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2

        42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확산강조영상은 골격근 손상이 있을 때 조기에 근육의 신호강도 변화를 알 수 있고 양성과 악성 척추 압박골절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다고 보고 되고 있지만 질환에 따른 현성확산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ADC)의 연구는 많이 보고 되고 있지 않다. 이에 단순 압박 골절과 전이성 척추암이 b value에 따라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b value 0 400,1400(s/mm²)를 이용하여 각각의 Signal Intensity의 표준화된 값과 물 분자의 확산 정도를 수치화 하는 ADC, 그리고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SNR)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3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MR판독에서 단순복합골절과 전이성 척추암을 의심하는 환자 중 전자의무기록상 확정된 환자로 두 질환 별로 11명씩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연령은 각 질환 별로71.2, 56.6세다. 검사장비는 1.5 Tesla Achieva MRI시스템과 Syn-Spine Coil를 사용하였다. Sequence는 DWI SE-EPI Sagittal(Diffusion Weighted Imaging Spin Echo-Echo Planar Imaging Sagittal)영상으로 TR(ms) 1988, TE(ms) 68, FOV(mm) 300, Mat. 128×128, Thk.(mm) 4, Gap(mm) 0.4, Slice 13, b-factor(s/mm²) 0,400,1400의 Parameter를 이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확산강조영상 b value 0(s/mm²) 영상에서 SI(Signal Intensity)가 높은 질환 부위에 ROI(Region of Interest)를 잡았고 정상부위는 질환부위 바로 위에서 측정하였다. MRIcro Program을 사용하여 b-value 0, 400, 1400(s/mm²)의 영상으로 각각의 SI를 구하였고 b-value의 각 영상을 가지고 Metlab Software를 이용하여 ADC map을 구하여 이 영상을 가지고 MRIcro Program을 사용해 동일한 위치에 ROI를 적용하여 ADC를 구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첫째 두 질환 별로 b value 0 기준으로 400, 1400(s/mm²)의 SI를 표준화하여 비교 분석하였고(SI400/SI0, SI400/SI0) 둘째 두 질환의 정상부위와 질환부위의 ADC와 SNR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의 유의성은 MS Excel 의 T-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단순압박골절의 표준화 값(SI400/SI0, SI400/SI0)은 0.47±0.04, 0.23±0.03이고 전이성 척추암의 표준화 값 (SI400/SI0, SI400/SI0)은 0.57±0.07, 0.32±0.08로 나왔고 두 질환 별 표준화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p<0.05). 단순압박골절 질환부위의 b value 400(s/mm²)과1400(s/mm²)에 대한 ADC(mm²/s)는 1.70±0.16, 0.93±0.28이고 전이성 척추암은 1.24±0.21, 0.80±0.15로 측정되었다. 두 질환에서 b value 400(s/mm²)에 대한 ADC(mm²/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나(p<0.05) b value 1400(s/mm²)에 대한 ADC(mm²/s)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단순압박골절과 전이성 척추암 질환부위의 b value(0/400/1400(s/mm²) 에 따른 SNR 보면 65.61±2.61/36.32±2.92/20.22±2.16, 48.40±2.72/39.27±7.51/23.02±6.25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위 연구는 본원에서 검사하고 있는 b value 0,400,1400(s/mm²)을 이용하여 연구를 하였으며 b value 400(s/mm²)에서 두 질환에서의 표준화 된 값과 현성확산계수의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병행하여 확산강조영상의 현성확산계수를 가지고 다양한 척추 질환에 적용시킨다면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 거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다양한 b value를 적용하지 못했고 성별, 나이, 각 질환의 병기 및 시기, 전이암의 최초 발병 부위를 정립하지 않았으며 측정 부위를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이 아닌 단순히 b value 0(s/mm²)에서 고신호 강도가 나오는 곳의 데이터로 결론을 도출한 점은 앞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42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T1 조영제는 mol 농도의 희석 정도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 최대의 신호 강도를 나타내며 특정 Sequence에 따라 신호 강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Brain metastasis 환자를 대상으로 조영 증강 전, 후 FLAIR 영상에서 조영 증강 여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9월 10일부터 2014년 2월 10일까지 본원을 내원한 Brain metastasis 환자분 중 20명(남자 9명, 여자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비는 SIEMENS Verio 3.0T, 12channel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조영 전 3D FLAIR 영상과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영상, 조영 증강 후 10분 지연 3D FLAIR 영상을 획득하였다. FLAIR영상의 영상 변수는 TR:9000ms, TE:411ms, TI:2500ms, Matrix:256×256, Slice thickness:1mm, NEX:1, FOV:250×250, Scan time:5분3초로 검사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분석은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영상에서 Hyper intensity를 보이는 Lesion부위에 ROI를 설정하여 측정하였고 SNR, CNR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된 값을 통계학적 분석인 Paried T-test STATA 10.0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 결과 조영 전 3D FLAIR 영상과,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영상,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에서 평균 SNR값은 각 114.67, 55.51, 116.3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영상에서 평균 CNR값은 각 33.37, 262.24, 75.35 등으로 나타났다. 