 위해 성분분석과 순도향상 process를 구축하고 CO₂ 용도 개발의 일환으로 드라이아이스 세정작업 적용 기술을 개발하였다.
공공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2011년 현재 우리나라는 5,299톤/일의 하수슬러지가 발생하여 매립 14.8%, 소각 23.2%, 재활용 21.2%, 해양배출 40.8%의 비율로 처리되었다. 하지만 런던협약 발효로 ‘12년 2월부터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배출이 전면금지 됨에 따라서, 전면 소각, 퇴비화, 혐기소화, 연료화 등의 육상처리시설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를 위한 연구와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단일 물질처리 위주로 시설을 설치/운영하였다면, ‘12년 이후부터는 여러 가지 유기성 폐기물을 혼합/병합 처리하는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병합처리의 효율증가를 위해서 가수분해, 약품주입, 초음파 등의 방법으로 전처리를 하고, 혐기소화를 통해 에너지를 최대한 회수한 후 소각, 연료화 등 기존의 방법으로 처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에 탈수슬러지, 음식물, 분뇨를 병합하여 열가수분해/혐기소화 공정으로 처리하는 프로젝트가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현재까지 열가수분해(Thermal Hydrolysis Pre-treatment, THP) 공정이 가동되고 있지 않아 열가수분해 이후 소화 슬러지에 대한 특성 분석 자료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Cambi 공법이 적용된 노르웨이 Lindum plant에서 발생되는 열가수분해/소화슬러지와, 국내에서 발생되는 탈수슬러지와 소화슬러지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특성을 평가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보급될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유기성폐기물 처리 시 발생되는 매립가스 및 혐기성소화가스는 높은 메탄함량으로 인해 연소를 통한 열 회수나 발전 등의 방법으로 자원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가스 중에는 다양한 미량물질 가운데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은 연소에 의해 이산화규소를 형성하고 가스엔진이나 가스터빈 등의 고비용 설비에 축적되어 기기손상 및 자원화효율 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최근 휘발성유기규소화합물인 실록산은 바이오가스 연소 전에 필수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물질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제거방법 연구 중에서는 흡착제거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 및 고분자 trap 역할에 주로 이용되는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실록산의 흡착제거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흡착제로는 다양한 제올라이트(A형, X형, Y형, β형 제올라이트 및 ZSM-5)와 일반적인 흡착제인 활성탄을 결과 비교를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실록산은 매립가스 중 가장 높은 빈도와 농도로 발생되는 oxtamethyl-cyclo-tetrasiloxane (D4)를 흡착질로 사용하였다. 등온에서의 흡착평형실험결과, D4 흡착용량은 activated carbon의 및 β형 제올라이트가 43 mg/g, ZSM-5 및 A형 제올라이트가 각각 24, 16 mg/g으로 나타났고, X형과 Y형 제올라이트는 2 mg/g 미만으로 흡착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는 분자체 역할을 하는 동공(cavity)의 모양 및 사이즈에 의해 흡착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결과에서는 실록산(D4)은 제올라이트의 극성에 의한 선택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bioactive compounds from natural resources with a supercritical extract. We selected the extrac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Lufa cylindrica, Paeonia lactiflora, Gardenia jasminoide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as natural material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their skin barrier function. We found that these extracts increased the transactivation activity of the PPAR-responsive element (PPRE) and the anti-oxidation with different prioriti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se extracts promot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cornified envelope (CE) formation, such as involucri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natural materials from supercritical extracts will be pertinent candidat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본 연구는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도입된 이용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옥외공간 이용 활성화를 높일 수 있는 이용프로그램 도입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37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1.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은 총 조사대상지역의 16.5%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단지규모, 준공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옥외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옥외공간 넓이의 증가, 설계요소의 다양성, 공익적 기능의 강화 등이 옥외공간에서의 이용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2.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이용프로그램은 운영이 쉬운 체육강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축제, 장터, 정원관리, 텃밭가꾸기도 높게 나타났다. 운영방식은 외주보다 주민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 도입시 운영하기 쉽고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주민과 관리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매뉴얼을 제작 보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3.이용프로그램 참여 연령층은 성인과 노인이 대부분으로 모든 연령층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연령별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진행시 활용되는 옥외공간은 대부분 커뮤니티 공간이었는데 최근 커뮤니티 공간의 계획 및 설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이용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는 낮은 참여도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고 이용프로그램이 도입되지 않는 이유로도 낮은 참여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프로그램의 도입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주민 참여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를 하고 아파트 자생단체와 커뮤니티 전문가 제도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5.공동주택 주민이 좋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프로그램은 바자회가 가장 많았고 요가, 꽃밭가꾸기, 영화상영, 음악회, 텃밭가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개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영화상영이나 음악회와 같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선호도는 높으나 현재 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도는 낮아 앞으로 주민 재능 기부 등의 전문인력 도입시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 도입현황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주민을 상대로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In order to eliminate the defects of reinforced-concrete decks in terms of material, the steel-straped deck system is developed by maximizing the arching effect while the girders are restrained using straps in lateral direction to the bridge. In this paper, nonlinear FEA are performed for various parameters such as slab thickness, span length, strap spacing and sectional area, etc. in order to derive the equation to design the deck slab with steel-strap considering the minimum thickness of Korean design standards.
A cantilever end zone of PSC box girder is cracked frequently by unequal drying shrinkage and tension tie phenomenons. This study is going to show design check process on demonstration to combine above two phenomenons. The case study will contribute to quality improvement using this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