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80

        100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ontinuous operation of food waste resources at Dongdaemun Environmental Resources Center and to improve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y anaerobic digester facility. Korean domestic food wastes consist of 18% total solid (TS) content but food waste is difficult to utilize for dry anaerobic digestion. Other operational trouble-shooting resulted from the inherent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uch a biomass generation facility based on 100% utilization of dewatered cake with 35% TS concentration as feedstock, causing the accumulation of unwanted solid residues. A materials flow analysis obtained from actual operation of the anaerobic digestion facility revealed that the organic material loading rate (OLR) and its residence time were 8.3 kg-VS/m3·day and 18.3 days, which adversely affected stable operation. The OLR was occasionally > 15,000 mg/L organic acid concentration and the facility shut down. Such anomalies drastically reduced biogas production and increased organic matter loading in the wastewater, which exceeded the legally allowed concentration limit. Operation of this facility has been normalized to the targeted facility capacity of 98 m3/d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002.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상수원을 하천, 호소 등의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어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각종 하폐수, 농축산 폐수, 광신 및 공장폐수 등의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상수원의 수질오염이 날로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고도정수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원수 수질의 악화로 고도정수시설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으며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생물막 여과법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생물막 여과법은 미생물을 부착 서식 시키는 입상의 충진재에 원수를 접촉시켜 수중의 유기물과 암모니아성 질소 등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매질의 표면에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 성장함으로써 다량의 미생물을 유지할 수있어 오염 물질의 충격 부하에도 잘 견디는 장점이 있다. 생물막 여과법의 특성은 미생물의 다양성이 높고 먹이 연쇄가 길며 질산화 미생물이 잘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생물막이 폐색되거나 여재의 흡착능이 떨어졌을 경우 역세시스템을 이용하여 여재의 성능을 복원하거나 교체해야하는 단점이 이있다. 최근 생물막 여과법 여재인 바이오 세라믹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세라믹은 높은 기공율에 의한 최적의 미생물 담체로써 통기성이 우수하고 난분해성 유기물의 흡착, 분해, 정화 능력이 우수하며 강도가 우수해 인공 토양 및 수처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사업은 이러한 바이오세라믹을 제조함에 있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폐활성탄소 부산물을 활용하여 바이오세라믹 여재 제조 가능성 및 성능 등을 파악하고자 추진되었다. 활성탄소 부산물을 활성탄 필터 제조시 결합제인 바이더와 함께 혼합한 후 필터 모양의 성형기에 충진한 후 가열 및 성형을 하여 최종 활성탄 필터로 발생된다. 발생 형태는 스크랩 및 분진 형태로 그 동안에는 바인더 물질에 의해 재사용이 불가하여 폐기 처분 되었다. 그러나 본 사업에서는 원료, 혼합(활성탄 부산물+제올라이트), 결합, 성형, 건조, 소성, 냉각, 선별 시제품 테스트 공정을 통해 사업화 가능성을 판단한다. 제조 공정에서 제일 중요한 공정은 결합 공정으로써 제올라이트와 활성탄 부산물의 효율적인 결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무기계 HDPE을 사용하여 추진하게 된다. 그후 생산된 바이오세라믹을 여재비중, 비표면적,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능, 탁조 제거 효율 등을 측정하며 실제적으로 수처리 공정인 생물막 여과법에 적용을 통해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산업단지 입주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하여 자원 순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목표가 있다.
        1003.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폐자원에너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유기성 폐자원의 경우 생성되는 메탄가스 및 가연성 가스를 이용한 가스발전이 가장 대표적인 활용 예이다. 그러나 폐자원으로부터 생성되는 가스는 생산량 조절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스 발전은 계속적으로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기사용량이 적은 심야에는 버려지는 가스가 존재한다. Energy Storage System (ESS)은 낭비되는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요구가 있을 때 사용하는 장치로서 폐자원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없어서는 안될 부분이다. 또한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있어 어떠한 환경오염이나 CO2가 발생되지 않는 청정의 에너지 저가 요구된다. 이러한 ESS 중의 하나로,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Vanadium Redox Flow Batter)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기존의 리튬전지를 이용한 저장보다 에너지 수명이 10배 이상 길고, 환경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친환경적이 물질이다. 그러나 VRFB의 경우 낮은 에너지 밀도와 값비싼 분리막등 보완해야할 점들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Nafion 계열의 분리막의 경우 값비싼 가격과 활물질의 Crossover 현상을 막아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polybenzimidazole로 구성된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서 분리막의 표면에 positively charged functional groups을 달아주어 Crossover를 막아주어 에너지효율과 밀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었다.