육안으로도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에서 Lesion부위의 대조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Bone metastasis 환자군에서 조영 전 3D FLAIR 영상에서의 평균 CNR값은 54.3,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의 평균 CNR값은 59로 나타났으며, Parenchyma metastasis 환자군에서 조영 전 3D FLAIR 영상에서의 평균 CNR값은 35.98,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의 평균 CNR값은 98.49로 나타났다. Paried T-test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CNR값은 조영 전 3D FLAIR영상,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조영 증강 후 3D FLAIR 세 그룹 간에 모두 유의 하였다(P<0.008). 결 론 : MRI 조영제는 mol 농도가 희석되는 10분 영상에서 최대 신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조영 전 3D FLAIR 영상에서 보이지 않는 Lesion이 10분 지연 영상인 조영 증강 후 3D FLAIR영상에서 발견할 수 있었고 Brain Bone metastasis 환자군 보다는 Brain Parenchyma metastasis에서 큰 CNR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을 Brain Parenchyma metastasis에서 적용함으로서 Lesion Detection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Prostate MRI BOLD 영상에서 T2 star relaxometry fitting tool 수치를 구한 후 Cancer 구별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본원에서 Prostate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Cancer로 판명된 40명과 Cancer외 질환으로 판명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나이는 61.3세였다. 장비는 Archiva 3.0T(Philips Medical System, Nederland)와 32Channel Torso-cardiac coil을 사용하였으며, BOLD sequence 조건은 FOV 200, TR/TE: 260/5.0, Matrix: 132 × 111, Thickness/gab: 5/1, NSA: 1로 하였고 Echo를 8, 12, 16, 20으로 하여 검사하였다. Cancer 판명과 Cancer 외의 판명 그룹으로 나눠 T2 star fitting tool을 이용하여 T2 star relaxometry의 수치를 구하였고 통계는 SPSS 12 Version을 이용한 검정 방법으로 One way ANONA와 다중비교, Bonferroni를 이용했다. 측정부위는 Prostate 전체부위로 설정하였다. 결 과 : Cancer 환자와 Cancer 외 환자그룹의 영상에서 T2 star relaxometry 수치 값은 8, 12, 16, 20 Echo 모두에서 Cancer 환자의 수치가 전부 높게 나왔다. 평균값은 116.075와 51.85로 두배 이상 수치 값으로 나왔다. SPSS 통계를 통해서도 Cancer 환자그룹과 Cancer 외 환자그룹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p<0.01). Cancer 환자그룹에서는 16 Echo 평균에서 118.67로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났으며 8 Echo평균에서 113.24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Cancer 외 환자그룹에서는 8 Echo에서 52.42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12 Echo에서 50.69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각 Echo별 ROI설정 내 조직 T2 star 값은 Cancer환자 그룹이나(p=0.672) Cancer 외 환자 그룹 (p=0.083)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두 그룹 내 Echo별 모든 검사에서는 T2 star relaxometry 수치 값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Echo별 구분은 의미가 없었으며 Cancer 그룹과 Cancer 외 그룹 간 차이에서는 T2 star relaxometry 수치가 차이가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Cancer 유무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4,000원
        42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기존 Single RF source에서는 환자의 해부학적 차이에 따른 영상신호의 불균형으로 인해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최근 이를 개선하고자 dual RF source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dual RF source 사용 시 필요한 B1 calibration scan의 호흡방법 변화에 따라 영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복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14명을 대상으로 검사장비는 Archieva 3.0T TX(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호흡을 실제 검사와 동일한 expiration, 변형한 방법인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하는 방법으로 B1 calibraion scan을 각각 실시하여 호흡방법의 변화에 따라 B1 calibration scan 후 3D dual echo, e-THRIVE sequence/Axial 영상을 획득하였다. 평가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liver를 9개 구역으로 나누어 SNR과 CNR을 비교 측정하였고, 정성적 평가방법은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homogeneity와 background noise 발생 정도를 3점 척도로 상대평가 하였다. 