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9

        1921.
        2011.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 의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경기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454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수집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건강관리행동에 있어 음주빈도는 '거의 안 마신다'(41.4%), '월 1-2회'(27.8%) 등의 순이었고, 흡연량은 '안 피운다'는 응답이 80.8%로 월등히 많았다. 운동빈도는 '거의 안
        1922.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해기직업 생활자가 은퇴 후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를 연구하여 해기직업 종사자에게 은퇴 이후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217명의 다양한 학력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해기직업 종사자들의 은퇴 연령은 육상직업 종사자들에 비해 빠르며, 이는 해상직업 생활의 이가정성, 이사회성으로 인해 조기 하선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해기직업 종사자의 은퇴 후 생활의 만족도는 학력과 해기직업 종사기간과는 무관하며 그 동안 얼마만큼 경제력을 확보하여 은퇴 생활을 여유 있게 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셋째, 육상근무자일수로, 고학력자일수록 그리고 해상경력이 짧을수록 은퇴 후 생활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해기직업 종사자들의 은퇴 후 생활은 직업생활 당시 희망과는 무관하게 특별한 활동없이 집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기직업 종사자들의 은퇴 후 안정적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보장제도 마련과 함께, 재승선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1923.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ceived air quality (PAQ) is defined as evaluation of indoor air satisfaction and comfortable sensory by occupant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riteria of indoor pollutants and lowest sensory thresholds. In this study, we compared indoor PAQ by questionnaire with measured benzene, toluene and nitrogen dioxide (NO2) concentrations in home indoors. The NO2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oul, while benzene and toluene were the highest in Asan. Average PAQ score in winter was higher than that in summ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Qs of home indoor air pollution and measured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not shown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r) ranged between -0.453<r<0.258. Several groups have been divided to analyze what may affect PAQ scores such as gender, city, home indoor smoking, passive smoking, and self-reported respiratory symptoms. Gender, city, and self-reported respiratory symptoms by indoor air quality were associated with high PAQ scores by using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are confirmed that no association between concentrations of home indoor pollutant and PAQ scores. Therefore we further need to develop new indicator indoor air pollutants, measurement, and evaluation by PAQ.
        1924.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좋은 수업’의 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수업전문성 개발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교정하는 하나의 ‘내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수업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 원리에 대한 과학적 이해에 기초하기보다는 교육을 받는 학생으로서 본인의 오랜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인 이해에 바탕을 두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인한 사교육기관의 교육방법이 공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국내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모습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 141명이었으며,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특징’을 중심으로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 내용 측면에서는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고차원적 사고개발의 중요성,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학습자주도의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 매체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구성의 중요성, 교육환경 및 분위기에서는 규칙을 통한 학생관리,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추어진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예비교사교육에 반영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전문가들의 인식이 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유도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교사양성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192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때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가 어떠하며, 어떤 지원 방안들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였다. 조사는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3단계의 결과에서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와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으로는 한국어교육 자격 연수를 통한 전문가 양성, 한국어교육 전문가 및 다문화 전문가 활용, 멘토링 제도 운영, 한국어 학습 도우미 제도 운영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물적 지원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및 보급, 다문화(한국어) 교육 센터 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물적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연구 결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보급보다는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KSL 강의실에 치중되어 있어,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지원이 앞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지원으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다문화 가정 학생을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그들의 자신감, 정체성 의식 향상과 공동체 의식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매우 미흡한 수준이지만 비슷한 순위로 실천되고 있었다. 끝으로, 행·재정적 지원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교사(한국어/이중언어)의 대우, 저소득층 자녀 대상 교육비 지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나, 이 역시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KSL 교사의 지위 보장과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비 지원은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생활원예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서울과 수도권 도시민들의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생각과 태도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 분석(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286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생활원예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시민들에게서 생활원예에 참여한 기간은 그들의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 인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시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교육과 정책에 대한 요구인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로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기간과 생활원예 경험 및 원예 관련용어 인지 경험에 따른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과 관련된 인식의 차이는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경험을 갖고 있거나 생활원예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 비하여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통계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중앙정부 및 교육 당국자와 지방정부에서는 도시 생활원예의 보급과 확산을 위한 적절한 원예교육과 정책수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덧붙여, 도시 생활원예 관련 학계에서는 시민들에게 도시 생활원예를 보급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이다.
