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더미렌즈 착용에 대한 시각적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안경렌즈와 패션안경에 장착되어 있는 더미렌즈의 광학적 성능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도수가 없는 일반 안경렌즈(n=1.56)와 청광차단렌즈(n=1.56), 더미렌즈를 이용하여 렌즈의 굴절력, 프리즘양, 표면의 균일함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몇몇 더미렌즈에서 렌즈 굴절력이 허용오차 범위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렌즈표면 분석에서 일반 안경렌즈에 비해 표면의 균일함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론: 더미렌즈는 일반 안경렌즈와 비교하여 광학적 성능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더미렌즈를 제거 하지 않은 패션안경 착용 시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어 더미렌즈를 제거해서 사용하는 것이 시각적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기와라 사쿠타로가 문단에 처음으로 등단하게 된 애련시 편 에 첫 번째로 실린 밤기차(夜汽車) 라는 작품을 필두로 하여, 시적 대상으 로 나타난 ‘여자’에 대하여 조명해보겠다. 그리고 사쿠타로가 첫 시집으로 출판 한 달을 보고 짖다 에서 나타난 시적 대상인 ‘여자’도 함께 분석해 보아, 애련 시편 과 달을 보고 짖다 에 대하여 분석해보겠다. 시적 대상은 시적 주체보다 작품 속에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때문 에, 시적 대상을 분석하고 그 다음으로 시적 주체를 파악하는 것이 작품의 전체 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적 대상 중에 서도 ‘여자’라는 대상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분석해 보고 그 결과에 따라서 시적 주체와의 관계까지 조명해 보겠다.
목적: 20대 안질환이 없는 정상안에서 온열마사지기(ZP443)의 사용 전과 후 교정시력 및 대비 감도, 자각적 피로도의 개선유무와 정도를 평가 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남자 10명, 여자 11명(총 21명)을 대상으로 포롭터 (TOPCON VT-10)를 통해 자각적 굴절검사를 완전교정 후 온열 마사지기(ZP443)의 사용 전과 후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비감도 검사용 시표 CVS-1000E를 이용하여 1.25m 거리 에서 대비감도를 측정하였으며, 자각적 설문지(5점 척도)로 설문을 실시한 후 피로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굴절교정 값은 남자가 –4.25±2.80D, 여자가 –4.42±2.91D 이었으며, 온열마사지 치료 전 교정시력은 1.18±0.26이었으며, 치료 후 시력은 1.18±0.23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비감도 검사 결과는 치료 전후에 경미한 수준의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인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며(p=0.24), 자각적 피로도 설문조사에서 피로도 수치는 치료 전 19.48±3.88 에서 치료 후 12.14±3.20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아졌다(p<0.05).
결론: 온열 마사지기는 정상안에서 마사지 후 대비감도에서는 미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객관적인 차이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자각적 설문 피로도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피로도 개선에는 효과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목적: 20대 안질환이 없는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정상안에서 양안시 검사의 기본 검사값인 사위도와 버전스의 검사오차 요인을 분석 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남자 8명, 여자 12명(총 20명)을 대상으로 포롭터 (TOPCON VT-10)를 통해 자각적 굴절검사를 완전교정 후 원근거리 수평사위도와 원근거거리의 음성 및 양성 융합버전스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수평사위 값은 평균 1.25△ 외사위로 모건의 기댓값 대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의 흐린점과 파괴점 및 회복점 평균값이 X/11/6로 안정적인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의 평균값은 17/37/14로 모건의 기댓값인 9/19/10 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또한 동일 검사자별로 검사결과의 차이가 많이 발생 되었다.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와 원거리 양성 융합버전스 검사에서 검사자별 결과 값의 차이가 많이 발생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피검사자들의 원거리 사위검사 시 평균값과 모건의 기댓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BI 프리즘 쪽으로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지만 검사결과에는 큰 오차를 보이지 않았다. 근거리 양성 및 원거리 음성 융합버전스의 측정 시 측정오차가 많이 발생되어 검사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적: 정확하고 신속하며 이물감이 적은 눈물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흡수제를 삽입하여 튜브형 눈물검사키트를 제조한 후 검사키트의 재현성과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흡수성이 좋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필터와 고흡수성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튜브에 삽입하여 두 종류의 튜브형 눈물검사키트(눈물검사키트-CEL과 눈물검사키트 -SAP)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눈물검사키트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키트의 흡수성을 평가하였고, 용액의 양과 흡수시간이 검사키트의 흡수된 길이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눈물검사키트-CEL과 눈물검사키트-SAP 모두 용액의 양과 흡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된 길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눈물검사키트-SAP는 하안검 메니스커스(meniscus) 눈물 양이 최대 1.5 ㎕ 이내에서만 유용한 결과를 보였고, 눈물검사키트-CEL은 2.0 ㎕ 이상의 눈물 양에 대해서도 유용한 결과를 보였다. 눈물검사키트-CEL과 눈물검사키트-SAP의 흡수길이는 모두 용액의 양(r=0.683, 0.705)과 시간(r=0.665, 0.530)에 따라 좋은 상관성을 보였고, 용액의 양과 흡수시간에 따라 높은 설명력(R²=0.840, 0.776)을 보여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개발한 눈물검사키트-CEL과 눈물검사키트-SAP는 건성안 검사에 정확도가 높은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눈물검사키트-CEL이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014년, 금융위원회는 기술신용평가기관(TCB, Tech Credit Bureaus)을 지정 하여 기술신용평가서를 발급하게 하였고 현재까지 5개의 기술신용평가기관과 금융위원회 권고, 레벨 4에 진입한 KEB하나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등에서 기술신용평가서 를 발급하고 있다. 한편, KEB하나은행의 기술평가모델은 25개의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이러한 항목등급이 가중 결합되어 기술등급이 산출, 기술등급은 신용등급과 결 합하여 최종적으로 기술신용등급이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KEB하나은행에서 2016년 하 반기에 자체발급한 406건의 기술평가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경영주 동업종 근무년수, 기술개 발전담부서 보유여부, 기술인력, 연구개발투자금액, 인증수, 특허수를 기반으로 지표간의 상 관분석 및 기술등급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술개발전담부서, 특허 수, 연구개발투자금액 등의 정량적지표가 기업 기술등급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술개발전담부서 보유여부는 기술등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