        1004.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각국에는 기존의 연료인 석탄 및 석유의 에너지를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 및 저탄소 생활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매립되는 폐기물을 재사용하기 위해 폐기물에 저장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에너지중 일부는 자체적으로 소모가 되고 일부는 한국전력에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가스는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지 못하여 버려지게 된다. 그 이유는 매립지에서 발생된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고 전기에너지의 다양한를 따라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한 에너지 공급과 잉여전력의 저장을 위해 재생에너지 산업에 꼭 필요한 장치가 에너지저장장치(ESS)이다. 그 중 친환경 적이며 높은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갖는 장치가 VRFB이다. VRFB의 경우 바나듐을 활물질로 사용한 2차 전지로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화학적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순간에 발전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ESS를 사용하면 에너지 공급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버려지는 에너지를 저장하여 언제든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많은 장점을 가진 VRFB 이지만 아직 기술적으로 완전하게 정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많다. 우리는 VRFB 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촉매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해 왔다. B과 N은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진 촉매로서 이를 다공성 carbon 인 MSU-FC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이 촉매를 사용함으로서 에너지 밀도와 에너지효율에 성능향상을 보였고 또한 Capacity 또한 유지되는 것을 보였다.
        1005.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도체 소자가 초고집적화 되면서 제조 공정 수는 증가되며, 각 공정 후에는 많은 잔류물 또는 오염물이 표면에 남게 되어 이것들을 제거하는 세정공정(Cleaning process)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 반도체 제조 공정은 약 400단계의 제조 공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20% 이상의 공정이 웨이퍼의 오염을 막기 위한 세정공정과 표면 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정 공정에서 IPA(Iso-propyl alcohol)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Water Mark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기존 제거공정에서는 물을 이용하여 이를 제거 하였으나,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 제품이 불량이 발생하여 쉽게 증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IPA를 이용하여 wafer 표면의 DI를 제거 하였다. IPA 세정공정을 도입한 반도체 업체에서 배출되는 폐액 속에 IPA농도는 30% 수준으로 나타나 기존 증류법을 통한 증발농축으로 가공하는데 많은 Utility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해당 폐액을 재활용하는데 있어 경제성이 떨어지며, 이에 효율적으로 농축 가공하여 자원을 재순환 할 수 있는 기술 검증 및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A반도체 생산기업의 경우 IPA 폐수의 발생량은 2015년 30톤/day, 2016년의 경우 40톤/day 정도로 배출처 및 가공처의 수익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상기 개발기술의 검증을 위한 Scale-up 테스트 및 현장 적용이 요구되고 있어, Lab. test를 통하여 기 확보한 농축 기술을 보완 및 실용화함에 있어 Scale-up test를 위하여 1ton/day 처리 용량의 Pilot system을 제작 설치하고, 이를 통해 농축효율을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증발농축법과 안전성 등에서 차별화된 농축설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006.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축분뇨내 함유된 총 질소 농도는 3,000~6,000 mg/L 수준이며 이중 80%이상이 암모니아성 질소로 존재하기 때문에 호기성 액비화 과정에서 질산화 처리시간이 길고 탈질과정에서 탄소원의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정화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공동자원화 설비에서 현재 운영 중인 가축분뇨의 질소 변화특성을 살펴보면 농도 변화폭이 크고 이에 따른 대응 가능한 처리 및 회수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 암모니아 탈기법은 전통적인 암모니아 회수방법이나 pH를 10.5이상 유지시키면서 20℃에서의 공기요구량이 2,400 m³-air/m³-water 필요하여 운전비용이 15,000원/톤을 초과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다. 최근 이온교환율이 높은 흡착제를 이용하는 회수기술이 개발 중이나 가축분뇨에 함유된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흡착제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16,000 원/톤 이상의 재생약품비용이 소비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내에 존재하는 암모니아를 50% 회수함으로써 경제성을 증가 시키고 공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문제를 2차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부가적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회수된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암모니아수, 황산암모늄 등 암모니아화합물을 제조하여 제품화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시설 투자비와 운전비 대비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실험실 규모 및 pilot 규모에서의 50% 암모니아 회수 최적 조건과 회수된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암모니아화합물 생성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0 톤/일 규모의 실증플랜트 설계를 최적화하였다.