        192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deep meaning beneath the seemingly chaotic opposites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oem seems to insinuate. The fact is that The Waste Land is not so much a post-modern poem as a pre-modern one, provided we acknowledge that pre-modernity has trust as its hermeneutical principle. The Waste Land can be compared with Hopkins’ “God’s Grandeur”, which uses resurrection epistemology, as opposed to the extinct immanent epistemology, to demonstrate to the intellects the providence of God revealed in their lives and their environment. Like the resurrection epistemology of the 19th century, Eliot’s poem demonstrates the existence and working of God among themselves, in spite of the negativity of death and unreality prevalent in the modern world. Broadly speaking, modern scholarships of T. S. Eliot have been made with special reference to post-modern poetry, since there appear a lot of opposites in his poem. Append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poem, “Notes” to The Waste Land use the languages of philology and impressionism in an exclusively confusing way, twisting the reading of the text into a worse confusion, with the result that it does not shed any light on the explanation of the poem. Chapman’s theory of doubleness the poet frequently resorts to in the making of his poetic works, points to the specific perspective beyond the ambiguity and chaos prevailing in the poem. Special reading strategy is in dire need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ext. Every reader approaching his text must retain the hermeneutics of trust, which is the “leap of faith.” With the hermeneutics of trust, every reader can penetrate into “the third” in the text, which can be identified as Jesus Christ whom the disciples met on the way to Emmaus. Without proper reader’s response, the reading practice itself would be futile and unreal, because the subjects it tackles are concerned aboutthe great proposition, salvation.
        192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학동은 우리 漢詩史에서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라는 시적 제재로 사용되어 진 주요한 모티브 중 하나였다. 그리하여 많은 시인묵객들이 이상향에 대한 동 경의 실천태로써 이른 시기부터 청학동을 찾았다. 초기 청학동을 찾는 이들에 게 ‘청학동’은 선계 공간이라는 이상향이었다. 현실 세계에 존재할 수 없는 선계 로의 탐방은 부정과 좌절이라는 정서로 시화되어 나타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청학동이라는 선계로의 유람은 현실이라는 벽에 가로막혀 갈등과 회한이 어 우러져 있다. 다만 일반적인 산수시와 달리 청학동 소재 한시에 나타난 청학동 이라는 공간은 수기의 방편으로 사용된 예가 드물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류의 작품에 드러난 청학동은 현실 밖, 피세의 관념적 공간이자, 현실 속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었다. 열망과 부정의 모순된 정서가 시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라는 인간의 욕망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지리산의 특정 지역을 청학동에 비정하였고, 관념 속의 청학동은 현실적인 명승공간으로써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후 청학동은 선계 공간으로서의 지위와 명승 공간 으로서의 지위를 모두 지니게 되었다. 지식인의 한시 작품에 나타난 명승으로써의 청학동은 현실의 불행이 완전하 게 단절된 공간, 갈등과 번민이 없고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간으로 인식되는 경 우와 현실 밖, 피세의 관념적 공간이자, 현실 속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공간 으로 인식되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공간들은 열정과 한계 로 인하여 여러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과거 지식인이 추구하였던 이상향이었다. 시인이 청학동을 선계공간으로 인식하였든, 명승공간으로 인식하였든 공통적 으로 나타나는 요소는 현실 세계에 대한 철학적 부정을 통한 이상향에 대한 동 경이었다. 또한 이러한 시적 전통은 ‘청학동’이라는 특정 공간이 우리 민족의 이 상세계에 대한 구체화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1930.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교육'의 위기를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다. 많은 진단과 대책이 나와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오히려 혼란이 더욱 가중되는 느낌이다. 그 이유는 '공교육' 자체에 있기보다는 '공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즉 교육관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공교육의 정상화'를 둘러싼 논의들을 보면, 그것이 교육의 가치실현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가 불분명하다. 이 글에서는 '학교가 교육하는 곳'이라는 제도중심의 교육관과, 교육을 그 기능으로 치환하는 기능주의적 교육관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학교와 교육을 구분하는 시각에서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논하고, '학교교육'과 '공교육'의 차이에 대한 논의를 덧붙였다. 그것을 다시 현행 '교사양성과정'에 적용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공교육 정상화' 논의의 문제점은 학교 급별로 전개되는 제도적 실천과 교육의 자율적 양상을 적절하게 구분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때문에 교육에 관한 타당한 인식의 정립에는 '상식과의 거리두기'와 '타 학문과의 거리두기'라는 두 가지 원칙이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
