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6

        42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컴퓨터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현실세계의 모습을 점점 더 충실하게 구현하고 있는 컴퓨터 게임은 우리로 하여금 게임의 궁극적인 미래모습은 어떤 것이 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컴퓨터 기술 의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컴퓨터 게임과 현실세계와의 차별성은 머지않아 사라질 지도 모른다. 본 논문은 컴퓨터 게 임환경의 관점에서 영화 매트릭스에서 제시된 수준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는 가상현실의 문제를 다룬다. 논의를 전 개함에 있어 먼저 미래의 일어날 컴퓨터 게임의 진화과정을 전망하고, 이와 관련하여 Bostrom의 “시뮬레이션 논쟁”에 대한 비판적 논점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 논쟁에서 가정하는 자질독립(substrate-independence) 가설의 문제점을 지적하 며, Bostrom의 조상-시뮬레이션과 관련된 세 명제에 대해 대안 명제를 제안하고 그 함의를 고찰한다.
        4,000원
        422.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based on a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the Korean novel. To achieve this, food characteristics related to 'rites of passage' were analyzed in the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work "Hon-bool", which describes the life of a first-son's wife every three generations in the going to ruin but historic 'Lee's family of Maean district' family and the life of the common 'Geomeong-gul' people who lived with farming on the Lee's land at Namwon of Junbook province in the 1930~194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Every nation possesses rites of passage at important points in life, such as at birth, age of majority, wedding and death.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has several memorial rites relating to birth, death and passage into the afterlife in which special foods are prepared. In this manner, ceremonial foods represent the Korean peoples' traditional vision of the universe and life. The book "Hon-bool" describes these traditions. Especially, the book describes the table-settings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s childbirth, first birthday, wedding and death. Therefore "Hon-bool" represents a living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he work of storytelling through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is expected that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making of cultural contents of Korean foods.
        4,300원
        42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sixteen Xylotrechus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are recognized, including a newly recorded species, Xylotrechus pavlovskii Plavilstshikov, 1954. We present brief descriptions of the Korean Xylotrechus species, except four species which could not be examined in this study. The geographic distribution, host plants, illustrations for each species, and a key to the Korean Xylotrechus species are provided.
        4,600원
        42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Ranque-Hilsch vortex tube is widely used for the local cooler of industrial equipment for special purpose. Although many studies on energy extraction in the vortex tube using air as the working fluid have been made so far, a few experimental studies treated solid particles extraction for incompressible fluid. So,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solid particles extraction in the vortex tube(Ranque-Hilsch vortex tube) using the water which is essentially an incompressible fluid is presented.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various cold end orifice diameter ratios ranging from 0.25 to 0.70, the input pressure ranging from 1 to 3MPa was considered. The emphasis was given to examine the effect of geometry factors of vortex tube at working fluid(water) for solid particles(Al2O3) extraction. The optimum geometry factor and inlet pressure for the maximum solid particles extraction was found that the smaller cold end orifice diameter ratio and the higher inlet pressure in experimental condition increase.
        4,000원
        426.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I compared and analyzed the ‘factors of style’ that expresses and visualizes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the characters from three movies each that was filmed with Kang Ho Song and Keong Ku Seol who acted in many movies both. As the result, for the factors for actors’ makeup design, since they have limited choices of textures, colors, and the range of changes, changing the tone of skin to light to dark implied the images of characteristics. Somewhat dark skin tone that was like tanned skin expressed the life style of the character who works for an active profession not for an intellectual position. For the factors of hair style, medium sized wavy hair that goes straight down forehead expressed the character’s familiar and informal personality while short cut sized all back style hair expressed confidence, sociality, and logical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The actors’ costume was important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such as changes of their mind, especially the costumes delivered symbolic meanings of the role of their social class, profession, and their financial state. In addition, there were common factors to create and design a character in terms of the changes of the actors’ body shape; when the actor acted the character who has conflicts inside and sarcastic personality, they lost weight on purpose while they gained weight and made a barrel shaped body to act the character who is positive in every occasion and does not realize the real world or who is greed.