        1007.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리기후변화 협약이후, 대한민국은 BAU대비 2030년 37%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국내의 실정을 고려하였을 때, 37%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현재진행중인 이산화탄소 감축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에 진행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과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이산화탄소 저감을 실행하기 전에 이를 완화하기 위한 대응기술의 적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산화탄소저감 대응기술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고 있지만, 2016년 정부 부처간 협약된 결과를 고려하면 탄소광물화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완화대응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기술은 고농도(80%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탄소광물화의 연구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실제 산업에서 배출되는 저농도 이산화탄소(5~20%)를 이용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탄소광물화는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저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농축하기 위한 추가공정(Carbon Capture)이 필요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농축공정이 필요없는 연구로 반응촉매제(용매)를 사용하여 산업에서 배출되는 소각재 및 폐자원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이산화탄소의 빠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 용매는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경우보다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매립처리를 하고 있는 폐기물을 재순환하여 산업 등에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008.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라 석탄수요의 증가 및 산업부산물인 재(Ash)의 발생량 또한 급증하는 추세이며, 재(Ash)의 재활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에 의한 수익은 점차 감소하고 있어 재(Ash)의 재활용 부가가치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업부산물인 슬러지와 비산재 혼합에 따른 조경골재 생산을 하고자 하며, 하수슬러지 20~25%, 비산재 30~35%과 첨가제로서 물유리 및 알칼리제를 혼합한 후 소성온도 700~100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하여 화산석 대체의 조경골재 사용을 위한 가능성 연구를 하고자 한다. 소성시킨 멀칭용 조경재 제조 후 성분분석을 해본 결과 Si 성분이 20.77%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나타났으며 조경재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Al, Ca, Fe 등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 전자현미경(SEM)분석을 한 결과 다공성이 발달된 구조가 형성되어 토양에 통기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발달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정 배합비 및 소성온도 등의 특성을 보다 연구하여 화산석과 유사한 조건의 특성을 함유한 멀칭용 조경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슬러지와 비산재의 혼합을 통한 조경골재 제조에 따른 결론은 폐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재활용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른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자원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한 산업부산물의 다용도화가 가능하다.
        100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ow of products containing valuable metal resources after discharging to waste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form a plan to improve resource circulation to enhance the circulation of metal resources. In this study,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analysis of products containing cobalt and palladium after disposal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five stages: (1) discharge/import, (2) collection/discarding, (3) pretreatment, (4) resource recovery, and (5) product production/export. The mobile phone was one of products which were the most generating cobalt. Discharged cobalt was kept for processing or was produced as pure cobalt, cobalt oxide, or cobalt sulfate, and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locks, speakers, AlNiCo magnets, tire, batteries, etc. The total amount of cobalt in the waste products was 994 tons and the recycling rate was 53.7%, indicating that 543 ton of cobalt was recycled. Palladium was discharged from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precious metals, petrochemical catalysts, vehicles catalysts at the end of their life, and medical equipment (dental). The palladium recovered by pre-treatment and resource recovery was recycled as a metal resource or exported. The amount of palladium recycled was 2.412 tons, of which a total of 2.512 or 96% tons is estimated to be recycled. Future research may be necessary to suggest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cluding the waste resource classification and market expansion for the recycling in the five ste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01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arlic is one of the important vegetables and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2,2-diphenyl-1-picr