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maize (Zea mays L.) originated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requires warm climate conditions throughout its growing season. Growth halts when night-time temperatures drop below 10℃, and the plant may die if temperature reach -1.7℃. Thus, temperature should be maintained between 10 and 30℃ from seeding to maturity. The germination temperature for maize should be at least 8-11℃, whit an optimal range 32-34℃. Since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s the germination rate and period, it plays a crucial role in maize grow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quantity and feed value of 11 major varieties to determine those best suited for maize cultivation as feed in higher latitude, specifically in Democratic People’s of Republic of Korea, below 38 degrees north. A cultivation test was also conducted in Suwon in Republic of Korea, to assess adaptability in areas south of Mt. Suyang. Among the varieties tested, Shinhwangok2 reached silking the fastest, in 65 days, while Gwangpyeongok took the longest at 75 days. The stem length of all varieties exceeded 230 cm. Gwangpyeongok had the tallest stems, while Daanok and Shinhwangok2ho displayed the highest ear ratios. Dacheongok presented the highest values in both dry matter and TDN quantity, with 31,420 kg/ha and 21,66 kg/ha respectively. Pyeonggangok had the highest crude protein content at 8.0%. TDN (%) ranged from 57-68%, with Hwangdaok reaching up to 68%. Based on these findings, Dacheongok and Pyeonggangok appear to be the most suitable varieties for cultivation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feed value.
본 연구는 신품종으로 등록된 길뚝사초 ‘설맥’의 형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양적특성과 질적 및 유사질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재배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양적특성은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및 유사질적 특성은 국제 식물 신품종 보호연맹(UPOV :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에서 발행한 지침(TGP 8/1 PARTⅡ : 8)을 참고하여 균일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28개의 특성 중 10개의 특성에서 구별성이 있었으며, 8개의 특성에서 균일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양적 특성 결과는 일반종보다 엽신의 수와 크기 등 영양기관 부위에서는 작았고, 화경 소수의 수, 소수화수 암꽃 수 와 같은 생식기관에서는 많았다. 질적 특성은 잎 가장자리 세로의 노란 무늬가 명확하였다. 길뚝사초 ‘설맥’은 형태적으로 일반종과 다른 새로운 품종임을 확인하였으며, 왜성의 노란색 세로 무늬종으로서 조경의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규모·융복합적 결합은 물론 글로벌 경쟁산업사회에서 현대의 기업경영은 그 엄중함으로 인해 건전하고 투명한 경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예전과 같이 설비투자에 의한 생산과 업적 확대에 초점을 두고 기업을 둘러싼 각종의 리스 크(위험)에 대한 준비를 소홀히(적당히) 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시점에 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하건 기업이 사고·재해 그 밖의 부정사건에 휘말리게 되면 해 당 기업에 미치는 손실은 경영 위기로 연결되며, 나아가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을 불가능하게 하고, 기업구성원인 주주를 비롯한 투자자, 소비자, 지역사회 등 광범위하게 걸쳐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까지 상당한 마이너스 영향을 미치 게 된다. 기업을 둘러싼 리스크는 상당히 다양하고 대규모적인 경향을 띠는데, 기업의 경영활동과 관련해서는 소비자를 비롯하여 기업과 관계를 맺는 다양한 관계자 들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기업의 경영활동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활용하여 대 규모의 이익을 창출하는 근원이 되고 있지만, 개인정보에 관한 데이터보호문제· 위험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관리 소홀로 인해 그 개 인정보가 유출되어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안전관리를 최 우선으로 해야 하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근로자의 안전문제(S), 제조업을 영위 하는 기업의 경우 폐기물·리사이클문제, 화학물질의 유해성문제 및 그로 인한 기후변동의 위험성까지 초래될 염려가 있는 지구환경(E)과 같은 문제는 글로벌 적 차원에서 엄중하게 대응할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기업지배구조 상 이 사회의 다양성·경영진의 보수·소유구조에 관한 문제(G) 등, 이른바 ESG경영에 있어서의 문제로 이해되면서 이러한 내용에 관한 관심 또한 집중되고 있다. 상장회사에는 주주 이외에도 중요한 이해관계자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상 장회사는 스스로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인 기업가치의 창출을 달성하려면 이러한 이해관계자와 적절한 조화관계를 이룰 필요가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 해야 한다. 특히 글로벌적으로 사회·환경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하면 이른바 ESG문제에 적극적·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음 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timal greenhouse model for strawberry seedling during the summer high-temperature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structure types of 46 strawberry seedling farms nationwide, including width, ridge height, eaves height, ventilation method, seedling bed width, and spac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derived the optimal greenhouse model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e greenhouse width was set at 14 meter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eedling beds and overall space. The height was determined at 2 meters, taking into account ventil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To reduce stress on the supporting structure due to snow loads, we established a reinforcement installation angle of 50 degrees. We analyzed two different models that use support beams with dimensions of φ48.1×2.1t and φ59.9×3.2t, respectively, to ensure structural safety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considering regional design wind speeds and snow accumulation. We utilized these developed greenhouse model to conduct strawberry seedling experiments, resulting in a high survival rate of average 93.2%. These findings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strawberry seedling greenhouse in improving the seedling environment and enhancing overall efficiency.
