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58

        3064.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ults of particulate matters level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which surveyed in Gwang-Yang, Dang-Jin steel industry area, are as follows; The PM2.5, PM10 of exposure area are 22.3μg/m3, 40.4μg/m3 each in Kum-Ho dong, and 28.1μg/m3, 51.5 each in Jung dong. The PM2.5, PM10 of control area are 16.4μg/m3, 29.5μg/m3 each in Bonggang-myeon. The level is higher in exposure area than control area. In case of Dang Jin,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is higher in exposure area than control area (PM2.5-20.4μg/m3, PM10-39.2μg/m3). The Pb level of Dang Jin area is higher in exposure area(0.13μg/m3) than control area(0.1μg/m3), and both Gwang-Yang and Dang-Jin area lower level than the Guideline level of Korea EPA.
        3065.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amine the trend on the flowering time in some weather flora including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Cosmos bipinnatus, and Robinia pseudo-acacia in Busan, the changes in time series and rate of flowering time of plant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ime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wering time and the temperature, changing pattern of flowering time was very similar to the pattern of the temperature, and change rate was gradually risen up as time goes on. Especially, the change rate of flowering time in C. bipinnatus was 0.487 day/year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flowering date in 2007, the difference was one day between measurement value and prediction value in C. bipinnatus and R. pseudo-acacia, whereas the difference was 8 days in P. mume showing grea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plants. Flowering time was highly related with temperature of February and March in the weather flora except for P. mume, R. pseudo-acacia and C. bipinnatus. In most plants, flowering time was highly related with a daily average temperature.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flowering time and a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P. persica, otherwise the correlaton between flowering time and a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Pyrus sp.
        3066.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식 완화용 음료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한 바, pH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3.50에서 3.65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저장 초기값이 저장 25일째 측정한 값과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는 L값, a, b값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 온도가 에서 저장한 경우 그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의 변화에서는 저장에 따른 음료의
        3067.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 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 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총 519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program(Version 14.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
        3068.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팽이버섯의 선도유지를 위한 적정 포장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팽이버섯의 호흡특성과 필름두께에 따른 기체조성을 사전 조사한 다음 현행 포장방법인 일반필름포장(PM)과 진공포장(VM), 그리고 25%와 50%, 10%와 20%를 각각 혼합하여 충전한 가스포장(AM)을 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선도유지특성을 비교하였다. 팽이버섯의 호흡 속도는 에서 , , 에서 , 에서 로 조사되었으며, 기체투과율이 좋은 LDPE 필름을 사용할 경우 40
        307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장미 신품종 "피치푸딩"품종육성은 향기가 우수하고 절화수명이 긴 스탠다드 장미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0년도에 적색의 스탠다드 '레드산드라'를 모본으로 향기가 있는 백분홍색의 스탠다드 '도로레스'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1-2002년에 271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3-2006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후 최종선발된 '원교D1-72'를 "피치푸딩"으로 명명하였다. "피치푸딩"의 화색은 오렌지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3071.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Bird"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4년에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chiban'을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적색 포엽의 'reedom Red'를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3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arly
        307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의료영상의 질환부위 인식방법을 제안하였다. 질환부위 인식을 위한 신경회로 망은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하여 적응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였다. 신경회로망에 입력된 의료영 상의 특징 파라미터는 웨이브릿 변환에 의하여 분해된 저주파 영역을 행렬식으로 표현하여 특성 다항식의 계수값 (n+1)개로 하였다.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는 탄젠트시그모이드 전달함수의 범위로 정규화하여 신경회로망의 입력 벡 터로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실험에 사용된 입력 의료영상을 가지고 모사실험을 통해 질환부위의 인식 률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4레벨 DWT로 변환된 저주파영역 행렬의 특성 다항식 계수를 탄젠트시그모이드 전달함수의 범위로 정규 화하여 신경회로망의 입력 벡터로 이용했을 때 최적의 학습 횟수를 보였다. 신경회로망의 학습은 적응 오차 역전파 알 고리즘을 사용하였고, 학습계수를 0.01, 모우멘텀을 0.95로 하였을 때, 위영상에 대해서는 55회, 가슴영상은 55회, CT 영상은 46회, 초음파영상은 55회 그리고 혈관영상에 대해서는 157회 등의 최적의 학습 횟수를 보이며 100%의 인식률 을 보였다
        307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일 조어도 논쟁은 주요하게 도서(島嶼)의 주권 귀속과 동해해 양권익 두 방면이 있다. 국제법의 원칙에 의하면 조어도의 주권은 중국에 소속된다. 중국이 제일 먼저 발견하고 그 주권을 가지게 되었으며 일본이 주장하는 “무주지(無主地) 우선 점령(優先占領)” 의 원칙은 성립되지 않는다. <연합국해양법조약>의 규정과 국제 실천에 의하면 조어도는 중일 동중국해 대륙붕 경계선확정 문제에 소속되지 않는다.
