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14

        4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roduces a digital image processing(DIP) method as a method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pylon. The comparison of DIP results and ANSYS analysis result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Normalized cross-correlation(NCC) coefficient was used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ree times. It shows that the displacement difference was 22% and 5% compared to ANSYS results.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method is expected to be able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pylon sufficiently.
        4,000원
        42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CD 카메라가 장착된 Skyviewer로부터 촬영된 하늘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전운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운량 산출은 RGB 영상 내의 차폐 영역을 제거하고 GBR 빈도분포에 따른 영상을 분류하며, RBR 경계값을 결정하여 구름 화소를 분류한다. 분류된 구름 화소에서 태양광 영역을 제거한 후 유효성 검사를 통해 전운량을 산출하게 된다. 전운량 산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측소와 가장 가까운 강원지방기상청의 목측 전운량 자료와 편이(Bias), 평균제곱근오차(RMSE),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선정된 사례는 계절별 일 사례로 8시부터 17시까지의 정시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Skyviewer로부터 산출된 전운량의 편이는 평균적으로 −0.8할의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제곱근오차는 1.6할로 전운량의 차이가 2할 내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두 관측소는 떨어진 거리의 차이가 있음(약 4 km)에도 불구하고 상관계수가 모든 사례에서 평균 0.91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4,200원
        42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vent safety hazards in dangerous working area, we have proposed an intelligent image analysis system. Six common patterns of safety violations of workers’ are defined and its motion detection algorithms are developed for alarm to CCTV monitoring system. Developed algorithms are implemented at 195 dangerous areas such as chemical and gas treated room. The results of violated motion detection ratio by developed system shows 94.95% of true positive cases, and 0.21% of false positive cases from all 587,645 event cases in one month implementation period. In the period, it i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safety rule violations and the following accidents are decreased.
        4,000원
        42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study the calculation for the fracture area of the composite material specimen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is study was able to calculate the area of the fracture region through the main operation step 7 on the basis of improved image. To extract the area in the original image, we have to use opening operation, close operation, the Hit-or-Miss operation and Bottom hat filter, Top hat filter, etc. In particular, to extract the area of the composite specimen discussed in this study, we have to use the combination of the operations and filters because it is non-isotropic material, or should develop a new algorithm based on it.
        4,000원
        425.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영상을 전공하고 현재 영상 특성화고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공교육 차원에서 영상 콘텐츠의 실효성 있는 교육을 위해 수행평가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평가와 유사한 주제의 연구들은 교육과정이나 교육만족도 혹은 시설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영상미디어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교육에서 평가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미디어 콘텐츠 교육의 경우처럼 제작과 같은 수행적 의미가 강한 교육에서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학교 내의 실상과 교사들의 심정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수행평가의 특성과 활용은 단순하게 파악될 수 없고, 그것은 지역성,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장비의 구비현황이나 특히 교사의 교육관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다양하고 지속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6,700원
        426.
        201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에서는 다수인이 창작과 연구과정에 참여 하여 만들어지는 공동저작물과 관련하여 기존의 규율과 비교적 최근의 분쟁사례를 함께 검토해보 고자 하였다. 특히 영상물제작과 실험 연구의 경 우 작업의 기획과 결과물의 규모 상 다수인의 협 력이 필요한 경우가 현대에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때 아이디어의 결합과 표현을 위한 노동이 불가 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더욱 많다. 이러한 공동저작에 참여한 다수인의 기여도와 기획자의 역할을 모두 고려하며 분배할 수 있는 모델을 모 색해 나가고자 현 제도와 윤리의 상황을 들여다보 고자 한다.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표현물을 만드는 일에 이른바 개성을 가진 한 사람만이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영화와 드라마 등 영상을 제작하는 경우는 물 론, 자연과학계와 공학계에서 다수의 연구원이 실험에 참여하여 연구물을 산출하는 경우에도 공동으로 작업을 하여 저작물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은 각종 기술과 도구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며, 물리적인 작업의 규모나 양 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반드시 필요하기까지 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다수인이 참여하는 저 작물의 산출에 있어, 다수인의 관계를 규율하는 저작권법 상 규율과 사례를 살펴보고, 저작권의 귀속과 행사의 양상에 있어서 최근 규율방식의 기준이나 목적을 아이디어의 기획과 실제 표현 물 창작시의 기여도의 측면에서 다루기로 한다. 특히 공동저작에 있어 실험연구를 통한 산물과 종합예술인 영상저작물의 제작을 중심으로 검토 하기로 한다.