평가된 값은 Wilcoxon signed rank test(SPSS 18.0K for windows)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는 expiration, Free breathing, inspiration 일 때 3D dual echo의 SNR은 251.05/167.07/183.53, e-THRIVE 161.08/117.22/128.38로 나타났고, CNR은 3D dual echo에서 73.68/56.4/55.69, e-THRIVE 62.61/40.34/35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는 3D dual echo 2.30/1.76/1.94, e-THRIVE 2.56/1.46/1.98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은 expiration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5),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 론 : 실제 검사와 동일한 호흡방법인 expiration으로 B1 calibration scan을 하였을 때 3D dual echo와 e-THRIVE에서 영상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호흡방법으로 실시한 경우에는 SNR과 CNR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영상의 질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MRI 검사 시실제 검사방법과 동일한 호흡방법으로 얻은 B1 calibration scan이 보다 진단학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구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42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MRCP)에서 관상면(Coronal plane)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최적의 b-value 값을 영상분석으로 산출하고, 축상면(Axial plane) 확산강조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장비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은 b-value(0s/mm², 400s/mm², 800s/mm²)값을 다르게 하여 관상면 single-shot echo-planar diffusion weighted image(SSEPDWI)로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의 매개변수는 TR/TE : 1280/ 60msec, Slice Thickness/Gap : 5/2mm, FOV : 220x220x220mm³, Matrix : 92x124, NEX : 3, EPI factor : 33, Acquisition Time : 3min로 하여 조영 후 영상을 얻었다.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을 Philips사의 EWS(Extended MR workspace 2.6.3.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b-value 마다 총담관 및 담낭과 주변조직인 간 실질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를 산출하였다. 더불어 현성확산계수 영상(ADC map)을 통해 정량적 분석과 함께 정성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v12.k을 사용하여 ANOVA와 Pair T-test 통해 검증하였다. 결 과 :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b-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총담관과 담낭의 경우 대체적으로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 현성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담관 종양과 담낭 결석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b-0와 b-400의 차이가 적었으며 일부에서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신호 대 잡음 비 평균값은 b-0에서 담낭이 407.9로 가장 컸으며 b-400에서는 이보다 조금 낮은 304.0이 나왔다. 대조도 대 잡음 비에서는 b-400과 b-800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b-800보다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현성확산계수 평균값은 b-value 값이 증가할수록 ADC 평균값은 약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b-0는 확산경사자장이 인가되지 않은 영상이므로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b-800보다 b-400의 신호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에서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은 총담관, 췌관 및 담낭 등의 해부학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의 진단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적정한 b-value값이 적용 된다면 축상면 확산강조영상과 함께 기타 복부검사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기에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2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초급성기 뇌경색의 진단과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의 과정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확산강조 자기공명 영상은 인체 내 세포의 미시적인 확산운동의 차이를 영상의 대조도 나타내기 위해서 초고속 영상 기법인 EPI sequence를 사용한다. 하지만 인체의 해부학적 자화감수성 차이는 고속영상기법에서 영상의 왜곡과 artifact를 발생시켜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떨어뜨린다. 이에 본 논문은 자체 제작한 phantom을 이용하여 EPI 기법에 기인한 확산강조영상의 영상왜곡과 artifact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알아보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Brain DWI 검사 시 artifact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인 sphenoid sinus와 brain stem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phantom을 제작하였다. Single shot SE EPI sequence를 이용하여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시 phase encoding 방향과 fat shift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 내의 artifact의 발생 양상과 그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SENSE factor 1에서 5까지 변경하고, RFOV를 100%에서 60%까지 10%씩 줄여가면서 artifact의 발생기전과 감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된 장비는 Philips medical system의 Achieva TX 3.0T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8 channel sense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Scan parameter는 FOV 256mm, measurement matrix 128×128, slice thickness 2mm, gap, 0mm 총 74개의 단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 과 : EPI 기법으로 기인한 자화감수성 artifact와 영상왜곡은 영상단면의 phase encoding 방향을 따르고, 하나의 단면 내에서는 낮은 주파수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또한 slice selection gradient에 따라서도 변화하였다. 