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conducted experiments to compare the catch rate of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between circle hooks and straight shank hook in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at the ea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from 2005 to 2007. We analyzed difference of fork length, survival and hooking location between a circle hook and a straight shank hook for both tuna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fork length size of yellowfin tuna caught on the two type of hook but bigeye tuna was significant. In case of survival,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hook type, but the difference of hooking location was significant for both species. We also analyzed to find determinants of both tunas catch rate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GLMs) which were used latitude, longitude, year, month, depth, hook type, bait type and so on as independent variables. Spatial factors, latitude and longitude, and temporal factors, year and month, affected catch rate of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And also, depth such as a marine environment factor was influenced on catch rate.
When we carry out a work or project, setting a clear goal is crucial for a success of the vocation. A goal means a task, target, or place to go or to achieve, and in this sense, a project whose goal is not clear enough cannot be achieved successfully. Since mission is also a ministry of a religion, making a clear goal is important for its success. However, in Christian mission the goal of mission is understood in various ways. While in the traditional view the understanding of mission’s goal is rather simple and clear, recent view is rather inclusive and complicated. In particular, the ecumenical view of the goal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view. So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goal of mission in ecumenical view with a desire to provide a foundation for making a desirable purpose of mission today when the Christianity is in a deep crisi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tudied some major goals of ecumenical missiology such as humanization, JPIC, unity and reconciliation.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suggested some major characteristics of ecumenical goal of mission: broad inclusiveness, deep concern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high possibility of change, and removing priority. These kinds of characteristics have various strengths and advantages in serving and transforming the world, and in making suitable goals which fit the felt needs of the changing world. In other words, the ecumenical goals are effective in serving the world. However, the ecumenical goals have some limitations as well. The goals of the ecumenical wing are so broad and inclusive that the energy would be divided into many directions. Some goals are agendas of the world which seek welfare of the world, so these goals a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but not much for growth of the church, a major goal of mission. If ecumenical goals are compensated in these areas, the goals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for the Kingdom of God.
1995년 7월에 씨프린스호, 9월 제1유일호, 11월 호남 사파이어호 등 연이은 대규모 기 름유출사고 시에 부족한 방제장비 부재로 인한 대응력 미흡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방제장비 확충을 위한 방제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국가방제능력’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국가방제능력은 유회수기 회수용량을 기준으로 일일 8시간씩 3일간 운용한 회수용량에 방제작업 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수식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이 수식을 이용하기 앞서 최대 유출량 을 계산하기 위하여 국제석유산업환경보호협의회(IPIECA, International Petroleum Environmental Association)의 산정식을 이용하였다. 당시 국내에 입항하는 최대 기름운반선인 300,000톤급 단일선체 유조선의 운송 탱크 2개가 파손되어 60,000톤의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산정 하였으며, 이중 1/3은 자연방산, 1/3은 해안에 부착되고, 나머지1/3인 20,000톤을 해상에서 회수하 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2007년 12월에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유출사고를 거치면서 ‘국가 방제능력’이라는 용어는 국민들이 장비확보의 기준이 아닌 일정시간 내에 그 용량만큼 회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잘 못 인식하고, 국가방제능력 보다 적은 기름 유출량을 일시에 수거하지 못했다 는 국민들의 오해가 있었다. 이 사고로 단일선체 유조선의 국내 운항을 기존의 2015년에서 2011 년 1월 1일부터 전면 금지시킴에 따라 이중선체 유조선을 기준으로 한 새로운 장비확보 산정기준 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오염방지국제협약(MARPOL,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의 산정식을 이용하여 이중선체 유조선을 기준으로 한 최대 기름유출량을 재산정하고,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실제 뜻하는 용어로 변경하기 위해 새롭 게 도입된 ‘해상기름회수 목표량’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현행 국내법상 해안방제 기자재 확보 및 비치에 관한 규정은 없고, 또한 가상 최대오염사고를 대비하여 전국에서 사고지역에 동원해 야 하는 해안방제 기자재의 수량 또한 정해진 바가 없다. 해안방제 기자재 소요수량의 산정을 위해 Hebei Spirit호 오염사고시 소모 및 동원되었 던 자원의 양을 기준으로 최대오염사고 대비에 필요한 목표량을 산출하여 해안방제 기자재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도록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운동 라이브러리에서 목표스펙트럼에 근사한 평균응답스펙트럼을 갖는 한 개 혹은 다수의 지반운동을 선정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반운동 선정 시 목표스펙트럼의 형상과 크기를 맞추어야 하는데 이 두 가지를 독립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형상이 가장 유사한 지반운동을 찾고 크기를 맞추기 위하여 배율조정계수를 사용한다. 형상을 맞추기 위해 각 주기에서 목표스펙트럼과 지반운동 평균응답스펙트럼의 차이 값의 표준편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여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형상이 결정된 후 그 크기를 맞추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배율조정계수를 찾는 방법은 기존 연구와 달리 한번에 찾을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40개의 지반운동 라이브러리로부터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스펙트럼에 근사한 평균스펙트럼을 갖는 7개의 지반운동기록을 선정한 결과, 그 정확성과 계산소요시간에 있어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Environment standards can be used as a foundation of environment administration (specific expression of political goals or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of political effects). When environment adminstration improves severe air or water pollution rapidly, the environment standard can work effectively to show the goals specifically and clearly. The environment index which is designed to evaluate environment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express the environment system generally. To realiz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stainable indexes usually consisting of these three areas in that harmony of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are required. In this research, sustainable environmental indicato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o compare likes them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 indicators, reg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to promote the management by objectives are to provide the basic data. It is desirable for the environmental policies to work harmoniously with direct control, use of economic means and voluntary methods. Regarding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ndex, the action results of civilian's or individual's activities are needed to be reflected into the evaluation.
