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17

        1967.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VOCs and odors with newly developed biofilter which was designed to sustain the biofilm constantly on the packed media. Initially, four types of media, for example, fiber, activated carbon, ceramic and the mixture of activated carbon and ceramic(A/C mixture), were used for packed materials of biofilter. When ethylalcohol was selected as a test gas for media efficiency, fiber and A/C mixture had better removal efficiencies of ethylalcohol than others. Removal efficiencies for acetaldehyde, ethylalcohol, butylalcohol, ethylacetate and diethylamine in biofilter with fiber and A/C mixture as packed media were increased as the residence time increased. Butylalcohol, especially, showed the maximum removal efficiency among all used VOCs and odors. In case of ethylacetate, the difference of removal efficiencies between low and high residence times was wide remarkably.
        1968.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hree-dimensional ecological model (EMT-3D) was applied to Nonylphenol in Tokyo Bay. EMT-3D was calibrated with data obtained in the study area. The simulated results of dissolved Nonylphenol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values,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R) of 0.7707 and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5940.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biodegradation rate and bioconcentration factor are most important factors for dissolved Nonylphenol and Nonylphenol in phytoplankt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Nonylphenol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biodegradation rate and partition coefficient were important factors. Therefore, the parameters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e modeling. The mass balance results showed that standing stocks of Nonylphenol in water,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d in phytoplankton are 8.60×105 g, 2.19×102 g and 3.78×100 g,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flux of dissolved Nonylphenol, biodegradation in the water column, effluent to the open sea and partition to particulate organic carbon were 6.02×103 g/day, 6.02×102 g/day and 1.02×101 g/ day, respectively.
        1969.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SEM/EDX)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evaluation the source of atmospheric particle because it is a powerful tool for characterizing individual particles. The SEM/EDX system provides various physical parameters like optical diameter, as well as chemical information for a particle-by-particle basi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individual particle emitted from the point sources based on clustering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by SEM/EDX. The total of 490 individual particle were analyzed at 8 point sources including coal-fired power plant, incinerator, B-C oil boiler, and metal manufacturing industry. The main components were Si and Al in the coal-fired power plant, Cl and Na in the domestic waste Incinerator, S in the B-C oil boiler and S and Fe in the metal manufactory industry, respectively.
        1970.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의 천연항균제 개발을 위하여 황금의 일반성분 및 미량물질들을 분석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의 검색을 위하여 LC-MS를 이용하였고 검색되어진 성분들에 대해서는 항균력 비교시험을 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들에 대해서는 HPLC를 이용하여 그 양을 정량하였다. 황금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 탄수화물 , 조회분 , 조단백질 및 조지방 이었고 미량성분에 있어서는 칼륨 12,050mg/kg과 마그네슘4,296 mg/kg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LC-MS
        1971.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갈피 유식물체의 함유성분을 밝히고, 분리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대체 약용자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시오갈피 유식물체를 MeOH로 추출, 농축하고 Hexane, EtOAc 및 BuOH순으로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을 대상으로 성분연구에 착수하였다.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한 결과 EtOAc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BuOH 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UV, IR, Mass, 1H-NMR 및 13C-NMR spectrum과 문헌치를 대조하여 그 구조를 동정한 결과그 구조는 각각 Chlorogenic acld (1)과 1,4-di-O-caffeoyl-quinic acid (2)이였다.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한 항산화활성의 RC50 value는 각각 1.2 및 0.4 μg/ml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1972.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람들의 생명연장과 각종 만성질환, 악성종양 등의 증가에 따른 우수한 항생제의 계속적인 개발로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되었지만 반면 항생제를 지나치게 사용하여 이에 많은 부작용이 생기고 내성균도 많아지면서 중증감염이 증가되어 여러 가지의 새로운 문제점에 직면하게 되었다. 