확산운동의 민감성에 관여하는 확산경사자장의 세기는 artifact의 발생과 크기에 관계하지 않고 영상의 SNR과 관계하였다. 자화감수성 artifact의 감소방안은 sensitivity encoding, RFOV 기법과 같은 수집하는 영상 신호의 숫자를 감소시키는 기법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었지만, 이에 따른 SNR의 저하와 추가적인 artifact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EPI sequence에 기인한 artifact의 감소를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artifact 발생을 고려해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최근 확산강조영상은 뇌 질환에서 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른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생하는 artifact의 발생기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한다면, 보다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42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신호대 잡음비는 자기공명영상 장치의 성능과 영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두 영역 측정방법은 측정방법이 간단하고 시간이 짧기 때문에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 적용 시 두 영역측정방법에 의해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의 정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장비는 Philips 3.0T MRI(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과 transmit receive head coil, SENSE 8 channel head coil을 사용하였으며 MR sequence는 spin echo T1, T2 강조영상을 사용하여 축상면으로 ACR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 AAPM, NEMA, Philips에서 제안한 측정방법,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 적용 시 두 영역 측정방법의 신호대 잡음비 측정 조건에 따라 T1, T2 강조영상을 각각 30번씩 획득하였으며 Image J를 사용하여 각 영상의 동일한 위치에서 ROI 크기를 10 mm2으로 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T1 강조영상의 경우 AAPM에서 제안한 방법이 가장 균일한 신호대 잡음비를 나타내었으며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과 NEMA는 10% 내외의 상대 표준 편차를 가짐으로써 균질한 값을 보였다. 하지만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을 적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표준 편차를 보여 각 실험마다 신호대 잡음비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NEMA와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에 비해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한 각각의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T2 강조영상의 경우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 AAPM, NEMA, Philips 모두 10% 내외의 상대 표준 편차를 가져 균일한 SNR을 나타내었지만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을 적용한 두 영역측정방법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표준 편차를 보여 신호대 잡음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 적용 시 잡음의 공간적, 통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영역 측정방법으로 산출한 신호대 잡음비는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을 적용한 영상에서 좀 더 정확한 신호대 잡음비를 산출하기 위해 AAPM, NEMA, Philips에서 제안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4,200원
        42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3.0T 자기 공명 영상에서 강자성 임플란트로 인해 발생한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에 대한 시퀀스별 WARP기법의 적정한 VAT(view angle tilting)값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자화감수성 인공음영(susceptibility artifact image)이 head용 워터 팬텀영상의 왜곡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head용 워터 팬텀에 강자성 임플란트(ferromagnetic implant)인 금속 와이어를 부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진행하였고(VAT(view angle tilting)) Warp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3.0T MRI system(MAGNETOM Skyra, Siemens, Munich, Germany)이었으며 20ch head/neck coil을 사용하여 TSE T2, TSE T1, FLAIR, Turbo IR T1 시퀀스에 WARP를 적용하여 VAT를 0~100% 범위내에서 10%씩 변화하여 각각 24개의 axial 영상을 얻었다. TSE T2 영상변수는 TR/TE 4410ms/79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SE T1 영상변수는 TR/TE 693ms/10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urbo IR T1 영상변수는 TR/TE 2000ms/9.5ms, Matrix 384×307이었으며, FLAIR 영상변수는 TR/TE 9000ms/96ms, Matrix 384×180이었다. 