        4,200원
        42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paper, we study the calculation for the fracture area of the tension specimen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is study was able to calculate the area of the fracture region on the basis of improved image. To extract the area in the original image, we have to use opening operation, close operation, the Hit-or-Miss operation and Bottom hat filter, Top hat filter, etc. In particular, to extract the area of the composite specimen discussed in this study, we have to use the combination of the operations and filters because it is non-isotropic material, or should develop a new algorithm based on it.
        42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간에 의한 산업활동의 결과로 여겨지는 기후변화는 최 근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자연생태에 대한 인간의 영향 을 알기위해 중심이 되는 분야이다. 한반도는 여름철이 고 온다습하며, 겨울이 저온건조한 온대몬순의 기후특성을 보 인다. 특히, 기온이 하강하며 건조한 겨울철의 기후조건은 야생동물에게 생존에 어려운 조건이며, 겨울철의 기온이나 강설 등의 기후요인은 그들의 분포 및 개체수의 변화에 크 게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강설 및 한파에 의한 눈 덮임의 경우 먹이를 찾거나 이용할 수 있는 확률을 떨어뜨려 생존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 우 북반구 전체차원에서 눈으로 덮이는 영역의 경계에 속한 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겨울철 온도, 강설 등 기후요인 의 증가 혹은 감소에 따라 본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의 생활 은 달라지게 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비행을 통하여 서식지의 이동이 가능한 조류의 경우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 라 예상할 수 있다.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의 경우는 번식개체군의 서식범 위와는 달리 기후요인에 의 큰 변동을 갖게 될 것이다. 하지 만 대체가능한 월동지가 없는 경우에는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고, 이에 의한 개체군 자체의 영 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두루미류에 있어서는 번식면적 과 이주거리가 변화하는 영향이 나타났다. 사례로 시베리아 흰두루미의 번식은 1년간 눈이 덮이지 않은 일수에 영향을 받았다. 일부 종에 따라서는 눈 덮임 등의 겨울철 날씨요인 때문에 개체군의 증감 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멸종이 발생하 기도 한다. 따라서 철원지역에 도래하는 두루미류 또한 월 동기 농경지에서 먹이를 취하기 때문에 눈 덮임의 범위와 잔존일수는 월동개체군에 영향을 줄 것이다. 특히 재두루미 의 경우 낙곡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눈이 덮인 농경 지와 덮이지 않는 농경지의 선호도가 달라질 것이므로 기후 변화의 양상에 따라 철원지역을 이용하는 기간이나 개체수 의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두루미류의 월동개체수는 기상에 의한 변화가 심하지만, 월동장소에 대한 선호성이 강하여 대체가능한 서식지로의 이동이 일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에 의하여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세웠 다. 그중 가장 추운시기인 1월의 기후값에 의하여 월동개체 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이 낮고 눈 덮임이 넓은 범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록 두루 미류의 월동개체수가 감소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특히, 재두루미의 경우 철원지역 이외에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월동지가 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증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 하였다. 이에 월동기의 눈 덮임 범위 및 기간과 두루미류 월동개체군의 규모간의 상관관계를 평가 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기상청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온 철원지역 기후자료 중 2002년 이후 2014년까지의 1월의 평균기온과 평균최저기온, 평균최고기온은 서로 상관관계 를 가지면서 변동하였고, 2007~2008년도 월동기까지 증가 하다가 이후 감소하며, 2011~2012년도 월동기에 가장 낮은 온도를 보였다. 하지만 이후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최고기온이 5℃ 이상 되는 날의 수는 2007-2008년도까지 꾸준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강수량과 신적설량 의 합계는 2006~2007년의 한해를 제외하고 유사한 증감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동시기의 강수가 대부분 강설에 의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강설량은 증감을 반복 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02년에서 2009년까지는 감소하 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2008년 이후 강설량은 급격한변화를 보였다. MODIS 위성영상에 의한 눈덮임 범위의 값은 2002~2003년높은 값을 가지다가 이후에는 2006~2007년 높은 값을 제외하 고는 2009~2010년 월동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 을 보였다. 