        4,600원
        427.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中國因爲在社會主義時期不能形成眞正的女性話語,所以新時期開始了,很快就恢復了以男性爲主的秩序,女性的社會作用與地位狹小了,對女性的視覺與認識也退步了。這些現實可以通過電影裏的女性形象看出,隨着新時期的進展,女性從公共領域移到私人領域,淪爲性慾的對象。從性與性別的角度來看,可以分成三種類型:性別的共有與性的恢复、性別的交叉與性的顚覆、性別的固定與性慾的强調。就是说,進入新時期,女性恢復了自己的性,而被該完成男女性別的壓迫感受到痛苦。女性屬於公共領域同时被母親的作用受壓迫。政治領域也變成個人和經濟領域,從此可以看到消弱國家意識形態而逐漸重視物質條件的社會變化。另外,女性在發揮男性作用之時穿男裝而在發揮女性作用之時穿女裝,就展示性別的交叉與性的顚覆的形態。這在區分男女和按照性規定性別,表現爲徹底阻擋女性的社會活動和造成性認同的混亂。前两類是給女性許容她們出入性和性別的範圍,而性別的固定與性慾的强調這類型意味着女性只能遂行女性作用,女性爲男性存在。所以强調對女性的性慾。另外這些女性塑造爲坏女人的形象,這也就是反映女性成爲性的消費對象,同時反映女性的成長。可是爲了纠正新時期以后重返的以男性爲主的秩序,女性找到自己眞正的座位,就需要和中國社會的發展一起,應該形成眞正的女性話語和進行對女性問題的認眞的摸索。
        5,400원
        42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April 2008 to January 2009, a total 458 raw milk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15 stock raising farms located in northern area of Kyunggi province and cultured for the presence of Enterococci spp. A total 170 enterococcal isolates were recovered from the raw milk samples. Enterococcus faecalis was predominant species recovered (64.7%), followed by E. faecium (18.8%), E. avium (5.9%), E. gallinarum (5.9%) and E. durans (4.7%).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170 Enterococci spp. against ampicillin, erythromycin, tetracyclin, chloramphenicol, vancomycin, ciprofloxacin and streptomycin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y showed high level resistance to erythromycin and streptomycin (82,9% and 93,5% respectively), moderately resistance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and tetracyclin (50%, 45.9% and 32%, respectively) but fortunately, vancomycin and ciprofloxacin are still effective against this species.
        4,000원
        43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lant-parasitic nematodes and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ematode species in citrus fruit orchards in Korea from April to August, 2008. Plant-parasitic nematodes were found in 139 among 178 soil samples. Tylenchulus semipenetrans was collected from 85 out of 94 Citrus unshiu orchards examined (90.4%). C. junos orchards infested with T. semipenetrans were 60 out of 84 (71.4%). However, proportion of dominant species between the two was different. At domestic Citrus orchards, it proved that T. semipenetrans was the most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 from this study. The overall frequency of the plant-parasitic nematod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ultivation years. More alkaline soils tended to harbor more T. semipenetrans.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was very low.
        4,000원
        43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ly recorded species of Philostephanus Distant, 1909 from Korea, P. ulmi (Kerzhner, 1979), is reported with brief taxonomic notes on the Korean Philostephanus species. Morphological keys of the Korean Philostephanus species are provided with the photos of adults and female genitalia for each species.
        4,000원
        43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Atractomorpha Saussure in Korea is presented. Two species are identified, Atractomorpha lata (Motschulsky, 1866) and a new record A. sinensis Bolívar, 1905 which is reported from the far southern islands in Korea, Gageo-do and Jeju-do. A key, descriptions, habitus photographs of adults, and distributional information are provided.