시퀀스별로 slice thickness 4mm, slice gap 0.4mm, NEX 1, bandwidth는 500Hz 였다. 정량평가는 팬텀영상의 대부분을 ROI로 설정 하여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정성 평가는 팬텀 영상 내에 dark area크기, image blurring 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점, 영상의 질이 약간 우수한 경우 2점, 보통 3점, 우수한 경우 4점, 매우 우수한 경우 5점으로 숙련된 방사선사 3명이 관찰 후 평가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으로 TSE T2와 TSE T1의 표준편차(SD)는 VAT 10%에서 VAT 적용전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VAT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IR 계열의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의 적용에 따른 영상차이가 없었다. 변동계수는 모든 시퀀스에서 30%이하였다. 또한 VAT 변화에 따라 영상의 위치변화도 나타났다. 정성분석으로 TSE T2는 VAT가 30~6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TSE T1은 VAT가 10~7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사용에 따른 영상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WARP는 TSE T2와 TSE T1의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을 줄이는데는 매우 효과적인 영상기법이었다. 그러나 WARP는 VAT를 증가시키면 image blurring도 증가함으로 VAT값을 최소화해서 사용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2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논문은 임상적으로 정형화된 경추부 MR 검사에서 틀니 제거와 침 삼킴 등의 불수의적 구강 운동에 의한 움직임 인공물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강 삽입 유도기구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 01일부터 2014년 1월 31일까지 경추부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 틀니를 착용한 13명(남자: 7명, 여자: 6명, 평균 연령: 59±7.23세)을 대상으로 C-Spine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선정 시 폐쇄 공포증 환자, 진정제 사용 환자는 검사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공명기기는 경추부 MR 검사에 최적화된 1.5T(Magnetom Avanto, 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고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경추 전용 위상배열코일(Neck matrix coil)을 사용하였다. 실험 도구는 구강 삽입 유도 기구(Endo-piece, Vision, Korea)를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대상에게 고정도구의 안정성과 검사에 관한 사항을 먼저 설명을 한 후 정상 체위앙와위(supine position)로 T₁-TSE-Sagittal, T₂-TSE-Sagittal, T₁-TSE-Axial, T₂-TSE-Axial을 획득하고 환자의 입에 구강 삽입 유도 기구를 삽입한 후 다시 T₁-TSE-Axial과 T₂-TSE-Axial을 검사하였다. 영상의 평가와 분석은 환자의 임상 소견과 판독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성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SNR(signal to noise ratio)과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바탕으로 한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결 과 : SNR은 고정도구 삽입 전 T₁-TSE-Axial이 22.33±8.59, 고정도구 삽입 후 T₁-TSE-Axial이 25.21±7.93, 고정도구 삽입 전 T₂-TSE-Axial이 14.49±5.74, 고정도구 삽입 후 T₂-TSE-Axial이 16.61±6.72이었다. CNR은 T₁-TSE-Axial이 0.236±0.21이고 T₂-TSE-Axial이 0.219±0.22로 측정되었다. 정성적 분석 결과 고정도구 사용 전 T₂-TSE-Axial 에서 3.25±0.18점, 고정도구 사용 후 T₁-TSEAxial 영상이 3.95±0.14점을 나타내었다. 결 론 : 고정도구를 사용한 추가적인 검사기법의 적용으로 환자들의 불수의적 인공물이 저감화됨에 따라 영상의 대조도와 분해능이 향상되었고, 영상 판독과 질환의식별에도 기존 검사 기법에 비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움직임 인공물로 인해 질환의 경계가 불분명했던 부분이 명확해 졌으며 업무의 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ge net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 It visualized wake flows using a PIV (paricle imaging velocimetry) and analyzed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vorti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were analyzed from the wake flow distribution and compared changes by flow velocit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turbulence intensity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 was very stable showing less than 1% in the range between 0.2 and 0.8 m/s. The drag coefficient affecting to the netting was estimated to be 1.35. The flow decreasing rate of the wake in the middle of the netting was 2.1% at the range of 0.2 m/s and it was constant at 6.6―6.9% over the range of 0.4 m/s irrespective of velocity increases. Finally, the change of turbulence intensity by netting and knot mesh could be confirmed.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of flow characteristics by fishing nets and meshes.
