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9

        80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칠나무(Dendropanax mo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수종으로 대한민국 남쪽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전통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피부에서의 효능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황칠나무 잎의 열수추출물과 n-hexane 분획물에서 1-tetradecanol과 β-sitosterol 성분을 분리정제하여 다양한 피부개선효과와 탈모방지효과를 검증하였다. 1-tetradecanol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과 n-hexane분획물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1-tetradecanol은 세포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경표피수분손실량(TEWL)에서도 1-tetradecanol에서 수분 손실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β-sitosterol의 탈모 방지에 대한 효과는 HR-1 hairless mice의 성장 주기별 특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β-sitosterol을 처리한 마우스의 탈모는 지연되었고 모발의 밀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황칠 n-hexane분획물에서 분리한 1-tetradecanol과 β-sitosterol이 미백과 보습 용도의 화장품 기능성 원료 및 탈모 개선에 가능성이 있는 화장품소재로서 상업적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80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말채나무는 한국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약재이다. 자외선은 피부의 광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효소처리 된 말채나무잎추출물(CWE)을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CWE를 처리하여 세포의 회복을 조사하였다. UVB를 조사한 섬유아세포에는 caspase-3 활성, phospho-p53, γH2AX,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CWE를 UVB가 조사된 섬유아세포에 12 h 처리하였을 때 caspase-3 활성, phospho-p53, γH2AX,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감소하였다. 또한 CWE은 인체첩포시험을 통해 인체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CWE는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 효과가 있는 원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80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largement of street tree planting area is the proper and effective solution to reduce carbon dioxide. This solution bases on the ability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metabolism. However, the circumstance of road side has fatal disadvantages in tree metabolism such as growth and maturity because cutting and filling of roadsides cause unnatural soil composition. In this point, early rootage of street tree is the main factor of reducing carbon dioxide. This study aimed to find a appropriate transplantation planting method for sound and rapid rootage of street tree. For the study, Korean Mountain Ash(Sorbus alnifolia) were used for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were categorized by three groups such as trees produced on container with mulching treatment, trees produced in outdoor with mulching treatment, trees produced on container with weeding treatment. Each group consisted 10 trees with same size and transplanted in experimental site. Five months after transplanting, each group was estimated the biomass and carbon storage through a direct harvesting method.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the carbon storage of trees produced on container with mulching treatment is 42% more than trees produced in outdoor with mulching treatment. And the carbon storage of trees produced on container with mulching treatment is 19.5% more than trees produced on container with weeding treatment.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transplantation of container produced tree with mulching treatment is the most rapid rootage among other groups. The weeding treatment is more effective than mulching treatment for rapid rootage of street trees.
        80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분포하는 윤노리나무의 형태적 특징과 변이를 조사 하기 위하여 6곳의 윤노리나무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 였다. 분산분석 수행결과 21가지 정량적 형질 중 18가지 형질에 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성 분 분석 결과, 6가지의 주성분이 전체 분산에 대하여 68.2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1주성분은 ‘엽병의 길 이’(0.764), 제2주성분은 ‘잎의 형태’(0.834), 제3주성분은 ‘잎의 길이’(0.753), 제4주성분은 ‘수관의 폭’(0.663), 제5주성분은 ‘화 서의 폭’(0.492), 제6주성분은 ’엽저의 모양‘의 특성이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괴산군 쌍곡계곡’ 집 단이 이질적인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집단들은 ‘남해군 미조리상록수림’ 집단과 ‘함양군 상림’ 집단이 가깝게 유집되었 으며, ‘남해군 금산’ 집단, ‘진도 첨찰산’ 집단, ‘제주시 바리메오 름’ 집단이 하나의 소그룹을 이루었다.