기온과 강설 등의 기후 값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 로 판단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기후요인간의 상관관계 를 살펴보았다. 결과 요인 상호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온도요인과 눈 덮임 지수 내에서의 상관 관계가 긴밀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상청에 의한 1월의 신적설량의 합은 MODIS의 눈 덮임 범위와 상관관계가 나 타나지 않았다. 또한, 기온요인도 눈 덮임 범위와 상관관계 가 없었다. 전체 요인 중 공통된 성질의 요인들을 묶어주기 위하여 주성분분석을 한 결과, 고유값이 1 이상인 3 개의 주성분이 누적된 고유값 비율의 86.2%를 차지하였다. 최종 적으로, 주성분의 각 주성분의 대표성은 눈덮임(PC1), 기온 (PC2) 그리고 강수량(PC3)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주성 분의 구성요소 이었다. 이것은 기온에 의하여 눈덮임 범위 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조량이나 바람 등 다른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 값을 이용하여 단계선택을 통한 회귀분석을 한 경우 에는 MODIS 눈덮임 범위의 로그값(LNAucSCR)만이 유 의미한 요인으로 선택되었으며, 수식은 아래와 같다.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 by MVRM     ×  ±  ∴   = Loge(Accumulated MODIS snow cover range) 기후 값을 이용한 회귀식이 주성분에 의한 회귀식 보다 설명력이 더 높았으며, 재두루미 월동개체수의 최대값을 현 실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더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현상은 일시적인 한파에도 불구하고 대체적 으로 받아들여지는 현상이다. 하지만, 오히려 북극지역의 제트기류의 변동으로 인하여 지역적으로 강한 한파가 남하 함으로서 더 극심한 저기온과 눈 덮임에 시달리기도 하는 것이 최근의 관측이다. 본 연구에서 기상청 기후자료의 분 석결과,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철원지역 또한 겨울 철 온난화의 징후가 나타났다. 하지만, 2008년 이후 1월의 기온은 급강하하고 내린 눈이 녹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재하 는 현상이 나타났다. 겨울철 온난화의 현상이 나타난 시기 에는 적설량의 감소 또한 나타났다. 더구나, 적설이 존재했 음에도 불구하고 눈 덮임 두께의 누적량은 0mm에 가까운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눈이 내리더라도 덮여있는 지속기 간은 짧았다는 의미일 것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기온과 일조량 혹은 강수에 의하여 내린 눈이 녹아서 없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내렸던 눈이 제거된다면 낙 곡의 이용가능성이 증가하고, 두루미류가 철원지역에 체류할 수 있는 일수는 증가할 것이다. 반면 추위와 눈 덮임을 피해 남쪽으로 이동하는 개체수는 감소할 것으 로 예상할 수 있다. 2008년 이후 재두루미의 개체수는 급변하였는데, 눈 덮임의 변화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 단된다. 2010년 1월중 한파기간에 다수의 재두루미가 한 반도 남측 지역 주남, 낙동강 등의 주요 월동지에서 개체 수가 증가하였으며, 재두루미가 관찰되지 않았던 지역 에서 나타나는 등 국지적인 이동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에 의한 영향이 클 것이라 기대하였지 만, 기온 보다는 적설의 범위 및 적설이 얼마나 오래 지표를 덮고 있는지가 더 중요한 요인이었다. 온난화가 진행되었던 시기에 철원지역의 재두루미는 증가양상을 보였으며, 재두 루미의 최종 월동지인 일본 이즈미지역의 재두루미는 감소 하였으며 이는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더 낮은 위도인 일본 이즈미로 이동하는 재두루미의 이동시기 가 철원지역의 온난화로 인하여 지연되었기 때문으로 사료 된다. 반대로, 폭설 및 눈덮임이 지속되었던 2009~10년, 2010~11년의 경우 철원지역의 재두루미의 개체수는 감소 하였고, 일본 이즈미 지역의 재두루미 개체수는 증가하여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생물종의 습성과 영향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에 있어서 기후변화에 따 른 개체수의 변화가 있었던 재두루미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이 뛰어나고 대체가능한 서식지가 있는 상황이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두루미의 경우 대체월동지가 제한 적인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하여 취약한 종이라 할 수 있다. 두루미의 개체수는 2013~2014년의 경 우를 제외하고 안정적이었다. 이는 대체월동지가 있는 재두 루미에 비하여 대체 가능한 월동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 래서 두루미의 월동지로는 한반도를 통틀어 철원지역이 가 장 선호되는 지역이며, 대안적인 월동지인 연천과 파주의 민통선 지역은 연천댐 및 개성공단 등의 개발사업으로 인하 여 교란을 받고 있기 때문에 대체 가능한 서식지가 아니었 던 것으로 판단된다.
