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2

        74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 소재 지하수 중 중금속으로 오염되어 음용수 이외의 생활 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1개 정점과 음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1개 정점, 대조군으로 강화도 천연 동굴의 1개 정점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하수 세균군집의 유전적 다양성의 변화를 보기 위해 지하수 세균 군집에서 16SrDNA를 증폭하는 primer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한 후 ARDRA(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
        4,000원
        742.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의 품종별 백립중은 12.1∼27.1 범위로 새알이 가장 무거웠고 광안이 가장 가벼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두 무게에 대한 종피의 무게비율은 신팔달콩 2호가 9.40%로 가장 높았고, 장엽이 6.1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조단백질은 평균 41.7%로 39.0∼48.5% 범위의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며 단백이 48.5%로 가장 높은 함량을, 장엽이 39%로 가장 낮았다. 지질은 평균 19.7%로 17∼22% 범위였으며, 무한, 태광 등이 22%로 가장 높았고 단백, 광안이 17%로 가장 낮았다.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 단백콩과 광안콩이 높은 지질함량을 보였는데, 전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들이 낮은 지질함량을 나타내고 단백질함량이 낮은 품종들이 높은 지질함량을 보였다. 수분흡수율은 235.9∼202.82%범위로 평균 218.4%였으며, 보광이 235.9%로 가장 높았고 단경이 202.8%로 가장 적었다. 수침 후 경도는 평균 1.404kg/3.14mm^2로 0.890∼2.593kg/3.14mm^2의 범위였는데 새알이 0.890kg/3.14mm^2로 가장 높은 경도를, 진품이 2.593kg/3.14mm^2로 가장 낮은 경도를 보였다. 한편 수분흡수율과 수침시간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보광, 광안, 황금 등 전 품종에서 R_2=0.94∼0.99의 범의로 고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분흡수율이 높을수록 수침경도는 작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진품의 수침경도는 2.593kg/3.14mm^2로 가장 높았다. 한편 대두의 가열 후 경도는 0.066∼0.475kg/3.14mm^2의 범위로 평균 경도는 0.153kg/3.14mm^2였고, 단원이 0.066kg/3.14mm^2로 가장 낮았다.
        4,000원
        743.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장 기간에 따른 백미 품위는 저장기간 중 온도 변화에서 오는 쇄립의 발생이 많아져 완전립율이 감소하였으며 미곡색상의 명도값은 입고시 64.07에서 4년후 61.62까지 저하되어 색상, 색도가 입고시보다 탁한 회색빛을 나타내었다. 취반 특성의 변화 중 가열 흡수율과 팽창 용적은 저장기간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용출 고형물과 요오드 정색도는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폭이 수확 후 2년까지 심하며 이후에는 변성의 일단락으로 취반 특성치가 안정되었다. 취반의 불성중 점성/경도비가 점차 감소하고 부착성 및 응집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취반 후 점도는 입고시 1, 308에서 4년 후 1, 192로 감소하였다. 한편 관능검사에 의한 식미의 변화는 찰기와 맛의 저하가 심하였는데 저장 1년 후 "좋다"와 "아주 좋다"에서 2년까지는 "보통이다"의 점수를 얻었으나 2년 후에는 "나쁘다"의 평점을 받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객관적 식미 평가를 위한 근적외선 비파괴 분석기(NIR)를 이용한 식미결과에서 입고시 92.1에서 4년 저장후 54.7로 식미치가 저하된 결과와 일치되었다.
