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70

        146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0~2010년까지 11년간 경남 소재 K 종돈장 Yorkshire 종빈돈 9,086두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돼지의 주요 경제 형질인 등지방 두께, 등심단면적, 정육율, 일당증체량, 및 90 kg 도달일령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Harvey et al. (1979)의 최소제곱 평균법으로 SAS @9.2 Package/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SAS Institute, 2006), 상이한 검정개시 체중과 검정 종료 체중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검정종료 일령을 공변이로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된 돼지의 주요 경제형질의 평균치와 표준 편차는 90kg 도달일령의 경우 147.537 ± 12.401 일, 일당증체량의 경우 614.614 ± 56.900 g, 보정 등지방 두께가 15.771 ± 3.071 mm, 등심단면적의 경우 28.644 ± 3.634 cm2, 정육율의 경우 55.363 ± 3.901%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를 보면 조사된 모든 형질에 대해 출생 계절과 검정 계절의 효과에서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표현형 상관에서 90 kg 도달일령과 일당증체량은 강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90kg 도달일령과 등지방 두께는 정의 상관을, 일당증체량과 등지방 두께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등지방두께와 등심단 면적은 -0.294의 부의 상관을 등지방두께와 정육율은 -0.723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등심단면적과 정육율은 0.586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공변이 분석으로 포함한 종료체중의 효과에 대해 추정된 회귀계수는 검정종료일령에 대해 검정 종료 일령이 1일씩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정육율, 일당증체량, 90 kg 도달일령은 각각 -0.04 mm, -0.02 ㎠, 0.03%, -1.26 g, 0.61 일씩 변화하였으며, 특히 일당증체량과 90 kg 도달일령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농장 검정돈의 표현형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Yorkshire 종빈돈의 능력을 평가할 때 유전적 능력과 환경요인에 의한 부분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능력검정을 통한 우수한 종빈돈의 선발과 개량이 곧 현 국내의 축산업의 발전을 위한 노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
        4,000원
        146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attening Hanwoo heifers slaughtered at different ages. Twenty one Hanwoo heife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32, 36 and 40 months age), with 7 steers each, respectively. In the result, initial and final body weights were 125.6 and 651.0 kg, respectively. Average daily gain was significantly low at final stage compared with other growth stages (p<0.05). Dry matter intake was the peak at the intermediate fattening stage (p<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at growing stage compared to other stages (p<0.05). In yield traits, carcass weight was greater in 40 months age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Yield index was greater in 32 months group compared to 40 months of age (p<0.05).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p>0.05). However, marbling score tended to be increased in 40 months age group (5.9)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appearance rate (%) of meat quality grade more than 1+ was greater at 40 months old group than other groups.
        4,000원
        146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romium-Methionine (Cr-Met) chelate feeding for different durations on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he late fattening stage of Holstein steers. Nine Holstein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3 head per treatment) including Non Cr-Met chelate feeding (NCM, av. BW of 433.3 kg), Cr-Met chelate feeding for 2 months (2CM, av. BW of 459.6 kg), and Cr-Met chelate feeding for 4 months (4CM, av. BW of 490.0 kg), respectively. The feeding amount of Cr-Met chelate to an animal was limited to 400 ppb/day. Dry matter intake showed no differences among all the treatments (p>0.05). Average daily gain was also higher in the animals fed Cr-Met chelate diets than NCM (p<0.05). Carcass weights were also observed to be higher in Cr-Met chelate feeding treatments, especially in 4CM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0.05).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back fat thickness and rib eye area(p<0.05), but 4CM showed much higher effects than NCM and 2CM.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p>0.05). The variations in meat quality were smaller in 4CM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4CM showed higher total and net income than other treatments (p<0.05). Therefore, the current study concluded that Cr-Met chelate supplementation for 4 months could increase daily gai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rofitability of Holstein steers in the late fattening stage.
        4,000원
        146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uction of microvibration is regarded as important in high-technology facilities with high precision equipments. In this paper, smart control technology is used to improve the microvibration control performance. Mr damper is used to make a smart base isolation system amd fuzzy logic control algorithm is employed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MR damper. In order to develop optimal fuzzy control algorithm, a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is used in this study. As an excitation, a train-induced ground acceleration is used for time history analysis and three-story example building structure is employed. Microvibration control performance of passive and smart base isolation system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can provide optimal fuzzy logic controllers for smart base isolation system and the smart control system can effectively reduce microvibration of a high-technology facility subjected to train-induced excitation.
