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8

        134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치료용 기능성 게임은 직접적인 치료보다는 환자의 심리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적극적인 치료 의지를 가지게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자료들을 분석하여 심리 치료를 위한 치료용 기능성게임을 설계할 때 고려할 요소로 5가지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요소들의 검증을 위해 이미 치료 효과가 입증된 '리미션', 현실의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환자가 가상공간에서 선(先) 경험을 통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심즈2'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캐릭터와의 일치성, 게임 소재의 안정성, 현실적 사실성, 게임 진행의 자기결정성은 전반적으로 적용되어 있었지만, 현실과의 상호작용성은 적용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현실과의 상호작용성은 선행 연구와 추출 요소에 대한 설문 검증으로 적합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치료용 기능성게임을 설계하고자 할 때 고려할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1342.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질지반 조건의 공간적 분포와 관련된 부지효과는 지진 시 지반운동의 증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지표부근 지질지반의 층상구조와 물성뿐만 아니라 지표면 지형 및 분지 형상이 부지효과의 영향 요인이다. 이러한 부지효과 관련 영향 요소들 중에서 단지 지표부근 지질지반 조건에 따른 증폭 정도만이 미국 서부지역 기준을 근간으로 하는 국내 현행 내진설계 지침에 반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의 전 세계 지진 발생 사례들로부터 지표지형 변화에 따른 광범위하고 심각한 피해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각적 해석이 가능한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인공 절성토 지반을 모사하여 일차원과 이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원 해석 결과는 지형효과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일차원과 이차원 수치 모델 해석 결과의 지표면 최대가속도 분포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변수가 지형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궁극적으로 국내 내진설계기준에 지형효과에 대한 고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34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ctive and passive listening condition on young children's musical understanding of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y through researcher-invented notation. All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orean children from 3 to 5 years of ages in a private prekindergarten in Seoul Korea. A pre-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guided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for five consecutive weeks, including three treatment sessions between pre-and posttest sessions in summer of 2009.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posed: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apparent understanding of tempo when comparing active and passive listening condition? and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apparent understanding of tempo according to familiarity of the melody? Listening conditions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e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body movement while children listened to short musical examples. The children's apparent musical understanding of tempo (independent variable) was captured through children's guided drawings that indicated where they understood tempo changes to occur in the music. The drawings were evaluated by three independent judges who scored four drawings for each child: for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ies in both the pre-and posttest. A two-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etween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y, and no difference with the interaction of group and melody familiarity. Therefore, the null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accepted.
        134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재에 있어서 정원 구성요소들의 특징의 변화는 첫째, 상록교목과 초화류의 증가 MRC는 SMT에서 PMT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상록관목 MRC도 SMT에서 PMT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낙엽교목과 상록관목은 SMT에 가까워 질 수 록 MRC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낙엽관목은 모든 유형에서 RC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초화류는 정원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가장 큰 증가 RC를 보이는 항목으로 PMT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여섯째, 잔디의 경우에 있어서는 의미 있는 특징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물에 있어서 정원 구성요소의 특징의 변화는 첫째, 모든 시설물의 조사 항목에서 PMT는 100%의 증가 RC를 보였다. 둘째, 구조물과 장식의 증가 RC는 SMT가 12.8%, HMT가 66.0%, PMT가 187.1%로 나타나 PMT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포장, 계단, 수요소의 항목은 SMT에서는 변동이 전혀 없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정원의 MRC는 유지관리유형과는 관계없이 일어났다. (2)정원의 MRC는 PMT로 갈수록 높아졌다. (3)식재의 MRC는 초화류가 가장 높았다. (4)시설물의 MRC는 구조물과 장식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정원을 설계할 때는 식재와 시설물에서의 MRC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식재의 경우는 초화류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시설물의 경우는 구조물과 장식물을 설계의 최우선 과제로 고려할 때 향후 유지관리의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만족스러운 정원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134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tract traditional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through survey on theexperts and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rvey form includes questions about representative type of traditional garden,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and necessary elements for making traditional garde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re palace and villa gardens. 2) the available traditional facilities should be applicable with contemporary culture onl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3) the major traditional facilities are water-scape such as ponds and mountain streams with traditional pavilions. 4) plants should be selected in spontaneous plants in Korea bu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species recorded in old document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e method of layout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will be helpful to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uitable in contemporary landscape.
