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llinus linteus, a medicinal mushroom with potent antioxidant properties, contain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nols and flavonoids. To optimize the extraction of skin-whitening compounds,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combined with statistically based optimization was used to simultaneously extract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and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TAI). Extraction variables, including extraction time (X1:4.8 ~ 55.2 min), extraction temperature (X2:26.4 ~ 93.6oC), and ethanol concentration (X3:13.0 ~ 97.0%), were varied in 17 experimental cycles based 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Quadratic regression models for TPC, RSA, and TAI had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greater than 0.92, demonstrating well-fitted model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all thre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extraction efficiency (p < 0.0041), with ethanol concentration (X3) having the most pronounced effec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80.0 min, 82.5oC, and 64.8% ethanol, yielding predicted values of 6.42 mg GAE/g DM for TPC, 73.71% for RSA, and 85.04% for TAI.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oderate ethanol concentration combined with adequate thermal input maximizes the extraction of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skin-whitening effects.
최근 2년간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확대해 온 비자면제 정책은 단순한 출입국 절 차 간소화를 넘어 국가 이미지 구축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비자면제 정책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고 관련 영상이 소셜미디어에서 화제가 되는 시점 에서 본 연구는 비자면제 정책 이후 외국인의 중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 여부를 검증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중국 정부의 공식 발언 및 발표문의 분석을 통해 중국이 비 자면제 정책을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 구축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실 제로 외국인이 중국 방문을 계기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식의 변화가 생겼는지, 이 들이 가진 중국의 이미지는 무엇인지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중 국이 비자면제 정책을 채택한 2023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21일까지의 기간 동안 유튜브에 업로드 된 동영상들 중 100개를 선별하여 영상의 내용을 대상으로 주제 적 측면, 표현 형식, 감정적 측면, 인지적 측면이라는 네 가지 차원의 내용분석을 진 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의 중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강화 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재까지 중국 정부의 전략과 실제 외국인의 인식 이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목적 : 본 연구는 산재보험정책 변화에 따른 직업복귀훈련에 참여한 산재환자의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의료기관 기반 직업재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근로복지공단 소속병원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로 2018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직업복귀훈련을 실시한 산재환자 3,8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재보험정책 변화에 따른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8~2020년 실시한 1,649명과 2021~2023년 실시한 2,203명을 각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인구통계학적, 산재관련, 직업복귀훈련 및 직업관련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에서는 60세 이상 비율이 증가하였고 손상 부위에서는 상지 손상 비율이 높아졌다. 손상 형태와 산재 유형에서는 요통 및 근골격계 질병과 업무상 질병 비율이 모두 증가하였다. 직업복귀훈련 특성에서는 훈련 기간이 줄어든 반면 직업관련 특성에서는 상용직 비율이 높아졌다. 결론 : 산재보험정책 변화로 직업복귀훈련 참여자들의 근골격계 업무상 질병은 증가하였고 일용직 및 임시직 비율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재예방정책과 보다 효과적인 직업복귀를 위한 제도개선 및 맞춤형 직업복귀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 hypothetical autonomous vehicle (AV)-exclusive roadway were estimated through a step-by-step approach using both microscopic and macroscopic simulations. First, the AV-exclusive roadway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entry lanes, mainlines, merging lanes, and intersections—and the C, α, and β values of the Bureau of Public Roads (BPR) function were estimated for each type through a microscopic simulation. These estimated values were then applied to a 3×3 (20 km) network, and a macroscopic simulation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Vs and conventional vehicles (CVs) in terms of traffic volume and travel time.The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same travel time, the traffic volume increased by more than 12% with AVs compared to that with CVs. Conversely, for the same traffic volume, the total travel time decreased by 11% for AVs. The estimated capacity of the AV-exclusive roadway, similar to the U-Smartway with a size of 3×3 (20 km), was approximately 400,000 vehicles, which was more than 140% higher than that of CVs. Assuming that each AV carries five passengers, up to two million people can be transported per day, indicating a significant potential benefit. However, these results were based on theoretical analyses using hypothetical networks under various assumptions.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more realistic conditions to further refine these estimations.