        4,000원
        43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속(Lentinula )에 속한 종들의 배양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국내 미기록종인 L. aciculospora, L. boryana, L. raphanica 3균주와 대조군으로 국내 기록종인 L. edodes 1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L. edodes 균주는 ME1배지에서 91.8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4℃,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국내 미기록종인L . aciculospora 균주는 PDA 배지에서 36.5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두 번째 L. boryana 균주는 MCM 배지에서 55.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7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Urea,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L. raphanica 균주는 ME1 배지에서 70.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8℃, 최적pH는 5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Sucrose와 Potassium nitrate,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4,000원
        43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Lagria Fabricius is presented. Two species are identified: Lagria nigricollis Hope and a new record, Lagria rufipennis Marseul. A key, description, habitus photographs of adults,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4,000원
        436.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자개는 어린이들의 순수한 세계를 한없이 사랑하고 아꼈다. 어린이에 관한 그림을 많이 그리며 그 속에 자신의 꿈, 희망, 갈등, 불만, 문제점들을 투사하였다. 어린이 그림을 통하여 인간성, 사회의 모순, 교육 제도 등을 비판하였고 어른들의 세계에서 실망할 때마다 동심의 세계를 그렸다. 어른들의 언어로 소통하기 힘든 부분을 어린이의 시선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관점과 시각을 제공했다. 풍자개가 살았던 시대가 힘들었던 만큼 순진무구한 동심의 세계를 그리며 꿈과 희망 및 소망 사항들을 표출했다.
        6,100원
        43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hinacea 청정대량생산을 위해 재배환경조절이 강한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Echinacea 뿌리와 잎 생산에 적합한 수경재배 시스템을 선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작물은 E. angustifolia DC. 와 E. purpurea (L.) Moerch이며 NFT, modified NFT, DFT, aeroponics, Ebb & Flow등 5가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150일간 실험하였다. 120일 수경재배한 두 종 모두 광합성 및 증산률은 Ebb & Flow 시스템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정식 후 150일 째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E. angustifi이za의 경우 분무경과 DFT에서 높았고, E. purpurea는 분무경과 NFT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E. angustifolia와 E. purpurea는 분무경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NFT에서 높았다 두 종 모두 뿌리의 길이는 두 종 모두 NFT 및 Ebb & Flow 시스템에서 높았고 분얼수는 E. purpurea가 분무경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Echinacea의 바이오매스 확보를 위한 수경재배 방식으로 광합성과 지상와 지하부 생육량이 E. angustifolia 와 E. purpurea 모두 높았던 분무경 시스템을 선발하였다.
        4,000원
        43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소비자들은 자연식품, 저칼로리식품 그리고 유기농 식품을 선호하여 이러한 식품군에 속하는 버섯류의 소비량 또한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느타리버섯은 소비자들이 많 이 찾는 대중적인 버섯류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버섯류가 암, 뇌졸중 및 심장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개선한다고 보고 함에 따라 버섯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성인 병, 만성퇴행성 질환, 노인성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분야 의 연구와 더불어 천연물질 중 암 예방 성분이나 생리활성 조 절물질(Biological reponse modifier: BRM)및 식품 중 기능 성 성분을 밝혀내어 이를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해 활용하 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Pleurotus 속 버섯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비교분석은 이러한 연구 중 하나이다. 