        1932.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w would environmental education be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today? Deep reflection on the way of teaching environment in classes to achieve effectiveness is required. If there exist differences in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depending on environment class pattern, its most effective way should be looked f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ducing the students to have advisable attitude voluntary about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them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such view,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classes. Students need to be set to share their principle, values, attitude about environment problems at environmental class through presentation which is important factor to make them have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environmental class need to be carried out student-led way. For that, a class model need to be designed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s to arrange and elaborate their emitting thought about environment problems through disclosing their thoughts to share them with fellow students which will end up in their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contributive to offering various environmental perception to students and grasping others' thinking about environment. Fifty-eight 10th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at carried out from 2010 April to June by choosing total 10 environmental themes divided into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lied to the 30 test group students, and general environmental class applied to 28 control group students.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n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Second, in students' intentional environment action,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Third,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lass,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1933.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esent a global localization and position error compensation method in a known indoor environment using magnet hall sensors. In previous our researches, it was possible to compensate the pose errors of xe, ye, θe correctly on the surface of indoor environment with magnets sets by regularly arrange the magnets sets of identical pattern. To improve the proposed method, new strategy that can realize the global localization by changing arrangement of magnet pole is presented in this paper. Total six patterns of the magnets set form the unique landmarks. Therefore, the virtual map can be built by using the six landmarks randomly. The robots search a pattern of magnets set by rotating, and obtain the current global pos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d neighboring patterns with the map information that is saved in advance. We provide experimental result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a differential drive wheeled mobile robot.
        193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출산 친화 및 노인 친화적 가치관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가치관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저출산․고령화 관련 교사연수의 방향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전국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가치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의 현황, 원인, 문제점, 가치교육의 필요성, 해결방안 등 사안의 전반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으며,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상당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또 교사들의 사회적 경험과 생활 문화적 환경 변인들은 그들의 저출산․고령화 관련 주요가치관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교육당국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가치교육에서 무엇보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전환이 시급함을 인지하고,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관련 변인들이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1935.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을 활용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게임기반학습의 확산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교사들이 게임을 사용하는데 있어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주제와 내용을 지닌 게임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에 따른 게임 활용 수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가 게임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관련기관에서 다양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재정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3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조선조 문인들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를 고찰하였다. 