        42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image defect detecting vision system for the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of wafer has been developed. For the successful detection of various kinds of defects, the performance of two threshold selection methods are compared and the improved Otsu method is adopted so that it can handle both unimodal and bimodal distributions of the histogram equally well. An automatic defect detection software for practical use was developed with the function of detection of ROI, fast thresholding and area segmentation. Finally each defect pattern in the wafer is classified and grouped into one of user-defined defect categories and more than 14 test wafer samples are tested for the evaluation of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ccuracy in the inspection system.
        4,000원
        430.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ous experiments have demonstrated that infrared thermographic methods are effective for detection of subsurface defects in the materials. The response of the material to the thermal stimulus is dependent on the existence of subsurface defects and their features. In order to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defects, the material’s response to the thermal stimulus is studied. In this study, image processing was applied to infrared thermography images to detect defects in metals that were widely used in industrial fields. When analyzing experimental data from infrared thermographic testing, thermal images were often not appropriate. Thus, four point method was used for processing of every pixel of thermal images using MATLAB program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defect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which increased the infrared non-destructive testing capabilities since subtle defects signature became apparent..
        3,000원
        43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즈나의 주요성분인 건물중, 전탄소, 전질소, Fe 및 Ca 함유량을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샘플은 인공재배기에서 실내온도 20℃, 일조시간 13 h의 조건에서 6 주간 재배한 샘플과 온실에서 동일기간 재배된 샘플을 이용하였다. 재배조건, 영상취득시의 광 환경에 따라 인공재배기, 하우스, 전처리의 유무 및 모든 데이터를 이용한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모델을 작성하였다. 실내 재배에서는 건물 중, 전탄소, 전질소의 경우 전처리에 따라 평균상대오차(MRE)가 5% 이상 향상되었으나 하우스의 경우 전처리의 효과가 없었다. Ca 이온의 경우 조건에 관계없이 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으나 Fe 이온의 경우 하우스 재배에서는 모델을 구축할 수 없었다. 모든 데이터를 이용해 미즈나의 건물중, 전질소, 전탄소, Fe 및 Ca 함유량을 추정할 경우 반사율을 이용해 62% 이상 설명이 가능하였고 검증결과도 57%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처리를 거칠 경우 반사율을 이용해 71% 이상 설명이 가능하였고 검증결과도 62%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처리를 했을 경우 각각 추정오차는 건물중이 0.54 g/m2, 전질소가 39.8 mg/m2, 전탄소가 185 mg/m2, Fe 이온이 0.35 mg/m2, Ca 이온이 14.1 mg/m2였다.
        4,300원
        43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Constructive interference in the steady state(CISS) sequence는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으로 감마나이프(Gamma Knife)수술 환자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T2 강조 영상기법의 하나인 CISS에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Gamma knife 시술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Siemens Magnetom Avanto 1.5Tesla MRI System이며, transmit/receive (T/R) head coil 이용하였다.사용된 protocol은 T2 axial, T1 axial, MPRAGE, CISS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ISS영상은 조영제 전,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는 meglumine gadoterate을 0.2mL/Kg을 정맥투여 하였다. CISS영상의 조영제 사용 전ㆍ후의 영상과 조영제 사용 후 MPRAGE영상의 신호강도를 image j로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SNR과 CNR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영상의 병변부위 조영제 사용 전, 조영제 사용 후 평균 SNR은 65.62±7.19, 170.80±39.51, 정상부위의 평균 SNR은42.34±24.67, 66.78±5.94로 측정되었다. 정상조직과 병변의 CNR은 조영제 사용 전 7.87±6.29에서 조영제 사용 후 64.93±22.87로 측정되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영상의 평균 SNR은 병변부위 52.70 ±24, 정상부위 35.91±14.03으로 측정되었고, 정상 조직과 병변의 CNR은 16.79±12.22로 측정되었다. CISS영상에서의 정상조직 조영제 사용 전, 후 병변부위와 정상조직의 SNR과 CNR에서 모두 유의수준 P=0.000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증가하였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와 CISS에서의 SNR 측정결과 병변부위에서는 p=0.002로 유의하였으나 정상조직에서는 p=0.240으로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다. 