본 연구에서는 교목성 낙엽침엽수인 메타세쿼이아(Metasequoia glyptostroboides)가 가로수로 식재된 국내 8개 지역(삼척, 대전, 대구, 구미, 포항, 부산, 진안, 담양)의 10개 도로에서 총 280본을 대상으로 결함 및 관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육안 평가를 기반으로 2022년과 2023년 6~7월에 기본 현황, 결함, 관리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함도는 고사지, 줄기 상처, 병해충 등을 조사하여 정량화하였다. 메타세쿼이아의 평균 수고는 17.8m, 흉고직경 43.2cm, 근원직경 62.3cm, 수관폭 7.7m, 지하고 4.1m였으며, 흉고직경과 수고 간에는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흉고직경 기준 수고 예측 모델을 사용하였을 때 자연 집단보다 수고가 최대 11.9m 낮았다. 결함도는 평균 2.21점으로, 근계 결함(96.79%), 해충 피해(60.00%), 고사지(46.79%)가 가장 빈번했다. 보호틀 폭은 대부분 1~2m였으나 일부 구간은 1m 내외로 근계 손상이 발생하였고, 전선 비지중화 구간에서는 가지치기로 인해 수형이 고착되는 경향을 보였다. 교목성 가로수로서 전국적으로 조성된 메타세쿼이아 가로수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지역과 대학의 상생 발전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대학과 지자체의 연계 협력 정책사례 분 석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평생교육 연계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를 위해 대학과 지자체 협력이 강조되었던 LiFE 2.0 사업 참여대학의 지자체 연계 협력 정책사례 24개 를 수집하였다. LiFE 2.0 사업 대학과 지자체와 연계 협력 정책사례에서 지자체 이외에 협력 주체, 지 자체와의 협력 방법, 협력 내용, 협력 형태 등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문헌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LiFE 2.0 대학과 지자체 연계 협력의 주체는 기초지자체와 광역지자체 이외에 산업체, 평 생교육기관, 전문단체, 평생교육 추진기구 등이었다. 협력 방법은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 며,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운영, 협의 또는 협약, 인적․물적 인프라 공유, 연구, 포럼 및 워크숍 개 최 등으로 나타났다. 대학과 지자체 연계 협력의 형태는 교육과정 개발 운영형, 교육과정 개발 및 학과 개설형, 연구 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형, 연구 기반 지역 연계 행사 전개형으로 구분되었다. 전통적인 대학의 역할이 시대적, 사회적 요청에 따라 변화되고 달라질 수 있기에 실질적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평생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여섯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 를 제언하였다.
관상학(Physiognomy)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경험적 검증의 부재로 미신 으로 치부되어 왔으나, 일부 실용 분야에서는 활발히 참조되어 이론과 실제 간의 괴리가 존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외형이 내면을 반영한다’는 관상학의 핵심 전제를 현대 통계 방법론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MBTI의 감정형 (F)-사고형(T) 유형과 관상학적 얼굴 특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77 명의 참여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상학 이론에 기반한 6가지 얼 굴 특징(눈 크기, 눈동자 크기, 코끝의 살, 입술 두께 등)을 전문가와 함께 5점 척도로 코딩하였다. 수립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F/T 유형은 ‘눈길이’를 제외한 5가지 특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감정형(F) 집단이 더 큰 눈, 도톰한 입술 등을 갖는 경향을 나타냈 다. 또한, F/T 유형을 예측하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Pseudo R²=.462)에서는 ‘눈 동자 크기’, ‘코끝의 살’, ‘입술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핵심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관상학적 특징과 성격 유형 간의 실증적 연관성을 규 명함으로써, 관상학을 탈신비화하고 과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는 관상학이 향후 심리학, 인공지능 등과 융합될 수 있 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분리막 기반 이산화탄소(CO2) 포집 기술은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공정이 단순하며 모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탄소 저감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소, 시멘트 생산, 철강 제조, 바이 오가스 업그레이딩 등 주요 산업 공정에서의 CO2 포집 기술을 중심으로, 관련 분리막 소재, 공정 구성 방식을 포함한 실제 산업 응용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산업별 배출가스 조성, 운전 조건, 적용된 분리막의 특성과 성능을 비교⋅분 석하고, 시뮬레이션 연구 및 파일럿 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리막 공정의 성능과 한계를 다각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한 각 산업에서의 공정 조건에 따른 분리 전략과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분리막 기반 CO2 포집 기술의 현재 기술 수준 과 더불어 향후 상용화를 위한 과제 및 공정 최적화 방향에 대한 실용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신설된 고등학교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의 탐구 활동 에서 교육과정의 교수·학습의 방향이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이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인간과 경제활동 교육과정은 경제학의 기본 원리나 개념에 대한 설명보다는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경제 문제를 자신의 삶과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체험 활동을 구현했 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수·학습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디어 