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re concept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psychotherapy through the experience of psychotherapists by present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ir irrational belief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REBT counselors selected through an intentional sampling process, and then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Results: After an in-depth analysis of the meaningful statements of the study participants, six themes and fifteen sub-themes were extracted. The six themes were ‘self-hindering thoughts’, ‘environments that amplify irrational beliefs’, ‘war and struggle for the self’, ‘realization of life strategies’, ‘my big self (I) that consists of countless smaller selves (i)’, and ‘life is a continuous self-therapy’.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BT psychotherapists form their irrational beliefs through the overall evaluations of justification, exaggeration, and people that arise from important interactions with others, including their parents, and further reinforce these beliefs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compensation. These irrational beliefs led to evaluative judgment and self-discrepancy and negatively influenced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as well as their presence. These irrational beliefs internalized and transformed the rational beliefs that were confirmed through a debate on the separation between problems and people and, distancing, repeated self-talks, expanded from self-acceptance to others, and persisted through self-treatment methods
뮤지컬은 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들이 결합되어 있는 종합무대예술로써 무대 공간에서의 특 성과 함께 음악적 특성의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무대 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공간적 그리고 오브제 요소로 표현 특징을 분류하고, 주요 넘버의 장면 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무대의 공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음악적 특성과 공간 적 표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간결하고 단순하 지만 무대가 허전해 보이지 않는 공간적, 시각적 그리고 오브제의 요소들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 다. 음악적으로는 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주요 넘버에서는 서사를 전달하거나 인물의 심리나 갈등 그리고 상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무대에서는 상징적이고 건축적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극적 배경의 상황이나 시간 그리고 장소를 유동적이고 다의적 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이러한 무대 공간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은 무대에 있어서 절제적인 상징성을 나타내고 서정적인 선율을 가진 음악과 함께 프랑스 뮤지컬의 문학적 서사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였 다.
이 논문은 보컬의 변칙리듬의 활용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노래가 포함된 곡을 만드는 작곡, 작사, 편곡, 프로듀서, 보컬 등의 뮤지션이 좀 더 다양하고 독창적인 보컬 리듬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대표적인 퓨전재즈 보컬 알 자로의 앨범과 라이브 공연에서 사용된 변칙적인 리듬의 선율 및 스캣을 분석한 후 그루핑의 구조 관점으로 도 출해 본 음악의 박자와 변형된 박자의 구조를 한 눈에 비교하고 인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 과 <Spain>과 <Don't You Worry 'bout a Thing> 그리고 <Step By Step>은 한마디 안에 4분음표가 한 박의 길이를 가진 4분의 4박자 리듬 구조의 곡에서 4분음표와 8분음표의 길이가 합쳐진 그루핑 구조를 사용하였다. <Last Night>는 4분음표와 16분음표 길이가 합쳐진 그루핑 구조를 활용하여 보컬을 제외한 모든 악기가 한마디에 네 박으로 연주하는 리듬에서 변칙적인 그루핑을 적용하여 독특한 노래와 스캣이 만들어졌음을 도출하였다.
최근 중소기업 혁신 지원 전략이 시장 중심의 혁신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전환 되면서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정부 R&D의 세부과제 지원 유형 중 자유공모형 과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증가하고 있는 자유공모형 과제의 특성과 효과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실증분석을 통해 어떤 조건에서 자유공모형 과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 지는지, 성과 측면에서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시장수요 중심으로의 국 가 R&D전략 전환과 수요견인 혁신 관점에서 세부과제 지원 유형 중 자유공모형 과제의 특 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자원기반 관점으로 자유공모형 과제가 성과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그 후 로짓분석과 성향점수매칭법 등 실증분석을 통해 자유공모형 과제가 될 확률이 높아지는 과제 특성과 수행기업의 특성을 밝히고, 자유공모형 과제가 연구 비 1억원 당 더 많은 혁신 성과를 나타낸다는 결과를 얻었다.
