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 막재는 일반적으로 직포와 코팅으로 구성되며, PTFE 계열 막재는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직포에 테프론 코팅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PTFE 막재에 사용되는 직포에는 β-yarn이 주로 사용되며, β-yarn이 아닌 α-yarn이 사용된 막재도 점차적으로 사용되는 시점이다. 그러나 α-yarn으로 직조된 직포로 만들어진 건축용 막재의 특성에 관한 정보는 일반 막재에 비해 많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건축용 막재를 구성하는 직포를 만드는 원사의 굵기에 따른 막재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원사가 서로 다른 막재의 인장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목적 :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작업수행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인 놀이 및 여가 활동 참여도를 얻기 위해 CAPE를 도입 적용한 후 일부 지역 아동과 청소년의 학교 외 활동(놀이 및 여가 활동)의 참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CAPE를 한글판으로 번역 검증한 후, 검증된 CAPE를 일부지역의 학교를 다니고 있는 8-17세의 초∙중∙고등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을 이용하여 시행한 후 놀이 및 여가 활동 참여의 다양성, 강도, 환경적 요인 및 흥미, 성별 및 연령 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연구대상자들은 55개의 활동 중 평균 24.83개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하고 있는 활동은 친구들과 놀기, 컴퓨터 비디오 게임, 전화통화하기, 집에서 TV및 영화보기, 음악 감상하기 순 이었다. 활동참여의 강도는 4.22점으로 나왔으며 레크레이션 활동과 사회적 활동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의 활동강도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 할수록 활동의 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였다. 활동의 흥미는 평균 3.27점으로 레크레이션 활동과 사회적 활동에서는 여학생의 활동 흥미가, 그 외의 형식적 활동, 신체적 활동을 포함한 모든 항목에서 남학생의 활동 흥미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활동을 누구와 함께 하는가 하는 항목에서 혼자 활동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친구와 함께, 가족과 함께 순이었으며, 활동에 참여 하는 장소는 집, 지역사회 내, 학교 순이었다. 연령이 증가 함에 따라 가족과 함께 활동하는 빈도가 감소하였으며, 친구와 함께 활동의 빈도는 증가 하였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집에서의 활동 참여의 빈도가 감소하는 대신, 이웃집, 학교와 지역사회 외에서의 활동의 참여 빈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한글판 CAPE가 다양한 측면에서의 놀이 및 여가참여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다양한 장애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의 놀이 및 여가활동을 알아보고 참여하 는 것과 참여하게 하는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임상적으로 치료개입과 평가에 활용하는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of laminated composite shells of revolution by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proof that numerical results are reasonable and accurate is obtained through converge ratio analysis and commercial program LUSAS for the structur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engineering advantages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s of the anisotropic shells of revolution. Thus, the relevant reinforcement and most suitable arrangement of fiber to produce the highest strength are proposed through the numerical results according to a variety of parameter study. Namely, the distribution of displacements and stress resultant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ridian's curvature, the ratio of height-width of shell, subtended angle, fiber angle, and so on. Using these distribution, the most suitable shell may be proposed to produce the highest strength. Also,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laminated composite conical shells is analysed, and a variety of the design criterion of circular conical shell are proposed and studied in engineering view points.
In this paper, we used various shear deformation functions for modelling isotropic, symmetric composite and sandwich plates discretized by a mixed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the Lagrangian/Hermite interpolation functions. These shear deformation theories uses polynomial, trigonometric, hyperbolic and exponential functions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allowing for zero transverse shear stresses 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ate. All shear deformation functions are compared with other available analytical/3D elasticity solutions, are predicted the reasonable accuracy for investigated problems. Particularly,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exponential shear deformation theory (Karama et al. 2003; Aydogu 2009) provides very good solutions for composite and sandwich plates.