활용 학습, 협동 학습, 토의·토론 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게임 학습, 프로 젝트 학습, 시뮬레이션 학습, 인공지능 활용 학습 등 기존의 경제 교과서에서는 잘 다루지 않았던 교수·학습 방법들이 새롭게 시도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지역사회 경제 전문가와의 협력 학습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인간과 경제활동」 교과서에서 시도 된 다양한 체험 활동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제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eafood, a major source of essential protein for human nutrition, has gained increasing significance as consumption rises due to higher income levels, growing health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cer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dividual lifestyles, food consumption tendencies, and food safety concerns on seafood consumption behavior.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analysis categorizes consumers by age group to account for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eafood consumption. Key variables include seafood purchase frequenc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od safety concerns, and dietary preferences. The results reveal that seafood consumption patterns vary significantly across age group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ge-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a need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promotion of food safety certification systems and to develop more targeted promotional strategies that reflect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nsumers.
This study examines a digital training model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French language educators, focusing on module-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t explor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eacher development, the concept and practice of digital training,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odular learning design. The case study analyzes a digital training program jointly operated by FEI and CNED in July 2020, which involved over 24,000 educators from 162 countries. Comprising eight modules, the program integrated digital content, real-time forums, and collaborative projects. Based on participant experiences, this study identifies key characteristics of digital training and essential factors for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training fosters teachers’ digital skills and practical application while yielding positive outcomes in gamification strategies and sustainable online training models. However, challenges such as technological accessibility gaps, imbalances in program design, and cultural differences persist. To address these, the study proposes adopting a hybrid education model, strengthening practice-oriented module design, and expanding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to support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training framework in the digital era.
The 3T irregular shape structure is used for designing wind loads in high-rise buildings. Among them, the Tapered shape is a shape with a cross-section that changes throughout the entire floor. Recently, various advanced Tapered shapes have been applied, such as having a cross-section that varies only in part of the height or combining different shapes. In this study, an analysis model was selected by applying three types of Tapered part locations(Bottom, Middle, Top) and angles as design variables. Equivalent static seismic loads and historical earthquake records were appl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ismic response of the Tapered models with regular-shaped mod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sitioning the partial taper in the middle shows the lowest seismic response. Additionally, a larger taper angle decreased the story drift ratio, top-story displacement, shear wall shear force, and column bending moment, while increasing absolute acceleration and column axial force.