품종별 느타리버섯의 생리활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미 노산성분을 분석하고 Polyphenol ,β-glucan 함량을 계산, 그 외에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항혈전, 항당뇨, 항염활성 을 측정해보았다. 13종의 서로 다른 품종끼리도 그 속은 같 으나 실험별로 다른 활성능을 보였으며 신품종 중에서도 노 랑느타리버섯이 모든 실험에서 뛰어난 활성능을 보였다. 아 미노산 측정에서는 전반적으로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필수아미노산 성분 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품종 에서 20 mg% 함량이상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영지버섯보 다도 높은 함량이며 특히, 노랑느타리에서는 목질진흙버섯 에 들어있는 함량과 비슷한 양으로 31.13±0.82 mg%로 가 장 많은 함량을 기록했다. 항산화 실험은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방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일 반품종에서 대부분이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으나 노랑느타 리에서는 IC50값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항산 화제인 Vit.C(10 mg/ml)와 비교했을 때 10-1배정도의 값 을 나타내는 것으로 좀더 짙은 농도에서는 더 높은 항산화활 성이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면역기능부분에서는 β -glucan 함량 측정을 하였다.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루칸 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 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 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 성을 촉진시킨다. 면역성분인 β-glucan 함량 측정에서는 Yeast control 함량이 59%일 때 노랑느타리에서 37.67± 0.2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 외에 원형1, 장안 PK에서 각각 28.75±0.61%, 27.95±0.33%의 순으로 높은 순을 기록했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정상세포인 고환세포 와 신장암세포를 실험한 결과 노랑느타리 1°brix 농도에서 암세포에 대해 36.9%, 1.5°brix 농도에서는 42.9%의 세포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정상세포에서도 9%정도의 적은 세포 독성이 측정되었으나 암세포에 대한 독성능에 비해 미미한 수치라 여길 수 있다. 항고혈압 활성실험에서는 혈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ACE 에 대한 활성억제율을 측정하였다. 고혈 압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는 관상동맥질환과 심 근경색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neyrohomonal effect 에 의해 혈관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심혈관계 질 환에 효과를 나타낸다.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 과 Cheung 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 하였다. 노랑느타리 1°brix 농도에서 60.5±0.2%의 저해율 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captopril 과 비슷한 수치였으며, 그 외에도 흑평에서도 약56%, 여름 에서 약50%정도의 비교적 높은 저해율이 측정되었다. 항 혈전 실험은 혈전용해활성을 이용하였다. 혈전의 초기단계 는 상처부위의 과도한 지혈작용과 혈관내피세포의 손상 등 의 원인에 의해 혈소판이 점착, 활성화, 응집되면서 시작되 며 활성화된 혈소판의 막에 존재하는 GP IIb/IIa 수용체와 fibrinogen 이 결합하여 혈소판 응고가 촉진된다. 혈전용해활 성은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Positive control 로는 혈전용해효소인 plasmin(1U/ ml)과 용해면적을 비교하여 활성능을 계산하였다. 3°brix 농도에서는 전부 50%이상의 용해활성을 보였으며 노랑느 타리에서 거의 Plasmin과 동등한 활성을 기록했다. 한편, 항 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 행하였다.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대부분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약물에 대한 연구는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제어 할 목적으로 전분분해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 며 이에 따라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 해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해 버섯시료가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 도를 측정하였다. 항당뇨 실험에서는 소장점막내 효소 중 α -glucosidase complex 를 구성하는 glucoamylase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므로써 단당류의 소화 지연도를 측정하였다. Positive control로는 탄수화물의 소화흡수를 방해하여 식후 혈당상승을 방지하는 acarbose를 사용하였는데 그 활성은 66%정도 측정되었으며, 노랑느타리에서는 50.5±0.8%의 효소저해율이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항염 실험은 다음과 같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획득면역 등 다양한 숙주반응에 관여하여 항상성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반응 시에는 nitric oxide 와 cytokine 을 생산하 여 감염초기에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독소로 알 려진 lipopolysaccharide 는 그람음성균의 세포외막에 존재 하며, RAW264.7 과 같은 macrophage에서 염증매개물질들 을 증가시킨다. 