결 론 : 감마나이프수술은 기존의 머리를 절개하는 뇌수술과는 달리 파장이 짧은 감마선을 병변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이나 혈관기형 등을 제거하는 방사선 수술법으로 MR검사는 병변 확인 및 좌표 확인에 이용되고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T1조영제를 사용하면 조영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CISS sequence의 구성은 True and reversed fast imaging in steady state precession(FISP)가 혼합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영 효과를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조영제 전 영상보다는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에서 병변 및 정상부위의 SNR과 CNR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감마나이프 MR검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43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확산강조영상은 골격근 손상이 있을 때 조기에 근육의 신호강도 변화를 알 수 있고 양성과 악성 척추 압박골절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다고 보고 되고 있지만 질환에 따른 현성확산계수(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ADC)의 연구는 많이 보고 되고 있지 않다. 이에 단순 압박 골절과 전이성 척추암이 b value에 따라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b value 0 400,1400(s/mm²)를 이용하여 각각의 Signal Intensity의 표준화된 값과 물 분자의 확산 정도를 수치화 하는 ADC, 그리고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SNR)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3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MR판독에서 단순복합골절과 전이성 척추암을 의심하는 환자 중 전자의무기록상 확정된 환자로 두 질환 별로 11명씩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연령은 각 질환 별로71.2, 56.6세다. 검사장비는 1.5 Tesla Achieva MRI시스템과 Syn-Spine Coil를 사용하였다. Sequence는 DWI SE-EPI Sagittal(Diffusion Weighted Imaging Spin Echo-Echo Planar Imaging Sagittal)영상으로 TR(ms) 1988, TE(ms) 68, FOV(mm) 300, Mat. 128×128, Thk.(mm) 4, Gap(mm) 0.4, Slice 13, b-factor(s/mm²) 0,400,1400의 Parameter를 이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확산강조영상 b value 0(s/mm²) 영상에서 SI(Signal Intensity)가 높은 질환 부위에 ROI(Region of Interest)를 잡았고 정상부위는 질환부위 바로 위에서 측정하였다. MRIcro Program을 사용하여 b-value 0, 400, 1400(s/mm²)의 영상으로 각각의 SI를 구하였고 b-value의 각 영상을 가지고 Metlab Software를 이용하여 ADC map을 구하여 이 영상을 가지고 MRIcro Program을 사용해 동일한 위치에 ROI를 적용하여 ADC를 구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첫째 두 질환 별로 b value 0 기준으로 400, 1400(s/mm²)의 SI를 표준화하여 비교 분석하였고(SI400/SI0, SI400/SI0) 둘째 두 질환의 정상부위와 질환부위의 ADC와 SNR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의 유의성은 MS Excel 의 T-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단순압박골절의 표준화 값(SI400/SI0, SI400/SI0)은 0.47±0.04, 0.23±0.03이고 전이성 척추암의 표준화 값 (SI400/SI0, SI400/SI0)은 0.57±0.07, 0.32±0.08로 나왔고 두 질환 별 표준화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p<0.05). 단순압박골절 질환부위의 b value 400(s/mm²)과1400(s/mm²)에 대한 ADC(mm²/s)는 1.70±0.16, 0.93±0.28이고 전이성 척추암은 1.24±0.21, 0.80±0.15로 측정되었다. 두 질환에서 b value 400(s/mm²)에 대한 ADC(mm²/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나(p<0.05) b value 1400(s/mm²)에 대한 ADC(mm²/s)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단순압박골절과 전이성 척추암 질환부위의 b value(0/400/1400(s/mm²) 에 따른 SNR 보면 65.61±2.61/36.32±2.92/20.22±2.16, 48.40±2.72/39.27±7.51/23.02±6.25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위 연구는 본원에서 검사하고 있는 b value 0,400,1400(s/mm²)을 이용하여 연구를 하였으며 b value 400(s/mm²)에서 두 질환에서의 표준화 된 값과 현성확산계수의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병행하여 확산강조영상의 현성확산계수를 가지고 다양한 척추 질환에 적용시킨다면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 거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다양한 b value를 적용하지 못했고 성별, 나이, 각 질환의 병기 및 시기, 전이암의 최초 발병 부위를 정립하지 않았으며 측정 부위를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이 아닌 단순히 b value 0(s/mm²)에서 고신호 강도가 나오는 곳의 데이터로 결론을 도출한 점은 앞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43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T1 조영제는 mol 농도의 희석 정도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 최대의 신호 강도를 나타내며 특정 Sequence에 따라 신호 강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Brain metastasis 환자를 대상으로 조영 증강 전, 후 FLAIR 영상에서 조영 증강 여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9월 10일부터 2014년 2월 10일까지 본원을 내원한 Brain metastasis 환자분 중 20명(남자 9명, 여자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비는 SIEMENS Verio 3.0T, 12channel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조영 전 3D FLAIR 영상과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영상, 조영 증강 후 10분 지연 3D FLAIR 영상을 획득하였다. FLAIR영상의 영상 변수는 TR:9000ms, TE:411ms, TI:2500ms, Matrix:256×256, Slice thickness:1mm, NEX:1, FOV:250×250, Scan time:5분3초로 검사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분석은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영상에서 Hyper intensity를 보이는 Lesion부위에 ROI를 설정하여 측정하였고 SNR, CNR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된 값을 통계학적 분석인 Paried T-test STATA 10.0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 결과 조영 전 3D FLAIR 영상과,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영상,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에서 평균 SNR값은 각 114.67, 55.51, 116.3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영상에서 평균 CNR값은 각 33.37, 262.24, 75.35 등으로 나타났다. 