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paper, I discuss how to organize the syllabus of 'Practice in teaching Korean' course, which is one of the obligatory courses for the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tudents. Among other courses, 'Practice in teaching Korean' is a practical class in which the students visit the real class and also practice the real teaching skill. This course includes forming syllabus program, visiting an actual class, teaching exercise and lecture simulation. Currently, the demand for the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is increasing gradually. At this point, it would be a meaningful work to look closely into teaching plans of the same course in many other Korean Departments, and to point out some critical issu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n this paper we strongly propose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excercise should not be neglected. Also, I will design syllabus of 'Practice in teaching Korean'and suggest a phase OJT(on-the-job training) program.
This study recommends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integrated language skills fo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for their students. First, to accomplish bifold objectives, the study develops three modules: 1) intensive listening through story books, 2) using in class dialogues through role-playing and 3) developing classroom activities. For presenting the examples of the three modules, Junie B., First Grader (at last!), Freckle Juice, and Jake Drake: Teacher's Pet are used. Next, the study presents teachers' perceptions on both using literature for improving their English skills and using literature in their teach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researcher surveyed 53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survey results showed teachers' perceptions on children's literature changed in positive ways, and they recognized that children's literature could develop their own English language skills and then would be a good teaching resource for thei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he teachers, educators, and program developers.
This paper presents the economic validity with the cost/benefit analysis on establishing R&D Supreme Academy. To evaluate the profitability of R&D Supreme Academy, willingness to pay (WTP) is measured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then the net present value (NPV), internal rate of return (IRR) and benefit/cost ratio(BCR) are calculated. The results of economic evaluation verified that the establishment of R&D Supreme Academy is timely and effective in an economic perspective.
목적: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영역별 주요 교과목에 대한 안경사들의 만족도, 직무적합성, 확대필요성을 분석하여 차후 교육과정 편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 경기도, 전라도 지역의 안경사 경력 5년 이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 27명을 제외한 19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영역별 교과목은 안광학, 안과학, 안경조제가공(조제가공, fitting), 검안학(굴절검사, 안기능검사, 양안시검사), 콘택트렌즈, 안경재료학의 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설문자료의 측정은 리커트형 5단계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Anova 검사를 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개 영역 이론 교과목의 만족도는 안광학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며, 3개 영역의 실습 교과목(안경조제가공 영역, 검안학 영역, 콘택트렌즈)에서도 모두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또한 이론 교과목이 실습 교과목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이론수업을 실습수업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교육과정에 관해 안경사들이 느끼는 직무적합성은 6개 영역 이론 교과목에서 이론만 있는 영역의 교과목보다 이론과 실습이 있는 과목의 직무적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개 영역의 실습 교과목은 절대점수(3점) 보다 높은 4.45로 조사되었다. 전공교육과정의 확대필요성은 6개 영역 이론 교과목 중 안경조제가공과 검안학만이 절대점수(3점)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3개 영역의 실습 교과목에 대해서는 모두 4점(필요하다)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3개의 실습교과목 영역 가운데 검안학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검안학 교과목 중에서도 굴절검사 실습 과목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안경사들은 전공교육과정에서 안경조제가공 영역과 검안학 영역의 이론 및 실습 과목을 확대하여 편성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굴절검사의 실습 교과목의 확대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이론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이론이 제공하지 못하는, 차별화된 학습자 중심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주의 학습이론들은 현재 정보화 사회의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 학습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 주도적인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오락적 요소가 충분히 반영된 환경으로서 교육용 게임은 게임세대라 할 수 있는 지금의 학습 세대에게 적합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이다. 따라서 교육용 게임의 설계를 위한 관점으로 구성주의적 학습 이론의 특성을 고찰하면서 설계 원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으로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활동이론, 분산인지, 생태심리학의 관점에서 이론적 배경이자 실천적 방안으로 교육용 게임의 설계 원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것은 향후 학습자 중심 학습을 위한 상황별, 유형별 교육용 게임의 설계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이론적 기반 및 논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introducing immersio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rough the opinions of the elementar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48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731 par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First, there were some misunderstandings and misconceptions about the definition and the meaning of immersion education, which seem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introduction of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 Korea. Second, respondents, however, tended to be positive with the immersion program with about 10% higher agreement with its introduction than disagreement. Third, if they hav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an immersion program, the respondents tended to be a bit hesitative or reserved but mostly agreed to be involved with it as immersio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llowing their children, respectively with one to three years of preparation for it in terms of the English competence. Fourth, as for immersion teachers, they preferred co-teac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native teachers to individual teaching, and they also liked Korean immersion teachers more as immersion specialized teachers than as class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lement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particularly for teachers, schools, local governmental education offices interested in immersion education.