선박 간 충돌사고의 원인 분석에서는 해당 사고에 적용되는 항법에 따라 책 임관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사고와 관련한 민사나 형사소송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선박충돌사고에 있어 항법 적용의 기본적인 원칙 은 중요하다. 현재 우리 해양안전심판원에서는 양 선박이 상당한 시간과 여유를 가지고 접근하여, “항행 중인 한 선박의 입장에서 상대 선박이 어떤 동작을 취하고 있 는지 파악하고 다음에 어떤 동작을 취할 것인지 예상할 수 있을 정도로 상당기간 침로 및 속력을 유지한 상태”에 한하여 항법규정에 명시되어 있는 일반적 인 항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 맞지 아니하여 일반적인 항법을 적용 하는 것이 적절하지 아니한 경우 선원의 상무 규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사고 수역이 무역항의 수상구역 등인 경우 「선박의 입항 및 출항 등에 관한 법률(이하 “선박입출항법”이라 한다)」의 항법규정이 우선 적용되며, 「선박 입출항법」에서 따로 정하지 않는 부분은 「해사안전법」상의 항법규정을 적용하 게 된다. 무역항의 수상구역 등을 제외한 우리 영해와 이와 접속한 수역에서는 「해사안전법」상의 항법규정이 적용될 것이며, 이 법률에 명시적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선원의 상무 규정이 적용될 것이다. 항법의 적용에 있어 항법 적용의 시점(始點) 문제는 중요하다. 항법 적용의 시점은 어느 지점에서 충돌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을 기준으로 하여, 최근접점까지 도달하기 15분전이 되는 지점 및 양 선박 간의 거 리가 3마일 이내가 된 지점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양 선박 간의 항법변경에 대한 합의는 양측이 시간적 여유를 두고 충분히 항 법변경을 약속한 상태에서만 인정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합의의 효과는 「 선박입출항법」과 「해사안전법」에 명시된 항법에 우선한다.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특성에 유의미 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는 연령, 근무기간, 고용형태이었으 며, 직무소진의 변수에는 학력, 근무기간이며, 직무만족도는 월급여, 학력이었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차이 를 가져오는 변수는 학력, 근무기간, 고용형태이었으며, 조직 몰입의 변수는 연령, 학력, 고용형태, 근무기간이었으며, 삶 의 질은 종사자의 학력, 고용형태, 월급여이었다. 따라서 장 애인생활시설에 다음과 같은 개선안이 요구된다. 첫째, 사회 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 및 처우문제의 개선이 요구된 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소진, 직무만족도, 심리 적 안녕감 등의 변인들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고 있기에 직무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셋 째,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 사자의 업무환경요인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사회복지종사자 의 삶의 질 향상은 클라이언트의 서비스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국내에서 유튜브가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로 다양한 CCM 영상 콘텐츠의 제작이 늘고 있다. 이제 CCM 영상 콘텐츠의 제작은 다양한 활동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는 국내 CCM 문화의 성장에 좋은 양분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관련 연구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생각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유튜브를 통한 CCM 영상 콘텐츠의 제작과 국내 CCM 문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대 이후 CCM 영상 콘텐츠를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였다. 국내 CCM 관련 콘텐츠 채널 중 2010년대 이후의 결성된 팀의 채널을 분류하여 다양한 기준을 통해 「J-US Ministry」와 「WELOVE CREATIVE TEAM」 그리고 「아이자야씩스티원(Isaiah6tyOne)」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채널의 콘텐츠와 음악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도출해낸 특성은 이러하다. 첫째, 온라인 콘텐츠의 특성이 활용되었다.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는 주제와 새로운 촬영기법을 활용한 콘텐츠가 제작 되었고, 무대 연출과 연행방식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둘째, 새로운 노랫말의 표현을 사용 하였다. ‘공감’이라는 일상적 단어와 ‘시간’과 ‘뚫다’라는 다른 개념의 단어가 혼합된 노 랫말을 사용하였다. 셋째, 기존의 형태를 벗어나는 음악적 시도가 있었다. 예배음악의 일반적인 음악적 특징에서 벗어나 5도 이상의 도약을 사용하였고, 2옥타브 솔#(G#)의 다소 높은 음의 사용 이 있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를 통한 국내 CCM 관련 콘텐츠 중 일부만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아쉬 움을 남긴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이 논문은 스캣을 구사하는 보컬이 다양한 리듬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마크 머피가 사용한 스캣의 리듬 그루핑을 분석하여 리듬 그루핑의 변칙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 졌다. 재즈 보컬 마크 머피는 캐스린 아이린 레이드(Kathryn Irene Reid)가 진행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즉흥 연주 스타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악 연주자가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라 고 하였으며, 자신의 음악 스타일을 발전시키고 훈련하기 위해 레스터 영(Lester Young)과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 등 많은 재즈 뮤지션의 음악을 듣는다고 했다. 이같이 머피는 비밥 전 통에 기반을 두고 음악을 확장시키는 자신만의 개별적인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머피의 솔로는 흥 미로운 멜로디 아이디어와 다양한 코드 톤 및 확장을 사용하여 균형을 이루고 자신만의 독특한 스캣 음절과 창의적인 리듬 패턴을 만들어 냈다. 연구 방법은 스캣 리듬을 그루핑의 관점으로 보 기 위해 머피의 스튜디오 앨범과 라이브 공연 앨범에서 사용된 리듬 중 변칙적으로 표현된 독특한 스캣 리듬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곡에 적용된 리듬 그루핑의 변칙 구조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머피의 스캣 리듬은 곡의 기본 박자에서 벗어나 8분음표 두 개 길이의 패턴, 한 박 리듬 과 8분음표의 3연음 중 2개의 길이를 더한 패턴, 6박과 5박의 패턴 등 다양한 리듬의 변칙 그루핑 구조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적용하였으며 독특한 리듬 구조가 이루어진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 역량과 관련된 176개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국내외 기관·학술자료·도서 등의 선행연구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통제 및 범주화 작업을 거쳐 최종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학계와 산업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과 '창의성', '협업 능력'에 대한 역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학계에서는문제 해결과 문제 발견이 업계에서는 ICT 기술과 융합적 사고력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결 중심성에서는 의사소통과 창의성역량이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높은 중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 학계에서는 의사소통, 문제 해결, 창의성, 협업 능력, 문제 발견 역량이, 산업계에서는 창의성, 자기주도성, 유연성, 리더십, 문제 해결이 상위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요구되는 역량들을 학계와 산업계를 기준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역량 간의 관계성을 확인함으로써 추후역량 연구의 방향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