yl-hydrazi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reducing power (RP)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of A. ampel oprasum L. Methods and Results : DPPH, ABTS, FRAP, TPC, and RP were analyzed the extract of aerial plant part in 22 accessions of A. ampeloprasum by spectrophotometry mathod. A. tuberosum Rottler ex Spreng. was used as a control. DPPH was ranged from 0.35 to 3.06 ㎍ ASC ㎎-1 dw. ABTS and FRAP showed wide variation from 4.37 to 29.30 ㎍ Trolox ㎎-1 dw and 3.18 to 10.8 ㎍ ASC ㎎-1 dw, respectively. RP and TPC were ranged from 3.43 to 9.51 ㎍ GAE ㎎-1 dw, and 0.8 to 18.63 ㎍ ASC ㎎-1 dw,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of A. ampeloprasum germplasm was divided into two major groups. Group Ⅰ (7 accessions) characterized a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group Ⅱ (15 accessions) and had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with A. tuberosum as a control. FRAP value showed a significant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DPPH (r = 0.868*) and ABTS activity (r = 0.826*).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PC1 and PC2) cumulatively explained 85.64 % of total variation.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A. ampeloprasum aerial parts might have useful as a ne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101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study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o develop cultivation techniques by introducing a new crop income. Therefore, we want to collect the Coriander sativum genetic resources that are grown in different regions of the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C. sativum were strengthens the stomach to say "housil" in Herbal and prosper digestion. Recently, several nations, including Vietnam and Thail and increased in Korea. C. sativum increased eating enjoy food. The people who like C. sativum in Korea is estimated to be 1.5 million. Methods and Result : First was C. sativum 93 species i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RDA lotting-out on May 12, 2016 for the study. C. sativum germplasm received lotting-out of over thousand grain 15g 28 kinds of seeds, 10∼15g was 23 species, 10g less than 42 species. 32 kinds of fruit color is white, black, 30 species, the gray was 31 species. Conclusion : C. sativum lotting-out was conducted by resource for two weeks from germination test from May 31 to June 1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 sativum port germination 86∼100% germination was 43 stocks, 40∼60% of 23 stocks, 5 stocks of 20∼ 40%. The 22 stocks were not germinate paper. C. sativum resources per port germination test was conducted 13 days from 29 days July until August 9th. As a result, more than 90% of the port germination is 62 stocks, not more than 80∼90%, 50∼80% 18 stocks of germination was 5 stocks. At this time, no germination was 8 stocks. Therefore, C. sativum germination test is a port germination test obtained a more than satisfactory result.
        101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anax ginseng C. A. Meyer is a slow-growing perennial herb that is cultivated in shading condition. Climate change occur around the world that make a lot of problem such as damage of high temperature, drought, salinity and disease. The problems lower the ginseng productivity that cause income reduction of farmers. To achieve stable ginseng production, development of elite varieities resistant to abiotic and biotic stresses is consistently required. It is very time consuming process in order to develop new ginseng varieties because ginseng flowers after 3 years of growth. So, early selection system of elite line must be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efficient ginseng breeding techniques for early identification of heat or salinity resistance. Methods and Results : Ginseng petioles was soaked in mixed salts solution consisting of KNO3, KH2PO4, MgSO4․H2O in order to test resistant or susceptible salinity. The degree of resistance was quantified according to damage size. Also, ginseng lines transplanted in pot were treated 46℃ for 1 hour and then chlorophyll fluorescence reaction were measured in order to test resistant or susceptible high-temperature. The measured values such as Fm/Fo, Fv/Fm, Rfd were differentiated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line. Conclusion : Several lines showed that they are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or salinity. The selected lines will be utilized for parents to develop new varieties.
