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87

        1781.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 영실의 오백나한-윗세오름대피소-방아오름에 이르는 아고산대(해발 1,440-1,700m)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을 위하여 37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 × l0m 방형구 1개씩 설치)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종류인 RA및 DC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축방목과 이용객에 의한 식생훼손을 파악하기 위하여 17개소에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TWIMSPAN에 의해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구상나무-주목군집, 산철쪽-털진달래 -제주조릿대군집, 큰꽝꽝나무-보리수나무-제주조릿대군집, 산철쭉-눈향나무-털진달래군집, 시로미-눈향나무군집으로 나뉘었다. 가축방목과 탐방객의 이용에 의하여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이 심하게 감소되었다.
        4,200원
        1782.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 어리목, 영실, 돈내코지역 삼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71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500m2 면적)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한 종류인 DC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의 비율은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군집이 전체면적의 53.7%, 물창나무-졸참나무군집 25.8%, 소나무군집 8.3%, 구상난무군집 4.5%이고, 이상의 군집들이 전체의 92.2%이었다. 녹지자연도 등급 1~7까지는 존재하지 않았고, 등급 8이 전체면적의 64.5%, 극상림인 등급 9가 28.6%. 등급 10이 6.9%이었다. TWINSPAN과 DCA기법에 의해 7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으며 나뉘어진 군집은 개서어나무군집, 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 소나무-개서어나무군집, 소나무-서어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서어나무-굴거리나무-사스레피나무군집, 소나무군집이었다. 종에 대한 두 기법분석에 의해 추정된 천이계열은 어리목과 영실지역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졸참나무, 솔비나무→개서어나무로, 돈내코지역은 소나무→서어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인자인 토양양료와 DCA의 score에는 상관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400원
        1783.
        199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0.4wt% C을 함유하는 기존의 기계구조용 탄소강에 V과 Nb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첨가한 열간단조용 비조질강의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고, 미세조직과 셔출물의 분포 및 형상을 관찰하였으며 첨가원소의 영향을 정량화 하기 위해 중회귀분석을 행하였다. 인장시험 결과 모든 재료의 인장강도는 70kg/mm2 이상으로 기존의 소입.소려재(S45C)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었으며, 충격시험 결과 대부분 재료의 충격에너지는 40J 이하로 기존 재료의 약 50%정도였 다. V함량이 0.10에서 0.l5wt%로 증가하였을 경우 인장강도는 약 20% 증가하였으나 충격에너지는 감소하였다. 이는 VC의 미세석출에 의해 석출강화 효과와 함께 펄라이트의 부피분율이 증가하고 층간거리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면 Nb 함량이 0.05에서 0.10wt%로 증가한 경우에는 강도와 인성의 근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NbC의 석출애 의한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VC 보다 우세했기 때문이다. 또한 V+Nb의 복합첨가는 단독첨가시에 비하여 충격인성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본 실험에서 최적 강도와 인성의 조합을 보인 합금조성은 0.4C-1.19Mn-0.05S-0.12V-0.07Nb로 인장강도는 84kg/mm2 이상, 충격인성은 34J 이상이었다.
        4,200원
        1784.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made, from May to June 1991, to reveal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eal management of the homemakers in Jeonbuk a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464 homemakers were summerized as follows. The meal expenses were planned and managed mostly by the homemakers (93.3%). The 31.1% homemakers expended 200,000-300,000 Won a month for meals and the average expenditure was 294,106 Won. Among the homemakers who responded, the 34.0% managed their account books for meal expenses. With decreasing age(p<0.05), increasing education level (p<0.001), and increasing the income(p<0.01), the number of those who managed the account book tended to be higher. Usually they bought their foods at the market place (52.1%) and they did every other days(33.2%). The 46.9% planned what to buy and chose the best ones among the foods they planned to buy at the market. The percentage of those who prepared their menus planned in advance was only 5.5%. The most homemakers cooked for themselves (96.8%). On cooking and buying foods, the 48.2% considered their husbands first and the 64.4% regarded the tastes and needs of their familie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 majority (66.2%) regarded the dinner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ose three times of meals. The 39.6% prepared Kimchi twice a month. The foods they prepared for each meal were usually 4-5 kinds (43.2%). Mostly they prepared meals three times a day (49.1%). The average times spent in preparing and cleaning the tables for lunch and breakfast were 41.6, 96.2 minutes respectively. The homemakers who had jobs tended to spend less time in preparing and clearing the tables than those who had not (p<0.01, p<0.001). The 58.0% had complaints in that the food prices were too high and their moneys for meal preparation were insufficient and the 16.6% had difficulty in satisfying the tastes of their families.