        4,000원
        74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한에 자생하는 한국산 복수초를 원예용 경제작물로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남한의 21개 자생지를 대상으로 분포지역에 따른 개체군의 형질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식물체의개체군 특성에 의해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강원도의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자생하는 복수초군은 개화시기가 가장 빠르고 초장은 15cm이하로 작았으며 꽃받침이 꽃잎에 비해 큰 것이 특징이다 . 화경은 2.73cm 로 다른 복수초들에 비해 소형이다. 중부지방의 광릉 등지에 자생하는 복수초군은 개화시기가 3월 15일경으로 상대적으로 개화시기가 늦다. 화경은 3.67cm로 나타났다. 충청도 및 서해안 등지에 자생하는 복수초군은 개화시기가 빠르고 화경이 6,82cm 로 꽃이 크며 초장이 길어 관상가치가 뛰어나므로 금후 원예금후 원예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복소초군은 잎과 꽃이 동시에 발달하고 화색은 밝은 황색이며 엽색도 다른 복수초들에 비해 엷은 빛깔의 초록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복수초의염색체는 자생지에 관계없이 2n=16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748.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Bacillus sp.의 숙주균주로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칼리 내성 Bacillus sp. YA-14의 형질전화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형질전화배지로서 0.4% MgSO_4, 0.5mM CaCl_2가 함유된 modified SPI배지 (pH 8.0)를 사용하였으며, 말기 대수증식기의 균체가 최적이었다. 또한 competent cell 1ml에 plasmid DNA 0.5g을 첨가하여 40분간 진탕배양하는 것이 형질전환에 가장 좋았으며, 이러한 최적조건하에서 형질전환율은 4.53×10 exp (-6)CFU/ml/㎍ DNA이었다. 전기영동실험을 통하여 transformant 내에 분자량 3.0×10 exp (6) daltons의 pUB110 plasmid DNA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20세대 계대배양 후에도 안정하였다. 이로부터 알카리내성 Bacillus sp. YA-14는 Bacillus속 미생물의 host-vector system에서 새로운 숙주균주로서 이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4,000원
        749.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75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 지하수중 중금속 등으로 오염되어 음용 이외의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8개 정점과 음용수로 사 용하고 있는 2개 정점을 대상으로, 세균 군집 대사 다양성의 변화를 유일 탄소원 이용능의 변화 양상으로 분석하였다. Biolog GN plate에서 발색 반응이 안정화된 배양 시간은 155시간 이후로 나타났다. 음용수로 사용하는 정점이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정점의 발색 반응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하수 세균 군집은 polymer, carbohydrate, ester 및 amino acid를 공통적으로 많이 이용하였으나, brominated chemicals과 phosphorylated chemicals를 이용하는 세균 군집은 적게 나타났다. 다변량 통계학적 분석을 통한 세균 군집의 대사 다양성 분석 결과, 모두 5개 그룹인 음용수 정점, 휘발성 오염 정점, 크롬 오염 정점, 질산성 질소 오염 정점과 비소 오염 정점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오염물질에 따른 세균 군집의 탄소원 이용능의 차이로 볼 때, 오염원에 따라 세균 군집의 대사 다양성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752.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make up the medium for quantitative selection of capacitated-sperm through sucrose layer, the effects of BSA, caffeine, heparin and progesterone on sperm swim-up migration and movement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BSA of 4mg/ml in bMSS stimulated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and attracted capacitated-sperm. 2. Caffeine of 5mM in bMSS containing 4mg/ml BSA stimulated sperm movement and attracted capacitated-sperm. 3. Heparin of 20/ml in bMAA containing both 4mg/ml BSA and 5mM caffeine stimulated movement and capacitation of sperm. 4. Progesterone of 50/ml in bMSS containing all 4mg/ml BSA, 5mM caffeine and 20/ml heparin (BCHP-MSS) attracted capacitated-sperm. 5. Effect of BCHP-MSS on sperm on sperm attraction was not different from effect of 10% follicular fluid solution (FF-MSS) on sperm swim-up separation. In conclusion, bMSS with 4mg/ml BSA, 5mM caffeine, 20/ml heparin and 50/ml progesterone(BCHP-MSS) was a optimal condition for selection of capacitated-sperm through sucrose layer.