        101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amie, Boehmeria nivea (L) Gaud, is a bast fiber plant of the nettle family (Urticaceae) and originated in Asia. We have taken an active interest in ramie breeding for edible ramie, and consequently select "Yeonggwang No.1" with high yielding and good quality for edible leaves in 2015. Methods and Results : "Yeonggwang No.1" is a new ramie variety for edible leaves, which was derived from the plants of the population for pure clone isolation from 2013 to 2014, and progressively for specific character and yield trial in 2014 to 2015. The yield trials were carried on the field and the greenhouse with two replications, respectively. The plant height of "Yeonggwang No.1" is about 140 ㎝ with 6 ㎝ higher than that of check variety "Seobang" The leaves are heart-shaped, with large size, and finely serrated margins. The color of the upper side of the leaf is dark green, and silvery white on the under surface. The flowers are light purple in color and are borne in declinate clusters in the axils of the leaves. The average SLW (specific leaf weight) was 8.56 ㎎/㎠, which was weight lighter than that of check "Seobang", but chlorophyll content measured by a Chlorophyll meter, SPAD-502 was 12.3 SPAD higher than that of "Seobang". Fresh leaf yield was the annual total 1,578 ㎏/10 a in the field, and 2,479 ㎏/10 a in the greenhouse, which was 98% level of "Seobang" in the field, and increased by 10% than check "Seobang" in the greenhouse. The fresh leaves yield of "Yeonggwang No.1" tended to increased in changes according to time more than "Seobang". Conclusion : As a new variety, Yeonggwang No.1 can be harvested leaves several times annually, with the yield range of 1,578 – 2,479 ㎏/10 a, having 72.3% moisture, 6.61% crude protein, 987 ㎎ calcium, 5.27 Fe in its leaves.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there is considerable scope for increasing the fresh leaf yield of ramie and improving the processing quality by means of selection from the large and comparatively unexplored pool of variation, which should be obtainable from this heterozygous plant.
        101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Yellowhorn (Xanthoceras sorbifolium Bunge) is distributed in northeastern region in China. The seeds are oil-rich and used as an edible and/or medicinal additives in China. We investigated genetic indices and molecular variance using ISSR markers and oil contents variance by analyzing fatty acid composition in several artificial populations in China. Methods and Results : Seeds were collected from four discontiguous artificial populations in four area in China : two in Inner Mongolia (IM), one in Liaoning (LN) and one in Shandong (SD). Farm in SD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effective alleles (Ne), Shannon index (I),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 i.e., 1.598, 0.470, and 0.325, respectively. Crude fat contents in kernel observed as 54.5 g 100 g-1 from SD. In contrast it was observed the lowest contents as 46.5 g 100 g-1 from LN . The fatty acid composition was determined to those of oleic acid (31.3%) from SD. And linoleic acid was determined as 38.1% from LN. These artificial populations have relatively high genetic variation, and within-population variation (23%) was higher than among populations. The artificial populat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vealing these w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genetic and geographic distance. Conclusion : This study can provide the important information on genetic variation and contents characteristics. It may be responsible for the programs of improvement and germplasm conservation in the future.
        101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Aralia cordata and Dendropanax morbifera, belonging to the family Araliacea, is a perennial herbaceous species. Although its beneficial effects for several chronic diseases are well-known, the role of its effects on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colon carcinogenis are limited.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are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of gastrointestinal tract. It has been reported that IBD is associated with colon cancer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cancer diagnosed and a major cause of cancer-related mortality. Methods and Results :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Araliacea family would exert a protective effect on inflammation and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mouse model. Effect of Aralia cordata extracts (ACE) and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DMLE) on pro-inflammatory marker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MAPKs),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κB (NF- κB) in THP-1 human monocyte and HT-29 colon epithelial cell model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colon inflammation inhibitory effects of ACE and DMLE on the characteristics of in DSS-induced colitis model. Results showed that ACE, DMLE attenuated the severity of DSS-induced colitis, as assessed by disease activity index scores, shrinkage of colon length, and histopathologic changes and infirmatory cytokine concentration. Furthermore, ACE treatmen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olon carcinogenesis in AOM/DSS induced colon cancer model. The apoptosis induction abilities of the DMLE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expressions of Bcl2 family protein, caspase, Annexin V/PI staining and DNA fragmentation. According to our results, DMLE significantly induced cell death in SW-480 cells. Apoptosis was determined by cell morphology and electrophoresis of DNA fragmentations. Furthermore, treatment with DMLE also induced the increase in caspase activity, pro-apoptotic proteins (Bax and Bad) and the decrease in anti-apoptotic proteins (Bcl-2 and Bcl-xL). In addition, DMLE induce cell cycle arrested at the G1/S phase in SW-480 cells and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ion on the expressions of G1/S phase specific CDK, cyclin and up regulation of CDK inhibitors.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ACE and DMLE prevention colon cancer by regulating inflammation, colitis, and colon carcinogenesis which indicates its benefit for colon health.