본 연구는 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금융이해력을 조사하고 금융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군 장병 2,2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금융이해력 조사결과 금융이해력 점 수는 64.0점으로 ‘全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와 비교 시 낮으나, 군 장병들의 나이가 20대 초반인 것을 고려하면 금융교육의 최적 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한 정책제언은 첫째, ‘군 금융교육 전용 포털’을 운영하여 장병용 앱과 연계한 맞춤형 자료제공 이 필요하다. 둘째, 금융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강의 중심 방식에서 탈피하여 참여형· 체험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셋째, 군 장병 금융교육의 지속성 과 제도화를 위해, ‘경제교육관리위원회’ 및 ‘금융교육협의회’에 국방부 정부위원을 편성하 고, 민·관·학 협력 기반의 ‘군 금융교육센터’(가칭)를 설립하여 허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들을 통하여 장병들의 금융지식을 향상시켜 사회로 복귀 시킴으로써 건전한 경제인으로 올바른 금융의사결정을 하도록 군이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emperature management in wholesale fish markets, the first stage of the seafood distribution structure, in light of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seafood and the government's strategy to revitalize the seafood consumption market.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in efficient cold chain management at wholesale markets,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assess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among industry stakeholders. The survey results highlighted key reinforcement factors, such as ensuring the separation and safety of workspaces, securing low-temperature auction facilities, improving outdated wholesale market infrastructure, and raising workers' awareness of quality and hygiene management. Priority improvement areas included enhancing hygiene-related facilities, standardizing and regulating equipment, establishing temperat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ies for hygiene improvement in wholesale markets, and providing subsid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adoption of seafood cold chain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chest compressions, depth of chest compressions, ventilation, duration of interruption, and accuracy in college students when eyewitness cardiac arrest occur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1)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est compressions was that A was a 20-year-old woman with an average of 114 chest compressions. E was a 22-year-old man with 96 chest compressions, and J was a 24-year-old woman with 109 chest compressions. (2)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chest compressibility depth was that A was a woman in her 20s with an average chest compression depth of 5.0 to 5.2 cm, E was a man in his 20s with an average chest compression depth of 5.0 to 5.4 cm, and J was a woman in her 20s with an average chest compression depth of 5.1 to 5.5 cm. (3) Ventilation was performed for A, E, and J. (4) CPR discontinuation time (second) was performed for a 20-year-old woman for 0 seconds, E was for a 22-year-old man for 5 seconds, and J was a 24-year-old woman for 5 seconds or less. (5) CPR accuracy was found to be 95.2% for a 20-year-old woman, E was found to be a 22-year-old man for 79.6% for a 22-year-old man, and J was found to be 86% for a 24-year-old woman on average. In order to proper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cardiac arrest occurs, it is confirmed that CPR practice should be sufficiently performed in advance to improve the accuracy of cardiac pressure, and CPR should be performed when cardiac arrest patients occur by maintaining skills through steady retraining.
산업현장에서 소음이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에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단속음은 간헐적이고 불규칙한 소음으로 반복적인 음압 변화를 유발하여, 청각뿐만 아니라 생리적·심리적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단속음 이 인간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무소음 상태를 기준으로 75 dB, 80 dB, 85 dB의 단속음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뇌파 (Electoencephalography, 이하 EEG) 측정을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지표는 RA(Relative Alpha), RAB(Relative Alpha to Beta), RHB(Relative High Beta)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속음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RA는 0.42에서 0.16으로, RAB는 7.05에서 1.40으로 각각 약 62%, 80% 감소하였고, RHB는 0.13에서 0.17로 약 31%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강도 단속음이 신경계 안정성을 저해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킴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ESG 경영 차원에서 산업현장의 건강친화적 소음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소음 저감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ethodology and the corresponding results of an economic analysis, incorporating both costs and benefit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a smart on-board truck scale.The cost estimation was conducted based on direct expenditures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mart on-board truck scales. The benefit analysis was performed by evaluating the reduction in social costs resulting from the mitigation of overloading, includ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maintenance costs, traffic accident costs, and environmental costs. The economic analysis outlines the variables required for each phase of the smart on-board truck scale implementation, along with their reasonable value ranges. In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y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mart on-board truck scales,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impact of individual variables on the economic indicators was carried out through scenario analysis, focusing on key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vehicle service life, the service life of the smart on-board truck scale, and personnel expenses—each related to installation and operation—on the benefit-cost ratio (B/C) and net present value (NPV) was determined to be limited. In contrast, the overload crackdown rate exhibite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B/C and NPV, as it directly increased the number of vehicles contributing to measurable benefits. Notably, an increase in the discount rate led to a decrease in the values of both economic indicators. This outcome is expected, as the discount rate reduces the present value of future costs and benefits by increasing the denominator in the calculation. The introduction of smart on-board truck scales enables the achievement of economic feasibility in preemptive overload enforcement. Therefore, progressively expanding the number of vehicles equipped with smart on-board truck scales is essential to maximize their effectiveness in the near term.