본 연구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속도감속 노면표시 유형별로 감속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20~70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한 41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구간별 기법에 따른 속도현황을 살펴보면, 노면표시 시작지점 및 곡선시작점에서 Peripheral Transverse Line II의 속도 감속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로이용자의 인간공학적 고려 요소를 바탕으로 운전자 시각특성을 고려한 감속유도기법 개발에 있어서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로는 감속유도 노면표시가 장기적으로 운전자에게 효과적인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색의 대비(예 : 흰색 노면표시에 검은색 아스팔트)에 따른 속도감속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합천군일대의 자원식물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82과 292속 427종 4아종 49변종 9품종으로 총 48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식물이 187분류군, 섬유용 자원식물이 9분류군, 약용 자원식물이 137분류군,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 초지 자원식물이 126분류군, 공업원료자원이 2분류군, 염료용 자원식물이 112분류군, 목재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34분류군로 구분되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 특산 관속식물이 총 18분류군,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이 33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으로 각각 조사되었고, 귀화식물은 44분류군으로서 전체분류군의 약 8.9%를 차지하였다. 한편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레저시설이 형성되거나, 중계소, 사찰 등으로 인한 임도와, 저지대의 많은 농경지로 인해, 귀화식물의 분포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are known to promote osteogenesis, and clinical trials are currently underway evaluating the ability of BMPs to promote bone formation in grafting procedures and fracture healing. Some studies, have independently reported that sulfated polysaccharides particularly heparin, enhance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duced by BMPs in vitro, and another study demonstrated that heparin enhanced the bone formation induced by BMP‐2 in viv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dipose stem cell responses to rhBMP‐2 alone and rhBMP‐2 with heparin at 0.25, and 25 μg/㎖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a. Adipose stem cells were cultured for 2, 4, and 8 days toward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 rhBMP‐2 alone and rhBMP‐2 with heparin at 0.25, and 25 μg/㎖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a. Verification of the stem cell lineage was performed in two ways. The first method was a continuous sequential culture until 5th generation. The second method wa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for STRO‐1 and CD 90. 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staining for alkaline phosphatase was used for verify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becaus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had been used as a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 and degree of osteoblastic activity. Alizarin red staining was also used as a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 because it quantifies the calcium levels in cells or tissues. During the 5th generation culture, cultured cells actively proliferated, and these cultured cells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STRO‐1 and CD90 cell surface molecules. Naphthol AS phosphate‐fast blue BB staining and Alizarin red staining were positive in most samples of each group at 2, and 4 days and positive reaction was proportioned to degree of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concentration of 25 μg/ml of heparin, the ALP activity was highest at the 2nd day in the culture, and then the activities of AL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4, and 8 days. The ALP activity was greatest at the 4th day of the culture, and then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8th day in 0 μ g/ml and 0.25 μg/ml of heparin concentrations, Adipose stem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 rhBMP‐2 in culture media, and the addition of heparin to BMP‐2 promote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Moreover,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activity of osteoblasts. This study was shown that, when heparin concentration increases, the early differentiation of the cells was brought about, but the early differentiated cells were rapidly progressed to degenerative changes
본 연구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균질한 중립 상태에 있는 대기층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특성을 재현하는 것이다.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표준 k-ε난류모델을 이용하여 해석 영역을 통과하는 기류가 입력한 특성으로부터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본다. 네 가지 지표조도에서 정의된 KBC-2009 기준의 멱지수 형식인 평균 풍속과 회귀 분석으로 결정한 자연로그 형식의 평균 풍속을 적용하였다. 기준을 이용한 난류 운동에너지 k 및 소산률 ε을 표준 모델로부터 유도한 근사해를 이용하여 풍속과 상응하게 입력하였다. 표준 k-ε 난류모델에서 3개의 상수와 지표 경계조건 등을 지표조도에 따라 변화시켰다. 제안된 두 형식으로부터 큰 차이 없이 기준의 기류 특성들은 CFD에서 적절히 재현되었다. 로그 형식의 입력이 멱지수 형식에 비교하여 입력 성질이 약간 더 효과적으로 유지되었다. 부드러운 지표조도일수록 기류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었다. 지표 경계에 접한 첫 번째 유체요소 안에 적절한 지표조도를 반영한 경계조건이 필수적이었다.