        1346.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제어 다양체(uncontrolled manifold) 가설의 소개와 이 가설을 간단한 인간의 손가락 과제에 적용하여 설명하는 데에 있다. 최근 운동제어 분야의 주요한 연구쟁점은 인간움직임 체계 내에서 실제로 제어되는 것이 무엇이며, 기본 단위로 구성된 다양한 동작들이 운동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어떻게 협응되어지는 지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고 있다. ``공동작용(synergy)``의 의미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공동작용이란,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제어 체계는 여러 개의 기본 요소들(elementary variables)이 협응을 잘 이루도록 조정한다. 만약 주어진 과제가 여러 손가락으로 일정한 총 합력을 내는 것이라면, 각 손가락들이 발생하는 힘들의 수많은 다양한 조합들은 이 과제를 동일하게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특정한 과제에 사용되는 기본 요소들의 수는(예, 두 손가락 혹은 세 손가락), 여러 손가락들이 생성하는 힘의 합력이라는 수행 과제를 만족시키는 제한요소들의 수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운동요소 과잉의 문제(motor redundancy problem)라고 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추 신경계의 제어 방식은 비제어 다양체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가 가능하다. 비제어 다양체 가설에서의 분석은 반복적인 시행에 걸친 기본 요소들의(예, 효과기 말단의 힘, 관절 위치 등) 동작의 공분산을(covariance) 수량화시킬 수 있으며, 공분산은 두 개의 구성요소로 구분된다: 1)수행 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분산(VUCM, 'good variance'), 그리고 2) 수행 변인에 영향을 미쳐 동작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분산(VORT, 'bad variance'). 공동작용의 지수는 총 분산에 대한 VUCM과 VORT의 차이의 상대적인 양을 사용하며, 공동작용의 지수가 큰 경우 협응이 좋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비제어 다양체 분석은 기본 변인들과 수행 변인 간의 변화의 관계가 선형적이라는 것을 전제하므로, 이러한 관계가 비선형적일 경우에는 비선형을 선형화하거나 비선형을 다룰 수 있는 다른 계산적 접근이 필요하다.
        1347.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단경간비에 따른 합성지하벽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연구하고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DINA를 활용 하여 합성지하벽 (Composite Basement Wall, CBW)의 비선형 거동의 예측이다. 특히 각 층 바닥 부근과 같이 콘크리트가 압축응력상태일 때의 합성벽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특히 강재와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해석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벽체부분이 압축응력상태에 있는 합성지하벽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합성지하벽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ADI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의 편의를 위하여, 철근은 별도의 독립 요소로 모델링하지 않고, 콘크리트에 등분포되어 콘크리트와 함께 거동하는 것으로 하고 모든 요소는 소성거동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선형 모델로 하였다.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촉면과 관련해서는 접촉면의 연결조건에 따라, AGO, SEGO-T 그리고 SEGO-NT로 모델링하여 해석을 실시한 뒤 각 조건에 따른 응력흐름과 집중정도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합성지하벽은 전단경간비가 비록 1에 가깝더라도, 강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충분히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거동을 묘사하기 위하여 ADI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강재 및 스터드볼트의 비선형특성을 고려하고 접촉면 요소로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면을 모델링하여 해석한 결과 접촉면연결과 모든 절점공유 옵션을 사용한 모델을 적용할 경우, 실험결과와 근사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1348.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택정원의 구성요소의 변화 추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포천시 이곡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0.65%, 낙엽교목이 -37%, 상록관목이 84.8%, 낙엽관목이 104.5%, 초화류가 56.3%, 잔디가 86.6%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는 22.2%, 초종의 변화는 250%로 증가했다. 