        4,000원
        431.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텔레비전 방송 뉴스에서 영상을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은 ‘영상의 익명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사실성과 현장성을 강조하는 텔레비전 뉴스의 기본과 충돌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의 영상 모자이크 처리를 비 판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KBS, SBS, JTBC 메인 뉴스를 대상으로 모자이크 실태를 파악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모자이크가 사실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 현직 기자 9명을 심층 인터 뷰하였다. 연구결과 뉴스 아이템의 36.8%에서 모자이크가 활용되었는데, 사건사고 등 사회 관련 기사에 서 많았다. 명예훼손이나 초상권 침해를 막기 위한 목적에서 벗어나 보도 내용과 무관한 영상을 모자이크 처리해 사실성을 부여하려 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는 모자이크 처리된 흐릿한 영상 너머 에 사실과 진실이 존재한다고 믿는 시청자를 기만하는 것이다. 가짜 현실을 모자이크 처리해 사실인척 하 는 것은 현실과 허구가 뒤바뀐 시뮬라시옹이다. 모자이크를 통해 사실인 척하는 것은 허구의 영상이 실제 보다 더욱 실제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하이퍼리얼리티의 한 예이다. 모자이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취 재기법을 다양화 하고, 기자들이 자기방어 차원에서 과도하게 모자이크 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 하다.
        4,200원
        43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스플레이의 화질평가에는 일반적으로 주관적인 화질평가와 객관적인 화질평가로 나누어진다. 객관적인 화질평가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한다. 주관적인 화질평가는 시청자의 주관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디스플레이의 화질평가에 있어 객관적인 화질평가 방법은 화질의 정도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가 가능하나 관찰자의 감성, 관심영역, 외부환경이 등이 고려되지 않아 객관적인 평가방법이 시청자의 주관적인 평가의 결과와 일치하진 않는다. 반면에 주관적인 평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량화의 방법 또한 어렵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화질 평가에 있어 인간 시각 특성에 대한 분석과 정량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평가함에 있어 인간의 주관적인 특성에 대해 인지 백색점과 인지 색 재현을 모델링하여 주관적 화질 평가의 정량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모델링함에 있어 주관적인 실험을 통해 선호 백색점과 11개의 primary 색에 대해 선호 색 좌표를 찾고, 이에 대해 평가 할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특성화 된 영상과의 색 좌표의 거리를 통해 인지 화질평가의 정량화 방법을 제안한다.