        805.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davurica Pall. leaves in order to evaluate thepossibility as a natural biomaterial. The 80% ethanol extract and its subsequent fractions of Rosa davurica Pall. leaves wereprepared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extraction yield was 33.4, 36.6, 25.2, 18.7, 5.8 and 5.8% in etha-nol extract, aqueous, butanol, ethyl acetate, n-hexane, chloroform fractions,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661.38㎎/g), butanol fraction (396.68㎎/g) and 80% ethanolic extract (239.54㎎/g) has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than other fract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cted in ethanolic extract,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The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4.77㎍/㎖). Moreover, the ethylacetate fraction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 of NO in LPS-stimul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without cytotoxi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80%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Rosa davurica Pall. leaf, especially ethyl acetate frac-tion, have the propertie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suggesting leaf of Rosa davurica Pall. may be a candidate fornatural and functional materials.
        80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은 가장 중요한 지역 사회 병원성 균주의 하나로서 항생제 내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감염 치료에 대한 부작용과 내성이 적은 새로운 항생제의 개 발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Cinnamomum camphora는 제 주도에서 자생하는 녹나무과의 식물이다. 민간에서는 신경 쇠약, 간질, 방광염, 신우 신염, 당뇨, 암과 당뇨병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녹나무잎을 추출물하여 임상에서 분리한 메치실린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연구하였 다. 그 결과 녹나무잎 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관찰 할 수 있었 고, 항생제와의 병용처리 녹나무잎 추출물의 MIC와 MBC의 범위는 156-313 ㎍/㎖와 313-625 ㎍/㎖로 판독되었고, oxacillin의 병용 처리의 범위는 1288-256 ㎍/㎖와 128-512 ㎍/㎖, 그리고 ampicillin 의 병용처리 범위는 ㎍/㎖와 8-128 ㎍/㎖로 판독되었다. 녹나무잎 추출물과 항생제의 병용처리는 MRSA 항균활성에 대한 상승효과 가 높게 나타났다.
        80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racteristic of seed for Sageretia thea fruits collected from the habitat of harvest season in Jeju and theirgermination ratio in different temperatures were considered. The average weight was 0.2g, average diameter was 7.2㎜,average length was 6.5㎜, and size distribution range was 5.1~10.0mm. The number of seeds per fruit was 1.8, and 1000grain weight was 7.77g with diameter of 3.7㎜ and thickness of 1.7㎜ in size. The fruit maturation was investigated to befrom April 27 to June 1, when the best maturation period was about a week, May 11 to May 18. Also, the fruits grown onMay 4 to May 11 were seen to have the bigger in transverse size and weight with a tendency of the earlier maturation datehas the greater the number of seeds. S. thea seeds pretreated for 24 hours at 50℃ were not germinated, while most of thosepretreated for 24 hours at 4℃ were successfully germinated at any degree of temperature (except at a temperature of 10℃).Particularly,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55% was made at 15℃, and plumule and radicle were best grown within thetemperature range of 25℃.
        80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환경단감과원의 부유(Diospyros kaki ‘Fuyu’) 과실을 대상으로 창원과 창녕지역에서 발생한 저온내습(2012년 11월 2일)으로 인한 가을 동상해발생과 식재위치(표고) 및 나무 내에서의 착과 방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창녕지역 과원의 과중과 과실횡경은 착과방향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았으며(p<0.01), 과실종경과 동상해발생은 식재위치(p<0.01)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경도와 과실종경은 각각 착과방향과 식재위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p<0.05). 특히 동상해는 과원 하단에 식재된 나무의 과실(15.2%)과 잎(약 90%)에서 심하게 나타나 동상해의 주요 요인이 과원의 지형적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 동상해를 입은 과실은 과피에 수침상 반점이나 흔적이 발생했다. 한편 창원지역의 과원에서는 과실횡경이 식재위치의 영향을 받은 것(p<0.05)을 제외하고 식재위치와 착과방향이 과실의 생육 및 동상해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80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옥상녹화에서 무기질계 인공토와 유기질계 인공토가 초본인 돌나물과 목본인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봄으로써 유기질계 인공토의 효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기간 은 2013년 5월에서 10월로 약 5개월이며, 식물종은 초본류에 돌나 물을, 목본류에 순비기나무를 대상으로 무기질계 인공토(Inorganic substrate=perlite, IOS), 자연토(natural soil, NS), 유기질계 인공 토Ⅰ(organic substrate=artificial compost Ⅰ, OS1), 유기질계 인공토 Ⅱ(organic substrate=artificial compost Ⅱ, OS2)로 구 성하였다. 돌나물의 초장, 줄기수, 엽수, 상대엽록소함량비는 유기 질계 인공토 Ⅰ처리구(OS1)> 자연토 처리구(NS)> 무기질계 인 공토(IOS) 순으로 높았으며, 통계적인 차이가 뚜렷하였다. 생체중 과 건물중 또한 OS1, NS, IOS 처리구 순으로 생육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순비기나무는 수고, 경경, 엽장, 엽폭은 유기 질계 인공토 Ⅱ(OS2)> 자연토 처리구(NS)> 무기질계 인공토 (IOS)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유기질계 인공토 Ⅱ 처리 구에서 단기간의 실험임에도 불구하고 그 차이가 뚜렷했다. 이에 옥상녹화의 식재지반에서 무기질계 인공토의 단용처리는 식물생 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식물생육을 위한 적정비율 의 유기질계 인공토의 활용이 요구된다.