시설물의 변화는 33.3%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연곡리A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12.5%, 낙엽교목이 8.3%, 상록관목이 13.3% 낙엽관목이 -31.9%, 초화류가 46.5%, 잔디가 70.0%의 증감률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5.4%,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10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B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상록교목이 588.8%, 낙엽교목이 5.9%, 상록관목이 62.5% 낙엽관목이 10.9%, 초화류가 0%, 잔디가 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1.1%,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C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면에서상록교목이 50.0%, 낙엽교목이 -129.9%, 상록관목이 -10.6% 낙엽관목이-17.5%, 초화류가 10.2%, 잔디가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5.3%,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1.5%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교현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50.0%, 그리고 신규로 낙엽교목이 8주 상록관목이 526주 낙엽관목이 233주 증가하였고 , 초화류가13.6%, 잔디가 -55.8%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800%, 초종의 변화는 -75%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85.7%의 증가율을 보인다.이와 같은 주택정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주택정원의 구성요소는 공간한정요소의 변화율이 클수록 공간수식적요소의 변화율도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135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나타났던 ‘극단적 반음계주의’ 작품에 대한 포스트 쉔커리안(Post-Schenkerians)들의 논의를 살펴보며, 구조적인 결정 인자로 작용하는 반음계 주의에 대한 상위 계층 편입의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고, 이를 토대로 구조적 층위에서 나타 나는 반음계적 현상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필자의 분석모델을 제시했다. 분석모델 은 근본선율에서 b3또는 b2의 변화가 나타나는 ‘모델-X’와, 높은 위계에 포함되는 슈투페 (Stufe)로서의 반음계적인 화성을 포함하는 ‘모델-Y’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모델을 쇤베르크의 초기 가곡 중 Op. 3/1의 분석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 과 Op. 3/1은 모델-Y의 첫 번째 범주와 세 번째 범주에 속했으며, 이를 통해 반음계적인 현 상들이 작품의 표면적 층위뿐만 아니라 구조적 층위에까지 침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135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meteorological variables in Seoul, Busan and Jeju during the partial solar eclipse event of 22 July 2009 in Korea. Solar irradiance decreased 16 and 19 minutes after eclipse in Seoul and Busan, and 6 minutes before eclipse in Jeju. Minimum solar irradiance occurred 7 and 3 minutes after maximum eclipse in Seoul and Busan, respectively, and 8 minutes before maximum eclipse in Jeju. Solar irradiance began to increase after maximum eclipse in Seoul and Busan, and recovered to the original state as eclipse ended. On the other hand, recovery of solar irradiance after maximum eclipse in Jeju was slower than those of two cities. Temperature drop due to partial solar eclipse were 0.7℃, 4.0℃, 1.5℃ in Seoul, Busan, and Jeju, respectively, and time needed to arrive minimum temperature from maximum eclipse were each 12, 32, 30 minutes, respectively. Change of relative humidity during partial solar eclipse were 2.6%, 17.4%, 12.3% in Seoul, Busan, and Jeju, respectively. Temperature drop turned out to be sharper as altitude increases. Wind speed decreased by each about 1.1 ㎧, 3.4 ㎧, 1.4 ㎧ due to partial solar eclipse in Seoul, Busan, and Jeju. Soil temperature of 5 ㎝ equally decreased by 0.2℃ in Seoul and Busan, soil temperature of 10 cm maintained almost constant, and soil temperature of 20 cm was hardly affected by eclipse.
        135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의 12개 기상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간의 일최고기온 현황과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일최고기온의 발생과 상관관계가 높은 여타의 기후 요소에 대해서 분석 하였다. 높은 평균 일최고기온을 기록한 곳은 시가지에 기상 관측소가 위치한 대구, 포항, 영천이며, 낮은 평균 일최고기온을 기록한 곳은 관측소의 해발고도가 100m 이상이며, 주변 지역이 산림과 농경지로 이루어진 봉화, 문경, 영주, 안동이다. 30년 동안의 일최고기온 변화 경향은 구미를 제외한 11개 지점에서 일최고기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미는 도시 지역으로의 기상대 이전과 주변 지역의 시가지화에 의한 토지 피복 패턴의 변화에 의해 미약하게나마 기온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최고기온 형성에 있어, 당일의 기후 요소보다는 이전의 무강수일수, 전2일 일조시간, 전2일 운량이 일최고기온 값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누적적인 승온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상·기후 상태가 일최고기온 형성에 중요한 조건으로 판단된다.