        4,000원
        433.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검사자 실명제를 통하여 검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보건복지부령 제 3조 1 항 중 [1. 운용인력기준-방사선사-전속 1인]으로 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령 제 5조 제 2항<개정 2011.6.27 > 중 [다. 유방촬영용 장치-촬영표지-9.촬영자 성명(기호)]에 검사 자인 방사선사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검사자 실명제를 효율성, 신뢰성, 편의성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EMR과 PACS를 이용하여 자동 등록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2013년 3월~4월까지 특수의료장비를 운용하는 방사선사 총 55명을 대상으로 검사자의 영상 입력 방법에 대해 타당성 및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 으며, 프로그램개발은 2013년 4월부터 12월까지 비쥬얼베이직 6.0 Version(VB6)을 이 용하여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과 병원정보시스템을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 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검사실 등록은 획득서버에서의 [Description Name]을 Text로 변환한 것이며, 방사선사 등록은 인사 D/B에서 ‘RT’로 등록되어 있는 사번과 한글이 름을 연동시켰으며, 검사 후 DICOM 파일을 획득 할 때 DICOM Tag 값인 [0x00081070]에 Value 값을 RIS에서 가지고 온 방사선사 사번이 입력되도록 획득서버 의 "Edit Value", Trim(Right(cmbGisa.Text, 6))]에 직접 입력시켰다. 사용 전후 만족 도를 시행한 결과 편의성, 일치성, 누락에서 모두 개발된 프로그램이 만족도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자 자동 등록 프로그램은 실제 검사자를 영상에 보여주게 함으로써 환자의 검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의료 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4,000원
        43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otional ICT i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ing the emotion that users feel when using or not using different devices and services. As made evident in the current ICT industry’s tendency toward mass customization, consumers now want a product that perceives their emotions beforehand and fuses their emotions into the devices and service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monitering system of personalized emotion response according to image processing algorithms such as filtering(sharpening, blurring), shape transfer(warping) and stroke based rendering. To normalize personalized emotion by images, we used normal, pleasant, unpleasant, active and quiet image providing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We compare personalized emotional variation between original image and transferred image. This study can be used creating digital multimedia contents by personalized emotion and affective games according to user's emotion
        4,000원
        435.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제품들은 대부분 이백만 화소 이상인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예를 들어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화소수는 320x240이며, 인터넷 스트리밍 동영상은 대부분 720x480이하이다.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보간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 의해 화질이 열화 된다. 특히 영상 확대에 따른 블로킹잡음 (blocking noise)의 가시성 증가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화질 저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간된 영상을 대상으로 한 블로킹 잡음 저감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에지를 보존하며 블로킹 잡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또한, 간단한 사칙연산, 비트연산과 비교연산만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에서의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4,300원
        436.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감방송을 위한 차세대 디지털 텔레비전 시대에는 초고화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3차원 영상이 널리 보급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방송시대의 두 축인 초고화질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3차원 영상 시대를 대비하는 관점에서 스테레오스코픽 3차원 영상을 활용한 초고해상도 영상 생성 방안을 제안한다. 2차원 입력영상에서 확대된 2차원 영상을 얻는 기존 접근 방식을 확장하여, 3차원 영상 융합에 바탕을 둔 초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한다. 먼저 입력된 영상의 국부 특성을 분석하고, 평탄 영역과 비평탄 영역에 따른 적응적 영상 해상도 개선을 수행한다. 효율적 연산을 위해 평탄 영역에서는 전통적 해상도 개선 방법을 적용하고, 비평탄 영역에서는 자기 유사성을 활용한 탐색을 기반으로 3차원 영상에 담긴 부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융합하여 해상도 개선에 활용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3차원 영상에 내재된 부가 정보의 활용이 초고해상도 영상 복원 성능을 개선함을 보인다.
        4,000원