        4,000원
        146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에서 주로 재배하는 상추를 대상으로 LED 조사 시간과 양액조성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상추의 품종은 공시품종 청축면 상추이다. 상추는 분무경을 이용하여 5주간 재배하며, 정식 후 7, 14, 21, 28, 35일 경과 후 각각 생육조사 및 최적의 양액공급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청축면 상추에 가장 적절한 양액은 야마자키액이라고 판단하였으며, 광조건을 (12 hr(on)/12 hr(off))로 조절하거나 Wondergrow액으로 양액을 조성한 처리에서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4,200원
        146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pregnancy rate and transferable embryos produced by genetically superior Korean cows (Hanwoo) of livestock farms. Eighteen Hanwoo donors were superovulated with gonadotropin for 4 days combined with Progesterone Releasing Intravaginal. Embryos were recovered 7 days after the secon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rate of superovulation in groups A (low nutrition) and B (highnutrition) it was observed to be 100.0% and 87.5%, respectively. The mean numbers of total embryos were 10.8±3.4 and 8.9±2.5,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7.5±3.3 and 4.0±1.5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were 23.5%, 20.0%, C 80.0% and 55.6% in farm A, B, C, and D, respectively. In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superovulation could be used quite effectively to raise superior Hanwooembryos. However, physical and biological condition of recipients greatly affects the rate of pregnancy.
        4,000원
        1468.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May, 2006 to September, 2007, using gill nets of different mesh sizes (m=101, 121.8, 152.5, 176.8, and 191 mm) to determine the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swimming crab, Potunus trituberculatus. The catch species was composed of swimming crab (87%), Thomas's rapa whelk Rapana venosa (5%), arthritic neptune Neptunea cumingi (2%), Japanese swimming crab Charybdis japonica (2%),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1%), pen shell Atrina pectinata,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and so on. The carapace length (CL) of each swimming crab caught in the experimental nets was measured. Sponge crab (egg-bearing female crab) was appeared from the end of June to August in the coastal waters.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The selection curve showed that the gill nets of larger mesh size allowed more crabs of small carapace size to escape. The optimum value (CL/m) was 0.645 and the CL/m was estimated to be 0.301, 0.354, 0.391, 0.422, and 0.450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ies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4,000원
        1469.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이 짧게 편집된 폭력적 애니메이션에 반복적으로 노 출되었을 때, 폭력에 대한 반응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애니메이션 속 폭력 피해자의 성별이 피험자의 성별과 일 치할 경우 폭력에 대한 반응에 차이가 나타나는 지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일본 애니메이션 14편에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장면을 골라 2분짜리 짧은 영상물로 편 집했다. 여대생 60명이 피험자로 참가했다. 실험은 피험자들이 피해자가 여성인 집 단과 남성인 집단에 30명씩 무작위로 할당돼 편집된 7편의 영상물을 보고 폭력 피 해자 캐릭터에 대한 동정심, 폭력물에 대한 전반적인 감정, 폭력 애니메이션에 나 타난 물리적 폭력과 언어적 폭력에 대한 인지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 구결과, 여대생들은 폭력에 대한 둔감화와는 반대로 4가지 종속변인 모두에서 폭 력에 대해 더욱 민감해지고 폭력을 더욱 분명하게 인식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 한 결과는 피험자와 캐릭터 성별의 일치여부와는 무관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함의가 함께 논의됐다.
        5,800원
        1470.
        201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is commonly used to form a thin, rough, and porous oxidation layer on the surface of titan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nanotubular titanium oxide arrays during short anodization processing. The specimen used in this study was 99.9% pure cp-Ti (ASTM Grade II) in the form of a disc with diameter of 15 mm and a thickness of 1 mm. A DC power supplier was used with the anodizing apparatus, and the titanium specimen and the platinum plate (3mm×4mm×0.1mm) were connected to an anode and cathode, respectively. The progressive formation of TiO2 nanotubes was observed with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ighly ordered TiO2 nanotubes were formed at a potential of 20 V in a solution of 1M H3PO4 + 1.5 wt.% HF for 10 minutes, corresponding with steady state processing. The diameters and the closed ends of TiO2 nanotubes measured at a value of 50 cumulative percent were 100 nm and 120 nm, respectively. The TiO2 nanotubes had lengths of 500 nm. As the anodization processing reached 10 minut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for the diameters and the closed ends of the TiO2 nanotubes was gradually reduced. Short anodization processing for TiO2 nanotubes of within 10 minutes was established.
