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베리 재배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림 부산물인 파쇄 잣구과를 멀칭 재료로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황 처리와 비교 분석하였다. 멀칭 무처리구와 잣구과, 잣구과+황, 황, 잣나무 잎을 멀칭 후 블루베리의 생장(수고, 잎 너비와 길이)과 생리 상태(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반응), 잎의 무기영양 상태, 토양 화학성(질소, 칼륨, 칼슘, pH, 유기물)을 분석하였다. 블루베리는 멀칭 처리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장을 보였다. 잣구과와 황 멀칭 처리는 대조구 대비 수고 2.9배, 잎 너비 1.2배, 잎 길이 1.2배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함량도 증가하여 블루베리의 생리·생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잣구과 단용 처리구보다는 잣구과와 황 멀칭 처리구가 블루베리의 생리 상태가 양호하게 나타났으 며, 생장과 생리 특성 및 토양의 화학성이 개선되어 블루베리 재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면적의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 파쇄 잣구과 멀칭이 블루베리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하 이동 특성을 가지는 분자[쿠마린(C)-DNP]의 흡수 스펙트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장거 리 보정 밀도 범함수 이론 (long-range corrected density functional theory, LC-DFT)인 LC-BLYP의 범위 분리 매개변수 (μ)를 여러 가지 피팅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기체 상태의 Koopmans 이론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μ값은 실험적 흡수 피크에 비해 청색 이동(blue-shift)되는 경향성을, 반대로 용매 환경에서 최적화된 μ값은 과도하게 적색 이동 (red-shift)이 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반면, 실험적 데이터에 맞춰 조정된 μ값은 흡수 스펙트럼의 피크 위치와 세기를 가 장 고정확도로 재현하였으며, 특히 C-DNP와 C-OH 분자에서 나타나는 최대 흡수 피크 에너지의 차이를 잘 예측하였 다. C-DNP의 HOMO와 LUMO 전자 분포는 모든 μ값에서 일정한 모양(shape)을 가지고 있었으며, HOMO에서 LUMO 의 전이는 C에서 DNP로의 분자 내 전하 이동(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임을 보였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 전통 천연염색소재인 감(persimmon)과 쪽(indigo)으로 염색한 면직물로 구성된 동일색조 2-배색 직물의 색채감성 요인을 규명하고 색채감성 요인 및 색채 선호도와 물리적 색채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색채감성 요인의 예측모델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감과 쪽으로 염색하여 동일색조 2개 유형(soft와 dull)과 배색 면적비(감:쪽) 3 수준(1:1, 2:1, 1:2)을 조합한 총 6종의 직물 자극물을 준비하여, 20대 여대생 38명을 대상으로 IRI 색채이미지스케일의 13개 색채감성 형용사와 선호도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안락감’, ‘경량감’, ‘역동성’, ‘고상함’의 4개 색채감성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 ‘경량감’은 동일색조 유형인 soft에 서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향이었으며, 요인 ‘안락감’은 배색 면적비 2:1에서, ‘고상함’은 배색면적비 1:2에서 유의하 게 더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물리적 배색변인들은 요인 ‘안락감’, ‘경량감’, ‘고상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색채감성 요인 ‘안락감’과 ‘경량감’, ‘고상함’의 예측 회귀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색채선호도는 유의한 예측식이 수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감과 쪽의 천연염색 섬유제품의 배색을 활용하여 섬유⋅패션제품 의 감성 이미지를 설계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건강 관리와 비만 예방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알려진 걷기 운동의 경사도에 따른 에너지 대사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50대 여성 20명으 로 선정되었으며, 각기 다른 경사도(0%와 6%)에서 VO2max의 50%, 60%, 70% 강도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실험은 트 레드밀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호흡가스분석기를 통해 에너지 소비량과 지방 연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지방연소량은 경사 도 6%가 0%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강도에 따 라 에너지소비량은 증가하였으나 0%와 6%의 경사도에서는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년 여성의 비만 예방을 위한 효 율적인 운동 강도와 경사도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현대 조직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해 전통적 위계적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내며, 참여적 리더 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을 통해 동기 와 몰입을 증진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의 일관성을 간과하고, 주로 긍정적 측면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관점을 확장하여, 참여적 리더십이 상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특정 상황에서 이 관계가 부정적일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고자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과 동기부여이론을 바탕으로 상사와 부하의 특성, 특히 상사의 능력과 부하의 권력거리성향이 참여적 리더십과 상사 신뢰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토하였다. 219명의 설문 데이터를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상사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 쳤으며, 상사의 능력이 높을수록 이 효과는 강화되었다. 반면, 부하의 권력거리성향은 유의미한 조절효과 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참여적 리더십의 효과가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며, 리더십 개발 시 상사의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리더십의 효과를 상황적으로 이해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정 상황에서 참여적 리더십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영향까지 검토하여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충주중원문화재단이 개최하는 충주문화재야행의 발전 방향과 지속가능성을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충주문화재야행은 여타 지자체와는 달리 충주중원문화재단 에서 직접 기획하고 전체 운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의 의지와 지역문화재단의 역할을 함께 도모해 볼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부분이다. 충주문화재야행은 2021년에 문화재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어 2022년에 이어 2023년까지 3회 연속 진행되었다. 충주시 소재 유무형 역사 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사업을 추진하여 충주시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재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충주지역의 역사문화 우수성을 널리 알리 려는 목적이 있다. 