비브리오패혈증균은 세계에서 치사율이 50%에 달하는 가장 치명적인 수인성식품매개 병원균으로 해수에서 흔히 있으며, 특히 따뜻한 계절에 발생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 의 해수, 유통 수산물, 수족관물에서 분리한 비브리오패혈 증균에 대해서 RT-PCR을 이용한 독소 유전자, Vitek을 이 용한 항생제 내성, PFGE를 이용한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 였다. 총 487개의 시료를 조사한 결과 비브리오패혈증균 46주(중복 균주 포함)가 해수에서 44주, 유통수산물에서 1 주, 수족관물에서 1주 분리되었다. rtxA, viu와 같은 독소 유전자는 각각 8주(17.4%), 9주(19.6%) 검출되었고, vvhA 와 같은 독소 유전자는 모든 균주에서 검출되었다. 항생 제 내성 실험결과 cefoxitin 항상제에 대해서 100% 내성 이 나타났다. 비브리오패혈증균 46주에 대한 PFGE 분석결과 총 6유형이 100% 상동성을 보였고, 유사도는 81.3- 98.0%로 나타났다. 수산물과 수족관물에서 분리된 비브리 오패혈증균은 해수와의 상동성 결과 유사도는 불일치로 나타났고 지역과 시료 사이에는 유사성이 없었다. 독소 유 전자를 가진 비브리오패혈증균에 의한 식중독 환자가 제 주도에서 발생한 점을 고려해볼 때, 해수, 유통 수산물, 수 족관물에서 분리한 비브리오패혈증균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직류전동기(DC motor)와 전기적인 특성은 유사하지만, 수명과 신뢰성이 향상된 BLDC 모터의 제어기법에 대해 언 급하고 있다. BLDC모터는 회전자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직류전동기의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정류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내구성과 속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LDC모터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직류전동기의 전기자에 흐르는 구형파 형태의 전 류인 것에 착안하여 직류전동기에 대한 제어기를 설계하고, 설계된 제어기를 3상 BLDC모터에 적용하여 제어기의 유효성을 확인하였 다. 이를 위해 3상 BLDC모터의 전기적인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단상 직류전동기의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시스템에 대해 근궤 적법을 적용하여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위한 PI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DC 전동기의 속도제어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였고, 동일한 제어기를 MATLAB으로 구현한 3상 BLDC모터의 속도제어에 적용하였다. DC 전동기와 유사한 제어 결과를 3상 BLDC모터에서 얻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연구에서 제안한 제어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grows rapidly and emerges as a leader in technology, it is becoming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next-generation industrial system along with the robot industry. In this study, a safety system was developed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to provide worker safety in a robot workplace environment. The implemented safety system has multiple cameras installed with various viewing directions to avoid blind spots caused by interference. Workers in various scenario situations were detected, and appropriate robot response scenarios we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worker's risk level through IO communication. For human detection, the YOLO algorithm, which is widely used in object detection, was used, and a separate robot class was added and learn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misrecognizing the robot as a human.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was evaluated by operator detection performance by applying various operator scenario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system operated stably.
한국의 목조건축문화유산은 상당수가 산림에 인접하여 흰개미에 의한 피해에 취약하다. 국내 흰개미 방제법은 살충제 접촉을 통한 화학적 방제법이 주로 이용되며, 방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흰개미를 빠르게 약제까지 유인시킬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식 흰개미 에 대한 유인물질로 이산화탄소를 선정하여 유인여부 및 적절한 유인농도를 탐색하였으며, 지중 환경에서의 유인효력 기초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를 통해 흰개미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유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농도 10% 이하의 유효한 범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지중에서의 유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지중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향후 현장에서 이산화탄소의 적용방안을 연구함으로써, 목조건축문화유 산의 흰개미 방제 시 개선된 방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경로의존성과 정책선도자의 개념으로 최근의 주요 경비업 법 개정 관련 논란 및 사태 등을 살펴, 10.29 참사 이후 경비업법 개 정 관련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종 논문 및 학술자료와 신문 기사 등 자료를 통한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경비업법은 경비 업 제한(지도와 감독, 규제와 처벌 논리)법으로서 기능을 하여 왔으며, 경비업의 권한 남용의 방지에 관한 광범위한 기술적인 규정을 두는 경 로의존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비업법에서 정책선도자인 행정안전부(경 찰청)의 역할과 기능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경비업법의 경로의존성은 개정 입법 논의의 한계로 작용하고 정책선도자인 행정안 전부(경찰청)의 의지에 달렸다. 최근 10.29 참사로 인해 경비업법의 개 정에 대한 정책의 창이 열렸다. 그간의 경비업법 개정 과정 분석을 통 해 경로의존성과 정책선도자의 특성을 고려해 본다면, 개정의 논의가 순탄치 않음을 탐색해 볼 수 있다.