        4,000원
        178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대원계곡의 입지환경구배에 따른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89개소의 조사지(1조사구당 5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한 기법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lassification에 의하여 낮은 해발고의 건조지에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으로. 습윤지에서 서어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고, 높은 해발고의 건조지에서 신갈나무군집, 습윤지에서 층층나무-신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DCA기법에 의한 ordination분석결과에서도 classification 분석결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에 대한 두 기법분석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은 소나무→굴참나무, 졸참나무→서어나무 순이었고, 해발고가 높은 지위는 신갈나무→층층나무 순이었으며, 교목하층은 진달래, 개옻나무, 때죽나무→사람주나무, 나도밤나무, 대팻집나무→참개암나무, 당단풍, 함박꽃나무 순이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 분석에서 소나무군집과 굴참나무군집은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유효인산. 치환성용량 등의 토양양료가 낮은 지위에 분포하고 신갈나무군집과 층층나무군집은 토양양료가 높은 지위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은 중간지위에 주로 분포하였다.
        4,600원
        1786.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노고단-임걸령재에 이르는 아고산대 (해발 1,360~1,410m)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20 ×25m 방형구 1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찬 종류인 DC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하여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물푸레나무-함박꽃나무군집, 신갈나무-철쭉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당단풍군집, 신갈나무-분비나무-철쭉군집, 분비나무-소나무-진달래군집으로 나뉘었다. 교목상층군에서의 천이계 열은 신갈나무 - 분비나무로 추정되었고, 종파양성에 의하면 분비나무가 우점중인 군집은 성숙단계인 안정상태이었다. 환경인자인 토양함수량과 토양산도는 조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787.
        199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1788.
        1990.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78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 components, amino acids and minerals contained in 7 kind of edible wild grasses were estimat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of Kapyong area, Kyung-ki, Korea. Results of the estim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 relatively large amounts of protein and fat were contained in the edible parts of each sample. 2)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the edible parts of each sample were glutamic acid (26.6%), serine (18.7%), valine (22.4%), respectively. 3) A high level of calcium and iron was found in the edible parts of each samples. Especially calcium was abundant in the leaves of Rumex coreanus Nakai and iron was abundant in the Commelina communis L. Both copper and zinc were abundant in the Sanguisorba officinalis L.
        4,000원
        1792.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역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의 ord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70개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에서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소나무 군집, 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졸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졸참나무 군집으로 나뉘었고, 분리환경인자는 해발 고와 토양습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DCA기법이 TWINSPAN보다 효율성이 더 좋았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래나무→신갈나무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개옻나무. 산초나무→철쭉, 참개암나무, 생강나무, 함박꽃나무→참회나무로 추정되었다. 산화발생에 의해서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은 매우 감소하였고,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4,200원
        1793.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보존대책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10m 방형구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방법과 DCA ordination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classification과 DAC ordination방법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지 않았다.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갈참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에서는 개옻나무, 생강나무→쪽동백, 당단풍, 노린재나무→비목나무, 덜꿩나무의 순이었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방해극상적인 생태적 관리방법에 의해 교목하층에 자라고 있는 활엽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4,000원
        1795.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ptical resolution of aminoalcohols had been achived efficiently by use of (R)-2,2'-dihydroxy-l,1'-binaphtholphosphoric acid as the resolving agent in various organic solvents. Racemic aminoalcohols were resolved very easily and high enantiomer yield (about 70% e,e) in THF. On the other hand, absolute configuration of resolved aminoalcohol was (R)-configuration but one of the Valinnol and Phhenylglycinol was anti-type because of sterichindrance.Optical resolution of aminoalcohols had been achived efficiently by use of (R)-2,2'-dihydroxy-1,1'-binaphtholphosphoric acid as the resolving agent in various organic solvents. Racemic aminoalcohols were resolved very easily and high enantiomer yield (about 70% e,e) in THF. On the other hand, absolute configuration of resolved aminoalcohol was (R)-configuration but one of the Valinnol and Phhenylglycinol was anti-type because of sterichindrance.
        4,000원
        1798.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799.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야산 국립공원과 홍류동 및 치인지구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의 정량적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40개의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에서 최종적으로 8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건조형군집은 소나무 및 잣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습윤형은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습윤형은 다시 표고에 의해 구분할 수 있었으며 낮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졸참나무가, 높은 표고에서의 군집은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DCA에 의한 ordination결과는 제1축에서 소나무가 우점종인 군집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가 우점종인 군집으로 분리되었고, TWINSPAN의 제1 division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DCA의 제1축과 토양수분, 토양산도, 표고, 최대종다양도,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각군집간에 매우 낮은 값이었으며, 각 군집의 종다양성분석에서는 각 군집의 우점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개체수와 종수와의 관계는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수는 감소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 수록 종다양성지수는 감소하였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