야행의 주요 프로그램은 테마별로 야경(夜景),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설(夜說), 야화(夜畵), 야식(夜食), 야시(夜市), 야 숙(夜宿)까지 총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주중원문화재단의 충주문화재야행은 문화재청에서 시행하 는 충북지역 문화유산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지역을 대표 할 수 있는 야간특화 프로그램으로 활성화할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사항을 재검토할 때가 되었다. 충주문화재야 행을 통해 그 지속가능성을 살펴서 야행으로서의 미래가치와 고품격 문화유산 야행으로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주문화재야행 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의 반응 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충주문화재 야간관광 프로그램을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도록 개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In conventional construction practices, roof-parapet junction structures inevitably disrupt the insulation installation's continuity, leading to energy loss and thermal bridging. To address this issue, parapet thermal breaks were installed to interrupt the heat flow between the roof and the parapet, effectively preventing thermal bridging and energy loss and thereby reducing overall energy loss in buildings. This study equipped three experimental specimens with the developed parapet thermal breaks to verify their structural performance. Thes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unidirectional loading under displacement-controlled condition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se insulation structur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 results with corresponding analytical studies conduct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five analytical models with varying parameters of the parapet thermal breaks were developed and compared against the baseline model. Consequently, the most efficient shape of the parapet thermal break was determined.
In this research, the concrete breakout strength in tension of cast-in-place anchors (CIP)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equipment in nuclear power plants. Experimental variables are chosen, such as the embedment depth of the anchor, single/group anchor configurations, diameter of the head plate, and crack width. Monotonic and cyclic loading are applied to all types of specimens. As measured from the experiments, concrete breakout strength in tension is 1.5 to 2 times higher than the expected strengths from concrete capacity design (CCD) method-based model equations. In alignment with the model’s predictions, concrete breakout strength increases with deeper embedment depth, and the strength of group anchors also increase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projected concrete failure area.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effects of head plate diameter and crack width, which are not considered in the model equ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iameter of the head plate is not directly correlated to the concrete breakout strength, whereas the crack width is. The presence of cracks, with widths of 0.3 mm and 0.5 mm, leads to reductions of approximately 7% and 17%, respectively, compared to single anchors in non-cracked concrete.
The precast concrete (PC) method allows for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structures; however, ensuring airtight connections is crucial to prevent energy loss and maintain optimal building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tical investigation of the shear capacity of precast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UHPC) ribs combined with standard concrete PC cladding walls. Five specimens were tested under static loading conditions to evaluate their structural performance and the thermal behavior of the UHPC rib shear keys.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ecimens exhibited remarkable structural performance, with shear capacity approximately three times greater than that of standard concrete. Numerical models were subsequently developed to predict the shear capacity of the shear keys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finite element (FE) models showed a maximum strength difference of less than 10% and a rib displacement error of up to 1.76 mm.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e efficiency of the FE model for the simulation of the behavior of structures.
이 논문은 드럼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 변화에 따라 소리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드럼 연주자나 교육자 또는 드럼을 포함한 음악의 편곡자 및 프로 듀서 등에게 드럼연주에서 스틱의 환경요인에 따라 소리의 크기, 벨로시티, 톤 등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의 변화에 따라 드럼의 소리 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드럼 스틱의 두 가지 환경요인 중 스피드의 변화는 드럼 헤드로부터 드럼 스틱의 거리를 동일하게 두고 비피엠(BPM)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스피드 값을 대입하였고 질량의 변화는 드럼 스틱의 그립 위치 변화를 통해 스네어 드럼 헤드에 전달되는 다양 한 질량 값을 적용시켰다. 연구 결과 드럼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 변화에 따른 주파수 응답은 대체 로 211Hz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음 주파수는 약간의 차이를 보여 다소 소리의 톤 변화는 미미한 수준에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데시벨은 스피드와 질량이 증가할수 록 비례하여 증가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