        81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815.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Sageretia thea which isdistributed in Jeju island, Korea. Sageretia thea were mainly distributed to the west area in Jeju island. Soil pH andEC of Sageretia thea habitat were 5.8 and 0.34dS•m−1.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potassium, exchangeable sodium, exchangeable magnesium and exchangeable calcium were 15.27%, 13.6㎎㎏−1,0.27cmol+㎏−1, 1.3cmol+㎏−1, 1.7cmol+㎏−1, 4.9cmol+㎏−1, respectively. Thirty one taxa including 25 families, 31 genus, 27species and 4 varieties were identified surrounding Sageretia thea habitat. Specific plant species were 1 taxon in III grade, 1taxon in I grade and 3 taxa in I grade.
        81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금나무의 기능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우량집단으로 선발되어진 4집단에서 각각 6개체씩 선발하여 총 24개 체의 열매에 대한 형태적 특성, 총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조사·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 정은 Davis법을 변형한 방법,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AOAC에 의한 pH differential method를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서는 태안 집단의 개체들의 과지당 열매수, 크기, 무게에 있어 높게 나타났으며, 논산 집단의 개체들은 당도가 평균 12.5%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2∼8.1 mg/g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집단별로는 구미와 논산 집단이 높은 함량을 보였고, 광주 집단이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개체별로는 논 산36이 8.1 mg/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논산32, 구미12, 구미31 개체가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총 안토시아 닌 함량은 232.5∼684.3 mg/100g의 범위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구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광주 집단은 안토시아닌 함량이 가장 적은 특성을 보였다. 특히,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구미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난 광주 집단에 비해 1.3배 이상의 함량을 나타냈고, 개채별로도 한 집단 내에서 약 2.4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개체별로 는 태안1, 태안34, 논산36 개체가 각각 684.3, 678.9, 636.1 mg/100g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대조구로 사용한 국내재배 블루베리(246.4 mg/100g)와 북미산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 함량(228.1 mg/100g)에 비해 정금나무 전체 집단의 평균 안토시아닌 함량(474.5 mg/100g)이 각각 1.9배와 2.1배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구미 집단이 총 플 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별로 볼 때 논산36이 당도가 높으면서 유용성분 함량이 높아 육종 소재 및 기능성 성분 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81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산채로 부가가치가 높은 두릅나무의 우량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경기 가평 등 21지역에서 새순의 특성이 우수한 192개체를 선발하였다. 기존에 육성된 충북1호, 건국1호, 논산1호 그리고 일본도입종 자오 등 4개의 품종 을 대조구로 하여 새순의 수확시기, 무게 등 새순특성을 분석하였다. 새순의 수확시기는 길이가 15~20cm일 때를 적기로 판단하였으며, 최적 수확시기는 4월 29일부터 5월 13일까지 15일 정도로 나타났다. 선발개체의 전체평균 특성은 새순길이 14.0㎝, 새순굵기 13.7㎜, 새순무게 12.0g으로 나타났으며, 새순색은 녹색, 적녹색, 적색으로 각각 나타났다. 새순 특성이 우량한 개체선발을 위하여 새순의 무게를 기준으로 상위 5% 및 10%에 해당하는 새순이 크 고 무거운 개체를 각각 10본, 19본을 선발하였다. 선발효과는 각각 210%, 193%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조품종인 건 국1호, 충북1호, 논산1호 및 자오에 비해서 새순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81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다수확성 호두나무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호두나무 주산지를 대상으로 병해충 피해가 없고 과실형질이 우 수한 우량개체들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후보목들은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재배포지에 식재하 였고 풍매검정을 통하여 제특성을 검정하여 형질이 우수한 ‘YD1’, ‘MP10’ 및 ‘ET1’ 개체를 선발하였다. 우량개체 로 선발된 YD1, MP10 및 ET1을 대상으로 2009∼2011년까지 결실 및 과실특성에 대한 안정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우수한 특성들이 안정적으로 발현되어 각각 ‘정월’, ‘보름달’ 및 ‘칠선’으로 최종 명명하였다. 신품종 ‘정월’은 과실 의 종경과 횡경이 각각 44.3mm와 35.6mm, 입중과 인중은 14.0g과 6.6g, 인중비와 과피 두께는 46.9%와 1.5mm이다. “보름달”은 과실의 종경과 횡경이 각각 40.2mm와 39.1mm, 입중과 인중은 15.8g과 6.5g, 인중비와 과피 두께는 41.3%와 1.7mm이다. ‘칠선’은 과실의 종경과 횡경이 각각 44.8mm와 41.0mm, 입중과 인중은 19.7g과 11.2g, 인중비 와 과피 두께는 53%와 1.7mm로 과실형질이 우수하다.