        4,000원
        147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하중을 고려하는 구조해석은 전산자원과 시간측면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외력을 이상적인 정하중으로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하중 조건으로 해석된 결과는 구조물의 안전설계 측면에서 충분한 신뢰를 주기 어렵다. 최근에는, 동하중의 영향을 받는 구조물의 효과적인 구조해석을 위해 동하중을 등가정하중으로 변환하는 기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 기법은 최적화를 통해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최소의 등가정하중을 구하는데, 구속조건은 임계시간의 변위를 사용하고, 등가정하중 분포 자유도는 경험적으로 선정하여 왔다. 그러나 안전설계 관점에서는 응력 구속조건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경험적 자유도 선정은 몇 개의 자유도에 과도한 하중이 부과되거나 구조물의 거동에 영향력이 없는 자유도들이 선정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가응력 구속조건을 고려하는 등가정하중 최적화 방법을 제안하고, 축소시스템 개념을 도입한 주자유도, 구속조건 요소 자유도, 외부하중 자유도로 구성되는 등가정하중 분포 자유도의 구성방법을 제안한다. 수치예제에서는 제안된 방법으로 구해진 등가정하중을 사용하여 등가응력을 구하고 동하중 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을 통한 구조해석 방법이 구조안전성 측면에서 타당함을 보인다.
        4,000원
        1472.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태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태양열 집열기와 팬코일유니트(F CU)에 의한 집열량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진주지역의 최저외기온은 -13.0~25.2℃ 범위에 있었고, 일사량은 0.0~26.6 MJ․m-2 정도의 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평균 일사량 및 최저외기온의 평균은 각각 13.6 MJ․m-2 및 8.1℃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에 설치한 순환펌프를 ON/OFF시켰을 경우, 회수된 열량은 각각 22,473.8 kcal 및 19,438.9 kcal 정도로서 순환펌프의 작동에 의해 약 15.6 %정도 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판 및 진공관형 집열기로부터 회수된 총 열량은 각각 2,865,092.1 kcal 및 2,366,119.2 kcal 정도였다. FCU에 의한 실험결과를 보면, FRP를 이용한 경우에 전체 축열량과 공급열량은 각각 1,289,839.3 kcal 및 1,143,807.4 kcal정도였다. WB의 경우는 각각 970,277.0 kcal 및 885,386.0 kcal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실내부의 온도는 최저외 기온보다 약 3.0℃이상 높게 유지되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473.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 온난화와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한 온실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야 지역, 중산간 지역, 산간 지역의 탄소 순환 해석을 통하여 탄소의 흡수 및 배출의 해석을 통한 요인별 원단위를 분석하고 실제지역 구성 비율에 따라 원단위를 적용하여 해석해 보았다. 농촌지역의 탄소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그 지역이 평야지역 일 때와 산간지역 일 때의 탄소의 흡수·고정·배출량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야지역의 경우 타지역에 비하여 축사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아서 탄소배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야의 면적이 가장 적은 관계로 탄소 고정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중산간지역의 경우 차량에 의한 탄소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임야 면적이 평야지역에 비하여 넓은 관계로 고정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간지역은 넓은 임야면적 때문에 탄소 고정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어촌이나 도심지역으로 확대하여 비교·분석한다면 탄소의 흡수·고정·배출량을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474.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mall cell osteosarcoma of bone, which was first described in 1979, is an unusual variant of osteosarcoma. Osteoid production by tumor cells is frequently focal or minimal, mak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with other small round cell tumors of bone difficult. Here, we present a rare case of small cell osteosarcoma of the mandible appearing as bony bulging mass in 31-year-old male who has neither tenderness nor paresthesia. Histologically, the tumor contains hypercellular cartilage and abnormal osteoid associated with small round to ovoid malignant cells. Awareness of small cell osteosarcoma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it has worse prognosis than both other small round cell tumor and conventional osteosarcoma.
