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for the structural behavior of coupled steel plate shear wall (Coupled SPSW) system what is formed by connection the two steel plate shear walls (SPSW) with a coupling beam. The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length of coupling beam. The testing results were showed that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specimen with shorter coupling beam were improved than those of other specimen.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yielding mechanism.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valuate structural performance of modular system connection with bracket. It was evaluated to two external connection specimens and two internal connection specimens. As a result of experiment, excessive shear deformation of the bracket was observed in all of the specimens. However, all of the specimens satisfied the requirement for intermediate moment frames (IMF) targeted in the experiment.
The concrete vacuum tube structure, which must maintain air-tightness,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egment, 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joints at uniform gap in order to assemble in the field. In this study, member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ir-tightness performance at the joints of the concrete vacuum tube structures.
This research presents one of new architectural SUPER concrete structural members which were designed with nonuniform curvilinear shapes. SUPER concrete ha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80MPa to 200MPa, the tensile strength of 8MPa to 20MPa, and had high ductile tensile strains. Nonuniform concrete formwork were invented and specimens were manufactured to verify by test.
This study examined lateral load behaviors of partially grout filled steel tube from structural analysis. To evaluate structural resistant behaviors of partially grout filled steel tube, Nonlinear FE analysis model of partially grout filled steel tube was considered using ABAQUS program. From FE analysis results, grout filling effect and thickness effect of steel tube on the lateral load behaviors were compared.
Structural behavior of blast-resistant door composed with steel plate and inner con’c core was analyzed according to composite and non-composite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ximum and permanent deflection decrease in the case of composite condition. And as the impact on blast-resistant door increases and radical deformation occur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deflection of the door.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for the big common basemat of safety related nuclear buildings. New regulation guide of U.S NRC SRP 3.8.5 affects the basic design concept and construction specification of the common basema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ified design equation for SC walls subjected to local impact load based on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impact resistance of SC walls. Then, the results of the modified design equation was evaluated and verified based on the extensive experimental test data as well as numerical parametric analysis data. Finally we confirmed that the modified design equation provided reasonabl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ltimate strength of carbon steel (SS400) fillet-welded connections with weld metal fracture through monotonic tensile test. Specimens of CTFW series (transverse fillet weld against loading direction), CLFW series (longitudinal fillet weld against loading direction) and CFW series (a combination of transverse weld and longitudinal weld) failed by tensile fracture, shear fracture and block shear fracture, respectively. Test strengths were compared according to welding direction and weld length
Acoustic Emission (AE) technique applied to detect the crack occurrence of the actual beam element. An optimum position for a limited number of AE transducer was considered to accurately detect the location of the crack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Six AE transducer was used to detect cracks in the L400mm×H200mm×T100mm region, and several position combinations were applied. Considerable six position combinations were selected, and the weak or incorrect position detection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position applied to the experiment for actual beam element and the detected crack position was compared with the visual inspection location. A reliable crack position detecting was confirmed for loading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e wild habitats of Cephalotaxus koreana, and offers the basic information for habita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ost of the wild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between 148~835 m with inclinations ranged as 12~32°. The average soil pH was 4.7~5.9, soil organic matter was 5.72~15.99%,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14.1~19.9 cmolc/㎏-1 and exchangeable K+, Ca2+, Mg2+ was 0.25~0.48 cmolc/㎏, 0.79~6.68 cmolc/㎏, 0.31~1.73 cmolc/㎏,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 were found to be dominated by Quercus dentata in Jekbo-san (C1), Acer pictum in Bogae-san (C2), Acer pseudosieboldianum in Geumwon-san (C3), Q. serrata in Jiri-san (C4), Zelkova serrata in Baegun-san (C5), and Q. acutissima in Duryun-san (C6). The Species diversity (H’) was 0.854~1.234, evenness (J’) was 0.654~0.993, and dominance (D) was found to be 0.067~0.346.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structure and value of species diversity shows that growth of Cephalotaxus koreana is correlated with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This result show that Cephalotaxus koreana habitats located in mature stands.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환경에서 증가된 콘텐츠 소비 성향에 맞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으로 나타난 브랜디드 콘텐 츠(branded contents)와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소비자 공감, 브랜드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가 브랜디드 콘텐츠에 얼마나 몰입, 관여, 집중하였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정성적 지표인 인게이지먼트 속성을 핵심변수로 상정하였으며, 이러한 인게이지먼트 속성이 소비자 공감과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와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는 소비자 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 미디어 인게 이지먼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브랜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공감의 경우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브랜디드 콘텐츠 인게이지먼트는 소비자 공감의 완전매개를 통 해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스토리텔링에 몰입되어 동일시되면서 브랜드에 자신을 거울처럼 비추는 반응을 통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비자가 스토리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통해 자기 실재감을 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브랜디드 콘텐츠를 기획, 제작 단계에서 실무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임을 시사한다.