        437.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탐방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른 빛공해 특성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21개 국립공원 중 북한산과 무등산국립공원을 제외한 19개 국립공원의 빛공해는 2012년 10월(성수기)과 2013년 1월(비수기)에 촬영된 VIIRS(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센서의 DNB(Day and Night Band) 영상 중 구름과 달빛이 없는 시기에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bootstrapping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각 시기별로 어떠한 사회경제적, 정책적 요인이 국립공원 빛공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국립공원 빛공해 특성은 탐방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탐방 성수기에는 국립공원 내부의 야간 조명보다 공원 인근 조명이 국립공원 내부의 빛공해 수준에 더 큰 영향을 주었고 비수기에는 공원 인근보다 공원 내부에 의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방 성수기에 국립공원 인근 야간 조명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원인은 공원 인근의 숙박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의 야간 조명이 대기 중에서 산란되어 국립공원 내부로 침입하는 스카이글로우현상(sky glow effect)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국립공원 빛공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립공원 내부 뿐 아니라 특별히 탐방 성수기 동안 인근 지역의 야간 조명을 규제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4,000원
        43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관측주기가 짧은 천리안 위성의 수증기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의 전향위치와 시간까지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수증기의 위성영상의 건조슬롯과 제트류의 남북진동의 관계를 이용하여 태풍진로의 전향위치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다. 제트류는 제트스트리크의 위치와 지균풍 Υ성분의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데, 지균풍 Υ 성분이 남쪽방향으로 강화되면 제트류는 원형 제트로 발달하게 된다. 이때 수증기 영상에서는 건조슬롯이 남쪽으로 확대되고, 굴곡수분밴드(CMB) 거리가 좁혀지기 때문에 태풍이 전향하게 된다. 굴곡수분밴드가 위도 15˚ 이하이면 24시간 내에 태풍이 북 또는 북동으로 전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태풍진로는 건조슬롯의 위치가 32˚N 이하이면 20-23˚N이하에서 전향(2007년 1호 태풍 콩레이와 2012년 17호 태풍 즐라왓)하고, 건조슬롯이 35˚N 이상 일 땐 27˚N에서 전향(2007년 4호 태풍 마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43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도당굿 군웅거리 선굿춤의 순서와 시작위치, 방수밟기 방향에 대한 규칙성을 찾아 이론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무녀 오수복은 1990년 10월 66세에 보유자로 인정되어 2005년까지 경기도도당굿을 직접 연행했다. 82세 무렵 병석에 들었고 2011년 12월 87세에 사망했다. 오수복의 군웅 선 굿 영상자료는 1986년부터 2003년까지의 것을 사용했다. 영상 14편을 도표로 만들고 그 내용을 비교 분석하 였다. 영상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군웅거리 순서는 크게 두 개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첫째는 ① 부채방울놀음-② 장삼놀음-③ 소머리놀음 -④ 징놀음-⑤ 닭놀음(활놀음 포함)-⑥ (소매놀음)-⑦ 쌍군웅의 순서이다. 둘째는 ① 부채방울놀음-② 장 삼놀음-③ 소머리놀음-④ 닭놀음(활놀음 포함)-⑤ (소매놀음)-⑥ 징놀음-⑦ 쌍군웅의 순서다. 1993년과 1994년, 그리고 2000년 이후 현재까지 연행되고 있는 방식은 첫 번째이다. 선굿춤 시작 위치는 실제 마을굿과 공연용에 차이가 있어야 마땅한데, 오수복은 보유자로 인정된 후 공연용 위치에서 선굿을 시작했다. 마을굿 형식은 1986년 이용우의 지시로 단 한번 굿상의 남쪽에 서서 북쪽을 향해 선굿을 했다. 1990년 이후의 영상은 모두 본상과 군웅상의 중앙에서 남쪽을 향해 군웅굿을 연행했다. 하지만 공연과 굿을 구별하여 전통 의례 방식을 정립하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군웅 선굿춤의 방수밟기 방향은 14편의 영상 중 9편이 좌회선으로 돌았고, 4편이 우회선, 1편만 좌회선과 우회선을 혼용하여 돌았다. 1990년대 영상들은 주로 좌회선이다. 90년대는 오수복의 2000년대 활동 상황에 비하여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양호한 때이므로, 신체기억에 의한 좌회선 표현이 자연스럽게 몸에 익어서 동 작된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오수복 사후, 이수자들의 군웅거리 집전에 있어서 특히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선굿춤의 순서와 시작위치, 방수밟기의 원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5,800원
        44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s focusing on various image photographing techniques equipped in smartphones and their educational uses. Since most smartphones have large quantity of memory and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taking videos has become possible. For example, they enable us to take pictures of people and scenery using shooting functions and it is possible to move the view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handling camera works. The videos taken by these functions are completed by the works of combining, correcting, condensing and building them. Unlike the past,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by the impact of smartphones. Among them, smartphones have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performing cooperative learning. This research is constructed on the real cases of learners, highschool students although more students couldn’t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due to their heavy curricular procedure. They planned to make up stories, could recognize the reality of film-making and learn interaction at the last stage of in completing the film, by using smartphones. Smartphones our contemporary men and women are using anytime, anywhere, have become an indispensible item from talking to making educational content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