산갈치(Regalecus russellii)는 대부분을 심해에서 보내며 가끔 연안에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 에서 산갈치는 주로 동해 연안을 따라 출현하는데, 특히 자망 등 어구에 의해 포획되는 경우와 연안에 좌초되어 출몰하는 경우가 높고 그 빈도는 극히 낮다. 또한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산갈치와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투라치(Trachipterus ishikawae)로 판별되는 경우가 높다. 산갈 치의 표본을 구하여 분석하는 것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연안에 출현하는 산갈치의 생태학적 특징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2023년 3월 14일 강원도 앞바다에서 어획된 산갈치의 해부학적 특징을 관찰하였고, 해양 부이 자료를 이용 한 수온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산갈치는 수컷이었고, 전장은 320 cm, 전중은 27.52 kg, 체고는 26.62 cm, 생식소 중량은 619.45 g, 간 중량은 218.71 g이었다. 산갈치의 위는 난바다 곤쟁이류로 가득 차 있었고, 산갈치가 어획되기 약 일주일 전부터 15~30 m 수심에서 강한 수온 변동이 있었으며, 저층 수온은 10℃ 미만이었다. 본 기술보고는 우리나라 동해 연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산갈치의 생태학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 시기는 급격한 변화를 겪는 시기이지만 동시에 잠재력과 역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 세대를 보다 능동적이고 상호의존적인 방식으로 신앙을 갖게 하고, 음악을 통해 복음을 표현하게 하며, 다른 친구들에게나 이어지는 세대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적 제자로 세우는 것은 중요한 청소년 선교사역이다. 그래 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세대를 다음 세대로 보는 것을 넘어서 ‘이음세대’로 세울 뿐 아니라, 수동적인 세대가 아닌 선교적 제자도를 갖춘 세대로 세울 수 있음을 논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선교적 의미를 얻게 되었다. 첫째, 청소년 세대를 이음세대 로 세움으로써 그들이 앞뒤 세대를 이어줄 수 있고, 교회로 세워지며, 하나님의 선교사역에 함께 참여하는 세대가 되게 하며 선교적 제자로 세울 수 있다. 둘째, 음악이라는 구술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청소년세대와 복음으로 소통할 수 있는 좋은 선교적 도구이다. 특히 여러 음악 장르 중 힙합을 통해 복음의 메시지를 표현하는 가수 비와이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힙합이 청소년 세대에게 매력적일 뿐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고 다른 이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선교적 도구이다.
본 연구는 양질의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전국의 치유의 숲에서 근무하고 있는 산림치유지도사를 대상으로 산림치유지도사와 관련한 일반적 현황, 보수교육, 프로그램 관련 제반여건과 현황, 융복합적 체험의 치유기기의 운영에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남자 25명 여자 68명으로 총 93명이 참여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로 근무하는 연령대는 5 · 60대가 가장 많은 72명으로 전체의 77.4%였으며, 만족요인은 숲환경, 치유, 보람 등의 순이었다. 불만족요인은 고용불안, 급여 등 처우, 관련공무원 등 주변의 인식 등이었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덕목으로는 공감능력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하였다. 대부분(96.8%) 보수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67.7%가 개별적으로 보수교육을 수강하였고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으며, 보수교 육의 주체는 산림청이 가장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교육의 질과 비용과 시간의 지원 이라고 답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의 관점에서 참여자의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명상, 숲길걷기, 족욕의 순이었으며, 산림치유지도사의 정보수집경로는 유튜브 등의 매체의 이용이 가장 많았다. 치유기기관련 문항에서는 대부분의 치유의 숲에는 인바디, HRV측정기, 혈압계 등으로 거의 비슷한 기기가 비치되어 프로그램에 이용되고 있었으며, 시간부족으로 운영의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 parahaemolyticus causes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 such as acute diarrhea. In this study, V. parahaemolyticus isolates from seawater, fish tanks, and distributed fishery products in Jeju were investigated for potential toxin or species-specific genes (tdh, trh, tlh, and toxR) using RT-PCR and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Overall, V. parahaemolyticus of 90 strains (36.7%), including 33 strains from seawater, 8 strains from fish tanks, and 50 strains from fishery products, were isolated from 245 samples. All V. parahaemolyticus strains did not detect the tdh gene, whereas all strains detected tlh or toxR genes. In addition, trh genes were detected in 3 strains from seawater and 1 strain from fishery products. Monthly quantitative testing of seawater revealed that V. parahaemolytic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The 90 strains of V. parahemolyticu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by gene homology between types, ranging from 64.0–97.3%. Among these, thirteen types showed 100% homology between ge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to facilitate food poisoning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because some isolated V. parahaemolyticus strains harbored toxin genes and V.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seawater, fish tanks, and distributed fishery products showed genetic simi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