        1356.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여교사 732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여교사가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요소는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이었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셋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한 후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135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88년부터 2009 년까지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수행된 벼 작황조사시혐의 오대벼와 일품벼 관련 기상요소 및 조사성적을 바탕으로 각 기상요소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벼 출수기, 간장, m2 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품종 및 생육 단계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제로 총수기 까지의 일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기온일교차, 풍속 및 상대습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수기는 일평균 기온과 상대습도의 영향을, 간장, m2 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일교차 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등숙율, 천립중 및 쌀 수량은 벼 출수기 부터 40 일간의 일평균 기온, 기온일교차, 강수량, 일조시간에 대하여 오대벼와 일품벼가 전혀 다른 반용을 보였으나, 풍속 및 상대습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슷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쌀 수량은 풍속이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과 상대습도는 기온, 기온일교차, 일조량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국내 벼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상대습도가 낮고 바람이 충분한 환경에서 벼는 활발한 증산 작용과 광합성을 통해 수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5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selected The Old Rectory, Sissinghurst and East Lambrook Manor as a case study location that is meaningful to discuss potager garden, herb garden and harvest garden, which is a topic of productive garde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growth potential of Korea's rural house into a garden that embellishes decoration and appreciation. The application metho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ase study location will be, first, organizing the shape of the flower bed and then adding additional materials along with the main materials. Second, it can increase the appreciation of productive garden through layering method and making it abundant. Third, it can be utilized well by pursuing artistic feature by combing unique color and texture of edible plants. Lastly, for the weakness of flat structure by short edible plants, vertical structure shall be utilized to provide decoration and frame. Also, by using natural materials, the ambiance of the garden can be presented.
        1359.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상정원 구성요소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서 지원한 18곳의 옥상정원 방문이용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 시설물, 식물관리, 기능 및 환경, 동선 및 접근성, 이용 후 평가만족도에 대하여 총 304명을 방문 설문하였다. 그 결과 옥상정원 방문동기는 이용자의 이용 후 전체만족도에서 그리 큰 영향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단순회귀분석결과 영향이 적은 구성요소로(β=0.236)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β=0.609), 식물관리(β=0.623), 기능 및 환경(β=0.595), 동선 및 접근성(β=0.679)은 이용 후 전체만족도에서 높은 구성요소로 연구되었다. 또한 동선 및 접근성(β=0.679)이 다른 구성요소와 다르게 만족도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접근성이 옥상정원의 이용과 만족도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가장 큰 구성요소로 분석되었다. 옥상정원의 만족구성요소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요도 순위는 동선 및 접근성(β=0.348), 시설물(β=0.178), 기능 및 환경(β=0.173), 식물관리(β=0.153)순으로 연구되었다.
        1360.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 환경교육 현황에 관한 설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질적이며 다양한 환경영역을 포함하는 학교 환경프로그램과 교재가 교과서 중심으로 개발 및 연구되어야 하며 이는 이론중심이 아닌 아동 생활반경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인 내용과 실천적인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친환경적 기반 시설 분석 및 활용 가능성 평가에 관한 설문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교사들이 친환경적 기반 시설을 환경교육에 활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내 친환경요소로 대표되고 있는 자연 생태원으로서의 기반시설인 자연학습장(교재원), 학교 조경, 친수성 공간(연못), 텃밭 및 기타 시설 녹화 등의 공간을 적극 이용할 수 있는 환경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제공해 주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시설들을 환경교육에 적극 활용하는 것은 도시학교에서 학교 내 체험환경교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