        4,000원
        75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Iodophenyl)amino-7-chloro-5,8-quinolinedione (RCK9) was evaluated for antifungal activities. The MIC values of RCK9 were determined against A. flavus, C. albicans, C. neoformans and F. oxysporium. The RCK9 showed generally poten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the tested fungi. Acute oral toxicity studies of RCK9 were carried out in ICR mice of both sexes. These acute oral toxicities of RCK9 were low and LDSO values were over 2,850 mg/kg in ICR mice. The genotoxicities of RCK9 had been evaluated. RCK9 was negative in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and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CHL cells. The clastogenicity was tested on the RCK9 with in vivo mouse micronucleus assay. RCK9 did not show any clastogenic effect in mouse peripheral blood and was negative in mouse micronucleus assay. The results indicate that RCK9 has no genotoxic potential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4,000원
        754.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리원전 주변 해역에서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3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개 분류군(미동정종 포함)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규조류가 총 1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규질편모류 3종, 와편모조류 34종, 유글레나조류 2종, 녹조류 1종, 기타편모류 2종 등이 출현하였다. 규조류 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연중 우점종으로 기록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 평균값
        4,000원
        75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i 미립자를 함유한 반도체 세정폐수의 관형막을 이용한 한외여과특성을 검토하였다. 관형막의 시간변화에 따른 투과유속의 감소현상은 막표면에 형성된 케익층의 증가 및 기공막힘에 기인하며, cross flow는 케익여과에 의한 막오염 형태를 보였으나 dead-end flow는 기공막힘과 케익여과에 의한 혼합형태를 보였다. Cross Flow의 케익저항의 크기는 3.16times1012 ~4.34times1012 m-1 였고, dead-end flow 는 6.6 times1012 ~12.19times1012 m-1였다. 운전초기의 흐름형태에 따른 투과유속은 cross flow 가 dead-end flow 의 약 7 배였다. Cross flow 투과유속은 약 42 ell/m2 hr, 용질배제율은 약 96 % 였으며, 분리막공정을 거친 투과수 중의 Si 입자의 평균크기는 20nm였다
        4,000원
        756.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포액에 함유되어 있는 steroids와 sterol이 수정에 참여하는 정자의 주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이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rogesterone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억제하였으나 수정능획득한 정자를 유인하였으며, 특히 50g/ml 수준의 progestero
        4,000원
        75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자의 무분별한 이동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운동성을 저해하지 않는 sucrose 층으로부터의 swim-up 분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정자의 이동에 장애가 될 수 있는 sucrose 층에 첨가되는 sucrose수준과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양시간 및 sucrose 이중층의 형태를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mM의 sucrose 층은 정자의 swim-up 이동을 억제하였다. 2. Sucrose 층을 이용하지
        4,500원
        758.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759.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 영동, 경북 경산과 경주에서 1996년 12월과 1997년 1월에 포도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저온에 대한 내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포도 Campbell Early 품종의 E.C.를 보면 12월 중의 저온에 대한 내성은 각 지역별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1월은 경주에서 재배되는 것이 가장 피해가 적었고, 충북 영동의 것이 피해가 가장 많았다. 2. Sheridan 품종 역시 12월의 E.C.가 영동에서 피해가 많았다. 경주와 경산에서는 피해가 적었다. 그리고, 1월은 전반적으로 피해가 많았다. 3. 눈의 갈변도 측정에서 두 품종 모두 영동지역에서는 12월이 1월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경북 경산, 경주 지역은 12월과 1월 모두 영동지역보다 피해가 적었다. 4. 수피 갈변도 측정에서 눈의 갈변도와 같은 경향으로 영동 지역에서 12월 휴면 초기가 피해가 심하였고, 1월은 저온에 강한 편이었다. 5. 눈의 맹아율은 12월에 에서도 맹아가 되었으나 1월에는 영동을 제외한 경산과 경주에서는 맹아율이 높았고 영동지역에서는 와 에서 낮았다.
        4,000원
        760.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a small proportion of fishery products are contaminated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potentially hazardous contaminants. So, there is generally a high risks to consumers. Inorganic contaminants with the greatest potential for toxicity are Sb, As, Cd, Pb, Hg, Se and the Sulfides. As appears to be much more variable than the oth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levels of the As in fisheries caught from the waters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e samples included 26 kinds of fishes, 18 kinds of Mollusca, 3 kinds of Crustacea and 7 kinds of salted fishes. The Moisture content of mollusc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p$lt;0.05). And the As contents of crustace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es, molluscans and salted fishes (p$lt;0.05). The As content of Turban shell was 51.62 ppm,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Also, the As contents of eel, cattle fish and blue crab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in other fisheries. This variability offers a solution for the reduction of eosure to As through restricting the harvest of aquatic organism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