In this paper, the author devised new decision recommendation ordering method of items attributed by age to improve accuracy of recommender system. In conventional recommendation system, recommendation order is decided by high order of preference prediction. However, in this paper, recommendation accuracy is improved by decision recommendation order method that reflect age attribute of target customer and neighborhood in preference prediction. By applying decision recommendation order method to recommender system, recommendation accuracy is improved more than conventional ordering method of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what changes students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goal orientations and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ies after they are instructed at
youth soccer academies. This information would be useful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내용체계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새롭게 추가된 내용 영역의 학습 요소에 해당하는 목표 를 세부적으로 진술하고 이 영역에 맞는 평가 문항의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문과 평가문항에서 목표를 이원적으로 분류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새로운 교 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내용을 평가문항에 어떻게 반영하고 문항화할 것인가? 이 두 가지 논의를 기초로 각 요소별 실제 문항의 유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평가 문항을 제작하기 이전에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Bloom이 제시 한 인지적 영역의 단계별 행동 영역, 다양한 문항 형식을 잘 조화하는 것이 새로 운 학습 요소에 적절한 문항 유형을 만드는 이론적인 기초라고 판단하였다. 즉, 새롭게 제시된 학습 요소를 Bloom이 제시한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각 단계로 목표를 세분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문항을 기존에 개발된 문항과 자체 개발한 문항으로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학습 요소에 어울리는 평가 문항 을 유형별로 정리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Government evaluate annually a performance of government's R&D(Research & Development) and decide a budget and progress. So, a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D is very important at the planning, The basic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is clear. However,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is very difficult and a reasonable level of it can not be judged. Therefore, this study will suggest a solution for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successfully finished railroad R&D, after judging a reasonability of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hrough comparing railroad R&D with the other R&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and assigned goal-setting on team performance quantity and trend. Participants were 30 college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15 pairs considering individual typing speed. Members in each pai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type materials for 19 day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words typ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quantity between the two conditions. However, the average percentage of goal accomplishment under participative goal-setting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under assigned goal-setting condition.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rend between two condit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목적 : 작업치료학과는 교육경쟁력 확보를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와 학습양식에 따른 학업성취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05명(남자 29명, 여자 76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Kolb의 학습양식검사와 Elliot와 Church의 성취목표 척도를 이용하여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대한 설 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2009년 2학기 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 일원배치분 석, 상관관계분석 및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습양식보다 성취목표로 나타났다. 작업치료학 과 학생들의 성취목표에서는 숙달목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양식 중 동화자가 가장 적었고, 융통자가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확산자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스스로 작업치료학의 특성에 맞는 성취목표 지향성와 학습양식을 구성해 나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성공적인 학업성취를 위해서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성취목표에 관련한 분석을 제 공할 필요가 있다.
현행의 내진설계의 성능목표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물의 붕괴방지에 있으며 기존구조물의 내진보강도 이를 만족하도록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해외 지진피해사례를 살펴보면 큰 지진에서도 이러한 내진성능목표는 비교적 잘 달성되었지만 엄청난 경제적 손실이 동반되어 새로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큰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행 붕괴방지성능에서 벗어나 구조물의 손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손상확률에 기반하여 내진성능목표를 설정하는 새로운 내진설계개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구조적특성을 지닌 교량을 대상으로 하여 비선형지진해석을 수행하여 지진거동특성을 확인하고, 기준손상도에 대한 취약도곡선을 산정하였다. 이로부터 목표손상확률에 따른 교량구조물의 목표연성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우리가 지금 시행하고 있는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안고 있 는 문제점들을 ‘성격’, ‘목표’, ‘내용’ 등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지적한 논문이다. 1.교육과정의 ‘성격’은 한문 교과만이 고유하게 가지는 성격도 개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2.교육과정의 ‘목표’는 한자 어휘의 언어생활의 활용에 관한 강화 문제도 다시 제시할 필요가 있다. 3.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문제는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문’ 영역에서는 ‘한문’ 영역의 명칭문제, ‘읽기’와 ‘이해’의 포함문제, ‘문화’의 성격 및 내용문제 등이 있다. 2) ‘한문지식’ 영역에서는 ‘어휘’에 관한 용어 및 내용포함 문제, ‘보어’의 문제, ‘文形(Sentense Form)의 설정 기준 및 내용문제, ’품사‘의 분류 및 내용문제, ’수 사법‘의 범위 및 내용 문제 등이 있다. 위에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이 수정 보완되거나 해결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되 고, 다시 다양한 한문교육의 양상에 적용되어 또 다시 교육과정에 투입되는 과정 을 거치면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이 만들어 질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and assigned goal setting on team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30 college students and their typing speed was tested. They were ordered on the basis of the typing speed and were divided into 15 pairs, with the members of each pair having similar typing speed. Members in each pai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type materials provided by the experimenter for 20 day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words ty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rend between two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