데이비드 샬르 (D. Salle) 는 1980년대 미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작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차용’, ‘연극성’, ‘패러디’, ‘알레고리’, ...‘겹치기’, ‘병치’ 등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작품을 제작 하였다. 작품의 특징은 연결되지 않는 여러 가지 이미지들을 모아 혼란스러운 형식을 이루며, 모호하고 부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샬르는 하나의 작품 속에 시간과 공간이 다른 이미지들을 나란히 연결하거나 위 아래로 연결하는 다폭화 형식으로 병치하는 것을 핵심적인 전략 가운데 하나로 사용한다. 주로 두 폭화 또는 세 폭화 형식으로 병치한다. 이와 같은 다폭화 형식은 시각적인 흥미와 긴장을 주고 상호 텍스트적인 의미를 생성한다.
미술형식에서 ‘중층구조’는 이미지들이 하나의 층위에서 단일하게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층위의 이미지들과 결합 하여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구조를 말한다. 샬르의 작품세계는 중층구조가 중심이 된다. 샬르 작품에서 중층구조의 표현은 문화의 짜깁기 이며, 복제, 모조(Simulacrum) 의 층위가 병치되거나 겹쳐져 있는데 크게 ‘병치’와 ‘겹침’으로 표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치구조’로 되어 있는 작품세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좌.우 병치’ ‘몽타주 병치’ ‘상.하 병치’로 나누었다. ‘좌.우 병치’에는 작품 <Happy Writers>, <Skater>, <Quartet>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고, ‘몽타주 병치’ 에는 작품 <Schooner>, <Angels in the Rain>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병치’ 에는 <Masking>, <Within Sleep>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각 사례 작품들에서는 화면의 분할, 중첩, 편집, 병치로 표현되었으며 모호하게 편집하거나, 겹치고 뒤섞어 작품이 제작되어 있다.
청소기 제품을 구매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이다. 시각적인 매력과 흥미를 유발해야 관심을 끌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를 하나의 디자인으로 대체할 수는 없다. 따라서, 많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청소기 디자인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청소기 제품의 인식구조분석을 통한 청소기 시장의 세분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전략을 연구하여 소비자의 계층별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방향과 목적이다. 연구범위 및 방법은 우선 소비자의 다양한 계층에 따른 행 동 및 청소기 제품에 관한 환경을 연구한다. 제품 구매과정을 탐색하고 제품 보유 및 사용실태를 연구한다. 이에 따른 제품의 인식구조를 분석한다. 청소기에 대한 이미지와 청소기 제품의 속성 및 소비자의 지각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세분화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시장의 세분화 방법과 군집성향을 분석하여 연구한다. 청소기 디자인에 대한 인식구조를 통 한 소비자의 세분화 계층을 분석, 연구하여 디자인의 개선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쉴드 TBM 공법에서 지보공으로 사용되는 세 그먼트 라이닝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라이닝과 달리 공장이나 야드(yard)에서 미리 제작된 세그먼트 를 터널 내에 조립 설치해 완성하는 라이닝의 형태를 총칭한다. 세그먼트에 철근 대신 강섬유를 보강 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억제, 사용성 개선 등과 같은 2차적인 성능의 개선 뿐만 아니라 휨 및 전 단 성능과 같은 1차적인 구조성능의 개선에도 이바지 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철근보강 세그먼트 에 비해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어,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SFRC 세그먼트 공법의 적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SFRC 세그먼트 구조 설계 tool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SFRC 세그먼트 설계법과 설계법 별 차이점을 분석 및 통합하여, 최종적으 로 간편하고 공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SFRC 세그먼트 설계 tool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tool을 활용하여, 강섬유의 인장강도가 증가하면 세그먼트의 구조 내력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Few prior studies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Using environmental index disclosure in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reports of the Korean companies,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wnership structure on the magnitud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A total of 220 firm-years during 2013-2016 period are analyzed.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s’ ownership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while the executives' within board of directors has a negative correlation. The ownership by largest shareholders including those with special interests show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이 연구는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유형,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문화간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중학교 교사 23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결과, 학교조직문화요인들 중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적합한 모형이었다. 그러나 수직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만 다문화교수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문화간감수성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중학교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반영한 수평적인 개인주의 또는 집단주의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 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601교 중 102교, 6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는 학교조직 몰입에 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를 경유하여 학교조직몰입에 정적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이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었고, 또한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 율성, 학교조직문화는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변화하는 학교조직 환경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수과정 제공, 컨설팅 지원, 교사 공동체 학습 문화 형성, 교사 리더십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사는 학교조직문화에 영향만 받는 수동적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교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능동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은 설치과정에서 수직도 오차가 발생하여 풍력발전기 전체 구조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중력식 해상풍력 연결부에서 PS 앵커와 앵커체결구 그라우트를 사용하여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결부는 5MW급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에서 발생한 수직도 오차를 최대 0.5°까지 보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수직도 조정이 가능한 해상풍력 연결부에 대해 주요 부재별 설계안과 설계절차를 제안하고, 제주도 해상지역을 대상으로 설계 제원을 산출하였다. 그 후, 설계 제원에 대해 비선형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설계안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하중 전달 메커니즘과 연결부 발생 응력 확인을 통해 제안 설계안은 0.5°의 수직도 오차를 보정하여도 안전하다고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