        4,000원
        147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 바이러스는 소나 돼지 등의 우제류 가축에 경구 또는 흡입 노출 등의 다양한 노출 경로를 통해 심각한 감염성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유해인자로 국내 축산업 운영에 있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병원균들 중 하나다. 구제역 발병에 대한 사전적 예방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조치 방안 중 하나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구제역 바이러스 확산에 대해 수학적 모델 적용을 통해 예측된 분석 결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대기 확산 모델들은 일반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의 주요 전파 경로인 경구 및 접촉 감염의 노출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예측도가 높은 대기 확산 모델의 경우 공기 전파에 대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위해성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데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유용가능한 수단으로 여러 나라에서 활용되어 왔다.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를 억제하기 위한 엄격한 관리 방안 중 다량의 가축 살처분 방법은 축산 농가들에게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심각한 경우 새로운 자립의 여건마저도 상실시킬 수도 있다. 반면 낮은 수준의 대응 방안은 향후 구제역 발생에 따른 추가적 피해를 근원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역학적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구제역 바이러스의 기본 특성 및 발생 모델 적용에 따른 공기 중 전파의 감염 위험성 평가 관련 선행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1970년대 이후 구제역 바이러스의 공기 전파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실제 활용된 다양한 대기 확산 모델들의 적용 사례 및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4,200원
        147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 채집기인 유문등(Black light trap)을 이용한 우사에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기 주 발생 시기인 2012년 7월 26일부터 8월 2일 사이 말라리아 발생지역인 강원도 철원군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폐쇄형 우사의 경우, 하룻밤에 유문등 한 대당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류는 평균 27,220마리(최대 33.931마리, 최소 659마리)였으며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유문등의 위치는 우사 내 가장 구석진 곳이었다. 개방형의 경우에는 하룻밤에 유문등 한 대당 채집된 말라 리아 매개모기류가 평균 22,751마리(최대 31,176마리, 최소 13,727)로 폐쇄형 우 사에 비해 다소 낮았고,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유문등의 위치는 축사입구 구석진 장소였다. 결론적으로, 조사기간 중 유문등 한대로 하룻밤에 말라리아 매개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모기는 평균 2천마리 이상이었고 모기가 비교적 많이 채집되는 유 문등의 위치는 소의 무리와 가까우면서 안정된 장소였다. 우사에서 유문등을 이용 한 모기 방제는 유문등의 설치 장소, 설치 높이 및 설치 거리 등의 기술적인 면을 고 려하여, 설치된 유문등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할 경우 매우 효율적인 친환경 적 모기방제법이라고 판단된다.
        1477.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감자뿔나방은 전 세계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감자에 가장 문제시 되는 해충이 다. 감자 수출입 검역 시 주로 메틸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훈증하고 있으나 메틸브 로마이드의 사용이 규제됨에 따라 대체요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방사 선조사를 포함한 전자빔 조사가 의료, 반도체 산업, 식품 제조업뿐만 아니라 농산 물 검역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빔 선량(50, 100, 150, 200, 300, 400 Gy)에 따른 감자뿔나방의 발육정도와 생식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 여 추후 전자빔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감자뿔나방 알에 조사했을 때 부화율은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억제되었으며 200 Gy 에서 100% 억제되었다. 3령 유충에 조사했을 때 100 Gy에서 우화가 완전히 억 제되었고 5령 유충에 조사했을 때는 200 Gy에서 우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번데 기에 조사했을 때는 400 Gy에서조차 우화가 되었으나 300 Gy 조사에서 우화된 성 충은 산란하지 못하였다. 성충에 조사했을 때 성충수명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100 Gy 이상의 조사선량에서 산란수와 부화율이 감소되었다. 전자빔 조사가 DNA 손 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met assay를 수행한 결과 전자빔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DNA 손상이 증가했다.