β-Glucosidase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β-glucosidase 활성을 탐색하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156개의 젖산균 중 134개의 균주만이 cellobiose를 탄소원으로 대사하였으며, 세포내 β-glucosidase 활성이 세포외 활성보다 현저히 높았다.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W. cibaria KFRI88010 균주가 3.7±0.5 unit/mg protein으로서 가장 높은 세포내 β-glucosidase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효소활성은 pH 5, 37oC 반응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n2+를 비롯한 금속이온은 효소활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W. cibaria KFRI88010 균주를 배양할 때 사용한 탄소원 중, fructose는 cellobiose나 glucose와 비교하여 약 2.5배 이상의 높은 세포내 β-glucosidase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목적: 고속도로에서 고속 주행 시 부착위치가 상이한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검색을 할 때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동차 화상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평균연령이 23.143± 2.67세인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네비게이션 검색 시 시선과 생리신호를 측정하고, NASA-TLX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하단에 부착한 네비게이션이 시선연구결과 유의하게 도로에서 시선을 떼는 현상을 나타났으며(p<0.01), NASA-TLX결과 역시 하단에 부착된 경우 각성수준(Workload)를 증가시켜 작업수행도를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결론: 고속 주행 중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검색은 매우 위험하며 특히 하단에 부착된 네비게이션의 경우 매우 사고위험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성장한 방송 사업자들 간의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 요인을 조망함으로써 공정 경쟁을 위한 기초적인 논의와 규제 방향에 대한 지향점을 제공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특히, 공정 경쟁의 문제는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한 이윤 창출 부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유료 방송사업자들(PP와 SO)의 행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공정 경쟁에 대한 실제 심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공정거래법 상의 불공정 거래 행위의 특성과 법적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두 번째는 방송위원회의 불공정거래 행위 실태 조사를 통해 실제 방송사업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공정 경쟁의 현실을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차원에서 기업 결합과 관련한 심결 사례가 부각되고 있으며, PP의 경우 부당 광고 및 경품 제공을 통한 부당한 고객유인이, SO의 경우 거래상 지위의 남용과 같은 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부당한 고객 유인 등이 주요 불공정거래행위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공정거래법 상의 제재조치는 표면화되고 구체적인 행위 결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비공식적인 관행을 중심으로 시장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의 공정 경쟁 유도 방안은 힘의 불균형에 입각하여 형성되고 있는 시장 거래 관행을 바로잡고, 시장의 집중과 시장 지배에 따른 힘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모색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과 실리콘 유연제(silicon softener)를 처리 할 때 실리콘유연제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과 은행나무추출액 처리하고 난 후에 다른 bath에서 실리콘유연제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촉감이나 선호도에 더 영향을 주는지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여 KES-FB system을 통하여 역학적 특성 및 객관적 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침장용 직물이 가지는 개별 감각 및 종합 감각의 주관적 감성을 평가하였다. 이밖에도 침장용 직물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의 개별감각 요소를 평가하여 침장용 직물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텐셀 자카드 직물에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하게 되면 인장특성인 EM, WT, RT는 증가하여 신축성이 있고 형태안정성이 좋아지며, 인장특성 전단특성이 감소하여 유연성이 증가하고, 무게와 두께가 증가로 부피감이 커져, THV는 증가하였다. 주관적 감성 평가 결과 개별감각 중 부드러움, 따뜻함, 탄력감, 부피감은 증가하고 거침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부드러움, 부피감, 따듯함을 침장용 직물이 갖는 중요한 개별감각 요소로 평가하였다. 은행나무추출액과 실리콘유연제를 처리할 경우 촉감이 좋아지고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D IC integration enables the smallest form factor and highest performance due to the shortest and most plentiful interconnects between chips. Direct metal bonding has several advantages over the solder-based bonding, including lower electrical resistivity, better electromigration resistance and more reduced interconnect RC delay, while high process temperature is one of the major bottlenecks of metal direct bonding because it can negatively influence device reliability and manufacturing yield. We performe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Al-Al bonds with varying process parameters, bonding temperature, bonding time, and bonding environment. A 4-point bending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The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measured by a 4-point bending test shows 1.33, 2.25, and 6.44 J/m2 for 400, 450, and 500˚C, respectively, in a N2 atmosphere. Increasing the bonding time from 1 to 4 hrs enhanced the interfacial fracture toughness while the effects of forming gas were negligible,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bonding interface analysis results. XPS depth analysis results on the delaminated interfaces showed that the relative area fraction of aluminum oxide to the pure aluminum phase near the bonding surfaces match well the variations of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with bonding process conditions.
본 연구는 탄천내 기존 콘크리트 호안블럭을 제거하지 않고 호안녹화용 매트를 적용하여 경관개선 및 생물서식기반을 조성하고자 하는 지역의 복원 효과 확인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식물상은 2006년 18과 38종 3변종 총 41종류, 2007년 19과 56종 3변종 총 59종류, 2008년 29과 59종 8변종 총 64종류로 매년 식물종이 증가하고 있었다. 식물상 분포의 특징은 공법 적용지를 중심으로 식재한 물억새, 수크령 등이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범람시 토사 퇴적으로 자생종 중심의 다양한 종이 출현하고 있어 생태적으로 양호한 상태이었다. 현재는 자생종이 우점하고 있었으나 주기적인 범람에 의한 교란 유발 종과 외래종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져야 양호한 수변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하천천이 초기식생과 교란지 식생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생육양상이었다. 이와 같은 호안 녹화용 식생매트 공법은 콘크리트를 제거하지 않고 상부에 코이어 매트를 포설하여 불량경관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생육의 기반을 제공하여 계속적인 식물종의 증가에 따른 종다양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