        101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lt stress is one of major restrictions for the production of lettuce. In order to identify promising lettuce genotypes having tolerance against salt stress, effect of different sodium chloride (NaCl) concentrations (0, 100, and 200 mM) on electrolyte leakage and growth of thirty-two lettuce landraces from Korea was evaluated. Screening salt tolerant genotypes based on cluster analysis using data of electrolyte leakage discriminated 'IT105183' and 'IT195057' as the most salt tolerant landraces. More importantly, salinity significantly reduced growth of lettuce, but the reduction rates of growth caused by salt stress in salt-tolerant genotypes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in salt-sensitive genotyp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105183' and 'IT195057' have high potential for being used as parents to improve salt tolerance in other lettuce cultivars.
        101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domestic sewage treatment processes were analysed and assessed to suggest and design a suitable technology for coal seam gas (CSG) water treatment. Two sewage treatment plants (S and G in Busan) were selected. The former operates with standard activated sludge and modified Ludzak Ettinger processes while the later uses the combination of A2/O and gravity fiber filtration. For both plants, the concentrations of BOD, CODMn, T-N and T-P were about 5.0, 19.0, 5.0, 11.0 and 1.0 ppm, respectively, which satisfy the discharge standards. Therefore, although sewage treatment processes seems to be applicable for CSG water treatment, additional processes to remove total dissolved solids and ionic compounds (i.e. bicarbonate) need to be introduced to produce fit-for-purpose water resources for beneficial use (in accordance with Water ACT 2013). This, for the CSG treatment process design, it is necessary to align the operating conditions with merging methods of combinable unit technology obtained from sewage treatment processes.
        101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 가하고 그에 적응할 수 있는 수자원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영향평가 시 많은 불확실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평가 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 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 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단계별로 평가할 수 있 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지역기후모형, 통계적 후처리기법, 수문모형에 따른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평가를 위해 5개 지역기후모형, 5개 통계적 후처리기법과 2개 수문모형을 이용하였다. 불확실성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출량의 경우 겨울철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RCM의 불확실성이 29.3~68.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겨울철은 수문모형의 불확실성이 4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발산량 의 경우 가을철을 제외하고 수문모형의 불확실성이 28.5∼6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수기는 수문모형에 더욱 영향이 큰 것 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는 기후 모델링 부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이 기법을 통해 특정 RCM이나 통계적 후처리기법, 수문모형 등의 선 정에 따라 전체 불확실성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확실성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1019.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potential value of flaxseed as a dietary supplement as well as an edible oil resource. The characteristics of yellow flaxseed oil and brown flaxseed oil were compared to check which oil is better in the aspects of cooking purpose and of nutritional value. The quality of flaxseed oil was evalua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total phenolics of yellow flaxseed oil and brown flaxseed oil were 10.78±0.46 and 29.88±3.25 mg/100 g, respectively. Their γ-tocopherol contents were 20.59 and 17.94 mg/100 g, respectively. Contents of linolenic acid were 56.60 and 31.38% and oleic acid were 18.24 and 39.16 %, respectively. Yellow flaxseed oil showed higher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than brown flaxseed oil. However, brown flaxseed oil showed higher electron-donating abilities than brown flaxseed oil, which might be due to its higher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conclusion, flaxseed has a great potential as a good edible oil resource due to its high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and anti-oxidant activity.
        102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superior resources of high yield, high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 optimal to mechanical harvesting by the evaluation of crop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in sorghum germplasm. One hundred accessions of sorghum germplasm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8 to 94 days with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was the group from 80 to 85 days, which occupied 34% (34 plant resources) of 100 germplasm. Ear types of 100 sorghum germplasm could be classified as 7 types of broom-tillering, half broom-tillering, extreme open-loose type, open-loose type, intermediate type, compact type, extreme-compact type of which intermediate type was the highest ratio of 28% (28 plant resources) of 100 germplasm. Yield showed the range from 106 to 365 ㎏/10a with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150 to 200 ㎏/10a, which occupied 44% (44 plant resources) of 100 germplasm. Among 100 sorghum germplasm, 18 ideal resources of high yield and short plant height appropriate for mechanical harvesting were selected. In order to evaluate high content of functional substance, selected 18 resources were analyz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Finally, we selected 5 resources of short plant height, high yield, high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18 genetic resources.