육안으로도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에서 Lesion부위의 대조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Bone metastasis 환자군에서 조영 전 3D FLAIR 영상에서의 평균 CNR값은 54.3,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의 평균 CNR값은 59로 나타났으며, Parenchyma metastasis 환자군에서 조영 전 3D FLAIR 영상에서의 평균 CNR값은 35.98,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의 평균 CNR값은 98.49로 나타났다. Paried T-test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CNR값은 조영 전 3D FLAIR영상,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조영 증강 후 3D FLAIR 세 그룹 간에 모두 유의 하였다(P<0.008). 결 론 : MRI 조영제는 mol 농도가 희석되는 10분 영상에서 최대 신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조영 전 3D FLAIR 영상에서 보이지 않는 Lesion이 10분 지연 영상인 조영 증강 후 3D FLAIR영상에서 발견할 수 있었고 Brain Bone metastasis 환자군 보다는 Brain Parenchyma metastasis에서 큰 CNR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조영 증강 후 3D T1 SPACE, 조영 증강 후 3D FLAIR 영상을 Brain Parenchyma metastasis에서 적용함으로서 Lesion Detection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3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Prostate MRI BOLD 영상에서 T2 star relaxometry fitting tool 수치를 구한 후 Cancer 구별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본원에서 Prostate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Cancer로 판명된 40명과 Cancer외 질환으로 판명된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나이는 61.3세였다. 장비는 Archiva 3.0T(Philips Medical System, Nederland)와 32Channel Torso-cardiac coil을 사용하였으며, BOLD sequence 조건은 FOV 200, TR/TE: 260/5.0, Matrix: 132 × 111, Thickness/gab: 5/1, NSA: 1로 하였고 Echo를 8, 12, 16, 20으로 하여 검사하였다. Cancer 판명과 Cancer 외의 판명 그룹으로 나눠 T2 star fitting tool을 이용하여 T2 star relaxometry의 수치를 구하였고 통계는 SPSS 12 Version을 이용한 검정 방법으로 One way ANONA와 다중비교, Bonferroni를 이용했다. 측정부위는 Prostate 전체부위로 설정하였다. 결 과 : Cancer 환자와 Cancer 외 환자그룹의 영상에서 T2 star relaxometry 수치 값은 8, 12, 16, 20 Echo 모두에서 Cancer 환자의 수치가 전부 높게 나왔다. 평균값은 116.075와 51.85로 두배 이상 수치 값으로 나왔다. SPSS 통계를 통해서도 Cancer 환자그룹과 Cancer 외 환자그룹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p<0.01). Cancer 환자그룹에서는 16 Echo 평균에서 118.67로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났으며 8 Echo평균에서 113.24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Cancer 외 환자그룹에서는 8 Echo에서 52.42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12 Echo에서 50.69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각 Echo별 ROI설정 내 조직 T2 star 값은 Cancer환자 그룹이나(p=0.672) Cancer 외 환자 그룹 (p=0.083)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두 그룹 내 Echo별 모든 검사에서는 T2 star relaxometry 수치 값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Echo별 구분은 의미가 없었으며 Cancer 그룹과 Cancer 외 그룹 간 차이에서는 T2 star relaxometry 수치가 차이가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Cancer 유무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4,000원
        43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기존 Single RF source에서는 환자의 해부학적 차이에 따른 영상신호의 불균형으로 인해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최근 이를 개선하고자 dual RF source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dual RF source 사용 시 필요한 B1 calibration scan의 호흡방법 변화에 따라 영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복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14명을 대상으로 검사장비는 Archieva 3.0T TX(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호흡을 실제 검사와 동일한 expiration, 변형한 방법인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하는 방법으로 B1 calibraion scan을 각각 실시하여 호흡방법의 변화에 따라 B1 calibration scan 후 3D dual echo, e-THRIVE sequence/Axial 영상을 획득하였다. 평가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liver를 9개 구역으로 나누어 SNR과 CNR을 비교 측정하였고, 정성적 평가방법은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homogeneity와 background noise 발생 정도를 3점 척도로 상대평가 하였다. 