        307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세포는 세포질 내에 다양한 신호전달물질을 과립형태로 함유하고 있는 세포로써, 피부, 기도, 소화관 등의 점막과 결합조직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염증반응, 자기방어, 조직재생,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 현상에 관여하고 있는 면역세포이다. 본 연구는 생쥐 연령별 자궁의 발달과 퇴행에 따른 자궁조직 내 비만세포의 분포와 밀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생쥐 자궁에서 비만세포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궁조직 내 비만세포는 발정주기가 시작되는 생후 6주 이전에는 매우 적은 수가 관찰되었으나, 생후 7주부터 자궁의 조직형태적 발달과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32주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생후 38주부터는 자궁조직의 퇴행과 더불어 비만세포의 밀도도 감소하였다. 비만세포는 자궁의 근층조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 세포외기질인 교원섬유도 자궁의 발달, 비만세포의 밀도 증가와 더불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자궁의 퇴행과 함께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비만세포는 자궁 근층조직에서 평활근세포, 섬유모세포, 교원섬유와 근접하고 있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비만세포가 자궁에서의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분만, 생리주기에 따른 자궁조직의 재생 및 재구성, 그리고 평활근조직의 수축 등에도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3076.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입 밀가루와 국산 우리밀가루로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았고, 조회분 함량은 수입 밀가루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pH 측정에서는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H.Y 우리밀가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수입 밀가루가 L, 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식빵의 부피와 높이는 G.S 우리밀가루가 가장 낮았으며, 금강 우리 밀가루가 반죽수율과 비체적이 가장 높게
        3077.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고품질'이라는 개념 설정과 품질을 계량화 할 수 있는 기본 기술 개발을 위하여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내 외적 품질인자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및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사과는 대형할인마트나 재래시장에서 소포장이나 낱개 단위로 구입되고 있었으며, 젊은 층 보다는 높은 연령층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소포장규격 정립과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사과소비 촉진 마케팅
        307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pum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F1 crossing Milyang165 and Iksan438 at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41 days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This cultivar has short culm and spikelet number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standard variety. This cultivar has medium size of brown rice and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leaf blas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disease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Hopum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Hopum is about 6.5% and 18.7%, respectively. This cultivar 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Chucheongbyeo harvested in Gyeongki province. Its milling recovery (76.8%) and percentage of perfect-shaped milled rice (94.7%) were higher than Nampyeong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Hopum was 5.83 MT/ha (15% higher than Juan) under wet-direct seeding, 5.66 MT/ha (8% higher than Juan) under dry-direct seeding, and 6.00 MT/ha (8% higher than Nampyeong) under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opum”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307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na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ksan438 and Ilmibyeo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97 days growth duration from late transplant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ic conditions. It is resistant to lodging with average 70 cm of culm length. The milled kernels of Manna are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9% amylose content and goo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Geumobyeo. This cultivar shows resistance to leaf blast and neck blast but susceptibility to bacterial blight and stripe virus diseases. The milled rice yield potential of Manna is about 5.05 MT/ha under the late transplanting cultivation. Manna would be adaptable for the middle and Honam plain of Korea.
        308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tandard rose cultivar ‘ink holic’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pink standard cultivar ‘yvia’and red standard cultivar 'Sioux' at the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cross was made in 2002 and ‘ink holic’was finally selected in 2007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05 to 2007. ‘ink holic’ a light pink standard cultivar grows vigorously and has powder mildew resistan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ultivar are 185.4 stems/m2/year in yield, 83.9cm in length of cut flower, 11.0cm in flower diameter, 42.9 in petal number, and 22.4 days in vase life. This cultivar can be propagated by both cutting and graf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of this cultiva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 'Moon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