항염활성에서는 Nitric oxide 의 생성을 억제 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노랑느타리에서 68.4±0.3%가량 의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모든 생리활성실험을 측정한 결과 느타리버섯품종 18종중 노랑느타리가 비교적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노랑느타리는 건강에 유의한 영양물질을 보유하고 있 을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에 대한 탁월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의약품 및 건강기능 성식품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44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 사용한 균주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에 보존 중인 왕송이버섯균 (Tricholoma giganteum )으 로 제주도에서 수집된 MKACC 50853을 포함하여 총 4균 주이다. 왕송이버섯 수집균주의 계통구분을 위하여 Zolan 과 Pukkila(1986)이 사용한 DNA추출법을 인용하여 균사 체에서 DNA를 추출한 다음 #OPC8 등 10mer OPERON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왕송이버섯의 재 배 체계를 확립하고자 폐면과 톱밥배지를 사용하여 상자재 배와 봉지재배를 실시하였다. 상자재배는 면적 0.8㎡ 상자 에 1,000ml 크기의 톱밥종균 4병을 반으로 쪼개어 넣은 다 음 양송이용 복토를 덮어 25℃에서 배양하였다. 봉지 재배는 67%로 수분이 맞춰진 폐면을 약 2kg 씩 충진하여 121℃에 서 90분간 살균한 후 접종하여 25℃에서 배양하였다. 왕송 이 발이 후에는 자실체 생육 환경을 구명하고자 재배사의 습 도를 60%이하, 80%이상으로 유지하여 초발이소요일수, 자 실체 형태, 균사생장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봉지재배를 통 하여 폐면, 밀기울 등 배지종류 및 첨가제를 달리하여 재배한 후 수량, 초발이소요일수, 자실체 형태를 조사하였다. 왕송이 버섯의 교잡주 확보를 위하여 MKACC 50852 와 50853의 단포자를 수집하여 PDA배지에서 배양을 하였다. 증식된 단 포자에 각각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이들 두 균주의 단포자 간에 mono-mono 교잡을 실시하였다. 교잡 후 얻어진 교잡 주는 850ml 병에서 미송 40% + 포플라 40% + 미강 20% 비율로 혼합 충진한 배지에서 병재배를 통하여 수량, 초발 이소요일수, 자실체 형태를 조사하였다. 이 중 선발된 우수 교잡주는 다시 병재배를 통한 2차 검정으로 최종 우수 육 종 모본을 선발하였다. 수집된 MKACC 50852 등 4개 균주 의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일본 에서 수집한 MKACC 50852균주와 인천에서 채집한 자생균 주인 MKACC 53368간에 높은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제주 도에서 채집한 MKACC 50853은 태국에서 수집한 MKACC 53359와 높은 유연관계를 보였다. 왕송이버섯의 인공재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봉지재배 및 상자매몰 재배를 비교 실 험한 결과, 봉지재배가 상자재배보다 초발이소요일수가 빨 랐으며 발이정도에서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균주별 자 실체 발생에서 MKACC 50852 및 MKACC 53368는 버섯 이 발생되었으며, 그 외의 균주는 버섯이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MKACC 50852는 자실체의 품질 및 발이율이 가장 높 았으며 복토 후 균상생장도 양호하였다. 왕송이버섯의 재배 사내 습도별 자실체 생장율은 발이 후 습도를 80%이상 유 지시, 자실체 생장율이 좋았으며, 복토 후 균사생장 완료전 약 70% 정도 균사 생장시, 하온 처리에 의한 발이유기가 효 과적이라고 생각되며, 발이유기 및 자실체 생장시 주야간 온 도편차 유지가 가능하고 환기가 용이한 재배사가 적절하다 고 판단된다. 또 한, 폐면 및 톱밥배지를 사용하여 상자재배 와 봉지재배시 미강, 밀기울 등 첨가제를 각각 3, 5, 7%씩 처 리하여 자실체발생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 첨가제 중 미강 처리구보다는 밀기울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 며 배양기간과 발이기간도 단축되었으나, 수량은 폐면 단용 구에 비해 낮았다. 균주별로는 MKACC50852 균주가 폐면 단용구에서 발이 및 수량(455g/봉지)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MKACC53359는 비록 수량은 낮은 편이었으나 처리별로 고 른 발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왕송이버섯 자실체 발생을 위해서는 첨가제의 종류보다는 재배환경요인이 더 큰 영향 을 준다고 판단된다. 왕송이버섯의 우량품종을 개발하기 위 하여 MKACC 50852와 MKACC 53359의 자실체에서 단포 자를 분리하고 단포자 분리주간 교배를 실시하여 MKACC 50852-1× MKACC 50853-4 등 423개의 교배조합을 얻 었다. 이들 단포자 교잡이 된 균주들의 톱밥 병재배(포플라 40%+미송 40%+미강 20%)에서 생산력 및 자실체 품질검 정을 실시하여 W-149, W-206, W-305등 품질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생산력 검증시험을 통하여 이들 중 W-305를 ‘백련’으로 명명하고 품종등록 하였다. 국내최초 송이 속(Genus) 왕송이 교잡품종 ‘백련’ 육성 장갑열, 전창성, 공원식, 정종천, 이강효, 신평균, 박윤정, 유영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일반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