        819.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utting types on microclim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fforested tree in Quercus acutissima stand after different types of cutt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reaching 5.2℃ was shown in between clear cutting and selective cutting treatments. On July and August days with temperatures more than 35℃ often appeared in clear cutting stand. The values of VPD in July and August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months. Maximum VPD of 3.99 kPa was shown in clear cutting stand on May 23 as a prolonged rainless days appeared. However, VPD in selective cutting stand always stayed under 3.0 kPa throughout growing season. A higher intensity was shown in clear cutting and strip clear cutting stands, reaching to more than 1,600 μmol m-2 s-1 at midday on early August, while that in selective cutting stand stayed about 1,500. In relative growth rate selective cutting stan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growth rate in plant height than those in other cutting stands (p<0.05). The number of leaf in current-year branch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lective cutting stand, whereas no increase was shown in clear cutting and strip clear cutting stands (p<0.05). In addition, relative elongation rate of current year branch also showed higher values in selective cutting stand compared with that in strip clear cutting stand (p<0.05). However, leaf mass per unit area (LMA) was higher in order of strip clear cutting, clear cutting, and selective cutting stand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clear cutting and strip clear cutting stands during growing season are more stressful to afforested tree species, resulting in lower relative growth in plant height, elongation of current-year branches, and leaf number per branch compared with those in selective cutting stand. Consequently, more data must be accumulated in the field to find out best cutting type in plantation considering the adaptational characteristic of each tree species varies with species and life span of tree is long.
        820.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의 60% ethanol과 열수 추출물의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추출물의 열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00 mg/mL의 농도에서 생강나무 줄기의 60% ethanol 추출물은 MRSA에 대하여 31.50 mm, 열수추출물은 S. aureus에 대해 25.5 mm의 생육 저해환을 보이며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B. cereus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같은 농도에서 초피 과피의 60% ethanol 추출물의 항균효과는 S. aurues와 B. cereus에 대해 25 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열수추출물은 S. aurues 에 대해 22 mm의 생육저해환을 나타내 항균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E. coli 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의 60% ethanol, 열수 추출물 모두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ethanol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또 추출물의 열안정성 실험에서 열처리군과 비열처리군(대조구)을 비교했을 때 항균 효과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 추출물은 열에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 추출물에 미생물 부패 방지에 효과적인 항균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교적 열에 안정하므로 천연보존료로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