평가된 값은 Wilcoxon signed rank test(SPSS 18.0K for windows)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는 expiration, Free breathing, inspiration 일 때 3D dual echo의 SNR은 251.05/167.07/183.53, e-THRIVE 161.08/117.22/128.38로 나타났고, CNR은 3D dual echo에서 73.68/56.4/55.69, e-THRIVE 62.61/40.34/35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는 3D dual echo 2.30/1.76/1.94, e-THRIVE 2.56/1.46/1.98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은 expiration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5), free breathing과 inspiration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 론 : 실제 검사와 동일한 호흡방법인 expiration으로 B1 calibration scan을 하였을 때 3D dual echo와 e-THRIVE에서 영상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호흡방법으로 실시한 경우에는 SNR과 CNR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 dielectric shading artifact가 발생하여 영상의 질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MRI 검사 시실제 검사방법과 동일한 호흡방법으로 얻은 B1 calibration scan이 보다 진단학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구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43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MRCP)에서 관상면(Coronal plane)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최적의 b-value 값을 영상분석으로 산출하고, 축상면(Axial plane) 확산강조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장비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은 b-value(0s/mm², 400s/mm², 800s/mm²)값을 다르게 하여 관상면 single-shot echo-planar diffusion weighted image(SSEPDWI)로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의 매개변수는 TR/TE : 1280/ 60msec, Slice Thickness/Gap : 5/2mm, FOV : 220x220x220mm³, Matrix : 92x124, NEX : 3, EPI factor : 33, Acquisition Time : 3min로 하여 조영 후 영상을 얻었다.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을 Philips사의 EWS(Extended MR workspace 2.6.3.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b-value 마다 총담관 및 담낭과 주변조직인 간 실질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를 산출하였다. 더불어 현성확산계수 영상(ADC map)을 통해 정량적 분석과 함께 정성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v12.k을 사용하여 ANOVA와 Pair T-test 통해 검증하였다. 결 과 :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b-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총담관과 담낭의 경우 대체적으로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 현성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담관 종양과 담낭 결석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b-0와 b-400의 차이가 적었으며 일부에서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신호 대 잡음 비 평균값은 b-0에서 담낭이 407.9로 가장 컸으며 b-400에서는 이보다 조금 낮은 304.0이 나왔다. 대조도 대 잡음 비에서는 b-400과 b-800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b-800보다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현성확산계수 평균값은 b-value 값이 증가할수록 ADC 평균값은 약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b-0는 확산경사자장이 인가되지 않은 영상이므로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b-800보다 b-400의 신호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에서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은 총담관, 췌관 및 담낭 등의 해부학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의 진단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적정한 b-value값이 적용 된다면 축상면 확산강조영상과 함께 기타 복부검사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기에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3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초급성기 뇌경색의 진단과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의 과정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확산강조 자기공명 영상은 인체 내 세포의 미시적인 확산운동의 차이를 영상의 대조도 나타내기 위해서 초고속 영상 기법인 EPI sequence를 사용한다. 하지만 인체의 해부학적 자화감수성 차이는 고속영상기법에서 영상의 왜곡과 artifact를 발생시켜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떨어뜨린다. 이에 본 논문은 자체 제작한 phantom을 이용하여 EPI 기법에 기인한 확산강조영상의 영상왜곡과 artifact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알아보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Brain DWI 검사 시 artifact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인 sphenoid sinus와 brain stem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phantom을 제작하였다. Single shot SE EPI sequence를 이용하여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시 phase encoding 방향과 fat shift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 내의 artifact의 발생 양상과 그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SENSE factor 1에서 5까지 변경하고, RFOV를 100%에서 60%까지 10%씩 줄여가면서 artifact의 발생기전과 감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된 장비는 Philips medical system의 Achieva TX 3.0T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8 channel sense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Scan parameter는 FOV 256mm, measurement matrix 128×128, slice thickness 2mm, gap, 0mm 총 74개의 단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 과 : EPI 기법으로 기인한 자화감수성 artifact와 영상왜곡은 영상단면의 phase encoding 방향을 따르고, 하나의 단면 내에서는 낮은 주파수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또한 slice selection gradient에 따라서도 변화하였다. 확산운동의 민감성에 관여하는 확산경사자장의 세기는 artifact의 발생과 크기에 관계하지 않고 영상의 SNR과 관계하였다. 