조 선시대 유산시는 대체로 몇 가지 투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을 대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산을 삶의 터전으로 인식하여, 그 중요성을 부각시 키는 것. 둘째, 지리산에 대한 敬畏心을 담아내는 것. 셋째, 지리산에서 浩然之 氣를 기르고 발산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것. 넷째, 지리산을 仙界나 理想鄕의 소 재처로 보아 憧憬하는 태도를 드러내는 것. 다섯째, 지리산과 연관이 있는 인물 을 연상하면서 尙友千古의 자세를 보이는 것. 여섯째, 지리산 등산을 修己, 또는 학문 연마의 비유로 삼는 것. 유산시에 나타난 이런 투식은 곧 지리산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의미하며, 이것은 오랜 기간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약간의 변화된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즉, 唐詩 風의 서정적인 작품이 등장하기도 하고, 보다 현실적인 사고를 담아내기도 하 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自尊感을 여과 없이 드러내기도 하였다. 또 시 국 변화에 따라 國運을 염려하는 마음이 삽입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문인들의 사고가 근대화 되어가는 한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193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각 계층의 사람들이 지리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해왔 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지리산은 영․호남의 여러 고을에 걸쳐 너르게 퍼져 있고 매우 靈驗하다고 알 려져 있었다. 신라 때부터 국가에서 중요시해왔던 지리산은 조선왕조의 유교적 산천제 정비에 따라 산신의 封爵이 제거되고, 전라도 남원에 神祠를 세워서 제 사지내게 되었다. 지리산 산신신앙에는 불교․도교 등 여러 신앙이 복합되어 있 었다. 지리산에는 聖母祠 이외에 여러 신당들이 세워졌고, 봄과 가을마다 삼남지역 의 무당과 일반 민중에 의한 기도가 성행하였다. 또 지리산은 골이 깊고 여러 가지 작물들이 풍성하여, 생계가 어려운 사람, 도망자들이 이곳을 찾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조선왕조의 불교 억압에도 불구하고, 지리산 주변에는 많은 사찰이 새롭게 들 어섰다. 이런 사찰 중에는 지리산 신을 위한 신당을 세운 곳이 많았다. 불교계 에서는 聖母天王이나 이외의 상징물에 대해서도 불교와 관련시켜서 지리산에 서의 불교의 위상을 높이려 했다. 儒者들은 지리산 신에 대한 별도의 敬拜는 필요치 않다고 여기고 있었고, 무 당이나 불교계의 지리산 제례에 대해서는 경멸하고 있었다. 그들이 지리산을 찾은 것은 경치를 즐기고 문학적 호기를 기르거나, 속세에서 찌들렸던 정신을 환기시키기 위해서였다. 이처럼 일반 민중과 무당, 불교계, 유자층들이 지리산을 인식하고 이용하는 입장은 서로 달랐다. 지리산을 둘러싸고 계층간의 갈등이 폭발하는 경우도 없 지 않았다. 게다가 지리산의 승려․무당이나 골짜기 깊숙한 곳에 사는 민간인에 게는 일찍부터 관의 침탈이 가해져서, 이들의 불만이 고조되지 않을 수 없었다.
        193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개념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여 개념 연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초등과학의 뿌리 및 줄기 관련 단원에서 개념을 추출하고 초등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0개 검사문항의 평균 오답율은 47.3%로서 초등학생들의 뿌리 및 줄기에 대한 과학적 개념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40% 이상의 오답율을 보인 문항은 줄기에서 8개 문항, 뿌리에서는 5개 문항이었다. 이러한 높은 오답율은 좁은 범위의 경험이나 자료를 가지고 성급한 판단에 의해 개념을 일반화하거나 무분별한 유추, 지각 우위의 사고, 낮은 인지발달 단계 등으로 인해 생긴 결과이다. 전체 문항에 대한 도시학생과 농촌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5학년과 6학년 등의 평균 정답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별 비교에서는 각각의 그룹에서 2내지 3개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들의 뿌리와 줄기 개념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야외에서 직접 관찰하는 체험학습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다양한 경험을 위하여 식물에 관한 그림책이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교사는 오답율이 높은 문항에 대하여 구성주의와 같은 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적절한 인지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193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의 급증으로 인해 한국 사회도 점점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으나 한국사회의 순혈주의와 단일 민족주의로 인해 이들을 같은 한국 국민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갈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알아보고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배경변인으로는 다문화 교육 경험, 비형식적인 다문화 경험, 어머니의 양육태도, 개인 배경이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F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 교육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 요인 중 미디어 요인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남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성적이 높을수록, 외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성별, 다문화 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다문화 교육은 비형식적인 경험과 개인적인 배경요인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일반 학생들이 다문화적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194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방사선학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국제표준단위의 기본단위와 방사선 관련단위의 인지정도에 대하여 18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약 44%의 학생들이 기본단위인 kV에 대하여 오답 을 표기하였으며, 약 28%의 학생들이 km에 대하여 오답을 표기하였다. 특히 단위와 숫자와의 관계에서는 약 57%의 학생들이 오답을 선택하였다. 접두어인 메가와 기가에 대해서는 각각 22%, 20%가 오답을 선택하였다. 방사선 관련단 위인 Sv 또한 약 30%의 학생이 오답을 선택하였다. 방사선 관련 국제단위에 대해서는 고학년일수록 인지도가 높았다. 단위에 대해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50%가 넘는 학생들이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이 와 같은 결과로부터 국제표준단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