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약재식물인 옻나무 수피와 그 발효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SDE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여 각각 51종, 27종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확인하였다. 옻나무 수피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 분으로는 2-methyl-3-buten-2-ol, 3-methylbutanal, 1-octen-3-ol, 3-methyl-2-butanone, pentanal, hexanal, ethyl lactate, ethan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전체 성
B cell과 T cell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생육 촉진 실험에서, B·T cell은 배양 6일째 수피 추출물이 각각 4.2×104cells/ml, 5.0×104cells/ml로 가장 높은 세포농도를 나타냈다. 면역세포를 이용한 cytokine의 분비량 측정실험에서는 수피추출물이 배양 시간에 따른 cytokine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세포의 TNF-α의 분비량은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7-8배 가량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IL-6의 경우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때죽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 의한 NK cell의 면역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배양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때죽나무 수피 추출물에서 B cell의 경우 14.1×104cells/ml, T cell의 경우 15.3×104cells/ml 으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 신장세포인 HEK293을 이용한 세포 독성을 살펴본 결과, 각 추출물은 1.0mg/ml의 농도에서 최고 27.4%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암활성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가지의 암세포를 이용하였는데, AGS와 MCF-7에서 뿌리추출물의 경우 1.0mg/ml의 농도에서 65정도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의 비로 나타낸 선택적 사멸도는 고농도에서는 모두 1.5이상으로 나타나 모두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cl-2 단백질 정량을 통한 항암활성 실험에서는, IOD 값이 수피, 목부, 잎 순으로 각각 72, 186, 200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때죽나무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고, 유용성분 분리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volatile aromatic substances from Cinnamomum camphora and C. japonicum among warm-temperate tree species were examined for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n the human body. Each scent of the trees was provided to the test materials. And then their brain wave, pulse rate, aroma sensibility evaluation and POMS were measured as follows. To examine psychological effect of aroma of each tree species on human bodies, aroma sensibility evaluation and POMS were conducted. The result reveals that the aroma of the two tree specie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comfort, naturalness and stimuli, and that C. camphora shows low level of satisfaction due to strong aroma while C. japonicum is more preferred due to its soft and fragrant aroma. As well, POMS was given to identify subjects' temporary emotional state. The result indicates that C. camphora has higher values in every item than C. japonicum, and that both tree species repress anxiety and depression and create vivacious feelings with higher values in [vivacity] and [anger-hostility] items than [tense-anxiety] and [distress-depression].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effect of aroma of each tree species, aroma extracted from the two tree species were distributed, and the subjects' brain wave and impulse were measured.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C. camphor has relaxing effect of increasing α-wave and reducing pulse, and that C. japonicum also has relaxing effect, but the effect is less than that of C. camphora as it reduces pulse though it slightly reduces α-wave. In addition, individual preferences for C. camphora vary as it has big individual deviations vary, but C. japonicum has similar level of preference as its variances are small. The natural and pleasant aroma of these two tree species seem to have tranquilizing effect in both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a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f feeling refreshed, feeling enhanced, and so on. In conclusion,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se two aromatic warm-temperate tree species. Also, the importance of such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ree species lies in the fact that they can set standards for the utilization of warm-temperate forest in the future.
The standard emission rate(ERs) of isoprene was quantitatively measured in situ from Quercus mongolica Fischer that dominates more than about 85% of domestic oak trees. The ERs values in spring and summer were similar to 64.4 and 58.1 (㎍C/gdw/hr), respectively. The ERs in autumn, 7.06(㎍C/gdw/hr), was about 8~9 times lower than those in spring and summ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between ERs and CL․CT ranged from 0.593 to 0.836.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Rs and PAR, the ER and temperature suggested that ERs have strong correlation with PAR(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temperature. In addition, the high values of PAR, temperature, and ERs were found in the time zone of 15:00 ~17:00(spring), 15:00 ~ 16:00(summer), and 14:00 ~ 15:00(autumn).
본 연구는 호도나무 교잡종 과실의 양적 및 질적형질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입중 및 인중, 인중비 등 과실의 주요형질에 의한 품질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신품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입중이 13g 이상이고 인중비가 50%이상의 양적형질의 선발기준에 의해 산성4호×Concord 8번 개체 등 4개체가 우량개체로 가장 유망시 되었다. 특히 봉합선 폭은 인중비가 높은 우량과실 및 개체를 선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중과 입중이 무거울수록 인의 길이가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격막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인의 분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인의 분리용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적형질은 개체 및 교배조합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모든 형질에 대하여 동일개체 내에서 다양한 특성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최근 분재산업은 국내 수요산업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이 확대되고 있는 새로운 분야로서 앞으로의 수출에 대한 수요가 더욱 늘어 날 전망이다. 본 실험은 석류나무(Punica granatum)와 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Thunberg)를 이용하여 신초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여 분재 소재로서의 이용 가치를 재고하기 위해 수행 하였다.
석류나무는 10ppm의 저농도 에서는 무처리구와 거의 비슷한 생육상을 보였으며, 100mg/L의 고농도로 토양관주한 처리구 에서는 극심한 잎말림현상이 발생하였다. 작살나무에서는 100mg/L의 고농도에서 신초의 발생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적정 분지수 확보에 여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두 수종 모두 50mg/L의 농도에서 약해가 없고 적정 분지수의 확보가 가능 하였으며, 처리방법에서는 토양관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Lord's Holly tree(Ilex rotunda) has shown different rooting rates depending on the time and conditions of cutting. The best result, 100 percent of rooting, could be accomplished in early November when cuttings were done on the mixture-soil containing the same rates by volume of 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with cuts processed with IBA 1,000 mg/l + NAA 1.000 mg/l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70% of shade, plastic mulching, and mist were conditioned. Even though cuttings process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 IBA 1,000 mg/l, showed a little bit lower rate of rooting than those processed with IBA 1,000 mg/l + NAA 1,000 mg/l,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former was better than the latter regarding the number of roots and root length. However it should be further studied about how to utilize re-juvenile cutting of adult trees to propagate in a large quantity female Ilex rotunda which propagates in dioecism.
밤나무림내에 sprinkler system을 고정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정한 시기에 일시에 그리고, 간편하게 약제를 살포함으로써 밤나무의 주요해충인 밤나무흑벌(Dryocosmus kuriphilus)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목적으로 2003년부터 2년간 경남 산청군 신안면에서 본연구가 수행되었다. 공시약종은 carbaryl 50% WP, 1,500배액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나무흑벌 성충의 우화시기는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35일간이며, 우화최성기는7월상순의 약 5일간이었다. 밤나무흑벌의 우화 및 산란시기에 Carbaryl 50% WP 1,500배액의 수관살포는 밤나무흑벌에 탁월한 방제효과가 있었다. 즉 매일살포구의 평균 충영형성율은 3.0%, 2일간격 살포구의 평균 충영형성율은 12.8%로서 이들은 무처리구의 평균충영형성율 82.9%와 비교하여 각각 96.4% 및 84.5%의 높은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수관부위별로는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