자화감수성 artifact의 감소방안은 sensitivity encoding, RFOV 기법과 같은 수집하는 영상 신호의 숫자를 감소시키는 기법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었지만, 이에 따른 SNR의 저하와 추가적인 artifact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EPI sequence에 기인한 artifact의 감소를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artifact 발생을 고려해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최근 확산강조영상은 뇌 질환에서 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른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생하는 artifact의 발생기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한다면, 보다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43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신호대 잡음비는 자기공명영상 장치의 성능과 영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두 영역 측정방법은 측정방법이 간단하고 시간이 짧기 때문에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 적용 시 두 영역측정방법에 의해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의 정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장비는 Philips 3.0T MRI(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과 transmit receive head coil, SENSE 8 channel head coil을 사용하였으며 MR sequence는 spin echo T1, T2 강조영상을 사용하여 축상면으로 ACR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 AAPM, NEMA, Philips에서 제안한 측정방법,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 적용 시 두 영역 측정방법의 신호대 잡음비 측정 조건에 따라 T1, T2 강조영상을 각각 30번씩 획득하였으며 Image J를 사용하여 각 영상의 동일한 위치에서 ROI 크기를 10 mm2으로 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T1 강조영상의 경우 AAPM에서 제안한 방법이 가장 균일한 신호대 잡음비를 나타내었으며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과 NEMA는 10% 내외의 상대 표준 편차를 가짐으로써 균질한 값을 보였다. 하지만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을 적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표준 편차를 보여 각 실험마다 신호대 잡음비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NEMA와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에 비해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한 각각의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T2 강조영상의 경우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 AAPM, NEMA, Philips 모두 10% 내외의 상대 표준 편차를 가져 균일한 SNR을 나타내었지만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을 적용한 두 영역측정방법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표준 편차를 보여 신호대 잡음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 적용 시 잡음의 공간적, 통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영역 측정방법으로 산출한 신호대 잡음비는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을 적용한 영상에서 좀 더 정확한 신호대 잡음비를 산출하기 위해 AAPM, NEMA, Philips에서 제안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4,200원
        44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3.0T 자기 공명 영상에서 강자성 임플란트로 인해 발생한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에 대한 시퀀스별 WARP기법의 적정한 VAT(view angle tilting)값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자화감수성 인공음영(susceptibility artifact image)이 head용 워터 팬텀영상의 왜곡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head용 워터 팬텀에 강자성 임플란트(ferromagnetic implant)인 금속 와이어를 부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진행하였고(VAT(view angle tilting)) Warp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3.0T MRI system(MAGNETOM Skyra, Siemens, Munich, Germany)이었으며 20ch head/neck coil을 사용하여 TSE T2, TSE T1, FLAIR, Turbo IR T1 시퀀스에 WARP를 적용하여 VAT를 0~100% 범위내에서 10%씩 변화하여 각각 24개의 axial 영상을 얻었다. TSE T2 영상변수는 TR/TE 4410ms/79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SE T1 영상변수는 TR/TE 693ms/10ms, Matrix 512×291이었으며, Turbo IR T1 영상변수는 TR/TE 2000ms/9.5ms, Matrix 384×307이었으며, FLAIR 영상변수는 TR/TE 9000ms/96ms, Matrix 384×180이었다. 시퀀스별로 slice thickness 4mm, slice gap 0.4mm, NEX 1, bandwidth는 500Hz 였다. 정량평가는 팬텀영상의 대부분을 ROI로 설정 하여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정성 평가는 팬텀 영상 내에 dark area크기, image blurring 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1점, 영상의 질이 약간 우수한 경우 2점, 보통 3점, 우수한 경우 4점, 매우 우수한 경우 5점으로 숙련된 방사선사 3명이 관찰 후 평가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으로 TSE T2와 TSE T1의 표준편차(SD)는 VAT 10%에서 VAT 적용전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VAT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IR 계열의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의 적용에 따른 영상차이가 없었다. 변동계수는 모든 시퀀스에서 30%이하였다. 또한 VAT 변화에 따라 영상의 위치변화도 나타났다. 정성분석으로 TSE T2는 VAT가 30~6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TSE T1은 VAT가 10~70%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LAIR와 Turbo IR T1은 WARP사용에 따른 영상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WARP는 TSE T2와 TSE T1의 자화감수성 인공음영을 줄이는데는 매우 효과적인 영상기법이었다. 그러나 WARP는 VAT를 증가시키면 image blurring도 증가함으로 VAT값을 최소화해서 사용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