        1478.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밀양, 괴산, 원주의 잡곡포장에 성페로몬트랩을 설치하 여 5월부터 10월까지 조명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나방류 6종의 유인량을 조사하 였다. 지역간 나방류의 발생량은 밀양에서 총 5,520마리로 원주 및 괴산보다 각각 11.7배 및 8.2배 많았다. 밀양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비율은 72.1%로 다른 나 방류 및 지역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그 다음은 파밤나방(12.9%) 이었으나, 멸강나 방은 0.4%로 매우 낮았다. 괴산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비율(39.5%)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담배나방(28.9%) 및 파밤나방(11.9%)의 순서 이었으며, 멸강나 방은 1.7%로 매우 낮았다. 원주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비율(33.2%)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담배나방(25.4%) 및 왕담배나방(15.9%)의 순서 이었고, 멸강나 방 발생비율은 0.7%로 매우 낮았다.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최성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9월 상순∼9월 하순까지로 나타났고, 밀양에서 담배거세 미나방은 10월 하순까지도 발생량이 매우 많았다. 파밤나방의 발생최성기는 지역 에 따른 차이가 심하였는데, 밀양은 8월 하순∼9월 중순, 괴산은 9월 중순∼10월 상 순, 원주는 9월 상순∼9월 중순까지로 나타났다. 조명나방의 발생최성기는 지역에 따른 큰 차이 없이 6월 상순∼6월 중순까지로 나타났다. 멸강나방의 발생최성기도 지역간 차이 없이 5월 중·하순 이었으나, 다른 나방류에 비해 발생량은 매우 적었 다. 왕담배나방의 발생최성기는 지역별 차이가 매우 심하였는데, 밀양은 9월 상순 ∼9월 중순, 괴산은 8월 상순∼8월 하순, 원주는 6월 상순∼6월 중순까지로 나타났 다. 담배나방의 발생최성기는 밀양에서 8월 상순∼8월 하순, 괴산에서 7월 하순∼8 월 중순, 원주에서 8월 하순∼9월 상순으로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이처럼 지 역별 나방류 발생량과 발생최성기의 차이는 나방류의 생물적 특성, 지역별 기상, 재배작물의 면적, 작부양식 및 체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147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출용 화훼박스에 장미와 국화를 각각 채운 후 화훼관련 해충 6종 (아메리카잎굴파리, 담배거세미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 담배가루이, 대만총채벌레)에 대한 전자빔 (200 Gy, 300 Gy) 영향을 박스의 높이에 따라 조사하였다. 200 Gy 선량의 전자빔 조사 시 점박이응애, 담배가루이, 대만총채벌레의 알은 모든 높이에서 부화가 억제되었지만 아메리카잎굴파리와 담배거세미나방은 박스하부 위치에서 일부 부화가 되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담배거세미나방 유충과 담배가루이의 약충은 모든 높이에서 용화 및 우화가 억제되었다. 그러나 점박이응애와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은 박스상부에서조차도 우화가 억제되지 않았다. 번데기에 조사 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번데기는 모든 높이에서 우화가 억제되었고 담배거세미나방은 상부에서도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다. 성충에 조사 시 점박이응애는 장미박스 중부에서 F1세대의 부화율이 100% 억제되었지만 국화 박스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다. 200 Gy 선량에서 완전히 억제되지 않은 해충의 발육단계를 300 Gy로 조사하였을 때는 200 Gy 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화훼수출 시 전자빔 조사선량은 화훼종류별, 대상해충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48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M작물의 경우 1994년 미국 칼진사의 무르지 않는 토마토가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얻어 판매된 후, LMO 품목과 개발 비율이 급속하게 늘어났고, 재배면적은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수많은 종류의 LMO가 개발 중에 있지만, 환경위해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완성되지 못하여 아직 상업화된 작물이 없기 때문에 여러 작물을 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림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1년 한국의 전체 식량자급률은 22.6%로 OECD에 가입된 30개국 중 하위 수준이었으며 특히 콩과 옥수수의 경우 각각 5% 미만으로 수입에 의한 의존도가 다른 작물보다 높다. 수입되는 곡물 중 콩 약 80%는 유전자변형 콩이며 대부분이 착유용으로 이용되며, 콩 이외의 많은 곡물들이 유전자변형 작물일 가능성이 높으며, 운송 과정 중에 국내환경에 비의도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환경에 비의도적으로 노출된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환경위해성은 근연종에 전이 되어 돌연변이가 생성 되거나, 비표적생물체가 제초제 저항성 또는 해충 저항성 LMO를 섭식하여 피해를 입을 가능성, 환경교란, 유전자 이동성, 확산가능성에 대하여, 현재 LMO 산업에 있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는 국내에서도 세부항목에 대한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 및 심사 시 국내 자연생태계 위해성을 고려한 비표적생물체에 미치는 세부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및 관련 자료 확보를 위하여 본연구가 수행되었는데, LM작물 재배지와 대조군 작물 재배지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비교, LM작물과 대조군 작물을 섭식하는 초식성 개체군에서 목표종 선정방법, 초식자들을 섭식하는 포식자 또는 기생포식자의 간접적인 영향 등을 비교하기 위한 환경위해성평가방법을 제시하고, GM 누에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의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생명공학자들의 숙원사업인 LMO의 상업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핵심적 역할을 수행 하며, 국내 자연 생태계가 LMO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