본 연구는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정원 조성 및 관리 의향, 선호하는 정원 유형 차이를 확인하고, 정원 조성 의향 증진 전략을 제시하여 정원 설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4년 8월 12일부터 9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 중 부절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183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응답자의 특성으로 직업적 배경의 경우 관련 업계 종사자가 72명(39.3%)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시민 59명(32.2%), 전공학생이 52명(28.4%)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에 따른 정원 조성 의향 및 관리 차이에서 관련 업계 종사자와 전공 학생들이 일반 시민에 비해 정원 조성에 관심이 더욱 많았으며, 정원 관리에 사용하는 시간도 더욱 많은 시간 소요하고 싶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정원 유형으로는 “나무를 위주로 한 정원(64.0%)”, “이색적인 정원(60.6%”), “꽃과 채소, 과수 등이 같이 있는 정원(59.9%)” 순으로 긍정적 선호 비중이 높았으며, 부정적 선호가 많은 정원으로는 “단일 화종 위주의 정원(23.9%)”이었다. 정원 조성 의향에 미치는 선호하는 정원 선호 유형으로는 “한국식 정원”, “서양식 정원”, “토피어리 정원”, “수경 정원”, “나무를 위주로 한 정원”, “꽃과 채소, 과수 등이 같이 있는 정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PA 분석을 통한 정원 조성 의향 증진 전략을 위한 정원 유형으로는 “서양식 정원”에 적극적 자원 투자로 중점 개선해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efore the fire brigade arrives at the scene, the fastest way for occupants to suppress a fire is by discharging water through indoor hydrant outlets equipped with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s or motorized valves, as these systems are designed to open automatic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1) Regard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operation times, system A had the shortest activation time of 6.74 seconds after the fire signal, while system J recorded the longest time at 13.4 seconds. (2) For angle valves (older model), system A had the shortest operation time of 10.2 seconds, whereas system I recorded the longest at 17.8 seconds. (3) For angle valves (newer model), system A again had the shortest activation time of 10.2 seconds, while system I recorded the longest at 17.8 seconds. (4) For motorized valve operation times, system A had the shortest activation time of 3.81 seconds, and system I the longest at 6.55 seconds. The observed differences in operation times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ngle valves require manual operation by occupants, causing delays and slower valve opening, which increases activation times. In contrast,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s and motorized valves operate automatically, resulting in significantly shorter activation times.
Blow-up in jointed concrete pavements refers to a type of distress caused by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compressive stress within concrete slabs, primarily resulting from internal expansion and elevated environmental temperatures. This phenomenon frequently leads to slab buckling and is challenging to predict in terms of both timing and location, thereby significantly threatening the long-term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avement. In the present study, the pavement growth and blow-up analysis (PGBA) model was employed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timing of blow-up events in jointed concrete pavements. The model estimates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within the slab throughout the pavement’s service life using input parameters such as reliability, climatic conditions, pavement structure, material properties, and expansion joint configurations. Subsequently, the model compares the estimated stress to the threshold stress associated with blow-up to determine the likely time of occurrence.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a range of desig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annual maximum temperatur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SR, pavement thickness, geometric imperfection, and expansion joint spacing and width.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he predicted blow-up occurrence time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climatic conditions, pavement structure, material properties, and expansion joint characteristics, as considered in the PGBA model, collectively govern the timing of blow-up events. These findings offer critical insights for informing the design and maintenance strategies of jointed concrete pa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