안전성이 있는 새로운 항균물질의 개발 목적으로 예비 검색 결과 선택된 독활을 추출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수행한 결과 2종의 항균 효과를 보여주는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물리 화학적 성질 및 분광학적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 1은 mp가 166~167℃인 백색침상, C20H30O2의 분자식을 갖는 (-)-pimara-8(14), 15-dien-19-oic acid 즉, continentalic acld으로 동정하였으며, 화합물 2는 mp가 164~165℃인 백색침상, C29H48O의 분자식을 갖는 (24E)-stigmasta-5, 22-dien-3β-ol, 즉 stigmasterol으로 동정하였으며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두 화합물 모두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화합물 1인 continentalic acid이 더욱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에서 MIC가 7.8 μg/ml, E. faecalis에서는 MIC가 12.5 μg/ml에서 비교적 강한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화합물 2에서는 S. aureus에서 MIC가 7.8 μg/ml, S. epidemidis에서는 MIC가 12.5 μg/ml에서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으나 그람 음성균에서 100 μg/ml 이상으로 항균활성이 측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화합물 1과 화합물 2는 그람 양성균에 대한 새로운 항균제로 개발에 유용한 화합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97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try to determine the distributive property in southwest coastal waters, such as Kwang-yang bay, Ka-mak bay, Yeo-ja bay, Wan-do, Hea-nam, Young-gwang, and Mok-po, using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310 chemicals. The results were detected tens of the organic pollutants in sampling sites, and the major chemicals detected were CH type chemicals such as aliphatic, polycyclic compounds and were CHN(O) type chemicals such as aromatic amines, nitro compounds. In particular, pesticides were mainly detected in summer, phenols and phthalate esters were not seasonal effect. Also, a number of aromatic chemicals were detected in Kwang-yang ba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it is mainly contaminated in summer and the pesticide chemicals are the major pollutants in southwest coastal waters.
        197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ormous apartment complexes in urban areas, temporary inversion state and heat island effect occur due to the strong sunshine and weak wind speeds which hinders the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that are emitted from neighboring areas of apartment complexes. In this study,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Fluent code based on the CFD(Computation Fluid Dynamics), including building layout, material, building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the heat, analysis of flow field in the apartment complex. It was estimated that the temporal radiation inversion phenomenon during the daytime, which was caused by the weak wind speed and higher temperatures in the upper level, contributed to the stagnation of the air pollutants in the lower layer of the apartment complex.
        1975.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식과 관련하여 산화스트레스 (Oxidant stress)는 그 발병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산물과 한약재를 이용하여 항산화 물질을 찾고자 하였으며, 시간과 비용의 단축을 위하여 HTS인 throughput screening)을 이용을 하였다. 항산화 실험과 관련하여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FRAP(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HO(h
        197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원료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인삼의 기내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캘루스 및 모상근으로부터 인삼사포닌, 지방산, 산상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및 유기산함량을 조사하였다. 인삼사포닌의 경우에는 캘루스에 비해 모상근에서 훨씬 많았으며 모상근 세포주간에는 약 10mg/g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은 인삼 캘루스에서 높은 반면 모상근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오히려 많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인삼 캘루스에서는 palmitic acid가 많이 존재하였으며,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캘루스의 5배 이상 많은 검출되었다. 산성 다당체와 페놀성화합물은 기내 배양한 인삼 캘루스 조직에서는 거의 동량으로 존재하였으나,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세포주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HR-2같은 경우에는 산성 다당체보다는 페놀화합물이 2.26%로 산성 다당체보다 2배 이상 많이 존재하였는데 반하여, HR-3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산성 다당체가 1.64%로 페놀화합물보다 4배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삼 모상근세포주와 캘루스의 유기산은 모상근 세포주가 34.64 mg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77.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의 어린 잎은 민간요법에서 복통이나 구토, 월경불순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귀중한 약재로 최근에는 항 말라리아 효과를 나타내는 artemisinin 성분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 자생하는 야생 쑥에 대한 자원식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야생쑥과 이로부터 유도한 기내배양세포로부터 artemisinin의 생합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그 동안 개똥쑥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artemisinin이 국내 야생 쑥에서도 생합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rtemisinin 및 유용한 이차대사산물의 기내 배양을 통한 대량생산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쑥의 어린 식물체로부터 조직 및 현탁 세포배양계를 확립하였다. Callus와 현탁배양 세포의 유도 및 성장은 0,2 mg/l 2,4-Df와 0.1 mg/l BAP가 처리되고 2% sucrose를 첨가한 MS배지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이들 callus와 현탁배양세포 그리고 식물체에 존재하는 다양한 대사물질들을 비교하기 위해 TLC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내배양세포에서 특이적인 페놀 화합물, 터펜화합물, 아미노산 등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쪽의 기내 배양계를 통해 다양한 유용물질의 대량생산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