장애인들은 신체적 조건으로 인해 학습 활동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청각 장애인들은 커뮤니케이션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 장애인들에게 정보전달 훈련을 제공하여 수화를 자유롭게 사용하는데 의미를 둔다. 그리고 정상인에게는 수화를 게임으로 쉽게 배울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형성시키고자 한다.
The purposes of study were to survey the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nutrition teacher candidates concerning the direction and ideal method for nutrition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54 nutrition teacher candidates from August to October, 2006. A total of 468 usable data were collected (84.5% response rate).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by using SPSS for Windows (ver. 10.0) for descriptive analysis, ANOVA and 2-test. About 52% of respondents had nutrition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Half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 necessity for nutrition education stemmed from their own need for such education. The main problem in students' dietary life was 'the increasing intake of processed foods, instant foods and fast foods (4.23 out of Likert 5 point scale)' and the major nutritional problem was 'high calorie intake with low essential nutrients (3.96 out of Likert 5 point scale)'. Over half the respondents (53.4%) recomme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be oriented towards behavioral change rather than knowledge delivery. Social learning theory was preferred mostly as an theory apt to nutrition education (60.3%) and the most effective means of education was referred to organizing the regular class for nutrition education (50.5%). The 'playing such as songs or game' was reported as both effective and realizable method in nutrition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예술 단체가 관객개발 프로그램 및 홍보마케팅전략 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통한 공연의 활성화와 예술단체의 새로운 예술교육을 통한 마케팅 기법을 도입하고 적용하여 공연활성화를 꾀하고 문화예술 기관의 가치 증대를 추구하는데 연구의 목적과 그 의의가 있다. 예술교육이야 말로 잠재관객을 유인하고 그들의 참여 빈도를 높이는 유용한 수단으로서 사용되어져 왔다. 설문을 통한 분석으로 예술교육이 관객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많은 예술기관 및 단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담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첫째, 수준별 연령별 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더욱더 세분화 전문화 되어야 한다. 모든 사람에게 같은 내용과 양을 교육하는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초 중 고 교과 과정에서도 선택을 할 수 있어, 자기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필요가 정책적으로 나타내져야 한다. 둘째, 지역 예술단 및 예술센터와의 연계성이 필요하다. 초 중 고 학생들의 방과 후 교육에 지역예술단체 와 예술센터의 지원이 필요하다. 방과 후 학교지원, 정규교육과정의 체험학습 지원, 교사들의 재교육 등을 통하여 항상 새롭고 지루하지 않은 교육환경 유지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파트너십 구축 이다. 기존의 예술단체의 이미지는 예술 하는 사람들의 집합체, 자기들만의 세상 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비예술인들이 공연장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끔 하였다. 공연단체가 소속 지역과 동일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여야하며, 찾아가는 음악회, 지역 행사의 지원, 지역민들과 예술단체와의 만남의 시간 등 예술단체와 지역민들이 동질성을 느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예술기관이 항구적인 관객지원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예술학교 교육 도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술기관의 예술적, 경영적 기반의 전문적인 운영체제를 갖추고 분명한 사명(mission)을 규정하는 것에서부터 프로그램 마케팅의 전문화를 주문하였다. 그런 다음 예술교육의 철학과 목표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세울 것을 제시하고, 장기적인 관개개발과 확대, 유지의 차치원에서 다양하고도 효과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은 물론 교육받은 이들이 항구적으로 예술기관의 지원자가 될 수 있다. 예술교육은 특정한 예술기관만의 역할을 넘어서는 외부성이 있으므로 국가정책의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연하곤란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연하곤란관리 교육을 제공한 후 변화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환자의 연하관리 및 가족지지를 위한 중재 전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의 가족 78명(실험군 39명, 대조군 39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연하곤란관리 교육 전과 후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결과 : 지식은 환자와의 관계, 일평균 돌봄 시간과, 실천은 연령, 월평균 수입, 질병과, 스트레스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제공 후 실험군의 지식과 실천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조군은 지식, 실천, 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제공 후 실험군의 지식은 섭식방법, 총 돌봄 기간과, 실천은 건강상태, 질병, 섭식방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하곤란관리 교육은 가족들에게 지식과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나 스트레스에는 변화를 보이지 않아 교육 외에도 다양한 정서적 지지가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지식과 실천 및 스트레스에 열악한 대상일수록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 후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여러 대체 및 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World Bank에서 실시된 교육정보화분야의 사업들을 한국교육정보화 연대기를 통해 분석하여, 현재 World Bank가 추구하는 교육정보화 사업의 방향과 핵심내용을 파악하는데 있다.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World Bank시행된 교육정보화에 사업중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발표한 연구에 제시된 우선 협력 국 기준에 따라 7개국을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준거를 마련하기 위해, 한국의 교육정보화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한국의 교육정보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분석 대상 국가들에서 실시된 교육정보화사업이 한국의 교육정보화 단계에 비추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분석 대상국의 1인당 GNI, DOI를 바탕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서 분석 대상국들의 교육정보화 사업의수준이 경제적 수준과 정보화 수준에 따라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파악할 수 있다.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World Bank의 교육정보화 사업은 한국의 교육정보화 단계 중 도약기 수준에서 실시되고 있다. 둘째, World Bank의 교육정보화 사업은수혜국의 DOI 수준에 고려하여 계획 및 설계될 필요가 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the demand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evaluations of the efficacy of health functional foo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sent to 2,225 members of the Biofood Network Center. A total of 101 (4.6%) individuals responded, 54.5% of the respondents were male and 45.5% were female; the respondents' occupations (in order of prevalence) were as follows: company worker (48.5%)〉researcher (27.7%)〉student (13.9%)〉professor (5.0%)〉pharmacist (2%), and dietitian (2%). The businesses in which the respondents worked were (again in order of prevalence) as follows: research & development (64.4%)〉marketing (11.9%)〉consultation and education (5.9%)〉manufacturing and others (17.9%). 41.6% of the respondents reported experience in businesses relevant to KFDA approval for functional ingredient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The results showed that 63.4% of the respondents had previously been educated about functional foods; the types of education program reported were (in order of prevalence): 'overview and a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n=49)〉'standards and specific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n=41)〉'efficacy evaluation-human study' (n=24)〉'safety evaluation' (n=21)〉'efficacy evaluation-in vivo study' (n=13)〉and 'others' (n=10). Respondents preferred off-line education programs (62.4%) to on-line programs (22.8%). The preferred dur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was '2~3 days: total 14~24 hours' (30.7%); thus, short-term programs were favored. The primary requirements of a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were as follows (scored on a 7-point scale); 'efficacy evaluation and case study-human study' (5.80 points)〉'standards and specific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5.72 points)〉safety evaluation' (5.7 points)〉'overview and a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5.67 points) and 'efficacy evaluation methods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efficacy (intensive)' (5.67 points). Preference for functionality was as follows; 'body weight & body fat' (21.8%), 'immune function' (18.8%) 〉 'blood glucose' (10.9%). In summary, the educational demand for 'efficacy evaluation and case study' was highest among the curriculum options provided, and with regard to functionality, 'body weight & body fat', 'immune function' and 'skin care'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by respondents. These results differed among respondents with different jobs and duties, and this suggests that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develops reeducation programs to satisfy needs conducted by the analyses of potential customers and present R&D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00 R&D researchers and control managers occupied in research centers. By analyse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 R&D reeducation institu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career and position were needed. To bring solution of the researcher's re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R&D Supreme Academy is essentia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